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히빙 현상 및 보일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접 구조물의 침하 우려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시공하므로 기계설비가 비싸기 때문에 소규모공사나 심도가 깊은 기초공사에는 비효율적이다 [해설작성자 : 뚀아]
32.
PERT 공정 관리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te: 기대시간, a: 낙관적 시간, m: 정상 시간, b: 지관적 시간)
1.
경험이 없는 공사의 공기 단축을 목적으로 한다.
2.
결합점(Node) 중심의 일정 계산을 한다.
3.
3점 시간 견적법에 따른 기대시간은 로 계산한다.
4.
3점 시간 견적법에서 시간 간의 관계는 비관적 시간 < 정상 시간 < 낙관적 시간이 성립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간치의 상호관계를 다음 식을 표시한다 낙관적 시간 =< 정상적 시간 =< 비관적 시간 [해설작성자 : 아동확대범]
PERT 기법은 Event 중심 [해설작성자 : 잭0603]
33.
이동식 작업차 또는 또는 가설용 트러스를 이용하여 교각의 좌, 우로 평형을 유지하면서 분할된 거더(길이 2~5m)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교량 가설공법은?
1.
FCM 공법
2.
FSM 공법
3.
ILM 공법
4.
MSS 공법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외팔보공법(FCM) : 세그먼트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갖춘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하여 시공해 나가는 방법 동바리공법(PSM) : 콘크리트 치기를 하는 경간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자중 등의 하중을 일시적으로 동바리가 지지하는 방식 연속압축공법(ILM) : 시공부위의 모멘트 감소를 위해 steel noss(추진코)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 이동식동바리공(MSS) : 교각위에 브래킷 설치 후 그 위를 이동하며 콘크리트 타설 [해설작성자 : 아동확대범]
34.
딥퍼의 용량이 0.6m3, 딥퍼 계수가 0.85, 작업효율이 0.9, 흙의 토량변화율(L)이 1.2, 사이클 타임이 25초인 파워 셔블의 시간당 작업량은?
<문제 해설> 지반의 지질 변화에 대한 적용 범위가 한정된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36.
콘크리트 포장에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현상은?
1.
scaling
2.
spalling
3.
blow up
4.
pumping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Scaling (스케일링) 콘크리트 표면이 얇게 벗겨지는 현상 주로 동결융해 작용, 제빙제(염화칼슘 등) 사용, 또는 표면 마감 불량으로 발생 표면층이 조각조각 얇게 떨어져 나감
2. Spalling (스폴링) 콘크리트 내부 철근 부식, 화재, 급격한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표면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파손되는 현상 scaling이 얇게 벗겨지는 거라면, spalling은 더 깊고 국부적인 파괴
3. Blow up (블로우업) → 정답 콘크리트 포장에서 줄눈부에 이물질이 끼고 기온 상승 시 팽창 → 줄눈 닫힘 → 더 이상 팽창 공간이 없음 이때 압축응력이 집중되어 슬래브가 들려 올라오는 현상 주로 여름철 도로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
4. Pumping (펌핑) 차량 하중이 반복될 때, 슬래브 밑의 물과 고운 흙 입자가 펌프질처럼 뿜어져 나오는 현상 결과적으로 지지력 저하, 공극 발생, 슬래브 파손으로 이어짐 [해설작성자 : NHJ]
37.
댐의 그라우팅(grou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커튼 그라우팅(curtain groutin)은 기초 암반의 변형성이나 강도를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consolidation grouting)은 기초 암반의 지내력 등을 개량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3.
콘택트 그라우팅(contact grouting)은 시공이음으로 누수 방지를 위하여 실시한다.
4.
림 그라우팅(rim grouting)은 콘크리트와 암반사이의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커튼 그라우팅은 기초암반에 침투하는 물을 차수할 목적으로 시공 콘택트 그라우팅은 암반위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 암반부의 사이의 공극 충진을 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림 그라우팅은 차수대를 연장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차수 그라우팅에 준하여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 중 목면, 마사, 폐지 등을 물에서 혼합하여 원지를 만든 후 여기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켜 만든 것으로 아스팔트 방수의 중간층재로 사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타일(tile)
2.
아스팔트 펠트(felt)
3.
아스팔트 시멘트(cement)
4.
아스팔트 콤파운드(compound)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스팔트 타일: 아스팔트에 합성수지, 석면, 광물질의 분말 등을 가열하여 혼합한 것. -아스팔트 컴파운드: 아스팔트에 동식물의 섬유나 광물질의 분말을 추가하여 아스팔트의 단점을 보완한 것. -아스팔트 펠트: 종이 섬유와 동식물성 섬유를 섞은 벨트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방수지.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47.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클 것
2.
크고 작은 알맹이의 혼합이 적당할 것
3.
깨끗하고 불순물이 섞이지 않을 것
4.
골재의 모양은 모나고 길어야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모양이 입방체 또는 구형에 가까워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트에가자]
48.
어떤 석재를 건조기(105±5℃) 속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질량을 측정해보니 1000g이었다. 이것을 완전히 흡수시켜 물속에서 질량을 측정해보니 800g 이었고 물속에서 꺼내 표면을 잘 닦고 질량을 측정해보니 1200g이었다면 이 석재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비중은?
1.
1.50
2.
2.50
3.
2.75
4.
3.00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000/(1200-800) [해설작성자 : 쏘왓]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위에 분은 기초저면 바닥과 지하수위가 일치하지 않을 때의 r1공식 사용하셨는데 여기서는 기초저면 바닥이 자하수위와 일치하기 때문에 r1=rsub 따라서, r1=19-9.81 r2=rt=17 정사각형기초이므로 알파=1.3 베타=0.4 1.3×50×18+0.4×3×(19−9.81)×5+17×2×7.5=1480.14 [해설작성자 : 밍고아뵤]
75.
그림과 같은 지반내의 유선망이 주어졌을 때 폭 10m에 대한 침투 유량은? (단, 투수계수(K)는 2.2×10-2cm/s이다.)
1.
3.96 cm3/s
2.
39.6 cm3/s
3.
396 cm3/s
4.
3960 cm3/s
정답 : [
4
] 정답률 : 37%
76.
어떤 모래층의 간극비(e)는 0.2, 비중(Gs)은 2.60이었다. 이 모래가 분사현상(Quick Sand)이 일어나는 한계 동수경사(ic)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