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의 윤리강령 중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과 관계된 윤리강령은?
1.
기업체의 기밀은 누설하지 않는다.
2.
전문적 판단이 타협의 의하여 좌우될 수 있는 상황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3.
근로자, 사회 및 전문 직종의 이익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공개하고 발표한다.
4.
결과와 결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기록을 유지하고 산업위생사업을 전문가답게 운영, 관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전문가로서의 책임 ① 학문적으로 최고 수준을 유지한다. ②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고 자료해석에서 객관성을 유지한다. ③ 전문분야로서의 산업위생 발전에 기여한다. ④ 근로자, 사회 및 전문분야의 이익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공개한다. ⑤ 기업의 기밀은 지킨다. ⑥ 이해관계가 상반되는 상황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① 근로자의 건강보호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일차적 책임이다. ② 위험요인의 측정, 평가 및 관리에 있어서 외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중립적 태도를 취한다. ③ 위험요인과 예방조치에 관하여 근로자와 상담한다.
3.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①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산업위생의 이론을 적용하고 책임 있게 행동 한다. ② 신뢰를 바탕으로 정직하게 권하고 결과와 개선점은 정확히 보고한다. ③ 결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기록을 유지하고 산업위생사업을 전문가답게 운영한다. ④ 기업주와 고객보다는 근로자의 건강보호에 궁극적 책임을 둔다.
4.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 ①일반 대중에 관한 사항은 정직하게 발표한다. ②확실한 사실을 근거로 전문적 견해를 밝힌다. [해설작성자 : 나니]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의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의료법」에 따른 의사
2.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4.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대기환경 기사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또는 대기환경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섬유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건(tendon)
2.
관절(joint)
3.
뉴런(neuron)
4.
인대(ligament)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골격근중 건(tendon)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섬유조직으로 힘줄이라고도 하며, 근육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4.
다음 중 18세기 영국에서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어린이 굴뚝청소부에게 많이 발생하였고, 원인물질이 검댕(soot) 이라고 규명된 직업성 암은?
1.
폐암
2.
후두암
3.
음낭암
4.
피부암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Percivall Pott(18세기) 직업성 암을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어린이 굴뚝 청소부에게 많이 발생하는 음낭암 발견 암의 원인물질은 검댕 속 여러 종류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굴뚝청소부법 제정토록 함(1788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제조 등이 금지되는 유해물질 1. ß-나프틸아민과 그 염 2. 4-니트로디페닐과 그 염 3. 백연을 포함한 페인트(포함된 중량의 비율이 2% 이하인 것은 제외) 4. 벤젠을 포함하는 고무풀(포함된 중량의 비율이 5% 이하인 것은 제외) 5. 석면 6. 폴리클로리네이티드터페닐 7. 황린 성냥 등 [해설작성자 : 체리]
7.
재해발생의 주요 원인에서 불안전한 행동에 해당하는 것은?
1.
보호구 미착용
2.
방호장치 미설치
3.
시끄러운 주변 환경
4.
경고 및 위험표지 미설치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불안전한 행동(인적원인) 1. 위험한 장소 접근 2. 안전장치기능제거 3. 기계, 기구의 잘못사용 4. 운전 중인 기계장치의 손실 5. 불안전한 속도 조작 6. 불안전한 상태의 방치와 불안전한 자세 7. 안전확인 경고의 미비 8. 복장, 보호구의 잘못 사용 불안전한 상태(물적요인) 1. 물질 자체의 결함 2. 안전보호장치의 결함 3. 복장, 보호구의 결함 4. 물질의 배치 및 작업장소의 결함 5. 작업환경의 결함 간접원인(2차원인) : 기술적원인, 교육적원인, 신체적원인, 정신적원인, 작업관련상 원인 [해설작성자 : 체리]
(%MS)=(RF/MS)*100 RF : 10kg상자를 두손으로 올리므로 한손에 미치는 힘은 5kP MS : 45kP 5/45* 100 =11.1 [해설작성자 : 나니]
17.
다음 최대 작업역(maximum are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자가 작업할 때 팔과 다리를 모두 이용하여 닿는 영역
2.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아래팔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
3.
작업자가 작업할 때 상체를 기울여 손이 닿는 영역
4.
작업자가 작업할 때 윗팔과 아래팔을 곧게 펴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최대작업역(최대영역) - 팔 전체가 수평상에 도달할 수 있는 작업영역 - 어깨로부터 팔을 뻗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영역 - 아래팔(전완)과 위팔(상완)을 곧게 펴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 움직이지 않고 상지를 뻗어서 닿는 범위 [해설작성자 : 물만두]
18.
산업 스트레스의 반응에 따른 심리적 결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정문제
2.
수면방해
3.
돌발적사고
4.
성(性)적 역기능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산업 스트레스 반응 결과 1. 행동적 결과 : 흡연, 알코올 및 약물 남용, 돌발적 사고, 식욕 감퇴 2. 심리적 결과 : 가정문제, 수면부족, 성적 욕구 감퇴 3. 생리적 결과 : 심혈관계 질환, 위장관계 질환, 기타(두통, 피부질환, 암, 우울증 등) [해설작성자 : 주하은]
문제에 심리적 결과를 고르게 하든 그게 오답이든 많이 나오니까 심리적 결과를 외우기 *심리적 결과 3가지 : 가정문제, 수면부족, 성적 욕구 감퇴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19.
전신피로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산소공급의 부족
2.
작업강도의 증가
3.
혈중포도당 농도의 저하
4.
근육내 글리코겐 양의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근육내 글리코겐의 저장량이 낮아지면 피로발생이 높아진다.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분해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 [해설작성자 : 라온jake]
20.
공기 중의 혼합물로서 아세톤 400ppm(TLV=750ppm), 메틸에틸케톤 100ppm(TLV=200ppm)이 서로 상가작용을 할 때 이 혼합물의 노출지수(EI)는 약 얼마인가?
1.
0.82
2.
1.03
3.
1.10
4.
1.45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혼합물 노출지수 = EI
EI = (400/750) + (100/200) = 1.03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2과목 :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공기 중에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TLV=10ppm) 8ppm, 1,2-디클로로에탄(TLV=50ppm) 40ppm, 1,2-디브로모에탄(TLV=20ppm) 10ppm으로 오염되었을 때, 이 작업장 환경의 허용기준 농도(ppm)는? (단, 상가작용을 기준으로 한다.)
작업환경측정방법 중 소음측정시간 및 횟수에 관한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2
2.
3
3.
4
4.
6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기본 : 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 or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 연속음 : 1시간동안 등간격 3회 이상 측정 소음발생이 6시간 이내 혹은 간헐적인경우 : 발생시간동안 연속 측정 or 등간격 4회 이상 측정 [해설작성자 : 덥다]
33.
레이저광의 폭로량을 평가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1.
각막 표면에서의 조사량(J/cm2) 또는 폭로량을 측정한다.
2.
조사량의 서한도는 1mm 구경에 대한 평균치이다.
3.
레이저광과 같은 직사광파 형광등 또는 백열등과 같은 확산광은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4.
레이저광에 대한 눈의 허용량은 폭로 시간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레이저광에 대한 눈의 허용량은 "파장" 에 따라 수정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분석 기기에서 바탕선량(background)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최소의 양은?
1.
검출한계
2.
정량한계
3.
정성한계
4.
정도한계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검출한계(LOD) 분석기기마다 바탕선량(backgroun)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가장 작은 분석물질의 양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이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평균 50ppm이었을 때, 활성탄관(100mg/50mg)을 이용하여 0.4L/min으로 채취하였다면 채취해야 할 시간(min)은? (단, 트키를로로에틸렌의 분자량은 131.39이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한계는 시료당 0.5mg, 1기압, 25℃기준으로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빛의 파장의 단위로 사용되는 Å(Ångström)을 국제표준 단위계(SI)로 나타낸 것은?
1.
10-6m
2.
10-8m
3.
10-10m
4.
10-12m
정답 : [
3
] 정답률 : 57%
3과목 : 작업환경관리대책
41.
두 분지관이 동일 합류점에서 만나 합류관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쪽 분지관의 송풍량은 200m3/min, 합류점에서의 이 관의 정압은 -34mmH2O이며, 다른쪽 분지관의 송풍량은 160m3/min, 합류점에서의 이 관의 정압은 -30mmH2O이다. 합류점에서 유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압력손실이 더 적은 관을 통해 흐르는 송풍량(m3/min)을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165
2.
170
3.
175
4.
180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송풍량2 = 송풍량1√정압2/정압1
= 160√-34/-30 = 170.33(m^3/min) [해설작성자 : violet]
42.
페인트 도장이나 농약 살포와 같이 공기 중에 가스 및 증기상 물질과 분진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호흡 보호구에 이용되는 가장 적절한 공기 정화기는?
플래넘(충만실): 후드 뒷부분에 위치하며 개구면 흡입유속의 강약을 작게하여 일정하게 되므로 압력과 공기흐름을 균일하게 형성하는데 필요한 장치이댜. <플래넘형 환기시설> -주관의 어느 위치에서도 분지관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주관은 입경이 큰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침강식의 역할이 가능하다. -분지관으로부터 송풍기까지 낮은 압력손실을 제공하여 운전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마분진과 같이 끈적거리거나 보풀거리는 분진의 처리는 곤란하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53.
레시버식 캐노피형 후드를 설치할 때, 적절한 H/E는? (단, E는 배출원의 크기이고, H는 후드면과 배출원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문제 해설> 1. 가능한 후두와 가까운 곳에 설치할 것. 2. + 굴곡부의 수는 적게 할 것 3. + 덕트의 마찰계수는 작게 하고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4과목 :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측정기구는?
1.
풍차풍속계
2.
카타(Kata)온도계
3.
가열온도풍속계
4.
습구흡구온도계(WBGT)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카타온도계 -기기 내의 알코올을 50~60도 온도에 넣어 윗눈금까지 올리고, 아랫눈금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류를 간접적으로 측정 -기류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실내 0.2~0.5m/sec 정도의 불감기류 측정시 사용 [해설작성자 : 산위기 준비생718]
62.
진동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구의 손잡이를 세게 잡지 않는다.
2.
가능한 한 무거운 공구를 사용하여 진동을 최소화한다.
3.
진동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킨다.
4.
진동공구와 손 사이 공간에 방진재료를 채워 놓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0kg 이내의 공구 사용 [해설작성자 : 쿠우쿠우]
63.
마이크로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00~10000Hz의 마이크로파는 백내장을 일으킨다.
2.
두통, 피로감,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을 유발시킨다.
3.
마이크로파의 열작용에 많은 영향을 받는 기관은 생식기와 눈이다.
4.
중추신경계는 1400~2800Hz 마이크로파 범위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중추신경계는 300~1200MHZ [해설작성자 : hl5nlw]
64.
감압에 따르는 조직내 질소기포 형성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을 결정하는 인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감압 속도
2.
혈류의 변화정도
3.
노출정도와 시간 및 체내 지방량
4.
폐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감압시 조직 내 질소기포 형성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 체내 지방량, 고기압 폭로의 정도와 시간으로 결정한다. -혈류변화 정도(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감압시 또는 재감압 후에 생기기 쉽고, 연령, 기온, 운동, 공포감, 음주와 관계가 있다. -감압속도 [해설작성자 : 물만두]
65.
다음 중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낮은 인체조직은?
1.
골수
2.
생식선
3.
신경조직
4.
임파조직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 순서 -골수, 흉선 및 림프조직(조혈기관), 눈의 수정체, 임파선(임파구)>상피세포, 내피세포> 근육세포>신경조직 [해설작성자 : 물만두]
66.
비전리 방사선 중 유도방출에 의한 광선을 증폭시킴으로서 얻는 복사선으로, 쉽게 산란하지 않으며 강력하고 예리한 지향성을 지닌 것은?
1.
적외선
2.
마이크로파
3.
가시광선
4.
레이저광선
정답 : [
4
] 정답률 : 76%
67.
한랭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혈관의 이상은 저온 노출로 유발되거나 악화된다.
2.
참호족과 침수족은 지속적인 국소의 산소결핍 때문이며, 모세혈관 벽이 손상되는 것이다.
3.
전신체온강화는 단시간의 한랭폭로에 따른 일시적 체온상실에 따라 발생하는 중증장해에 속한다.
4.
동상에 대한 저항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중증환자의 경우 근육 및 신경조직 등 심부조직이 손상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신체온강화는 단시간이 아닌 장시간의 한랭 노출과 체열상실에 따라 발생하는 급성 중증장해이다. [해설작성자 : 와니]
68.
일반소음의 차음효과는 벽체의 단위표적면에 대하여 벽체의 무게를 2배로 할 때 또는 주파수가 2배로 증가될 때 차음은 몇 dB 증가 하는가?
1.
2 dB
2.
6 dB
3.
10 dB
4.
15 dB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TL = 20log(2mf) -43dB 43은 고정값 으로 생략 mf=1 로 계산시 20log2 = 6 [해설작성자 : 또리떠리쨩]
69.
3N/m2의 음압은 약 몇 dB의 음압수준인가?
1.
95
2.
104
3.
110
4.
1115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음압수준=20log(대상음압/기준음압)
20log(3/(2*10^-5))=103.521 [해설작성자 : 홍인하]
70.
손가락의 말초혈관운동의 장애로 인한 혈액순환장애로 손가락의 감각이 마비되고, 창백해지며, 추운 환경에서 더욱 심해지는 레이노(Raynaud)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진동
2.
소음
3.
조명
4.
기압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레이노현상 = 국소진동이 원인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71.
고열장해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경련(heat cramps) : 고온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인 작업을 하면서 땀을 많이 흘릴 때 많은 물을 마시지만 신체의 염분 손실을 충당하지 못할 경우 발생한다.
2.
열허탈(heat collapse) : 고열작업에 순화되지 못해 말초혈관이 확장되고, 신체 말단에 혈액이 과다하게 저류되어 뇌의 산소부족이 나타난다.
3.
열소모(heat exhaustion) : 과다발한으로 수분/염분손실에 의하여 나타나며, 두통, 구역감, 현기증 등이 나타나지만 체온은 정상이거나 조금 높아진다.
4.
열사병(heat stroke) : 작업환경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피부장해로서 땀에 젖은 피부 각질층이 떨어져 땀구멍을 막아 염증성 반응을 일으켜 붉은 구진 형태로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작업환경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피부장해로서 땀에 젖은 피부 각질층이 떨어져 땀구멍을 막아 염증성 반응을 일으켜 붉은 구진 형태로 나타난다. -> 열발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이상기압의 대책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압실 내의 작업에서는 탄산가스의 분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신선한 공기를 송기한다.
2.
고압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는 질소의 양을 증가시킨 공기를 호흡시킨다.
3.
귀 등의 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압력을 가하는 속도를 매 분당 0.8kg/cm2 이하가 되도록 한다.
4.
감압병의 증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환자를 바로 원래의 고압환경 상태로 복귀시키거나, 인공고압실에서 천천히 감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고압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는 질소의 양을 '증가'시킨 공기를 호흡시킨다. => 감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산소농도가 6% 이하인 공기 중의 산소분압으로 옳은 것은? (단, 표준상태이며, 부피기준이다.)
<문제 해설> <조명 방법에 따른 조명관리> 1)직접조명 - 장점: 효율이 좋고, 천장면의 색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 단점: 눈부심이 있고 균일한 조도를 얻기 힘들며, 강한 음영을 만든다. 2)간접조명 - 장점: 눈부심이 없고,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으며, 그림자가 없다. - 단점: 효율이 나쁘고, 설치가 복잡하며, 실내의 입체감이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물질 A의 독성에 관한 인체실험 결과, 안전흡수량이 체중 kg당 0.1mg이었다. 체중이 50kg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작업할 경우 이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 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농도를 몇 mg/m3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시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0으로 한다.)
<문제 해설> <생체시료로 사용되는 소변의 특징> - 비파괴적으로 시료채취가 가능하다. - 많은 양의 시료확보가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유기용제 평가 시 주로 이용) - 불규칙한 소변 배설량으로 농도보정이 필요하다. - 시료채취 과정에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 채취 시료는 신속하게 검사한다. - 냉동상태(섭씨 -10에서 -20도)로 보존하는 것이 원칙이다. - 채취요건: 요 비중 1.030 이상 1.010 이하, 요중 크레아티닌이 3g/L 이상 0.3g/L이하인 경우 새로운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83.
톨루엔(Toluene)의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 중 소변에서 확인 가능한 대사산물은?
1.
thiocyante
2.
glucuronate
3.
ortho - cresol
4.
organic sulfate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마뇨산은 개정 전 내용으로 톨루엔의 소변에서 대사산물은 o-크레졸 입니다. [해설작성자 : 집에가구싶다]
84.
생물학적 모니터링 방법 중 생물학적 결정인자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체액의 화학물질 또는 그 대사산물
2.
표적조직에 작용하는 활성 화학물질의 양
3.
건강상의 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부위나 조직
4.
처음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직접 독성영향을 야기하는 물질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생물학적 결정인자 • 체액(생체시료나 호기)에서 해당 화학물질이나 그것의 대사산물을 측정하는 방법(근로자의 체액에서 화학물질이나 대사산의 측정 • 실제 악영향을 초래하고있지 않은 부위나 조직에서 측정하는 방법(건강상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내재용량의 측정) • 표적과 비표적 조직과 작용하는 활성 화학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표적분자에 실제 활성인 화학물질에 대한 측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작업환경 내의 유해물질과 그로 인한 대표적인 장애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벤젠 - 시신경 장애
2.
염화비닐 - 간 장애
3.
톨루엔 - 중추신경계 억제
4.
이황화탄소 - 생식기능 장애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벤젠 - 조혈 장애 [해설작성자 : lwj]
시신경 장애는 메탄올(메틸알코올) [해설작성자 : 물만두]
86.
독성을 지속기간에 따라 분류할 때 만성독성(chronic toxicity)에 해당되는 독성물질 투여(노출)기간은? (단, 실험동물에 외인성 물질을 투여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아급성독성물질은 장기간(1년이상)에 걸쳐서 독성이 발생하는 물질 [해설작성자 : 물만두]
*급성 = 1~14일 *만성 = 3개월~1년 *아급성 = 1년 이상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87.
단시간 노출기준이 시간가중평균농도(TLV-TWA)와 단기간 노출기준(TLV-STEL) 사이일 경우 충족시켜야 하는 3가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일 4회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15분 이상 지속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3.
노출과 노출 사이에는 60분 이상의 간격이 있어야 한다.
4.
TLV-TWA의 3배 농도에는 30분 이상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5분미만 [해설작성자 : 이런거 적어주세요]
30분이 맞긴한데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 초과 단시간노출기준(STEL) 이하인 경우 충족해야하는 세 가지 원칙이 1. 1회 노출시간이 15분 미만 2. 이러한 상태가 일 4회 이하 발생 3. 각 노출간격은 60분 이상 이렇게 세 가지 이고 4번 문항은 ACGIH 허용농도 상한치 (TLV -excursion limits)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 ACGIH 허용농도 상한치 (TLV -excursion limits) : 독성자료가 부족하여 TLV STEL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적용 : TLV -TWA 농도의 3배인 경우 30분 이하, 5배인 경우 잠시라도 노출되어선 안됨 [해설작성자 : 박망고]
88.
직업성 폐암을 일으키는 물질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니켈
2.
석면
3.
β-나프틸아민
4.
결정형 실리카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β-나프틸아민은 담배 속에 함유된 발암물질로, 직업성 폐암과는 거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태꿍]
β-나프틸아민는 췌장암,방광암 [해설작성자 : 힣]
89.
2000년대 외국인 근로자에게 다발성말초신경병증을 집단으로 유발한 노말헥산(n-hexane)은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어떤 물질로 배설되는가?
1.
2-hexanone
2.
2.5-hexanedione
3.
hexachlorophene
4.
hexachloroethane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노말헥산(n-헥산)> - 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대표적 유해물질이며, 휘발성이 크고 극도로 인화하기 쉽다. - 페인트, 시너, 잉크 등의 용제로 사용되며, 정밀기계의 세척제 등으로 사용한다. - 장기간 폭로될 경우 독성 말초신경장애가 초래되어 사지의 지각상실과 신근마비 등 다발성 신경장애를 일으킨다. - 2000년대 외국인 근로자에게 다발성 말초신경증을 집단으로 유발한 물질이다. -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2,5-hexanedione 물질로 배설된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90.
비중격 천공을 유발시키는 물질은?
1.
납
2.
크롬
3.
수은
4.
카드뮴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크롬 비중격연골에 천공이 대표적 증상, 근래 직업성 피부질환도 다량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3가 크롬은 피부흡수가 어려 우나, 6가 크롬은 쉽게 피부를 통과하므로 더 해롭다. -급성 중독 • 신장장장애-과뇨증(혈뇨증)후 무뇨증을 일으키며 요독증으로 10일 이내에 사망 • 위장장애 • 급성 폐렴 -만성 중독 • 점막장애 : 비중격천공 • 피부장애 : 피부궤양을 야기(둥근 형태의 궤양) • 발암작용 : 장기간 흡입에 의한 기관지암, 폐암, 비강암(6가 크롬) 발생 • 호흡기장애 : 크롬폐증 발생 -치료 :폭로 즉시 중단, 만성 크롬중독의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응급조치로 환원제인 우유와 비타민 C를 섭취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진폐증의 독성병리기전과 거리가 먼 것은?
1.
천식
2.
섬유증
3.
폐 탄력성 저하
4.
콜라겐 섬유 증식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진폐증의 대표적 병리소견인 섬유증이란 폐포, 폐포관 등을 이루고 있는 폐포들 사이에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는 현상이다.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면 폐의 탄력성이 떨어져 호흡곤란, 지속적 기침, 폐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백호형]
92.
중금속 노출에 의하여 나타나는 금속열은 흄 형태의 금속을 흡입하여 발생되는데, 감기증상과 매우 비슷하여 오한, 구토감, 기침, 전신위약감 등의 증상이 있으며 월요일 출근 후에 심해져서 월요일열(monday fever)이라고도 한다. 다음 중 금속열을 일으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납
2.
카드뮴
3.
안티몬
4.
산화아연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금속열 발생원인 물질
아연, 구리, 망간, 마그네슘, 니켈, 카드뮴, 안티몬 [해설작성자 : 태꿍]
93.
독성물질의 생체과정인 흡수, 분포, 생전환, 배설 등에 변화를 일으켜 독성이 낮아지는 길항작용(antagonism)은?
1.
화학적 길항작용
2.
기능적 길항작용
3.
배분적 길항작용
4.
수용체 길항작용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화학적 길항작용 - 두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저독성의 물질로 변화되는 경우 기능적 길항작용 - 동일한 생리적 기능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경우 배분적 길항작용 - 독성물질의 생체과정인 흡수, 분포 배설 등의 변화를 일으켜 독성이 낮아지는 경우 수용적 길항작용 - 두 화학물질이 같은 수용체에 결합하여 독성이 저하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채채]
94.
합금, 도금 및 전지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 폐암 및 비강암을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은?
1.
비소
2.
니켈
3.
베릴륨
4.
안티몬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니켈 -노출 경로 • 호흡기노출 : 합금 제조, 전기도금, 베터리 생산과정에서 노출 호흡곤란, 기침, 목통증>>만성기관지염, 폐렴, 폐섬유증, 심할 경우 폐암으로 발전,비강암, 후두암과 같은 암 발생위험 증가 • 피부노출 : 니켈을 포함한 주얼리, 시계, 금속프레임 안경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접촉성 피부염>>지속적인 피부염, 알레르기 반응 • 경구노출 :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을 통해 처리, 일부는 혈액으로 직접 흡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독성실험단계에 있어 제1단계(동물에 대한 급성노출시험)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식독성과 최기형성 독성실험을 한다.
2.
눈과 피부에 대한 자극성 실험을 한다.
3.
변이원성에 대하여 1차적인 스크리닝 실험을 한다.
4.
치사성과 기관장해에 대한 양-반응곡선을 작성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제2단계(동물에 대한 만성 폭로시험)에 해당 + 상승작용과 가승작용 및 상쇄작용에 대해 실험한다. + 거동(행동) 특성을 실험한다. + 장기독성을 실험한다. + 변이원성에 대하여 2차적인 스크리닝 실험을 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96.
암모니아(NH3)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구증상이 없이 치사량에 이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호흡부전에 빠질 수 있다.
2.
고농도일 때 기도의 염증, 폐수종, 치아산식증, 위장장해 등을 초래한다.
3.
용해도가 낮아 하기도까지 침투하며, 급성 증상으로는 기침, 천명, 흉부압박감 외에 두통, 오심 등이 온다.
4.
피부, 점막에 작용하며 눈의 결막, 각막을 자극하며 폐부종, 성대경련, 호흡장애 및 기관지경련 등을 초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폐수종을 일으키고, 중추작용에 의해 호흡정지를 초래한다. 3. 용해가 잘된다. -> 수용성 + 자극성이 강한 무색의 기체 + 비료, 냉동제 공정에 주로 사용 + 폭발성 있음.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97.
지방족 할로겐화 탄화수소물 중 인체 노출 시, 간의 장해인 중심소엽성 괴사를 일으키는 물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