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름 a(m)인 직선상 도체에 전류 I(A)가 균일하게 흐를 때 도체내의 전자에너지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투자율
2.
도체의 길이
3.
전류의 크기
4.
도체의 단면적
정답 : [
4
] 정답률 : 66%
28.
그림과 같이 전류 I(A)가 흐르고 있는 무한장의 직선도체로부터 r(m) 떨어진 P점에서 자계의 세기 및 방향은? (단, ⊗은 지면을 들어가는 방향, ⊙은 지면을 나오는 방향이다.)
1.
I/2πr, ⊗
2.
I/2πr, ⊙
3.
Idl/4πr2, ⊗
4.
Idl/4πr2, ⊙
정답 : [
1
] 정답률 : 67%
29.
도체계에서 각 도체의 전위를 V1, V2, ⋯, Vn으로 하기 위한 각 도체의 유도계수와 용량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q11, q22, q33 등을 유도계수라 한다.
2.
q21, q31, q41 등을 용량계수라 한다.
3.
일반적으로 유도계수는 0보다 작거나 같다.
4.
용량계수와 유도계수의 단위는 모두 V/C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30.
점 P(1, 2, 3)(m)와 Q(2, 0, 5)(m)에 각각 4×10-5C과 2×10-4C의 점전하가 있을 때, 점 P에 작용하는 힘은 몇 N 인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2%
31.
정 K형 여파기(constant K-type filter)에 있어서 임피던스 Z1, Z2는 어떻게 나타내는가? (단, K는 공칭 임피던스라 한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77%
32.
다음 회로의 극점의 개수는?
1.
1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69%
33.
RL 직렬회로에 60Hz, 100V의 교류전압을 가했더니 위상이 전압보다 30° 뒤진 5A의 전류가 흘렀다. 이때의 리액턴스는 몇 Ω 인가?
1.
20
2.
10
3.
10√3
4.
12
정답 : [
2
] 정답률 : 50%
34.
차단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력이 최대값이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2.
출력 전압이 최대값이 1/√2 이 되는 주파수이다.
3.
출력 전류가 최대값의 1/√2이 되는 주파수이다.
4.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60°가 되는 주파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35.
다음 회로에서 전압 V3는 몇 V 인가?
1.
3
2.
9
3.
12
4.
15
정답 : [
2
] 정답률 : 67%
36.
다음 회로에서 합성저항이 48Ω일 때, R은 몇 Ω 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3
] 정답률 : 64%
37.
40+j30(V)인 전압을 어떤 회로에 인가했더니 4+j(A)인 전류가 흘렀다. 이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몇 W 인가?
1.
80
2.
190
3.
320
4.
480
정답 : [
2
] 정답률 : 61%
38.
내부 임피던스가 순 저항 160Ω인 전원과 360Ω의 순 저항 부하 사이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이상변압기의 권선비 N1:N2는?
1.
1 : 2
2.
1 : 3
3.
2 : 3
4.
1 : 4
정답 : [
3
] 정답률 : 68%
39.
의 라플라스 변환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8%
40.
RC 직렬회로에 인가된 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임피던스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하지 않는다.
4.
2배가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3과목 : 전자계산기일반
41.
다음 중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하는 것은?
1.
RS-232C
2.
RS-422
3.
RS-485
4.
RS-488
정답 : [
4
] 정답률 : 67%
42.
인쇄된 글자를 빛을 쪼여서 반사되는 빛으로 해당되는 글자를 직접 판독하는 장치는?
1.
OMR
2.
OCR
3.
MICR
4.
COMR
정답 : [
2
] 정답률 : 74%
4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서 프로그램이라는 관점에서는 소프트웨어와 동일하지만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은?
1.
Firmware
2.
Operating System
3.
Micro Processor
4.
System software
정답 : [
1
] 정답률 : 67%
44.
인출 사이클(Fetch Cyc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명령어를 꺼내어 해독될 때까지의 과정
2.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명령어를 꺼내는 과정
3.
명령어가 해독된 다음 실행되는 과정
4.
명령어를 저장하는 과정
정답 : [
1
] 정답률 : 76%
45.
주기억장치에서 기억장소의 지정은 무엇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가?
1.
BYTE
2.
WORD
3.
RECORD
4.
ADDRESS
정답 : [
4
] 정답률 : 77%
46.
-25를 2의 보수 형태 2진수로 나타내어 다시 이를 왼쪽으로 1비트만큼 산술 이동했을 때의 값은?
1.
11100110
2.
11001110
3.
11100111
4.
11001111
정답 : [
2
] 정답률 : 61%
47.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 같은 능동 소자와 저항과 같은 수동 소자들을 별도로 제작, 하나의 기판 위에 땜질하여 형성시킨 회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Hybrid IC
2.
PMOS
3.
ECL
4.
TTL
정답 : [
1
] 정답률 : 66%
48.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발생위치를 찾는 방식은?
1.
데이지체인 방식
2.
폴링 방식
3.
레지스터 방식
4.
스트로브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68%
49.
연산장치에서 산술연산회로의 구성요소로 쓰이는 논리 회로는?
1.
반감산기
2.
전감산기
3.
반가산기
4.
전가산기
정답 : [
4
] 정답률 : 74%
50.
컴퓨터 주기억장치 용량이 4096비트이고, 워드 길이가 16비트일 때, PC(Program Counter), AR(Address Register)와 DR(Data Register)의 크기는?
1.
PC = 12, AR = 12, DR = 16
2.
PC = 12, AR = 12, DR = 8
3.
PC = 16, AR = 8, DR = 16
4.
PC = 8, AR = 8, DR = 16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주기억장치 용량 4096 Bit = 2^12 이므로 PC, AR의 크기는 12가 맞습니다. 수정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치]
[관리자 입니다. 컴퓨터 전공자로써 한말씀 드립니다.
위 오류신고 내용은 틀렸습니다. 주기억장치 1비트마다 주소를 부여한다면 12가 맞으나
워드 길이가 16비트라고 주어졌습니다.
즉 16비트 1워드마다 주소가 부여됩니다. 따라서 2^4만큼 주소 범위가 줄어들게 됩니다.
지수승끼리 계산을 해보면 12-4=8 이 맞습니다.]
51.
다음 중 목적 프로그램을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연결시켜 실행 가능한 모듈로 생성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Linker
2.
Loader
3.
Debugger
4.
Assembler
정답 : [
1
] 정답률 : 75%
52.
숫자나 문자 등의 키보드 입력을 2진 코드로 부호화 하는 것은?
1.
디코더
2.
인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 : [
2
] 정답률 : 68%
53.
에러(error)의 발생을 검출하고 교정을 할 수 있는 코드는?
1.
BCD Code
2.
ASCⅡ Code
3.
Hamming Code
4.
Excess-3 Code
정답 : [
3
] 정답률 : 79%
54.
4입력 변수의 디코더는 최대 몇 개의 출력을 가지는가?
1.
4개
2.
8개
3.
16개
4.
32개
정답 : [
3
] 정답률 : 75%
55.
10진수로 표현된 (14.625)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010.011
2.
1100.101
3.
1011.111
4.
1110.101
정답 : [
4
] 정답률 : 70%
56.
다음 SR플립플롭의 여기표에서 (A)에 가장 적합한 것은? (단, X는 Don't care이다.)
1.
S=0, R=0
2.
S=1, R=0
3.
S=0, R=1
4.
S=1, R=1
정답 : [
3
] 정답률 : 75%
57.
다음 중 함수 연산 명령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DD
2.
CLA
3.
JMP
4.
ROL
정답 : [
3
] 정답률 : 72%
58.
Excess-3 코드를 잉요하여 5와 3을 더하면?
1.
1110
2.
0111
3.
1001
4.
1011
정답 : [
4
] 정답률 : 62%
59.
연산자(operator)의 기능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주소지정 기능
2.
전달 기능
3.
제어 기능
4.
입·출력 기능
정답 : [
1
] 정답률 : 53%
60.
다음 중 제어장치가 하는 것은?
1.
논리 연산
2.
명령어 해독
3.
번지 부여
4.
피가수 기억
정답 : [
2
] 정답률 : 64%
61.
상호 인덕턴스 계측에 주로 사용하는 bridge는?
1.
Wien bridge
2.
Kohlrausch bridge
3.
Schering bridge
4.
Campbell bridge
정답 : [
4
] 정답률 : 69%
62.
다음 회로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의 구성이다. 부하 R의 전력은 몇 W 인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1%
63.
오실로스코프아 싱크로스코프가 다른 점은?
1.
편향 부분
2.
휘도 조정 부분
3.
초점 조정 부분
4.
동기 회로 부분
정답 : [
4
] 정답률 : 67%
64.
측정용 저주파 발진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RC 발진기
2.
LC 발진기
3.
레이저 발진기
4.
음차 발진기
정답 : [
1
] 정답률 : 66%
65.
다음 중 고주파용 주파수계가 아닌 것은?
1.
레헤르(Lecher)선 주파수계
2.
진동형 주파수계
3.
헤테로다인 주파수계
4.
흡수형 주파수계
정답 : [
2
] 정답률 : 59%
66.
다음 교류 브리지 회로가 평형되었을 때 L의 값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평형시 G에 전류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전압차도 없습니다. 왼쪽은 R_1 x I_1 = 1 / jwC x I_2, 따라서 I_2 / I_1 = jwC x R_1 오른쪽도 jwL x I_1 = R_2 x I_2, 따라서 I_2 / I_1 = jwL / R_2 따라서 jwC x R_1 = jwL / R_2 L에 대해 풀면 답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ericjchun]
67.
디지털 계측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도가 높은 측정이 가능하다.
2.
측정이 매우 쉽고, 신속히 이루어진다.
3.
잡음에 덜 민감하여, 측정 정도를 낮출 수 있다.
4.
측정값을 읽을 때 개인적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68.
어느 회로망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전압을 각각 오시로스코프의 수직, 수평 단자에 인가해서 화면이 다음과 같을 때, 위상각(θ)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두신호 중 하나는 y축에 하나는 x축에 표시하는 그래프인데, 회로망이기 때문에 주파수가 같습니다. y = y0 x sin(wt), x = x0 x sin(wt + phase) 로 놓으면, x1위치는 y가 0, 즉 sin(wt)가 0, wt = n x pi 인 지점입니다. 이 시점을 0초로 잡으면, 즉 wt = 0 으로 잡으면 x1 = x0 x sin(0 + phase) = x0 x sin(phase) 가 됩니다. 그런데, x2점은 x가 최대가 되는점, 즉 sin 값이 1 이 되는 시점이므로 x2 = x_0 입니다. 결국, x1 = x2 x sin(phase) 가 되고, 이것을 phase에 대해 풀면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ericjchun]
69.
표준신호 발생기(SSG)의 출력 전압이 1V인 경우 dB로 표현하면 얼마인가?
1.
20
2.
40
3.
60
4.
120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보통 dB는 이득 같은 상대값이지만, 절대값을 나타낼 때는 기준값을 사용하고, 전기쪽에선 보통 전력은 1 mW가 기준인 dBm을, 전압의 경우는 1 uV를 기준으로 하는 dBu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전력인 경우 Pdb = 10 x log(Gp)이고 전압의 경우는 Vdb = 20 x log(Gv) 이므로 Vdb = 20 x log(1 V / 1 uV) 로그는 10배 마다 1이 증가하므로 log()는 6입니다. 여기에 20을 곱하면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단상 교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3전류계법
2.
3전압계법
3.
단상 전력계법
4.
3전력계법
정답 : [
4
] 정답률 : 69%
71.
고주파 전력측정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표준 부하법
2.
C-C형 전류계법
3.
C-M형 전류계법
4.
전압 전류계법
정답 : [
4
] 정답률 : 62%
72.
전자계수기(주파수 카운터)에서 발생시키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시간축 오차
2.
트리거 오차
3.
계통 오차
4.
개인적 오차
정답 : [
4
] 정답률 : 63%
73.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2.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3.
메모리
4.
음극선관
정답 : [
4
] 정답률 : 66%
74.
다음 전지 내부저항 측정 회로에서 S를 열었을 때 6V, S을 닫았을 때 4V, 전류는 0.5A이었다. 전지의 내부저항 r은 몇 Ω 인가?
1.
12
2.
10
3.
4
4.
2
정답 : [
3
] 정답률 : 52%
75.
직류전압계를 사용하여 동작중인 회로의 직류전압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되는 직류전압계는 다음 중 어떠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는가?
1.
내부저항이 가급적 클수록 좋다.
2.
내부저항이 가급적 작을수록 좋다.
3.
계기의 측정오차 범위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내부 저항은 별로 상관없다.
4.
직류 전압만 측정하면 되므로 전압계의 내부 정전 용량의 대소에는 상관이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76.
계수형 주파수계의 측정 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입력 임피던스를 높게 하여 피측정 회로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것
2.
기준 발진기의 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표준 전파 등에 교정하여서 측정할 것
3.
±카운터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게이트 시간을 아주 짧게 하여 확도를 높일 것
4.
감도 감쇠기는 감도가 낮은 곳에 놓고, 입력을 가한 후 차례로 감도를 높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72%
77.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활선 상태에서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직류 변류기
2.
클램프 미터
3.
열전형 전류계
4.
가동 코일형 계기
정답 : [
2
] 정답률 : 67%
78.
오실로스코프로 측정 불가능한 것은?
1.
전압
2.
변조도
3.
전하량
4.
주파수
정답 : [
3
] 정답률 : 72%
79.
오차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개인적 오차 : 측정값을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읽어 생기는 오차
2.
계통적 오차 : 눈금의 부정확, 외부자장의 영향, 계깅차 등 일정한 원인이 있는 오차
3.
과실 오차 : 측정자의 부주의에 의해서 일어나는 오차
4.
우연 오차 : 계기의 우연한 변화로 인해 측정값의 지시가 틀리는 오차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우연 오차 - 오차원인 알 수 없거나 측정 당시 순간적인 변화로 인해 보정 불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신호라 할지라도 그 정보가 아니거나 원하는 정보 신호의 형태를 일그러뜨리거나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1.
음압
2.
감도
3.
잡음
4.
증폭
정답 : [
3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①
②
④
②
③
③
③
③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③
①
④
④
②
③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④
①
①
②
④
①
③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②
②
④
②
③
②
③
②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①
①
④
②
①
②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③
③
④
③
③
④
①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②
④
①
②
④
③
②
④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④
④
③
①
③
②
③
④
③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자, 산업기사,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