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P)-부피(V) 선도에서 이상기체가 그림과 같은 사이클로 작동한다고 할 때 한 사이클 동안 행한 일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V 선도에서 일이란 면적이다. 삼각형 면적 = 0.5*( 밑변 * 높이)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3.
다음 중 스테판-볼츠만의 법칙과 관련이 있는 열전달은?
1.
대류
2.
복사
3.
전도
4.
응축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스테판-볼츠만 법칙은 이상적인 흑체(black body)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이 절대 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볼츠의 'ㅂ' = > 복사의 'ㅂ' 으로 외웠음.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4.
이상기체 2kg이 압력 98kPa, 온도 25℃상태에서 체적이 0.5m3였다면 이 이상기체의 기체상수는 약 몇 J/(kg·K)인가?
1.
79
2.
82
3.
97
4.
102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PV=mRT에서 기체상수 R=(PV)/(mT)이다. 따라서 R=(2*98*10^3)/(2*298)=82J/(kg·K)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0.5*98*1000/2*(273+25)
5.
냉매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틀린 것은?
1.
증발온도에서 높은 잠열을 가져야 한다.
2.
열전도율이 커야 한다.
3.
표면장력이 커야 한다.
4.
불활성이고 안전하며 비가연성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냉매는 표면장력이 작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기원]
6.
어떤 유체의 밀도가 741kg/m3이다. 이 유체의 비체적은 약 몇 m3/kg인가?
1.
0.78×10-3
2.
1.35×10-3
3.
2.35×10-3
4.
2.98×10-3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비체적 = 1/밀도 이므로 이 유체의 비체적은 1/740 = 1.35×10^(-3) m3/kg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7.
이상적인 랭킨사이클에서 터빈 입구 온도가 350℃이고, 75kPa과 3MPa의 압력범위에서 작동한다. 펌프 입구와 출구, 터빈 입구와 출구에서 엔탈피는 각각 384.4kJ/kg, 387.5kJ/kg, 3116kJ/kg, 2403kJ/kg이다. 펌프일을 고려한 사이클의 열효율과 펌프일을 무시한 사이클의 열효율 차이는 약 몇 %인가?
어떤 물질에서 기체상수(R)가 0.189kJ/(kg·K), 임계온도가 305K, 임계압력이 7380kPa이다. 이 기체의 압축성 인자(compressibility factor, Z)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나타낸다고 할 때 이 물질의 20℃, 1000kPa 상태에서의 비체적(v)은 약 몇 m3/kg인가? (단, P는 압력, T는 절대온도, Pr은 환산압력, Tr은 환산온도를 나타낸다.)
100℃의 구리 10kg을 20℃의 물 2kg이 들어있는 단열 용기에 넣었다. 물과 구리 사이의 열전달을 통한 평형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구리 비열은 0.45kJ/(kg·K), 물 비열은 4.2kJ/(kg·K)이다.)
1.
48
2.
54
3.
60
4.
68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Q = m1 x c1 x (t2 - t1) = m2 x c2 x (t1 - t0) 에서 대입하여 t1의 값을 구한다. m=질량 (1은 구리 2는 물) c=비열 t2-t1 = 100도의 구리가 변화한 온도 t1-t0 = 20도의 물이 변화한 온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이상적인 교축과정(throttling process)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2.
엔탈피의 변화가 없다고 본다.
3.
정압과정으로 간주한다.
4.
냉동기의 팽창밸브의 이론적인 해석에 적용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교축과정은 비가역변화이므로 압력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기원]
3. 등엔탈피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이상기체로 작동하는 어떤 기관의 압축비가 17이다. 압축 전의 압력 및 온도는 112kPa, 25℃이고 압축 후의 압력은 4350kPa이었다. 압축 후의 온도는 약 몇 ℃인가?
1.
53.7
2.
180.2
3.
236.4
4.
407.8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압축비 = 최대최적/최소최적 이므로 압축 후 최적을 V2라 하면, 압축 전 최적은 V1 = 17*V2라고 할 수 있다. PV = mRT 에서 압축 전, 후의 m과 R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mR = (P1*V1)/T1 = =(P2*V2)/T2 이다. (112*17V2)/(273+25)=(4350*V2)/T2 이므로 T2 = 681K = 407.8℃ 이다. [해설작성자 : 기원]
16.
다음은 오토(Otto) 사이클의 온도-엔트로피(T-S)선도이다. 이 사이클의 열효율을 온도를 이용하여 나타낼 때 옳은 것은? (단, 공기의 비열은 일정한 것으로 본다.)
[산술평균온도 Tm = (입구 + 출구)/2 - 증발온도] [브라인 산술평균온도 Tm = (입구 + 출구)/2 = -7.5℃] 1. 25 x 3.8 = k x A x Tm = 1.53 x A x (7.5) [해설작성자 : 꿀호떡]
3과목 : 공기조화
41.
인체의 발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발: 인체 피부에서의 수분이 증발하여 그 증발열로 체내 열을 방출한다.
2.
대류: 인체 표면과 주위공기와의 사이에 열의 이동으로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주위공기의 온도와 기류에 영향을 받는다.
3.
복사: 실내온도와 관계없이 유리창과 벽면등의 표면온도와 인체 표면과의 온도차에 따라 실제 느끼지 못하는 사이 방출되는 열이다.
4.
전도: 겨울철 유리창근처에서 추위를 느끼는 것은 전도에 의한 열 방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외부 부하 (침입 외기)에 의해서 추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리창 근처에서 발생한 콜드드래프트와 인체의 열전달에 의한 것이며 단순히 전도에 의한 열방출로 추위를 느끼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R33]
42.
냉방시 실내부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
2.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3.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4.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 1번은 외기부하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3.
송풍기의 크기는 송풍기의 번호(No,#)로 나타내는데, 원심송풍기의 송풍기 번호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기 1번은 축류형 송풍기 번호를 구하는 식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4.
아래 습공기 선도에 나타낸 과정과 일치하는 장치도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보기에서 외기와 환기가 몇번인지 확인 후 : 1번(외기)과 2번(환기)임 그래프에서 온도 방향만 확인하면 답 선택 가능 ex> 그래프에서 외기가 좌측으로 움직여 3번이 되므로 온도가 감소했음. 환기(2번과)와 만나기 전에 온도가 내려 갔다는 의미 예냉 있는 것 선택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45.
인위적으로 실내 또는 일정한 공간의 공기를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공기조화 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온도
2.
습도
3.
색도
4.
기류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유효온도의 3요소 : 온도, 습도, 기류 [해설작성자 : 아기원숭이]
46.
크기 1000×500mm의 직관 덕트에 35℃의 온풍 18000m3/h이 흐르고 있다. 이 덕트가 –10℃의 실외 부분을 지날 때 길이 20m당 덕트표면으로부터의 열손실(kW)은? (단, 덕트는 암면 25mm로 보온되어 있고, 이 때 1000m당 온도 차 1℃에 대한 온도 강하는 0.9℃이다. 공기의 밀도는 1.2kg/m3, 정압비열은 1.01kJ/kg·K이다.)
1.
3.0
2.
3.8
3.
4.9
4.
6.0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000m당 온도 차 1'c에 대한 온도 강하 = 0.9'C 덕트 온풍 35'C 실외 온도 -10'C dt=45 따라서 1000m당 온도 차는 0.9 X 45 = 40.5가 된다. 문제에서 20m당 열손실을 구하라하였으니, 40.5/50 = 0.81이 된다. 열손실을 구하면, 1.01*1.2*18000/3600*0.81(20m당 열손실) = 4.9가 된다. [해설작성자 : 김시덕]
밀폐식 온수 난방은 결국 난방용이다. 난방용인지 수도용인지를 알고 있는지 물어보는 것과 같다.
온수라고 해서 수도용이 아니다. 난방용임을 염두해보면 수동용 70 도 이하가 아닌 80~90의 고온수임을 예상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91.
동관 이음 중 경납땜 이음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황동납
2.
은납
3.
양은납
4.
규소납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연납땜 작업온도 450도 이하 경납땜 작업온도 450도 초과 상대적으로 쉽게 녹는 동 은 등과 같은 일반 납땜 생각하면 된다. 규소는 모래로 유리 만들 때 라고 생각해보면 된다. ( 예전에 엄청난 고온을 만들어 유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작업장 자체가 비밀이었다. )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92.
온수난방 배관에서 리버스 리턴(reverse return)방식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1.
온수의 유량 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2.
배관의 길이를 짧게하기 위하여
3.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4.
온수가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가까운 곳의 환수관은 길게, 먼 곳의 환수관은 짧게 공급관과 환수관의 총 배관 길이를 같게 만들어 유량을 균등하게 맞추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하향급수 배관방식에서 수평주관의 설치위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하층의 천장 또는 1층의 바닥
2.
중간층의 바닥 또는 천장
3.
최상층의 바닥 또는 천장
4.
최상층의 천장 또는 옥상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옥상 고가탱크 방식에서 하향급수 배관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최상층의 천장 또는 옥상에 수평주관을 설치하고 하향 수직관에 연결한다. [해설작성자 : amd64]
94.
냉매 배관에서 압축기 흡입관의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기가 증발기보다 밑에 있는 경우 흡입관은 작은 트랩을 통과한 후 증발기 상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올려 압축기로 가게 한다.
2.
흡입관의 수직상승 입상부가 매우 길 때는 냉동기유의 회수를 쉽게 하기 위하여 약 20m마다 중간에 트랩을 설치한다.
3.
각각의 증발기에서 흡입 주관으로 들어가는 관은 주관 상부로부터 들어가도록 접속한다.
4.
2대 이상의 증발기가 있어도 부하의 변동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는 1개의 입상관으로 충분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0m가 아니라 10m [해설작성자 : 둘리가 좋아]
95.
난방 배관 시공을 위해 벽, 바닥 등에 관통 배관 시공을 할 때, 슬리브(sleeve)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팽창에 따른 배관 신축에 적응하기 위해
2.
관 교체 시 편리하게 하기 위해
3.
고장 시 수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4.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건축 천장 or 바닥인 슬래브와 착각하지 말자 슬리브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설치해 놓는 원통형 구조물이다. 나중에 포설한다고 콘크리트 뚫지 않도록 미리 배관을 포설해 놓은 것을 생각해보면 된다. 유체 압력과는 무관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96.
급수방식 중 압력탱크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부적으로 고압을 필요로 하는데 적합하다.
2.
탱크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급수할 수 있다.
4.
높은곳에 탱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축물의 구조를 강화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력탱크방식은 급수압이 일정하지 않다.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급수가 가능한 건 고가탱크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둘리가 좋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