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D. Burnham의 도시디자인 철학에 따라 모든 도시들은 역사적 공간에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광장과 정원에 분수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도시 규모에 따라 공공건축물을 규제하였던 것으로 이후 미국 도시설계의 기원을 이룬 것은?
1.
도시미화운동
2.
전원도시운동
3.
보아잔계획
4.
이상도시론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전원도시운동 - 영국의 하워드의 전원 도시론에 의해 촉발되어 건강한 생활과 건전한 산업할동이 가능한 도시 실현을 위해 유럽, 미국 등의 각지에서 전개된 운동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행인]
2.
현대도시와 관련한 계획가와 관련 계획 및 주장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멈포드(L.Mumford)-근린주구단위계획
2.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대런던계획(Greater London Plan)
3.
라이트(F.L. Wright)-브로드에이커시티(Broadacre City)
4.
아베크롬비(P.Abercrobie)-부아쟁계획(Plan Voisin)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멈포드 - 지역계획가협회 르 코르뷔지에 - 빛나는 도시 (너무중요) 아베크롬비 - 대런던계획 (너무중요)
근린주구는 페리가 주장했으니 소거법으로 3번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3.
도시공간구조이론과 이론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상쇄모형 – 윌리암스(M.Williams)
2.
다핵모형-해리스(C.Harris)와 울만(E.Ulman)
3.
선형모형-호이트(H.Hoyt)
4.
동심원이론-버제스(E.Burgess)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쇄모형-알론소 [해설작성자 : ㅎㅇ]
4.
계획이론 중 총합적 계획이 갖는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과 보완에서 출발하여, 논리적 일관성이나 최적의 해결 대안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지속적인 조정과 적용을 통하여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 방법을 제시한 학자와 이론의 연결이 옳은 것은?
*점진적 계획(incremental planning): C. Lindblom 종합적 계획이 갖는 종합성의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과 보완에서 출발된 이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프리드만 - 교류적 상호교류중시, 과학적인식에 대해 비판적 다비도프 - 옹호적 약자의이익보호, 복수의 다원적인 계획 수립 팔루디 - 체계적(절차적) 효울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수립, 목표 원칙에 따라 절차 및 제도적에 관한 일반적 이론 린드블롬 - 점진적 비현실성 비판, 중앙집중적, 지속적인 조정 적용, 현실적 [해설작성자 : 옴뇸뇸]
5.
국내·국제·북한의 주요 통계를 한 곳에 모아 이용자가 원하는 통계를 한 번에 찾을 수 있도록 통계청이 제공하는 one-stop 통계 서비스는?
1.
KOSIS
2.
KLIS
3.
KOPSS
4.
KOSPI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KOrea anaySIS 국가 통계 포털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한국 토지 정보 시스템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국토 공간계획 지원 체계 /인데 사이트 통폐합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6.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테네를 제외한 대부분의 폴리스는 소규모의 성벽에 의해 도시부와 전원부로 구분되는 형태를 취하였다.
2.
도시 형태는 원칙적으로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카르도와 데쿠마누스가 격자가로망의 기초였다.
3.
시가지 내에는 아고라(Agora)라는 광장이 있어 정치 및 교역활동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4.
밀레투스, 비잔티움, 시라쿠사, 네아폴리스, 알렉산 드리아는 대표적인 그리스의 식민도시다.
인구 성장의 상한선을 미리 산정한 후 미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예측모형으로, S자형의 비대칭 곡선으로 이루어진 추세분석 모형은?
1.
등차급수 모형
2.
곰페르츠 모형
3.
로지스틱 모형
4.
회귀모형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비대칭 s자형을 그리는 것은 곰페르츠 모형이 맞으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이후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며 인구 성장의 상한선을 미리 산정하는 것은 로지스틱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보]
[오류신고 반론] 인구 상한선을 설정하는 것은 곰페르츠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문제에 비대칭 S자형이라는 명확한 근거가 있으므로 정답은 곰페르츠 모형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멋쟁이맹맹이]
12.
도시개발사업 방식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모두 옳게 나열된 것은?
1.
환지 – 입체환지 – 체비지 - 감보
2.
체비지 – 환지 – 체비지 - 감보
3.
환지 – 체비지 – 환지 - 감보
4.
체비지 – 입체환지 – 환지 – 감보
정답 : [
3
] 정답률 : 83%
13.
18~19세기에 제안된 이상도시의 계획가와 이상 도시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obert Owen: 도시 대신 단일 건물인 팔란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하였다.
2.
Buckinghan: 농업과 공업이 결합된 이상적 도시안인 이상공장촌을 제안하였다.
3.
Ledoux: 산업혁명을 의식하여 새로운 생산체제를 도입한 이상도시 쇼(Chaux)를 제안하였다.
4.
C. Fourier: 근대건축기술이나 과학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유리로 덮인 도시 빅토리아(Victoria)를 제안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Robert Owen: 뉴 라나크(평행사변형 도시계획) 제안 Buckingham: 근대건축기술이나 과학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유리로 덮인 도시 빅토리아(Victoria)를 제안하였다. C. Fourier: 도시 대신 단일 건물인 팔란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하였다.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14.
도시기능별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1.
상업지역: 기능의 활성화를 위하여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
2.
녹지지역: 생활권과 유기적으로 공원을 연결하고 녹지축을 형성해야 한다.
3.
주거지역: 지역민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안정성과 쾌적성이 좋아야 한다.
4.
공업지역: 향후 확장에 따른 환경오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 부지가 좁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4%
15.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의 성립과 변화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대 도시계획제도는 1934년 제정된 「조선시가지계획령」에서 비롯되었다.
2.
1981년 「도시계획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20년 장기의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제도화하였다.
3.
1962년 「도시계획법」이 제정되면서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도시계획체계를 확립했다.
4.
2002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각각 다른 법률에 의하여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으로 관리하도록 운영을 이원화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002년 이전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관리하도록 운영 이원화 [해설작성자 : ㅇ]
기존의 국토계획법령체계에서는 비도시지역(국토이용관리법), 도시지역(도시계획법)으로 이원화 관리함.
2002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며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을 통합하여 광역시, 시, 군 등으로 계획 [해설작성자 : 나롱]
16.
용적률이 600%이고 12층인 건축물의 건폐율은?
1.
80%
2.
40%
3.
50%
4.
60%
정답 : [
3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600 나누기 12 는 50 [해설작성자 : 나를막아줘제발]
17.
토지이용을 고도화하거나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하여 부여한 토지용도의 취지를 개별 건축물에 구체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구역으로, 도시지역 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
1.
경관지구
2.
복합용도지구
3.
개발진흥지구
4.
고도지구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에 따르면, 도시지역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은
- 토지이용을 고도화하거나 특정목적달성을 위해 부여한 토지용도의 취지를 개별건축물에 구체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구역을 뜻하고 - 용도지구는 경관지구, 고도지구, 개발진흥지구, 특정용도제한지구, 방화지구, 방재지구, 보호지구, 취락지구가 있습니다.
사실 답고르려면 용도지구의 범주 안에 없는 복합용도지구로 바로 나옵니당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용도지구는 경관, 고도, 방화, 방재, 보호, 취락, 개발진흥, 특정용도제한, 복합용도
용도지구안에 복합용도지구는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문제에서 제시한 토지이용 고도화, 특정 목적 달성화 무관하기에 정답을 2번이라 고르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복합용도지구 : 지역의 토지이용 상황, 개발 수요 및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이고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입지를 완화할 필요가 있는 지구 [해설작성자 : 부수기]
18.
토지이용계획의 역할과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토지이용의 규제와 실행수단을 제시해 준다.
2.
체계적인 계획과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여 외연적 확산을 촉진시킨다.
3.
자연적으로 보존해야 하는 지역에 대해서 토지이용에 대한 제한을 설정한다.
4.
도시의 현재와 미래 모습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도 지역을 부여하여 개발 및 관리를 추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토지이용계획으로 체계적인 계획과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여 외연적확산을 촉진시키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토니]
19.
주민의 사교, 오락, 휴식 및 공동체 활성화 등을 위하여 근린주거구역별로 설치하고, 시·군 전반에 걸쳐 계통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하는 일반광장의 종류는?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을 위하여 보행자전용도로 및 녹지체계 등과 최단거리로 연결되도록 한다.
3.
도시지역 내 간선도로의 이면도로로서 차량통행과 보행자의 통행을 구분하기 어려운 지역 중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지역에 설치한다.
4.
차량속도, 차량통행량 및 보행자의 통행량을 고려한 사전검토계획을 통해 차량속도는 시속 40km 이하로 계획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0km가 아니라 30km [해설작성자 : GJ 17학번 km]
39.
경관 분석의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호화 방법
2.
게슈탈트(Gestalt)에 의한 방법
3.
시각회랑(Visual Corridor)에 의한 방법
4.
그린 매트릭스(Green Matrix)에 의한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그린 매트릭스(Green Matrix)는 경관 분석방법이 아닌 녹지보전과 녹화추진에 관한 법정계획임(일본 도시녹지법)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40.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방음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지점의 소음도(실외소음도) 기준은?
1.
75dB 이상
2.
65dB 이상
3.
55dB 이상
4.
45dB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9%
3과목 : 도시개발론
41.
우리나라 도시개발의 흐름에서 제조업과 관광업 등 산업입지와 경제활동을 위해 민간기업 주도로 개발된 도시로, 산업·연구와 주택·교육·의료·문화 등 자족적 복합기능을 가진 도시조성을 위해 개발된 도시는?
1.
행정중심복합도시
2.
기업도시
3.
뉴타운
4.
혁신도시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뉴타운은 강북지역 개발 혁신도시는 공기업 등 회사 본사이전을 통한 지방도시 개발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같은 도시 [해설작성자 : 돌린]
42.
다음 중 토지의 취득방식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혼용방식
2.
제3섹터개발방식
3.
환지방식
4.
수용 또는 사용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제3섹터개발방식은 공동개발방식임 민간+공공 [해설작성자 : 돌ㄹ린]
43.
다음 중 개발권양도제(TD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지소유자의 개발 제한에 대한 보상을 하므로 높은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보상가격산정에 있어 시장기구를 활용할 수 없다.
3.
자원배분의 왜곡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4.
보상비용이 과다할 수 있으며, 제도의 시행에 많은 준비와 기획이 요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개발양도제(TDR)는 보상가격산정에 있어 시장기구를 활용할수 있어 자원배분의 왜곡울 방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LOCAL]
4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다른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정비구역 등을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정비사업의 추진 상황으로 보아 주거환경의 계획적 정비 등을 위하여 정비구역 등의 존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관련 규정에 따른 해당 기간을 최대 몇년의 범위에서 연장하여 정비구역 등을 해제하지 아니할 수 있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 20조(정비구역등의 해제) 제 6항 조항에 의거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규정에 따른 해당 기간을 2년의 범위에서 연장하여 정비구역등을 해제하지 아니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뚜꾸리]
45.
다음 중 역세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좁은 의미로 역사로부터 타 교통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도보로 도달할 수 있는 지역을 뜻한다.
2.
역사를 중심으로 작은 지역을 이룰 수 있는 공간으로, 도시민들에게 서비스나 편의를 제공한다.
3.
최근에는 역을 중심으로 한 복합적 토지이용을 지양하고 수송의 역할에 충실한 역세권을 개발하려고 한다.
4.
기차의 정착에 따라 종착역세권, 환승역세권, 통과 역세권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근 역세권 개발은 단순히 수송 기능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토지 이용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역 주변 지역을 상업, 업무, 주거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공간으로 개발하여 도시의 활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복합 개발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urbanism_03]
46.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분석 방법인 시나리오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시나리오적인 문장으로 표현한다.
2.
보통 현상연장형, 낙관적 시나리오, 비관적 시나리오의 3가지 종류를 준비한다.
3.
전문가에게 각 시나리오 중 어느 것이 실현된 것인가를 평가받거나 또는 각각의 시나리오의 발생확률을 평가받는다.
4.
연속된 의사결정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이해가 쉽고, 각 시나리오별 대안의 기댓값 산출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번은 의사결정나무 기법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GJ 17학번 km]
47.
도시 및 주거환경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비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재건축사업
2.
재개발사업
3.
주거환경개선사업
4.
도시환경정비사업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도시환경정비사업도 도시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정비사업이 맞지 않나요? 사전검색결과도 그렇게 나와있는데 …. [해설작성자 : 도지 19 기사오우너]
[오류신고 반론] [오류신고 정정내용] 24년 현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정비사업은 3가지입니다. 1.재건축사업 2.재개발사업 3.주거환경개선사업
도정법이 02년 제정 이후 17년 개정되어 18년에 개정된 내용으로 시행되었습니다. 그 중 18년 시행된 내용인 주택재개발사업과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재개발사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므로 4번이 정답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이에]
(407*15)/(5*0.65*(1-0.4))=3130.77m2 단위는 km2이므로 3130.77/1000=3.13km2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49.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관련한 아래 설명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1.
Special Corporation
2.
Special Purpose Corporation
3.
Project Financing Corporation
4.
Project Management Company
정답 : [
2
] 정답률 : 75%
50.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으로 정비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을 효율적으로개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것은?
1.
건축법
2.
도시개발법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정답 : [
3
] 정답률 : 84%
51.
수요예측을 위한 시계열분석법 중 다른 기법과 비교하여 이동평균법이 갖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기 분석에 사용한다.
2.
규모가 작은 신제품의 시장 예측에 사용한다.
3.
배우기 쉬우나 결과 해석이 어렵다.
4.
이용 비용이 매우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계열분석법 중 이동평균법은
- 3개월 미만 단기간 분석에 유리하고 - 신제품시장을 예측하는데 사용합니다 - 배우기 쉽고 결과해석이 '용이' 합니다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52.
수요 예측의 정성적 예측모형으로 조사하고자 하는 특정사항에 대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반복 앙케이트를 시행하여 의견을 조사하는 방법은?
1.
델파이 방법
2.
판단결정모델
3.
로짓 모형
4.
허프(Huff) 모형
정답 : [
1
] 정답률 : 86%
53.
다음 중 제3섹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기간 내의 채산성 확보가 어려움
2.
주민의 적극적인 자원봉사를 전제로 함
3.
불안정성과 실패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함
4.
공공의 안정성, 계획성과 민간의 효율성을 결합함으로써 합리적 사업 추진 가능
정답 : [
2
] 정답률 : 73%
54.
다음 중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전략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중교통지향적인 도시개발(Transit-oriented Urban Development)
2.
혼합적 토지이용(Mixed Land-use Development)
3.
직주근접개발(Job-Housing Balanced Development)
4.
도시확산개발(Urban Decentralization Development)
정답 : [
4
] 정답률 : 84%
55.
마케팅 활동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전략을 종합적으로 균형이 잡히도록 조정·구성하는 마케팅믹스(4P’s Mix)의 4P로 옳은 것은?
1.
Property, Price, Place, Pride
2.
Property, Price, Purpose, Pride
3.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4.
Product, Price, Purpose, Promotion
정답 : [
3
] 정답률 : 75%
56.
1960년대 이후 미국의 계획단위개발(PUD)의 본격적 시행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범한 고밀도단지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2.
고용기회를 갖추지 못한 채 대량의 인구를 입주시킬 우려가 있다.
3.
사도(Private street), 공동 오픈스페이스 등의 유지 관리 비용이 많이 든다.
4.
승인 과정 상 지방자치단체의 개발 관리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57.
시간대별 비용과 수입이 추정되었을 때 프로젝트의 사업성 평가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순현재가치(FNPV)
2.
내부수익률(FIRR)
3.
이전비용(Transfer Payment)
4.
수익성지수(PI)
정답 : [
3
] 정답률 : 83%
58.
도시개발법상 아래 설명에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체비지
2.
환지
3.
보류지
4.
국유지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도시개발법 제34조(체비지 등) 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에 필요한 경비에 충당하거나 규약ㆍ정관ㆍ시행규정 또는 실시계획으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일정한 토지를 환지로 정하지 아니하고 보류지로 정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를 체비지로 정하여 도시개발사업에 필요한 경비에 충당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지프(Zipf)의 순위규모법칙에 따라 수위도시의 인구가 1,000만명일 때, 2위 도시의 인구는 몇 명인가? (단, q=1이다.)
1.
500만명
2.
250만명
3.
100만명
4.
50만명
정답 : [
1
] 정답률 : 79%
72.
쇄신의 전염적 확산을 통계적 시뮬레이션 모델로 발전시킨 학자는?
1.
레벤스타인
2.
베리
3.
헤거스트란트
4.
미르달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베리는 그냥 이론 제시만 하고 헤거스트란트라는 분께서 통계적 시뮬레이숀 모-델로 발전시키셨답니다!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해거스트란트는 베리(Berry)의 쇄신확산유형이론, 각종 이론 등을 통합하여 쇄신의 전염적 확산을 통계적 시뮬레이션 모델로 발전시킨 학자임. (※정답외우는 방법 : 해커(해거스트란트)임, 원래 베리(Berry)꺼에 자기이론 통합해서 발전시킴!) [해설작성자 : 학문적 공부하지 마이소~]
73.
통일이 된 이후의 국토공간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방향이 되기 어려운 것은?
1.
국토의 일체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한다.
2.
단기간 내에 남·북의 국토공간구조를 동일화 하는 전략을 우선 추진한다.
3.
국토의 미래상을 설정하고 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한다.
4.
외부에 대해 능동적이고 진취적인 구조로 개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74.
다음 중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단, 부수되는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국토의 현황 및 여건 변화 전망에 관한 사항
2.
지하 공간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주택, 상하수도 등 생활 여건의 조성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사항
4.
재정확충 및 도시·군기본계획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10조(국토종합계획의 내용) 국토종합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한 기본적이고 장기적인 정책방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정 2017. 4. 18., 2018. 4. 17.>
1. 국토의 현황 및 여건 변화 전망에 관한 사항 2. 국토발전의 기본 이념 및 바람직한 국토 미래상의 정립에 관한 사항 2의2. 교통, 물류, 공간정보 등에 관한 신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통한 국토의 효율적인 발전 방향과 혁신 기반 조성에 관한 사항 3. 국토의 공간구조의 정비 및 지역별 기능 분담 방향에 관한 사항 4.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시책 및 지역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5. 국가경쟁력 향상 및 국민생활의 기반이 되는 국토 기간 시설의 확충에 관한 사항 6. 토지, 수자원, 산림자원, 해양수산자원 등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7. 주택, 상하수도 등 생활 여건의 조성 및 삶의 질 개선에 관한 사항 8. 수해, 풍해(風害), 그 밖의 재해의 방제(防除)에 관한 사항 9. 지하 공간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0. 지속가능한 국토 발전을 위한 국토 환경의 보전 및 개선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제1호부터 제10호까지에 부수(附隨)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선이]
75.
지역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삶의 질 차원의 지역격차 분석을 위해 이용하는 변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주차장법규상 노외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시·군 또는 자치구의 조례로 정하는 이용자 편의시설은 고려하지 않는다.)
1.
관리사무소
2.
공중화장실
3.
자동차 관련 수리시설
4.
노외주차장의 관리·운영상 필요한 편의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노외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총 시설면적의 20% 이하) - 관리사무소 및 휴게소, 공중화장실 - 노외주차장의 관리ㆍ운영상 필요한 편의시설 - 간이매점 및 자동차 장식품 판매점 - 시ㆍ군 또는 자치구의 조례로 정하는 이용자 편의시설 <수리시설은 불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건축법상 허가권자가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의 높이를 지정·공고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도시·군관리계획 등의 토지이용계획
2.
해당 가로구역이 접하는 도로의 길이
3.
도시미관 및 경관계획
4.
해당 가로구역의 상·하수도 등 간선시설의 수용 능력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도로의 길이가 아니라 도로의 너비를 고려하여 건축물의 높이를 지정.공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83.
다음 중 재정비촉진지구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거지형
2.
중심지형
3.
고밀복합형
4.
연계개발형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제 2조 (정의) "재정비촉진지구"란 도시의 낙후된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의 개선, 기반시설의 확충 및 도시기능의 회복을 광역적으로 계획하고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5조에 따라 지정하는 지구를 말한다. 가. 주거지형 : 노후ㆍ불량 주택과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으로서 주로 주거환경의 개선과 기반시설의 정비가 필요한 지구 나. 중심지형 :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의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한 지구 다. 고밀복합형 : 주요 역세권, 간선도로의 교차지 등 양호한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용이한 지역으로서 도심 내 소형주택의 공급 확대, 토지의 고도이용과 건축물의 복합개발이 필요한 지구 [해설작성자 : 코형이미워]
84.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은?
1.
국무총리
2.
국토교통부장관
3.
국토교통부 제1차관
4.
서울특별시 2급 공무원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행령 제30조(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의 구성) ① 법 제23조제1항에 따른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이하 “실무위원회”라 한다)는 위원장 1명과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은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되고, 위원은 교육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및 심의사항과 관련하여 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이 지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서울특별시의 2급 또는 3급 공무원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3급 또는 4급 공무원 중에서 소속 기관의 장이 지정한 자 각 1명과 수도권정비정책과 관계되는 분야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위원장이 위촉하는 자가 된다. <개정 2010. 3. 15., 2011. 8. 19.,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수도권정비위원회에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가 속해있는 개념 (2024.7.1. 기준 확인 내용) [해설작성자 : 루시아]
85.
도시개발법상 조합 설립의 인가를 신청하기 위한 동의 기준이 옳은 것은?
1.
해당 도시개발구역의 토지면적의 1/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 소유자와 그 구역의 토지 소유자 총 수의 1/3 이상의 동의
2.
해당 도시개발구역의 토지면적의 1/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 소유자와 그 구역의 토지 소유자 총 수의 1/2 이상의 동의
3.
해당 도시개발구역의 토지면적의 1/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 소유자와 그 구역의 토지 소유자 총 수의 2/3 이상의 동의
4.
해당 도시개발구역의 토지면적의 2/3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 소유자와 그 구역의 토지 소유자 총 수의 1/2 이상의 동의
정답 : [
4
] 정답률 : 80%
86.
주차장법령상 건축물의 연면적 중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얼마 이상인 경우를 주차전용건축물이라고 하는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제1조의2(주차전용건축물의 주차면적비율) ① 「주차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 이상이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이란 건축물의 연면적 중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 95퍼센트 } 이상인 것을 말한다. : 주차장법 시행령 [해설작성자 : 냉보리차]
87.
다음 중 산업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가 될 수 없는 자는?
1.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중소기업진흥공단
2.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에 따른 한국농어촌공사
3.
해당 산업단지개발계획에 적합한 시설을 설치하여 입주하려는 자와 산업단지개발에 관한 자문계약을 체결한 부동산투자자문회사
4.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설립된 한국산업단지공단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부동산 투자하는 회사는 개발사업을 시행할 정도까진 잘 모른다고 생각하면 될거같습니당
나머지는 다 공단/공사 예요 !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제16조(산업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 제1항 제2,3,5호 2.「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45조의17에 따라 설립된 한국산업단지공단 또는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에 따른 한국농어촌공사
3. 해당 산업단지개발계획에 적합한 시설을 설치하여 입주하려는 자 또는 해당 산업단지개발계획에서 적합하게 산업단지를 개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에 해당하는 자
5. 제3호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사업시행자(제4호에 해당하는 사업시행자의 경우에는 제3호에 해당하는 자가 제4호에 따라 설립한 법인에 한정한다. 이하 제20조의2에서 같다)와 제20조의2에 따라 산업단지개발에 관한 신탁계약을 체결한 부동산신탁업자
도시재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산업·상업·주거·복지·행정 등의 기능이 집적된 지역 거점을 우선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 지정·고시되는 지구는?
1.
도시재생활성화지구
2.
도시재생혁신지구
3.
도시재생선도지구
4.
특별재생지구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6의2. “도시재생혁신지구”(이하 “혁신지구”라 한다)란 도시재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산업ㆍ상업ㆍ주거ㆍ복지ㆍ행정 등의 기능이 집적된 지역 거점을 우선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 이 법에 따라 지정ㆍ고시되는 지구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89.
다음 중 주택법에 따른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또는 주택도시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주택으로 국민주택규모 이하인 주택을 국민주택이라 한다.
2.
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은 1호 또는 1세대당 주거전용면적이 85m2이하인 주택을 국민주택규모라 한다.
3.
주택조합은 지역주택조합, 직장주택조합, 리모델링주택조합으로 구분된다.
4.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 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국민주택규모 : 주거전용면적이 1호 또는 1세대당 85m2 이하인 주택(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은 1호 또는 1세대당 100m2 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출처: Luris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90.
계획관리지역·생산관리지역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녹지지역에서 성장관리방안을 수립한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폐율 완화기준으로 틀린 것은?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에 필요한 주택의 건설·공급 및 주택시장의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주택법
2.
택지개발촉진법
3.
자연재해대책법
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주택법 :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 조성에 필요한 주택의 건설ㆍ공급 및 주택시장의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택지개발촉진법 : 도시지역의 시급한 주택난(住宅難)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택건설에 필요한 택지(宅地)의 취득ㆍ개발ㆍ공급 및 관리 등에 관하여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과 복지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코형이미워]
막다른 도로의 길이가 35m이상인 경우, 그 도로의 너비가 최소 얼마 이상이면 건축법령상 도로로 정의되는가? (단,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지형적 조건으로 인하여 차량 통행을 위한 도로의 설치가 곤란하다고 인정하여 그 위치를 지정·공고하는 구간 및 도시지역이 아닌 읍·면지역 도로의 경우는 제외한다.)
1.
2m
2.
3m
3.
6m
4.
10m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0 은 2m 이상 -35 는 3m이상 보다 길이가 길면 6m이상 (읍,면 4m이상) [해설작성자 : 멍]
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군계획시설 사업의 시행자가 도시·군계획시설 사업에 관한 조사를 위해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고자 할 때, 출입하고자 하는 날의 며칠전까지 그 토지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인에게 그 일시와 장소를 알려야 하는가? (단,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가 행정청인 경우는 제외한다.)
1.
14일
2.
7일
3.
5일
4.
3일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군계획시설 사업의 시행자가 도시·군계획시설 사업에 관한 조사를 위해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고자 할 때, 출입하고자 하는 날의 "7일"전까지 그 토지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인에게 그 일시와 장소를 알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LOCAL]
95.
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 기준에 따라 장애인전용 주차 구획의 최소 면적은?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다.)
1.
7.2m2
2.
12.5m2
3.
16.5m2
4.
18.15m2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조항에 의거 폭 3.3m이상, 길이 5m이상으로 해야한다 3.3m x 5m = 16.5M^2 [해설작성자 : LOCAL]
참고 해설 2019년 3월부터 시행된 주차장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르면 주차구역 1면 당 면적은 △일반형 너비 2.5m·길이 5.0m △확장형 너비 2.6m·길이 5.2m 등이다. 이 같은 개정은 차량 제원의 증가(최대 13cm)와 차량 문 1단계 열림 여유폭(30° 기준) 등을 고려해 이뤄졌다.
96.
국토정책위원회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국토계획 및 정책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둔다.
2.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지역계획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3.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이다.
4.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분야별로 분과위원회를 둔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국토정택위원회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입니다.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97.
국토기본법상 다른 법률에서 다른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한 경우 국토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하는 사항은?
1.
부문별계획에 관한 사항
2.
도종합계획에 관한 사항
3.
국토계획평가에 관한 사항
4.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다른 법률에서 심의를 거친 경우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는 패스합니다 - '부문별 계획' 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후곡동뼈다귀]
98.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임대주택 및 주택규모별 건설비율에 대한 아래 내용에서 ㉠과㉡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
1.
㉠ 100분의 90, ㉡ 100분의 50
2.
㉠ 100분의 50, ㉡ 100분의 30
3.
㉠ 100분의 90, ㉡ 100분의 30
4.
㉠ 100분의 50, ㉡ 100분의 20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제 10조 (임대주택 및 주택규모별 건설비율) 1. 「주택법」 제2조제6호에 따른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이하 “국민주택규모 주택”이라 한다)이 전체 세대수의 100분의 90 이하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 2. 임대주택(공공임대주택 및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민간임대주택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전체 세대수 또는 전체 연면적의 100분의 30 이하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 [해설작성자 : 코형이미워]
99.
「도시개발법」에 의한 개발계획의 규모가 100만m2이상인 경우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확보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상주인구 1인당 3m2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5% 이상 큰 면적
2.
상주인구 1인당 5m2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7% 이상 중 큰 면적
3.
상주인구 1인당 7m2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10% 이상 중 큰 면적
4.
상주인구 1인당 9m2 이상 또는 개발 부지 면적의 12% 이상 중 큰 면적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가. 1만제곱미터 이상 3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3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5 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나. 30만제곱미터 이상 100만제곱미터 미만의 개발계획 : 상주인구 1인당 6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9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다. 100만제곱미터 이상 : 상주인구 1인당 9제곱미터 이상 또는 개발 부지면적의 12퍼센트 이상 중 큰 면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국토교통부장관이 개발제한구역을 조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기준이 아닌 것은?
1.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환경평가 결과 보존가치가 낮게 나타나는 곳으로서 도시용지의 적절한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도로(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규모란 도로만 해당)철도 또는 하천 개수로로 인하여 단절된 3천 제곱미터 미만의 토지
3.
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취락으로서 주거환경 개선 및 취락 정비가 필요한 지역
4.
도시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기반시설의 설치 및 시가화 면적의 조정 등 토지이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의 기준) 제3항 1.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환경평가 결과 보존가치가 낮게 나타나는 곳으로서 도시용지의 적절한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취락으로서 주거환경 개선 및 취락 정비가 필요한 지역 3. 도시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기반시설의 설치 및 시가화(市街化) 면적의 조정 등 토지이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5. 도로(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규모의 도로만 해당한다)ㆍ철도 또는 하천 개수로(開水路)로 인하여 단절된 3만제곱미터 미만의 토지. [해설작성자 : Gachon Univ.]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③
①
④
①
②
①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③
④
④
③
②
②
④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①
④
②
④
①
②
②
②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①
①
③
④
④
①
④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②
②
②
③
④
④
③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②
④
③
④
③
①
④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④
②
④
③
①
②
③
①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③
②
④
③
③
④
②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②
④
③
④
④
③
②
②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②
③
②
③
③
①
③
④
②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