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석촌동 고분은 백제 한성 시기 계단식 돌무지무덤양식임. 백제의 건국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임을 보여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검모잠, 안승 → 고구려 부흥운동. 즉 고구려 멸망 이후에 발생한 사건임
고구려는 안시성 전투(당)에서 승리하였으나 평양성에서 나당연합의 공격을 받고 멸망하게 됨. 이후 고구려 부흥운동이 전개되었으나 위의 사례를 보다시피 고구려 부흥운동은 실패로 돌아갔고, 이후 당의 야욕으로 인해 신라가 위기를 겪자, 신라+고구려+백제 연합 vs 당끼리 매소성(+기벌포)싸움을 일으킴. 두 번의 싸움에서 모두 승리한 신라는 삼국통일을 이룸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검모잠, 안승 = 고구려부흥운동 670년! [해설작성자 : ㅇㄱㅅ]
을지문덕 살수대첩-> 대야성 함락642-> 안시성 전투-> [황산벌 전투660(백강과 탄현을 지나)-> 사비성함락-> 백제멸망(웅진)]:백제vs나당연합-> 백제부흥운동-> 평양성 함락-> 고구려 부흥운동-> 매소성-> 기벌포 전투-> 대조영 발해 건국 [해설작성자 : 싸우지말자 외울 것이 많다....]
6.
밑줄 그은 ‘대사’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
1.
향가 모음집인 삼대목을 편찬하였다.
2.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힘썼다.
3.
화랑도의 규범으로 세속 5계를 제시하였다.
4.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하였다.
5.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다녀와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신라, 부석사 → 의상
2. 원효 4. 의상 5. 혜초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3. 세속오계를 지은 대사는 원광법사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위홍, 대구화상(통일신라 진성여왕) [해설작성자 : 이방인]
7.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2.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봉기하였다.
3.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4.
거칠부가 왕명을 받들어 국사를 편찬하였다.
5.
최고 지배자의 칭호가 마립간으로 바뀌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김헌창의 난(822, 헌덕왕) = 신라 하대. 진골 귀족간의 왕위 다툼. ~ 시무 10조 바친 최치원 = 당시 진성여왕 894 신라 하대는 신라 상~중대와 달리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의 힘이 강해진 시기임. 그래서 각종 부정부패가 만란하였고, 민심이 갈수록 악화되는 시기였음. 쉽게 말해 신라가 망해가는 시기
1. 신라 법흥왕. 이전 시기 2. 진성여왕이 때 일어난 난이므로 맞음. 3. 신라 신문왕. 이전 시기 4. 신라 진흥왕. 이전 시기. 신라의 전성기왕인 진흥왕 때 자신이 아주 잘 나갔음을 자랑하려고 국사를 편찬함 5. 신라 내물왕(내물마립간). 이전 시기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8.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운영하였다.
2.
성균관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교육하였다.
3.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었다.
4.
상수리 제도를 실시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였다.
5.
내신좌평, 위사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마련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해동성국 = 발해
1. 통일신라 2. 조선 3. 발해 4. 통일신라 5. 백제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4. 상수리제도, 외사정 - 통일신라 / 사심관제도, 기인 - 고려 / 상피제 - 조선 [해설작성자 : 그냥]
9.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익산, 600년대 → 익산 미륵사지 석탑(백제)
2. 경주 불국사 다보탑(통일신라, 하단에 계단 모양이 있음) 3. 익산 미륵사지 석탑(모서리 깍인 부분이 있음) 4. 영광탑(발해, 하단에 문처럼 생긴 부분이 있음)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문제 해설> (가) 왕건이 고려 건국. 왕건은 후고구려 궁예의 신하였음. 궁예를 배신하고 고려를 건국한 것 (나) 후백제 건국한 견휜이 왕건에게 항복한 것
흐름 순서대로 이야기하자면 제일 먼저 견휜(후백제)&궁예(후고구려) 건국 → 고려 태조 왕건이 후고구려 궁예를 배신하고 고려를 건국 → 후백제를 세운 견휜과 공산 전투(견휜vs왕건 - 왕건의 신하였던 신숭겸이 왕건인 척해서 대신 맞아 죽고, 왕건은 겨우 살아남. 전쟁은 왕건 lose) → 고창 전투(견휜vs왕건, 왕건 win) → 견휜의 아들이었던 신검이 父 견휜을 금산사에 유폐함 → 분노한 견휜은 왕건에게 항복 → 일리천 전투(신검vs왕건, 왕건 win) → 왕건의 후삼국 통일 및 고려 진출~
따라서 (가), (나) 사이의 일을 고르라면 4번임
1. (가) 이전 2. 통일신라 신문왕. (가) 이전 3. 신라 하대(호족(장보고, 견휜, 궁예) 성장 시기). (가) 이전 5. (나) 이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가) 고려건국 918 (나) 견훤 귀부 935
1. 후백제 건국 900 2. 김흠돌 반란 681 통일신라 신문왕 3. 청해진 828 통일신라 흥덕왕 4. 공산전투 927 5. 일리천 전투 936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1.
다음 군사 제도를 운영한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중정대를 두어 관리를 감찰하였다.
2.
9주 5소경의 지방 제도를 운영하였다.
3.
고관들의 합좌 기구인 도병마사를 설치하였다.
4.
인재를 등용하기 위하여 독서삼품과를 시행하였다.
5.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군 6위(중앙군), 중방(무신회의) → 고려
1. 발해 2. 통일신라 3. 고려 4. 통일신라 5. 백제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12.
(가)에 대한 고려의 대응으로 옳은 것은? [1점]
1.
화통도감을 두어 화포를 제작하였다.
2.
박위를 파견하여 근거지를 토벌하였다.
3.
연개소문을 보내어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4.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팔만대장경을 간행하였다.
5.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등으로 구성된 별무반을 조직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윤관, 동북 9성 → 별무반 설치, 여진(금), 12c
고려 외세의 침입 순서대로 거란(10~11c) → 여진(금)(12c) → 몽골(원)(13c) → 원간섭기(몽골 간섭) → 홍건적의 난 + 왜구(14c)
1. 14c 외세 침입 관련 2. 14c 왜구 토벌 3. 고구려 살수대첩 이후 4. 고려 몽골 침입 이후(13c) 불심의 힘으로 몽골 물리치겠다는 마음으로 팔만대장경 제작함 5. 별무반 특징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숙종때 별무반 설치가 있었고 예종때 동북9성을 설치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때 공시생]
13.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구황촬요를 읽고 있는 지방관
2.
시장을 감독하는 동시전의 관리
3.
초량 왜관에서 인삼을 판매하는 내상
4.
벽란도에서 물품을 거래하는 송의 상인
5.
낙랑군에 수출할 덩이쇠를 주조하는 장인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주전도감, 해동통보, 건원중보 → 고려(이때부터 화폐 등장한다고 생각하면 됨) cf. 상평통보 → 조선
1. 조선. 구황촬요(명종) 2. 신라. 동시전(지증왕) 3. 조선. 왜관, 인삼 → 조선 후기 4. 고려. 벽란도는 고려 당시 국제 무역 장소 5. 가야. 덩이쇠(철)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건원중보 (고려 성종) 주전도감, 해동통보, 은병, 활구 (고려 숙종) * 묶지말고 따로 알아둘것 [해설작성자 : 54회 쉽게 나와라]
14.
다음 사건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1점]
1.
묘청이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2.
쌍기가 과거제의 시행을 건의하였다.
3.
왕실의 외척인 이자겸이 난을 일으켰다.
4.
정중부가 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차지하였다.
5.
최우가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만적 → 만적의 난. 무신 정권 최충헌 시기 때 일어난 신분해방의 난
1. 이전 2. 고려 광종때. 이전 3. 이전 4. 이전(무신 정권 중에서 이의방 정중부 → 경대승 이의민 → 최충헌 → 최우 순임을 기억) 5. 이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1. 묘청의 서경 천도. 고려 인종때 승려 묘청이 서경 천도후 금 정벌 주장. [해설작성자 : 허당 닥터권]
1. yes 2. 임진왜란 이전 3. 조명연합군 이전 4. 세종 5. 고려 무신정권 말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임진왜란:1592 2번, 최무선-나세, 1380 진포대첩 : 최초로 화포사용 (화통도감 설치 1377) [해설작성자 : 올백이다]
정발 - 부산진성전투 (선조 피란 이전) 중간에 정유재란 이후 명량해전 → 노량해전 홍의장군 곽재우 [해설작성자 : 정발 부산 자주 나옴]
24.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국왕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이 조직되었다.
2.
서인이 반정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3.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옥사가 발생하였다.
4.
허적과 윤휴 등 남인들이 대거 축출되었다.
5.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가) 영창 대군 왕위 위협 → 광해군 시절 (나) 이괄의 난 → 인조
사이에 들어가는 건 인조반정(당시 광해군과 북인이 기세등등하였으나 광해군의 영창 대군 살해와 인목대비 폐위로 인해 서인+인조가 반정을 일으켜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인조가 왕이 됨)
왕으로 따지자면 선조 → 광해군(+북인) → 인조(+서인) → 효종 → 현종(예송, 서인vs남인) → 숙종(환국, 서인vs남인, 서인 최종승리) → 영조~~(탕평) 순임
1. 조선 정조 때 2. 인조반정 O 3. 서인이었던 정여립이 동인으로 넘어간 것으로, 이것을 빌미로 서인이 동인을 대거학살한 기축옥사와 관련있음. 이 시기는 광해군 전의 선조 시기 4. 숙종의 경신환국에 해당됨. (나) 이후 5. 현종의 예송. (나) 이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25.
밑줄 그은 ‘이 왕’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수도 방어를 위하여 금위영을 창설하였다.
2.
국가의 통치 규범인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3.
청의 요청으로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4.
농민들의 군역 부담을 줄여주고자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5.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환국, 경기도에서 시작한 대동법이 전국으로 확대 = 숙종 그리고 숙종 때 인현황후 폐위 및 복위와 관련된 기사, 갑술환국도 있었음
1. 숙종 2. 성종 3. 효종 4. 영조 5. 정조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26.
다음 대화가 이루어진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고액 화폐인 활구가 주조되었다.
2.
담배, 면화 등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3.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활동하였다.
4.
송상, 만상이 대청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였다.
5.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등장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 철폐=신해통공=정조. 즉 조선 후기
1. 고려 2. 조선 후기 3. 대동법, 광해군(임진왜란 이후이므로 조선후기) 4. 조선 후기 5. 조선 후기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27.
(가) 인물의 작품으로 옳은 것은? [1점]
1.
2.
3.
4.
5.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혜원=신윤복,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양반, 연인 관련된 그림을 많이 그림 그림을 보다시피 4번이 가장 근접함
1. 홍경래의 난(순조, 서북지역의 차별 때문에 일어남) 2. x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3. x 흥선대원군 때 : 병인박해, 제너럴셔먼호, 병인양요, 오페르트 남연군 묘 도굴 사건, 신미양요 4. O but 효과 미미, 실패 5. 동학농민운동(1894)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정조 사후(1800) 세도정치로 인해 조선은 급격한 후퇴를 맞이함 특히 삼정이 너무 문란해지고 '백낙신'이 횡포를 부림 이에 불만을 품은 '유계춘'을 중심으로 임술농민봉기(=진주농민봉기, 1862)가 일어남 철종은 이에 대해 '박규수'를 안핵사로 파견하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는 것으로 마무리 했음 하지만 딱히 효과를 보지 못함ㅠ
1. 병인박해를 빌미로 병인양요 → 프랑스가 강화도 침입 → 외규장각 약탈 2. 일본과의 최초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이 연무당 옛터에서 발생함 3. 신미양요 때 강화도를 침입한 미국에 맞서 어재연이 광성보에서 항전함 4. 병인양요 때 강화도를 침입한 프랑스에 맞서 양헌수가 정족산성에서, 한성근은 문수산성에서 항전함 5. 영국의 불법 점령은 강화도가 아니라 거문도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30.
(가), (나)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 조미 수호통상조약. 최초로 최혜국 대우를 포함, 관세 적용. 그러나 거중조정(조선-제3자 문제 발생시 미국이 개입하여 개선), 치외법권 등으로 불평등 조약이기도 함.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이후 1882년도에 청의 알선으로 체결된 조약임
(나) 조일통상장정(1883). 원래 제일 먼저 체결된 강화도 조약에서는 3무(관세x 항세x 곡식 무제한 유출 가능) 및 최혜국 대우가 적용되지 않은 조약이었으나 이후 체결된 조미 수호통상조약 때문에 일본도 관세 적용하지 않을 빌미가 없어지니까 체결된 조약이 조일통상장정임. 여기서 관세를 적용하게 되었고 특히 방곡령(1달 전에 사전 통보 후 곡물 수출 금지하는 것) 조항도 포함되어 있음
ㄱ. O ㄴ. 갑신정변(1884) 영향으로 체결된 것은 톈진조약(중일), 한성조약(조일)임 ㄷ. O ㄹ. 1차 한일협약(1904)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해설 (나) 추가 (나)만 읽어보면 조일통상장정이 1883년에 '체결'된 것처럼 나와 있습니다. 강화도조약(1876.2) 이후에 '조일무역규칙(1876.7)'을 체결하여 무항세(무관세)와 양곡의 무제한 유출을 허용하고 있었습니다. 미국과의 조약에서 관세부과를 규정함으로써 일본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조일무역규칙(1876)이 조일통상장정(1883)으로 '개정'된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방인]
31.
(가) 사절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수신사라는 이름으로 보내졌다.
2.
조선책략을 들여와 국내에 소개하였다.
3.
기기국에서 무기 제조 기술을 배우고 돌아왔다.
4.
개화 반대 여론을 의식하여 비밀리에 파견되었다.
5.
전권대신 민영익과 부대신 홍영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병원, 전신 회사, 우체국 등이 있고 미국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보빙사에 해당됨
1. 일본 2. 일, 수신사. 김홍집이 일본에서 들여옴 3. 청, 영선사 4. 조사시찰단, 일본 5. 보빙사로 미국에 간 사람 대표적으로 민영익이 있음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2. 1880년(고종 17)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 초명은 宏集)에 의해서 당시 청국 주일공사관 참찬관(參贊官)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을 기증받아 귀국해 고종(高宗)에게 복명과 동시에 바쳤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조선책략(朝鮮策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조선책략 내용추가 김홍집이 '2차 수신사'로 갔을 때 황쭌쉔(황준헌)한테 받았음. 이에 위정척사론을 기반으로 하는 영남의 이만손 등의 유생이 '영남만인소'를 올림. 그러나 이덕분에 정부는 주도적으로 서구문물을 받아들였고 조미수호통상조약(1882)을 체결하는데 영향을 줌. [해설작성자 : 살려주세요제발]
32.
밑줄 그은 ‘이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김옥균, 박영효 등이 주도하였다.
2.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3.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는 배경이 되었다.
4.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가 되었다.
5.
전국 각지에 척화비가 건립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구식 군인, 일본 공경, 흥선 대원군 = 임오군란(1882)
1. 갑신정변(1884) 2. 뒤에 헌정연구회, 대한자강회 등이 해당됨 3. 임오군란 이전 시기 4. O. 제물포 조약 5. 신미양요(1871) 이후 흥선 대원이 통상수교거부의지를 알리는 척화비를 전국 각지에 세움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33.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농민군이 백산에서 4대 강령을 발표하였다.
2.
우금치에서 농민군과 일본군이 격전을 벌였다.
3.
일본이 군대를 동원하여 경복궁을 점령하였다.
4.
보은에서 교조 신원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5.
조병갑의 탐학에 저항해 고부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동학농민운동 중에 1차, 2차가 있는데 1차 봉기 마무리인 전주화약 ~ 2차 봉기 남북접 연합 시기를 의미함 이 사이에는 앞서 갑신정변으로 인해 체결된 톈진조약으로 인해 일본도 청 따라 한국에 개입하였는데, 경복궁을 침입한 사건이 발생함
동학농민운동 1차(반봉건) 고부 봉기 → 백산 봉기 → 황토현, 황룡촌 전투 승리 → 전주성 점령 → 위기를 느낀 정부가 청에 help 요청 → 청이 개입 → 일본도 톈진조약을 빌미로 청 따라 개입(일본은 경복궁 점령) → 어..? 이게 아닌데 싶은 정부가 농민과 협상하여 전주화약을 맺음(정부 : 님들 일단 외세들 보내는 게 우선일거 같음. 우리 일단 협력해서 외세 몰아내고 해결하자 ㄱㄱ 농민들 : ㅇㅋ) 2차(반외세) 청일이 쌍으로 난리치니까 일단 쟤네들 몰아내야지 이러면서 반외세적 성격으로 변함. 먼저 남북점 연합이 동맹 → 우금치 전투 → but 실패
1. 1차 동학농민운동 고부 봉기 → 백산 봉기 시절을 말함. 이전 2. 2차 동학농민운동 남북접 연합 후 우금치 전투. 이후 4. 동학농민운동 발생 배경. 이전 5. 1차 동학농민운동. 이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34.
(가)~(다)를 발표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나) - (가)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가) 신분제 폐지(공식적으로) = 1차 갑오개혁(1894) (나) 홍범 14조 = 2차 갑오개혁(1894) (다) 단발령, 을미개혁(1895)
(가)-(나)-(다)
cf. 2차 갑오개혁의 홍범 14조나 갑신정변의 14개조처럼 해당 내용과 관련된 사건을 묻는 문제가 나올 수 있으니 대강 무슨 내용이 있는지 알아두면 좋을 듯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1882 임오군란 계기: 통리기무아문으로 인해 별기군 창설 + 구식군인 차별 결과: 통리기무아문 폐지, 청의 개입 + 대원군압송 - 군대파견의 대가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전 ↓ 1884 갑신정변(위로부터의 개혁, 김옥균 + 홍영식 중심) 계기: 청의 간섭 심화 + 일본차관 빌려오기 실패 + 급진개화파의 입지 축소로 인한 급발진 내용: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 계기로 정변일으킴, 혁신정강14개조, 전재군주제, 호조로 재정일원화 결과: 일본에 의존적, 청나라 개입으로 3일천하로 끝, 일-한성조약, 청일-톈진조약(청일전쟁계기) ↓ 1894 동학농민운동(녹두장군 정봉준) 계기: 탐관오리 조병갑이 육갑을 떨음(수탈) + 안핵사 이용태의 트롤(책임을 농민에게 돌림) 내용결과: 고부농민봉기 -> 백산봉기 -> 황토현+황룡촌 -> 전주화약(이것도 청나라와 함;) -> 일본 경복궁점령 트롤(톈진조약 때문에 군대파견을 핑계삼음) -> 남북접집합 -> 우금치전투 -> 패배 ↓ 1894 1차 갑오개혁(김홍집+흥선대원군) 1차는 수도! 군국기무처o, 의정부+8아문, 궁내부, 개국기원, 은본위제, 조세금납화, 과부재가o, 신분제x, 과거제x ↓ 1894 2차 갑오개혁(김홍집+친일파박영효) 2차는 지방! 군국기무처x, 의정부+8아문->내각+부, 지방8도->23부, 재판소o, 홍범14조, 교육입국조서(한성사범학교), 자주독립, 재판소o ↓ 1894.06~1895.04 청일전쟁 청일전쟁 결과 시모노세키조약 체결(톈진조약에 대한 복수!) -> 일본이 청나라의 랴오둥반도를 강탈함 -> 러, 프, 독의 '삼국간섭'으로 반환 ↓ 1895 을미사변 조선에 대한 일본의 간섭이 심해지자 민씨일가(명성황후)는 러시아를 끌여들여서 견제하려 함 -> 일본 깡패들 투입시켜서 명성화후 시해 ↓ 1895 을미개혁 친일내각은 을미사변을 계기로 재차 들어서고 고종은 괜찮은 척하면서 을미개혁 실시 내용: 단발령, 태양력, 건양 연호 사용, 중앙군: 친위대, 지방군: 진위대, 우체사, 종두법 결과: 단발령 때문에 을미의병(유인석, 이소응)이 일어남 ↓ 1896 아관파천 고종은 이때를 틈타 러시아 공사관으로 ㅌㅌ [해설작성자 : 살려주세요제발]
*최익현은 을사의병 [해설작성자 : 이방인]
35.
밑줄 그은 ‘관계’가 발급되던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영남 만인소에 동참하는 유생
2.
원수부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관리
3.
남연군 묘를 도굴하려는 독일 상인
4.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우는 평양 관민
5.
통신사를 수행해 일본으로 가는 역관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광무=고종, 지계=광무개혁 때 근대적 토지 소유권 대한제국(1897)이 세워진 이후 시기를 말함
1. 영남 만인소 ← <조선책략> 반대하는 것. 이전 시기 2. O. 광무개혁 때 지계 발급과 동시에 원수부라는 군대도 정비함 3. 오페르트 남연군 묘 도굴 사건(1868) 4.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5. 통신사(기유약조 이후, 인조 때)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4. 헤이그 특사는 을사늑약(1905)의 부당함을 알리려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한 일 [해설작성자 : 허당 닥터권]
37.
(가) 지역에서 있었던 민족 운동으로 옳은 것은? [2점]
1.
일왕이 탄 마차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2.
한인 자치 단체인 권업회를 조직하였다.
3.
민족 교육을 위해 서전서숙을 설립하였다.
4.
독립군 양성을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5.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탕수수, 이민 = 하와이 = 대조선 국민군단(박용만)
2. 연해주 3. 북간도 4. 서간도 5. 하와이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1.일본에서 이봉창이 한 일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일왕 마차에 투척-도쿄 이봉창 [해설작성자 : 한국사 너만 보안단 말이야~~]
38.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아관 파천의 배경이 되었다.
2.
청일 전쟁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3.
통감부가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4.
대한 제국의 군대 해산을 규정하였다.
5.
천주교 포교를 허용하는 조항이 들어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토 히로무비, 대한 제국의 외교권 박탈 = 을사늑약(1905)
1. 아관 파천(1896) 배경 = 을미사변 및 을미개혁(1895).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포함된 을미개혁으로 인해 반란이 일어나고 민심이 하락하자 목숨에 위험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대사관으로 피신함 2. 동학농민운동 때 톈진조약으로 인해 우리나라에 청,일이 들어왔고, 청일전쟁 발발하게 됨 3. 2차 한일협약=을사늑약(1905) 때 외교권 박탈과 함께 기존의 고문 정치에서 통감 정치로 넘어감, 정답 4. 한일 신협약(1907) 5. 조프 수호통상조약(1886)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39.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1.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어요.
2.
해조신문을 발간하여 국권 회복에 힘썼어요.
3.
삼균주의를 기초로 하는 건국 강령을 공포하였어요.
4.
오산 학교와 대성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전개하였어요.
5.
임시 사료 편찬회를 두어 한일 관계 사료집을 간행하였어요.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충칭, 한국광복군 = 대한민국임시정부, 1940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근거지를 어디에 누느냐에 따라 갈라짐 상하이(1919.4.11~1932) / 충칭(1940~) 각 지역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구분할 줄 알기
<문제 해설> 해당 인물은 이육사임. 근현대사 문제 중에서 어떤 인물의 일생이나 업적을 제시하고 해당 인물의 업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고르라는 문제가 나오므로 일제강점기 저항 인물들의 업적을 대강 알아두면 좋을 듯. 선지에 있는 인물들은 다 알고 있는데 제시문의 인물이 누구인지 몰라서 못 맞춤..
3. 대한 국민 노인동맹단 (강우규 선생께서 총독 사이코 마코토 마차에 폭탄을 던지셨을 때 연세는 65세였습니다.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시고 체포되어 사형 당하시는 순간까지도 나라의 장래를 생각하시는 애국지사였죠. 서울역 광장에 강우규 의사 상이 있습니다.) 4. 조선 교육회, 민립 대학 설립 기성회 [해설작성자 : 한능검심화합격하자]
46.
다음 기자 회견의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좌우 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2.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었다.
3.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4.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5.
유엔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가 결의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신탁 통치, 4개국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신탁 통치, 임시정부 수립 인정, 미소 공동위)
8.15 광복과 동시에 남북 분단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 1차 미소 공동위 → 무기한 휴회 → 이승만 정읍 발언 → 좌우 합작 위원회(but 실패) → 2차 미소 공동위 → 결렬 → UN 총회 하에 인구비례 총선거(소련 반대, 김구 읍고, 제주 4.3사건) → UN 소총회의 가능지역(남한) 총선거(5.10 총선거) → 제헌국회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but 실패), 농지 개혁 성공 → 이승만 정부 ~
1. 이승만의 정읍 발언에 남북이 분열될까 위기를 느낀 김규식과 여운형이 좌우 합작 위원회를 펼침. 좌우 합작 7원칙에는 임시정부, 친일파 X 등..) 2. 1차 미소 공동위 결렬 → 휴회 → 이승만 정읍 발언(남한만이라도 정부 세우자) 4. 5.10 총선거 이후 제헌국회 세워진 뒤임 5. 2차 미소 공동위 결렬 → 미국이 UN총회에 요청 → UN 감시 하에 남한 가능지역 총선거 → 남한 정부 출범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6.25 전쟁 순서 북한의 남침 → 북한이 부산까지 밀고 감(이 과정에서 남한이 도망치면서 북한의 추격을 늦추기 위해 한강 다리를 끊음) → 인천상륙작전 → 서울 탈환 → 통일 되려나 싶을 때 쯤에 중국군 개입 → 흥남철수(남한은 서울 뺏기고 다시 아래로 밀림) → 남한이 다시 서울을 되찾음 → 소련이 휴전 제의 → 정전 회담(포로 문제로 휴전이 지연됨) → 이승만이 반공포로 석방 → 휴전(53, DMZ) → 남한은 한미상호방위조약
1. 애치슨 선언은 미국이 다시 남한에 군사력을 행하지 않겠다고 조약한 것. 북한은 이거보고 이때다!하고 남침함 → 6.25 전쟁 발생 2. O 4. 휴전 이후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해설추가
보기 (가)는 1950년 6.25발발 이후 8월 3일 마산 왜관 영덕을 잇는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한 [다부동 전투] 설명 보기 (나)는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첫 휴전 회담이 개최됨.
흥남철수는 50년 12월 15일. 발췌개헌은 52년 7월 2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1948년 10월 19일 여수 주둔 국군 제14연대 병사들이 제주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동족상잔결사반대, 미군 철수를 주장하며 봉기했다. 군인의 봉기는 미군정에서 이승만 정권에 이르기까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불만이 고조되었던 지역 주민의 항쟁으로 발전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수 순천10.19사건 [麗水順天-事件]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해설작성자 : 여수순천사건 ㅠㅠ잊지마]
48.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1.
경부 고속 도로가 개통되었어요.
2.
귀속 재산 처리법이 제정되었어요.
3.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어요.
4.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어요.
5.
대통령의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어요.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박정희 정부
1. 박정희 정부 2. 이승만 정부 3. 김영삼 정부 4. 체결 = 노무현 정부 (실행 = 이명박 정부) 5. 김영삼 정부
한 칠레(미국) FTA 조약 체결, 실행에 대해서 대통령마다 다르므로 구분할 줄 알기!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49.
(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3·1 민주 구국 선언이 발표되었다.
2.
4·13 호헌 조치 철폐를 요구하였다.
3.
장면 내각이 출범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시위 도중 대학생 이한열이 희생되었다.
5.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와 무력 진압에 저항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계엄군, 광주 = 5.18 민주화 운동 계엄군 <-> 시민군
1. 박정희의 7차 개헌(유신헌법) 반대 2. 전두환 정부의 8차 개헌(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제) 반발, 직선제 주장 3. 4.19 혁명 4. 6월 민주항쟁 5. 5.18 민주화 운동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50.
(가) 정부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3점]
1.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2.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3.
남북 정상 회담을 처음으로 성사시켰다.
4.
이산가족 고향 방문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5.
경제 협력을 위한 개성 공단 건설을 추진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중국 최초 방문 = 북방외교(소,중) =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의 통일 : 1. 남북 UN 동시 가입, 2. 남북 기본 합의서, 3.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1. 노태우 정부 2. 박정희 정부 3. 김대중 정부(cf. 혼동하는 게 있는데 남북 "정상" 회담은 김대중, 남북 "적십자" 회담은 박정희의 7.4 남북 공동 성명임) 4. 전두환 정부 5. 김대중 정부 [해설작성자 : 연느님 사랑해요]
* 보기 5번 해설을 덧붙이자면 개성공단 건설을 추진한 건 김대중 정부이고 개성공단을 완공한 건 노무현 정부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능검심화합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