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 중립성 3. 검증가능성 4. 표현의 충실성 =신뢰성'에 대한 질적 특성.
1.적시성 ='목적적합성'에 대한 질적 특성. [해설작성자 : 1]
2.
다음 중 무형자산으로 회계처리해야 하는 거래는?
1.
프로젝트 초기의 연구단계에서 연구비를 지출하였다.
2.
다른 회사와 합병하면서 영업권을 취득하였다.
3.
조직 개편으로 인한 부서별 명패 교환비용으로 현금을 지출하였다.
4.
재경팀 직원에게 회계교육을 실시하고 강사료를 지급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96%
<문제 해설> 1, 3, 4번 보기는 당기비용 처리. 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무형), 그 자산을 소유하여 미래에 경영상 효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자산)이다. 무형자산에는 영업권, 산업재산권(특허, 실용신안 등), 광업권, 어업권, 저작권, 라이선스,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비(연구비는 당기비용)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주)한공의 오류 수정 전 당기순이익은 10,000,000원이다. 다음 회계처리 오류사항을 수정한 후의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주)한공은 사내적립식 퇴직일시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김한공씨 퇴직전 회사의 퇴직급여충당부채 잔액은 5,000,000원이다. (주)한공은 퇴사한 종업원 김한공씨에게 퇴직금 6,000,000원을 보통예금으로 지급하였다. 김한공씨의 퇴직금 지급 시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1.
(차) 퇴직급여충당부채 6,000,000원 (대) 보통예금 6,000,000원
2.
(차) 퇴직급여충당부채 5,000,000원 (대) 보통예금 5,000,000원
3.
4.
(차) 퇴직급여 6,000,000원 (대) 보통예금 6,00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94%
9.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전연도 공급대가가 4,800만원 미만인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가 적용대상이다.
2.
간이과세자는 영수증 또는 세금계산서를 선택하여 발급할 수 있다.
3.
둘 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으로서 그 둘 이상의 사업장 공급대가 합계액이 4,800만원 이상인 경우 간이과세 적용을 배제한다.
4.
일반과세자와 달리 음식점업을 운영하는 간이과세자의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직전연도 공급대가가 4,800만원 미만인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가 적용대상이다. → 직전연도 공급대가 8,000만원이어야함. 2. 간이과세자는 영수증 또는 세금계산서를 선택하여 발급할 수 있다. →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음. 4. 일반과세자와 달리 음식점업을 운영하는 간이과세자의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다. → 적용 가능 [해설작성자 : 1]
10.
다음은 일반과세자인 (주)한공(전자제품 제조업)의 2020년 제1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기간의 내역이다. 이 중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에서 공제 가능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은 얼마인가? (단,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고, 매입세액을 공제받기 위한 절차를 모두 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