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활동 범위인 예측, 인식, 평가, 관리 중 인식(recogni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황이 존재(설치)하는 상태에서 유해인자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2.
현장조사로 정량적인 유해인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료의 채취와 분석이다.
3.
인식단계에서의 이러한 활동들은 사업장의 특성, 근로자의 작업특성, 유해인자의 특성에 근거한다.
4.
건강에 장해를 줄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유해인자 목록을 작성하고, 작업내용을 검토하고, 설치된 각종 대책과 관련된 조치들을 조사하는 활동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현장조사로 정량적인 유해인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료의 채취와 분석하는 것은 평가 활동에 관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2.
NIOSH의 중량물 취급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상황이 아닌 것은?
1.
작업장 내의 온도가 적절해야 한다.
2.
물체를 잡을 때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3.
빠른 속도로 두 손으로 들어 올리는 작업이라야 한다.
4.
물체의 폭이 75cm이하로서 두 손을 적당히 벌리고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빠른 [x] 보통 [O] [해설작성자 : 김선웅]
NIOSH 중량물 취급기준의 적용범위 1. 보통 속도로 두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이라야 한다. 2. 물체의 폭이 75cm 이하로서 두손을 적당히 벌리고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3. 물체를 들어 올리는 자세가 자연스러워야 한다. 4. 신발이 작업장 바닥에 닿을 때 미끄럽지 않아야 하며 손으로 물체를 집을 때 불편이 없어야 한다. 박스인 경우 손잡이가 있어야 한다. 5. 작업장 내의 온도가 적절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3.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작업환경개선의 방법으로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작업환경의 설계가 이루어질 때, 다음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1.
조절가능 여부
2.
최대치의 적용 여부
3.
최소치의 적용 여부
4.
평균치의 적용 여부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간공학적 설계의 순서 1. 조절식설계 (체격이 각기다른 모든사람에게 맞춘다) ex. 의자의 높낮이조절 2. 극단치설계 (조절치 설계가 불가능할 때 극단에 속하는 사람을 대상으로하면 모두를 수용 가능할경우) - 최대치 설계(ex. 출입문의 크기, 그네의 하중) - 최소치 설계 (ex. 선반의 높이, 조종장치와의 거리) 3. 평균치설계 (조절식 및 극단치 모두 설계에 부적절할 경우 마지막으로 적용) ex. 은행창구의 높이 [해설작성자 : 뽀숑이]
<문제 해설> * 피로의 3단계 1단계 - 보통피로 : 하룻밤 자고나면 완전히 회복 2단계 - 과로 : 다음날까지 피로상태가 지속, 단기간 휴식으로 회복될 수 있는 단계 3단계 - 곤비 : 단기간 휴식을 통해서 회복될 수 없는 발병단계, 병적인 상태 [해설작성자 : 욜로혜]
6.
접착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피부나 호흡기에 자극을 주어 새집증후군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은?
1.
라돈
2.
이산화질소
3.
오존
4.
포름알데히드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라돈 우라늄과 토륨의 방사성 붕괴에 의해서 만들어진 리듐이 붕괴했을때 생성, 건축자재로부터 방출, 토양으로부터 벽의 틈색 및 방바닥의 갈라진 부분, 하수도 등을 통해서 실내로 유입 2) 이산화질소 배출후 산화되어 이산화질소가 되며 대기 중에서 식물의 조직파괴, 괴사, 낙엽 현상을 일읕킨다 3) 오존 대기 중에 존재, 농도가 높아지면 자극적인 냄새남, 복사기, 인쇄기, 정전식 공기청정기 등 발생 4) 포름알데히드 페놀수지의 원료, 단열재와 섬유 옷감에서 주로 발생, 눈과 코, 목을 자극하며 동물실험결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설작성자 : 욜로혜]
폼알데하이드(HCHO) : 실내에 존재하는 폼알데하이드는 기성복 , 풀 및 접착제 , 페인트 보존료 및 파티클 보드건축용 합판 판자 ,섬유판에 사용되는 목재 접착제 등에서 방출됨 높은 농도의 폼알데하이드에 노출되면 천식 발작 일으킴 낮은 농도라도 눈, 코, 목이 따가워지거난 오심 호흡곤란 유발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7.
근로자가 휴식 중일 때의 산소소비량(oxygenuptake)이 약0.25L/min일 경우 운동 중일 때의 산소소비량은 약 얼마까지 증가하는가? (단, 일반적인 성인 남성의 경우이며, 산소 공급이 충분하다고 가정한다.)
1.
2.0L/min
2.
5.0L/min
3.
9.5L/min
4.
15.0L/min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근로자의 휴식 중 산소소비량 : 0.25/min -근로자의 운동 중 산소소비량 : 5.0/min [해설작성자 : 곰남]
산소소비량(oxygen uptake)은 운동할 때는 휴식 중일 때보다 20배가 증가하여 약 5L/min 까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기관이 건강진단을 실시하였을 때에는 그 결과를 고용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건강진단개인표에 기록하고,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근로자에게 송부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45일
4.
60일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제 2장 건강진단의 실시 제2절 검사 방법등,제16조 (건강진단결과의 송부 및 보존) 1.특수건강진단 , 수시건강진단 또는 임시건강진단을 실시한 건강진단기관은 건강진단개인표 전산입력자료를 1차 또는 2차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부터 각각 30일 이내에 공단에 송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석면 조사 및 안전성 평가 등에 관한 고시, 제3장 고기중 석면농도 측정 제9조(측정방법) -작업장 내 공기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송풍기 등을 이용 석면이 제거된 표면 , 먼지가 침전될수 있는 작업장 표면 시료 채취 위치 주변 등 작업장 내 침전된 분진을 충분히 비산 시킨후 즉시 시료 채취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재해강도율 (SR, Severity Rate of injury) : 재해의 경중 을 나타내는 척도 (재해의 질 , 즉 재해의 심각도를 나타내지 못하고 재해발생의 정도만 나타내는 도수율을 보완한 것) SR=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수x1,000 [해설작성자 : HDMD성호안전(드레곤케슬)]
15.
작업강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동률은 95~5 × RMR로 구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열량 소비량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3.
작업대사율(RMR)은 작업대사량을 기초대사량으로 나눈 값이다.
4.
작업대사율(RMR)은 작업강도를 에너지소비량으로 나타낸 하나의 지표이지 작업강도를 정확하게 나타냈다고는 할 수 없다.
보통소음계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연속음의 경우 사용)를 사용하는 경우 1.누적소음폭로량 측정을 하기 전에 작업장소의 spot check 를 위해 2.누적소음폭로량 측정계를 사용할 수 없을때 3.소음개선을 위해 소음원을 평가할때 4.소음 감소 대책의 효과를 측정할때 5.청력보호구의 감쇠 효과를 평가할때
적분형 소음계 : 보통소음계가 읽는 음압 레벨을 시간에 대해 적분하여 등가소음도 로 나타낼수 있는 소음계
누적소음폭로량 측정기 : ANSI s1-25-1978 규격에 적합한 것을 사용 작업자의 이동성이 크거나 소음강도가 불규칙 할때 사용
옥타브밴드분석 소음계 : 근로자가 노출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여 공학적인 소음관리대책을 세우고자 할 때 적용하는 소음계 [해설작성자 : HDMD성호 안전(드레곤케슬)]
24.
다음 내용은 고용노동부 작업환경 측정 고시의 일부분이다. ㉠에 들어갈 내용은?
1.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50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0cm인 반구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개인시료채취 :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에서 채취 [해설작성자 : BADYOUKNOW]
<문제 해설> 가스상의 물질이 흡수액에 충돌, 흡수되어 채취된다. 가스가 아닌 먼지는 제외 [해설작성자 : BADYOUKNOW]
임핀저(impinger) :보통은 미젯 임핀저(midget impiomger) 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은 가스상 물질을 채취 할때 사용하는 액체를 담는 유리로 된 채취기구로 가스, 산,증기 ,미스트 여러 형태의 에어로졸 등을 액체 용액에 충동,반응,흡수시켜 채취한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 안전(드레곤케슬)]
29.
가스상 유해물질을 검지관 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 측정 시간 간격과 측정 횟수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3.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4.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8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검지관 방식은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6시간 이상 연속분리 측정해야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작업환경 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 , 제2편 작업환경 측정 , 제4장 작업환경 측정방법 , 제3절 가스상 물질, 제25조 검지관 방식의 측정 : 검지관 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되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HDMD성호 안전(드레곤케슬)]
30.
20mL의 1% sodium bisulfite를 담은 임핀저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가 함유된 공기 0.4m3을 채취하여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 검량선과 비교한 결과 시료용액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40μg/mL이었다.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ppm)는? (단, 25℃, 1기압기준이며, 포름알데히드의 분자량은 30g/mol이다.)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데에 침착되므로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 이용된다.
3.
입자상 물질에 대한 중량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4.
입자상 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중량분석애는 PVC [해설작성자 : bae]
흡습성이 높아 중량분석에 비적합 [해설작성자 : ryun]
34.
활성탄에 흡착된 증기(유기용제-방향족탄화수소)를 탈착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1.
chloroform
2.
methyl chloroform
3.
H2O
4.
CS2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CS2 = 이황화탄소 [해설작성자 : 헤으응]
35.
검지관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이 간편하다.
2.
특이도가 높다.
3.
반응시간이 빠르다.
4.
산업보건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숙지하면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특이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중 개인용 방사선 측정기로 의료용 진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는?
1.
X-선 필름
2.
Lux meter
3.
개인시료 포집장치
4.
상대농도 측정계
정답 : [
1
] 정답률 : 68%
37.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분리관의 성능은 분해능과 효율로 표시할 수 있다. 분해능을 높이려는 조작으로 틀린 것은?
1.
분리관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이론층 해당높이를 최대로 하는 속도로 운반가스의 유속을 결정한다.
3.
고체지지체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한다.
4.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좋은 분해능을 보이므로 온도를 낮춘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분리관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 1. 시료와 고정상의 양을 적게 한다. 2. 고체 지지체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한다. 3. 온도를 낮춘다. 4. 분리관의 길이를 길게 한다.(분해능은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2. 최소로 하는 속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검출한계(LOD)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표준편차의 3배에 해당
2.
표준편차의 5배에 해당
3.
표준편차의 10배에 해당
4.
표준편차의 20배에 해당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표준오차를 기울기로 나누어 3배를 해준 값이 아닌가요? 표준편차의 10배는 정량한계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개미56]
[추가 오류 신고] 정량한계(LOQ)=표준편차*10=검출한계(LOD)*3 따라서, 검출한계= (표준편차*10)/3가 되므로 답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니카젠]
[오류신고 반론] 정량한계= 표준편차×10 정량한계= 검출한계×3 위의 식을 기준으로 표준편차×10=검출한계×3 검출한계=[(표준편차×10)/3]= 표준편차×3.33 정답:1번 표준편차의 3배에 해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분석기기마다 바탕선량(background)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가장 적은 분석물질의 양을 무엇이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2.
정량한계(Limit of quantization: LOQ)
3.
특이성(Specificity)
4.
검량선(Calibration graph)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분석기마다 바탕선량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최소의 양은 '정량한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수정]
[추가 오류 신고] 정량한계: 분석기마다 바탕선량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최소의 양, 즉 분석결과가 어느 주어진 분석절차에 따라서 합리적인 신뢰성을 가지고 정량 분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양의 농도나 양이다. 출판사: 성안당 / 책제목: 산업위생관리 기사,산업기사 실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분석기기마다 바탕선량(background)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최소의 양을 검출한계(LOD: limit of detection)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검출한계에다 10배를 해준 양을 정량한계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에 오류는 없으며 가답안, 확정 답안은 1번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오류신고 반론 하신거 읽어봤는데 검출한계에 10배한게 정량한계아니에요 정량한계는 표준편차 x 10 / 검출한계 x 3.3(3) 검출한계 표준편차 x 3 [해설작성자 : 도립이]
[오류신고 반론] 검출한계 : 분석기기마다 바탕선량과 구별하여 분석될수 있는 가장 적은 분석물질의 양 [해설작성자 : 서줄리]
40.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 정의한 흉곽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 입경(㎛)은?
1.
3
2.
4
3.
5
4.
10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흉곽성 입자상 물질(TPM)은 기도, 하기도에 침착하여 독성을 유발하는 물질로 평균 입경은 10um [해설작성자 : BADYOUKNOW]
포위식 후드에 형식은 1. 포위형, 2. 장갑 부착 상자형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화이팅!!!]
63.
덕트 제작 및 설치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원형 덕트를 설치한다.
2.
덕트 연결부위는 가급적 용접하는 것을 피한다.
3.
직경이 다른 덕트를 연결할 때에는 경사 30° 이내의 테이퍼를 부착한다.
4.
수분이 응축될 경우 덕트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경사나 배수구를 마련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덕트 연결부위는 새나감 방지를 위해 무조건 용접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BADYOUKNOW]
64.
환기 시스템 자체 검사 시에 필요한 측정기로서 공기의 유속 측정과 관련이 없는 장비는?
1.
피토관
2.
열선풍속계
3.
스모크 테스터
4.
흑구건구온도계
정답 : [
4
] 정답률 : 58%
65.
그림과 같이 작업대 위의 용접 흄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면 위에 플랜지가 붙은 외부식 후드를 설치했다. 개구면에서 포착점까지의 거리는 0.3m, 제어속도는 0.5m/s, 후드개구의 면적이 0.6m2일 때 Della Valle식을 이용한 필요 송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후드개구의 폭/높이는 0.2보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