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횟수를 늘리지 않고 실험 전체를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게 만드는 실험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번 교락법 배치를 위해 직교배열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2.
1 요인 또는 2 요인 실험에서 실험순서가 랜덤하게 정해지지 않고, 실험 전체를 몇 단계로 나누어서 단계별로 랜덤화하는 실험계획법은?
1.
교락법
2.
일부실시법
3.
분할법
4.
라틴방격법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분할법에 대한 내용이다. 교락법: 실험횟수를 늘리지 않고 실험 전체를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배치시켜 동일 환경 내의 실험횟수를 적게 하도록 고안해 낸 배치법이다. 일부실시법: 필요로 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불필요한 교호작용이나 고차의 교호작용을 구하지 않고 요인의 조합 가운데 일부만을 실험하는 방법이다. 라틴방격법: k개의 숫자 또는 글자를 행과 열에 하나씩만 있도록 나열하여 종횡 k개씩의 숫자 또는 글자가 정사각혀이 되도록 한 것을 k*k 라틴방격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아벤타도르]
다음은 변량요인 A와 B로 이루어진 지분실험법의 분산분석표이다. 여기서 의 추정값은 얼마인가?
1.
0.5
2.
1.0
3.
1.5
4.
2.5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2.5-1.5)/2=0.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화학공장에서 수율을 높이려고 농도(A), 온도(B), 시간(C) 3요인을 선정하여 반복없이 실험한 후 분산분석표를 작성하여 유의하지 않는 요인은 풀링하였더니 최종적으로 다음의 분산분석표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A, B, C 모두 모수요인이고, F0.95(2, 20)=3.49, F0.99(2, 20)=5.85 이다.)
1.
A, B 요인만 유의하다.
2.
반복이 없는 3요인 실험이다.
3.
3요인 교호작용이 오차항에 교락되어 있다.
4.
오차항에는 2요인 교호작용이 풀링되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B,C 모두 유의하다. [해설작성자 : ㄹㅇ]
15.
Y화학공장에서 제품의 수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반응온도(A)와 원료(B)를 요인으로 2요인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12회 완전 랜덤화 하였고, 2요인 모두 모수이다. 검정 결과로 맞는 것은? (단, F0.99(3, 6)=9.78, F0.95(3, 6)=4.76, F0.99(2, 6)=10.9, F0.95(2, 6)=5.14 이다.)
1.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2.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3.
A는 위험률 1%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5%로 유의하다.
4.
A는 위험률 5%로 유의하지 않고, B는 위험률 1%로 유의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A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는 유의하지 않음 B는 위험율 5%로 유의하며, 1%로 도 유의함. 따라서 2번이 정답 (3번은 B가 유의 수준이 더 높은 1%로도 유의 한데 5%로 유의 하다고 한 점이 부족한 답이 될 거 같음) [해설작성자 : 김삿갓]
16.
반 투명경의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광원의 파장(A)을 4수준 지정하고 다수의 측정자로부터 랜덤으로 4명(B)을 뽑아 반복이 없는 2요인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분산분석한 결과 다음 표를 얻었다. 측정자에 의한 분산성분의 추정치 의 값은 약 얼마인가?
어느 제조회사의 2개 공정라인이 있는데 평균 생산량의 차이를 추정하고자 10일 동안 생산량을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았다. 2개 라인의 모평균 μ1-μ2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t0.975(18)=2.101, t0.995(18)=2.878 이고, 생산량은 등분산이며, 정규분포를 한다고 가정한다.)
1.
-0.574 ~ 0.006
2.
-0.574 ~ -0.006
3.
-0.679 ~ 0.099
4.
-0.679 ~ -0.099
정답 : [
2
] 정답률 : 50%
32.
한국, 미국, 중국 세 나라별로 좋아하는 것에 차이가 있는지 다음과 같은 분할표를 활용하여 독립성 검정하고자 할 때 검정 과정 중 잘못된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자유도는 9-2=7이다.
2.
미국인이 영화를 좋아할 기대도수는 (200×300)/450=133.333 이다.
3.
검정통계량 카이제곱은 각 항별로 (측정개수-기대도수)2/기대도수 를 계산하여, 모두 더한 것이다.
4.
한국인이 스포츠를 좋아할 확률은 (좋아하는 것에서 스포츠 선택될 확률)×(사람 중 한국인이 선택될 확률) 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33.
부적합률에 대한 계량형 축차 샘플링검사 방식(표준편차 기지)(KS Q ISO 39511:2018)에서 양쪽 규격한계의 결합관리인 경우 상한 합격판정치(AU)를 구하는 식은?
1.
gσncum+hAσ
2.
gσncum-hAσ
3.
(U-L-gσ)ncum+hAσ
4.
(U-L-gσ)ncum-hAσ
정답 : [
4
] 정답률 : 57%
34.
어떤 부품공장에서 제조되는 부품의 특성치의 분포가 μ=3.10mm, σ=0.02mm인 정규분포를 따르며, 공정은 안정 상태에 있다. 부품의 규격이 3.10±0.0392mm로 주어졌을 경우, 이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적합품의 발생률은 약 얼마인가?
계량 샘플링검사에서 표준편차가 미지인 경우이든 기지인 경우이든 샘플의 크기는(n)는 같다.
4.
계량 샘플링 검사는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판정하는 것으로서 계수 샘플링 검사에 비하여 샘플의 크기는 적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번 계량 샘플링 검사는 로트 검사 단위의 특성치 분포가 정규분포여서는 안된다 2번 샘플의 크기가 같을 때에는 계량치의 데이터가 계수치의 데이터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3번 계량 샘플링 검사에서 표준편차가 미지인 경우가 기지인 겨우보다 샘플의 크기 n는 (1+k^2/n)배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38.
반응온도(x)와 수율(y)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Sxx=147.6, Syy=56.9, Sxy=80.4 이었다. 회귀로 부터의 제곱합(Sy/x)은 약 얼마인가?
1.
10.354
2.
13.105
3.
43.795
4.
56.942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SR = Sxy^2 / Sxx = 80.4^2/147.6 = 43.795 Sy/x = Se = Syy = SR = 56.9 - 43.795 = 13.105 [해설작성자 : 뽀뽀후]
39.
대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A씨는 하루 동안의 네트워크 장애건수 X에 대한 확률분포를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X의 기대값 μ와 표준편차 σ는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라인밸런싱은 제품별 배치 분석이고, 체계적 설비배치(SLP) 기법은 공정별 배치분석에 따른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뽀뽀후]
55.
설비의 최적수리주기 결정 요인이 아닌 것은?
1.
보전비
2.
열화손실비
3.
수리한계
4.
설비획득비용
정답 : [
4
] 정답률 : 68%
56.
기업의 산출물인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량, 시기 등의 미래 시장수요를 추정하는 예측의 유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제예측
2.
수요예측
3.
사회예측
4.
기술예측
정답 : [
2
] 정답률 : 77%
57.
생산시스템의 투입(input)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변환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단계이다.
2.
필요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3.
기업의 부가가치창출 활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적 단계이다.
4.
가치창출을 위하여 인간, 물자, 설비, 정보, 에너지 등이 필요한 단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2-산출물 단계 3-변환과정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58.
설비 선정 시 표준품을 대량으로 연속 생산할 경우 어떤 기계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가?
1.
범용기계설비
2.
전용기계설비
3.
GT(Group Technology)
4.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연속 생산을 할 경우에는 전용 기계설비를 사용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59.
두 대의 기계를 거쳐 수행되는 작업들의 총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투입순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
작업의 납기순서
2.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
3.
공정별⋅작업별 소요시간
4.
시스템 내 평균 작업 수
정답 : [
3
] 정답률 : 71%
60.
일정계획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작업 할당
2.
작업 설계
3.
작업 독촉
4.
작업우선순위 결정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번은 작업 관리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4과목 : 신뢰성관리
61.
신뢰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균수명이 증가하면 신뢰도도 증가한다.
2.
MTTF는 수리 불가능한 아이템의 고장수명 평균치이다.
3.
MTBF는 수리가능한 아이템의 고장간 동작시간의 평균치이다.
4.
여러 개의 부품이 조합된 기기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번 여러 개의 부품이 조합된 기기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와이블 분포를 따른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62.
생산단계에서 초기고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은?
1.
내구성 시험
2.
신뢰성 성장 시험
3.
스크리닝 시험
4.
신뢰성 결정 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초기고장을 제거하기 위한 시험은 번인 시험, 디버깅, 스크리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얼룩토끼]
63.
고장이 랜덤하게 발생하는 20개의 전자부품 중 5개가 고장 날 때까지 수명시험을 실시한 결과 216, 384, 492, 783, 1010 시간에 각각 한개씩 고장 났다. 이 부품의 평균고장률은 약 얼마인가?
1.
2.22×10-4 / 시간
2.
2.77×10-4 / 시간
3.
3.30×10-4 / 시간
4.
4.51×10-5 / 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64%
64.
신뢰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된다. 그 이유에는 사용시간 또는 사용횟수에 따른 피로나 마모에 의한 것과 열화현상에 의한 것들이 있다. 이와 같은 마모와 열화현상에 대하여 수리 가능한 시스템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고장이나 결함을 회복시키기 위한 제반조치 및 활동은?
1.
가동
2.
보전
3.
추정
4.
안정성
정답 : [
2
] 정답률 : 79%
65.
지수분포를 따르는 어떤 부품의 고장률이 0.01/시간인 2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평균수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