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혐기성 대사 소비 순서 1. ATP: 아데노신삼인산 2. CP: 크레아틴인산 3. 글리코겐 or 포도당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법 중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에 대한 표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1
2.
1A
3.
2A
4.
2B
정답 : [
2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발암성 정보물질 표기 1A: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2A: 시험동물에게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거나 모두에게 제한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2: 모두에게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1로 분류하기에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물질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발암성 정보물질 표기 1A: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1B: 시험동물에게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거나 모두에게 제한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2: 모두에게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1로 분류하기에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물질 [해설작성자 : 위즈덤]
온도 25℃, 1기압 하에서 분당 100mL씩 60분 동안 채취한 공기 중에서 벤젠이 5mg 검출되었다면 검출된 벤젠은 약 몇 ppm인가? (단, 벤젠의 분자량은 78이다.)
1.
15.7
2.
26.1
3.
157
4.
261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농도 mg/m^3 = 5mg / (100ml/min x 60min x m^3/10^6ml) = 833.33mg/m^3 농도 ppm = 833.33mg/m^3 x 24.45 / 78 = 261.22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6.
화학적 원인에 의한 직업성 질환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맥류
2.
수전증
3.
치아산식증
4.
시신경 장해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정맥류는 물리적 원인에 의한 직업성 질환이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7.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A : 6, B : 6
2.
A : 6, B : 8
3.
A : 8, B : 6
4.
A : 8, B : 8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TWA = 1일 8시간×유해인자 측정치 / 8 [해설작성자 : 공공이]
8.
산업위생전문가의 윤리강령 중 “근로자에 대한 책임”에 해당하는 것은?
1.
적절하고도 확실한 사실을 근거로 전문적인 견해를 발표한다.
2.
기업주에 대하여는 실현 가능한 개선점으로 선별하여 보고한다.
3.
이해관계가 있는 상황에서는 고객의 입장에서 관련 자료를 제시한다.
4.
근로자의 건강보호가 산업위생전문가의 1차적인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근로자에 대한 책임 1. 근로자의 건강보호가 산업위생전문가의 일차적 책임임을 인지한다 2. 근로자와 기타 여러 사람의 건강과 안녕이 산업위생전문자의 판단에 좌우된다는 것을 깨달아야한다 3. 위험요인의 측정, 평가 및 관리에 있어서 외부 영향력에 굴하지 않고 중립적 태도를 취한다 4. 건강의 유해요인에 대한 정보와 필요한 예방조치에 대해 근로자와 상담한다 [해설작성자 : 그렇구나]
9.
주요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호흡
2.
흡연
3.
자외선
4.
연소기기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실내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은 이동경로, 오염원, 공조시스템, 호흡, 흡연, 연소기기 등이다. [해설작성자 : 그렇구나]
10.
산업피로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육의 일부 부위에만 발생하는 국소피로와 전신에 나타나는 전신피로가 있다.
2.
신체피로는 육체적 노동에 의한 근육의 피로를 말하는 것으로 근육노동을 할 경우 주로 발생된다.
3.
피로는 그 정도에 따라 보통피로, 과로 및 곤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장 경증의 피로단계는 곤비이다.
4.
정신피로는 중추신경계의 피로를 말하는 것으로 정밀작업 등과 같은 정신적 긴장을 요하는 작업 시에 발생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경증->중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사업을 할 때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건상의 조치를 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기계·액체 또는 찌꺼기 등에 의한 건강장해
2.
폭발성, 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 등에 의한 위험 작업의 건강장해
3.
계측감시, 컴퓨터 단말기 조작, 정밀공작 등의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4.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업주의 근로자 건강장애 예방 필요 보건상 조치항목 원재료, 가스, 증가, 분진, 흄 등에 의한 건강장해 방사선, 유해광선, 고온, 저온, 초음파, 소음, 진동, 이상기압 등에 의한 건강장해 사업장 배출 기체, 액체, 찌꺼기 등에 의한 건강장해 계측감시, 컴퓨터 단말 조작, 정밀공작 등의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 부담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환기, 채광, 조명, 보온, 방습, 청결 등의 적정기준 미유지에 의한 건강장해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2) 폭발성, 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 등에 의한 위험 -> 에 대한 건강장해 예방조치는 보건조치가 아닌 안전조치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이마크]
12.
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남성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를 운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 작업대사율은 10kcal/min이고, 휴식 시 대사율은 2kcal/min이다. 매 시간마다 적정한 휴식 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Herting의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단위작업 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2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개인 시료채취 방법으로 측정하되, 단위작업 장소에 근로자가 1명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동일 작업근로자수가 2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 5명당 1명 이상 추가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2.
단위작업 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2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개인 시료채취 방법으로 측정하되, 동일 작업근로자수가 10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대 시료채취 근로자수를 20명으로 조정할 수 있다.
3.
지역 시료채취 방법으로 측정을 하는 경우 단위작업장소 내에서 3개 이상의 지점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하여야 한다.
4.
지역 시료채취 방법으로 측정을 하는 경우 단위작업 장소의 넓이가 60평방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매 30평방미터마다 1개 지점 이상을 추가로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동일 작업근로자 수 10명 초과 3. 단위작업장소 2개 4. 단위작업장소 넓이 50평방미터 이상인 경우 정담: 2번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 단위작업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2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개인 시료채취 방법으로 측정 - 동일 작업 근로자수가 1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5명당 1명 이상 추가하여 측정 - 동일 작업 근로자수가 100명을 초과하는 경우 최대 시료채취 근로자수 20명으로 조정 가능 - 단위 작업장소 내에서 2개 이상의 지점에 대하여 동시 측정, 단위작업 장소 넓이가 50평방미터 이상인 경우 매 30평방미터마다 1개 지점 이상을 추가로 측정하여야 함 [해설작성자 : 함니]
27.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 분석대상 화학물질은 PCB 등의 유기화학물질이다.
2.
장점으로 빠른 분석 속도, 해상도, 민감도를 들 수 있다.
3.
분석물질이 이동상에 녹아야 하는 제한점이 있다.
4.
이동상인 운반가스의 친화력에 따라 용리법, 치환법으로 구분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고정상과 액체 이동상 사이의 물리화학적 반응성의 차이(분석시료의 용해성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어떤 작업자에 50% acetone, 30% benzene, 20% xylene의 중량비로 조성된 용제가 증발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을 때, 이 용제의 허용농도(TLV; mg/m3)는? (단, Actone, benzene, xylene의 TVL는 각각 1600, 720, 670mg/m3이고, 용제의 각 성분은 상가작용을 하며, 성분 간 비휘발도 차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문제 해설> 3. 설치 후 송풍량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즉, 임의로 유량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 장점 : 최소 설계 풍량으로 평형 유지가 가능하다. + 고도의 지식을 요하지 않는다. + 덕트의 크기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송속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동일한 두께로 벽체를 만들었을 경우에 차음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재질은? (단, 2000Hz 소음을 기준으로 하며, 공극률등 기타 조건은 동일하다 가정한다.)
1.
납
2.
석고
3.
알루미늄
4.
콘크리트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재질의 밀도(비중)가 클수록 차음 효과가 좋음 [해설작성자 : lwj]
납 : 11.26 석고 : 2.2 알루미늄 : 2.7 콘크리트 : 2.0~2.5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45.
다음 보기 중 공기공급시스템(보충용 공기의 공급 장치)이 필요한 이유가 모두 선택된 것은?
1.
a, b
2.
a, b, c
3.
b, c, d
4.
a, b, c, d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a,b,c가 답 d는 작업장 내에 방해기류(교차기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공급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 국소배기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효율을 위하여, 외부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채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46.
동력과 회전수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동력은 송풍기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2.
동력은 송풍기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동력은 송풍기 회전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4.
동력은 송풍기 회전속도에 반비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회전수 풍량 1제곱 풍압 2제곱 동력 3제곱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47.
강제환기를 실시할 때 환기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따르는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공기를 보충하기 위하여 청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2.
공기배출구와 근로자의 작업위치 사이에 오염원이 위치하여야 한다.
3.
오염물질 배출구는 가능한 한 오염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점환기 현상을 방지한다.
4.
오염원 주위에 다른 작업공정이 있으면 공기배출량을 공급량보다 약간 크게 하여 음압을 형성하여 주위 근로자에게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문제 해설> 귀덮개의 방음효과 + 귀마개를 착용하고서 귀덮개를 착용하면 훨씬 차음효과가 커지므로, 120dB 이상의 고음 작업장에서는 동시 착용할 필요가 있다. + 간혈적 소음에 노출되는 경우 귀덮개를 착용한다. + 차음성능기준상 중심주파수가 1,000Hz인 음원의 차음치는 25dB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54.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으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예시: 탱크에서 증발)의 제어 속도 범위(m/s)는? (단, ACGIH 권고 기준)
1.
0.1 ~ 0.3
2.
0.3 ~ 0.5
3.
0.5 ~ 1.0
4.
1.0 ~ 1.5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움직이지 않는 공기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 조용한 대기중에서 실제 거의 속도가 없는 상태로 발산하는 작업조건 : 0.25~0.5 비교적 조용한(약간의 공기움직임) 대기 중에서 저속도로 비산하는 작업조건 : 0.5~1.0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 제어속도 범위> 단위:m/s 0.25 ~ 0.5 = 조용한, 속도가 거의 없는 0.5 ~1.0 = 비교적 조용한, 저속도의, 도금 1.0 ~ 2.5 = 활발한, 스프레이 도장 2.5 ~ 10 = 초고속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55.
기류를 고려하지 않고 감각온도(effective temperature)의 근사치로 널리 사용되는 지수는?
1.
WBGT
2.
Radiation
3.
Evaporation
4.
Glove Temperature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WBGT가 감각온도와 다른점은 기류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해설작성자 : 물만두]
56.
안전보건규칙상 국소배기장치의 덕트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하면 길이는 짧게 하고 굴곡부의 수는 적게 할 것
2.
접속부의 안쪽은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할 것
3.
덕트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이송속도를 유지할 것
4.
연결 부위 등은 내부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연결 부위 등은 외부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유공간에서 구형의 분진 입자를 고려한다.)
1.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에 반비례한다.
2.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3.
기체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4.
분진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침강속도] 리프만식 V = 0.003 * ρ * d^2 (ρ : 입자 밀도, d : 입자 직경)
스토크스식 V = (g * d^2 * (ρ1-ρ)) / 18μ (g : 중력가속도, d : 입자 직경, ρ1 : 입자밀도, ρ : 공기밀도, μ : 공기점성계수)
1. 중력가속도 g 에 비례 (o) 2. 입자직경 d의 제곱에 비례 (o) 3. 공기의 점성계수 μ 에 반비례 (o) 4. 입자와 공기의 밀도차 ρ1-ρ 에 반비례 (x) 가 아니라 비례 (o) [해설작성자 : 잘생쁜]
58.
호흡용 보호구 중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이 아닌 것은?
1.
마스크를 착용할 때는 반드시 밀착성에 유의해야 한다.
2.
공기정화식 가스마스크(방독마스크)는 방진마스크와는 달리 산소 결핍 작업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3.
정화통 혹은 흡수통(canister)은 한번 개봉하면 재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유해물질의 농도가 극히 높으면 자기공급식장치를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2. 공기정화식 방독마스크는 방진마스크와 동일하게 산소결핍 작업장에서 사용을 금지한다.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59.
21℃, 1기압의 어느 작업장에서 톨루엔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각각 100g/h씩 사용(증발)할 때, 필요 환기량(m3/h)은? (단, 두 물질은 상가작용을 하며, 톨루엔의 분자량은 92, TLV는 50ppm, 이소프로필알코올의 분자량은 60, TLV는 200ppm이고, 각 물질의 여유계수는 10으로 동일하다.)
1.
약 6250
2.
약 7250
3.
약 8650
4.
약 9150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1도 1기압:24.1 100g/h >> kg/h 로 변환. 0.1kg/h 톨루엔 : (24.1 x 0.1 x 여유계수10 x 10^6)(ppm) / (분자량92x TLV50) = 2008 이소프로필 : (24.1 x 0.1 x 여유계수10 x 10^6)(ppm) / (분자량60x TLV200) = 5239 (필요환기량 m3/h 단위 이므로 /60은 생략) 상가작용하므로 각 값을 더해줌 (2008+5239)=7247 [해설작성자 : 또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값이 반대로 적혀있네요 톨루엔 : (24.1 x 0.1 x 여유계수10 x 10^6)(ppm) / (분자량92x TLV50) =5239 이소프로필 : (24.1 x 0.1 x 여유계수10 x 10^6)(ppm) / (분자량60x TLV200) = 2008
60.
닥트에서 속도압 및 정압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기기는?
1.
피토관
2.
풍차풍속계
3.
열선풍속계
4.
임핀저관
정답 : [
1
] 정답률 : 81%
4과목 :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지적환경(potimum working environment)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생산적(productive) 방법
2.
생리적(physiological) 방법
3.
정신적(psychological) 방법
4.
생물역학적(biomechanical)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지적환경: 일하는 가장 적합한환경. 지적환경 평가방법 1. 생리적 2. 정신적 3. 생산적 (저는 생생정보통으로 외웠습니다. (첫글짜 따보니 tv프로그램이름으로 외우게되었어용) [해설작성자 : 2년제말고4년제가서 기사딸걸]
<문제 해설> 물질의 수용성 정도 또는 물질의 용해도 라고 답이 주어짐 [해설작성자 : 징니딩니]
90.
중금속에 중독되었을 경우에 치료제로 BAL이나 Ca-EDTA 등 금속배설 촉진제를 투여해서는 안되는 중금속은?
1.
납
2.
비소
3.
망간
4.
카드뮴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카드뮴중독의 치료> - BAL 및 Ca-EDTA를 투여하면 신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더욱 심해지므로 금한다. - 안정을 취하고 대증요법을 이용하는 동시에 산소를 흡입시키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 치아에 황색 색소침착 유발 시 클루쿠론산칼슘 20mL를 정맥주사한다. - 비타민 D를 피하주사 한다(1주간격, 6회가 효과적) [해설작성자 : 물만두]
9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석면 및 내화성 세라믹 섬유의 노출기준 표시단위로 옳은 것은?
1.
%
2.
ppm
3.
개/cm3
4.
mg/m3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석면(내화성 세라믹 섬유)의 노출기준 단위 3번 = 개/mL = 개/cc [해설작성자 : 개복치다]
단백질을 침전시키며 thiol(-SH)기를 가진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1.
수은
2.
구리
3.
아연
4.
코발트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금속수은은 전리된 수소이온이 단백질을 침전시키고, -SH기 친화력을 가지고 있어 세포 내 효소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misou99]
95.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햇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C50
2.
ED50
3.
LD50
4.
TD50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LD50 : 유해물질 경구투여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기간동안 죽는 치사량 LC50 : 기체상태의 독성물질을 호흡시켜 50%가 죽는 농도 ED50 : 약물을 투여한 동물의 50%가 일정한 반응을 일으키는 양 TL50 : 시험유기체의 50%가 살아남는 독성물질 양 TD50 : 시험유기체의 50%에서 심각한 독성반응을 나타내는 양 [해설작성자 : 그렇구나]
96.
이황화탄소(CS2)에 중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작업장은?
1.
비료 제조 및 초자공 작업장
2.
유리 제조 및 농약 제조 작업장
3.
타르, 도장 및 석유 정제 작업장
4.
인조견, 셀로판 및 사염화탄소 생산 작업장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인조견, 셀로판, 사염화탄소의 생산, 수지와 고무제품의 용제, 실험실에서 추출용 등의 시약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아포방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