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초에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머물게 하여 출신지의 일에 대하여 자문하였는데, 이를 기인이라고 한다.
3.
묘청 등이 승리하였다면 조선사가 독립적, 진취적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 사건을 어찌 일천년래 제일대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
4.
토문 이북과 압록 이서의 땅이 누구의 것인지 알지 못하게 하였으니 (중략) 고려가 약해진 것은 발해를 차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91%
2.
조선후기 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계문신 제도를 실시하였다.
2.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3.
팔달산 아래에 화성을 건설하였다.
4.
규장각을 강력한 정치기구로 육성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정조는 대전통편 2. 속대전은 영조 [해설작성자 : 화이팅]
3.
우리나라의 시대별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라는 통일 이후에 관료전과 정전(丁田)을 지급하였다.
2.
고려후기의 녹과전은 수조권을 지급한 토지에 해당한다.
3.
고려말 과전법에서 과전은 경기 지방의 토지로 지급하였다.
4.
지주제의 한 형태인 병작제는 조선초기에 가장 발달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신라는 통일 이후 ( 통일 신라 ) 신문왕 - 687, 관료전 지급 > 689, 녹읍 폐지 => 귀족의 경제 기반 약화, 왕권 강화 2. 고려 후기 원종 - 1271, 녹과전 일시적으로 지급 녹봉대신 과전을 일시 지급 : 경기 8현의 토지를 대상으로 수조권 지급 고종 - 1232, 강화도의 녹과전 일시 지급 3. 고려 말의 과전법 공양왕 - 1391, 경기 지역 토지 수조권 재분배, 농민 경작권 법적 보장, 신진 사대부의 경제 기반 마련 [해설작성자 : 긍정의긍기]
4.
고려⋅조선시대 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려시대 향악은 주로 제례 때 연주되었다.
2.
고려시대에는 동동, 대동강, 오관산 등이 창작 유행되었다.
3.
조선시대에는 정간보를 만들어 음악의 원리와 역사를 체계화하였다.
4.
조선시대 가사, 시조, 가곡 등은 아악을 발전시켜 연주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향악 - 가사, 시조, 가곡으로 발전 3. 악학궤범 4. 아악 - 중국산. 궁중 제례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연습생]
5.
19세기에 발생한 농민 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몰락한 양반이 민란을 주도하기도 했다.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가장 치열하게 일어났다.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를 내세웠다.
4.
민란의 결과 부세제도의 근본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몰락 양반이 민란 주도: 홍경래 2. 임술 민란은 삼남지방에서 치열: 곡창지대의 과도한 수취제로 반발 3. 홍경래 난의 지도자들은 지방차별 타파 주장: 평안도 차별 4. 민란 결과 근본적 개혁: X 임술(철종) 때 삼정이정청 설치 벗 근본적 해결 불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려시대의 수공업은 관청수공업, 소(所)수공업, 사원수공업, 민간수공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는 그곳에서 일할 기술자들을 공장안(工匠案)에 등록해 두었다.
3.
소(所)에서는 금, 은, 철 등 광산물과 실, 종이, 먹 등 수공업제품 외에 생강을 생산하기도 하였다.
4.
고려후기에는 소(所)에서 죽제품, 명주, 삼베 등 다양한 물품을 만들어 민간에 팔기도 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소(所) 수공업 공물의 형태로 납부 ex) 금, 은, 철, 실, 옷감, 종이, 차, 생강 등
4. 사원 수공업 - 승려와 사원 소속 노비들을 통해 베, 모시, 술, 소금 등의 품질 좋은 제품을 생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소는 특별행정구역으로 공물을 국가에 납부해야하는 의무를 졌었습니다. 다만 공주명학소의 난 이후 소라는 행정구역은 점차 사라졌습니다. 이후 고려후기 수공업은 관청수공업, 소 수공업에서 사원,민간 수공업자들의 몫으로 옮겨갔습니다. 따라서 소 수공업이 아닌 민간(가내), 사원수공업에서 물건을 만들어 민간에 매매했을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1]
속장경(교장)은 의천이 경(經), 율(律), 논(論) 삼장의 불교경전을 모아 간행한 것이다.
3.
재조대장경은 몽고 침략으로 초조대장경이 소실된 후 고종 때 다시 만든 것이다.
4.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팔만대장경은 재조대장경을 가리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속장경은 의천이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간행한 것으로, 고려, 송, 요나라의 대장경에 대한 주석서를 모아서 간행한 것임. 경, 율, 논의 삼장으로 구성된 것은 대장경을 말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breeze]
12.
다음 (가), (나)의 주장이 정치적 대립으로 이어진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왕이 직접 나서서 환국을 주도하였다.
2.
서인이 우세한 가운데 남인의 세력이 성장하였다.
3.
왕권 강화와 신권 강화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었다.
4.
효종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이 있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13.
다음과 같은 조항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7⋅4 남북 공동 성명
2.
남북 기본 합의서
3.
6⋅5 남북 공동 선언
4.
10⋅4 남북 정상 회담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991년 9월 남북이 UN에 동시에 가입한 이후 1991년 12월에 남북 기본 합의서를 발의한다.
남북 기본 합의서는 남북간의 화해, 교류, 불가침, 협력의 조항을 담고 있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14.
다음은 1945년부터 1950년까지 발생했던 한국현대사의 역사적 기록이다.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ㄴ-ㄷ-ㄹ
2.
ㄱ-ㄴ-ㄹ-ㄷ
3.
ㄱ-ㄷ-ㄴ-ㄹ
4.
ㄴ-ㄱ-ㄷ-ㄹ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ㄱ. 미영소 4개항 결의서 : 모스크바 ㄴ.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감시 아래 총선거: 5.10 총선거 ㄷ.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총선 후, 여수순천 10.19 사이 제정 ㄹ. 북한은 38도선 전 지역에 걸쳐 남침: 대한정부 수립과정 이후 단계 따라서 순서는 ㄱ.ㄴ.ㄷ.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