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법 제24조제1항에 따른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이하 “산업안전보건위원회”라 한다) 또는 법 제75조제1항에 따른 안전 및 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이하 “노사협의체”라 한다)에서 심의ㆍ의결한 업무와 해당 사업장의 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규정(이하 “안전보건관리규정”이라 한다)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2.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3. 법 제84조제1항에 따른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하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라 한다)과 법 제8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이하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이라 한다)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4.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5.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 건의 6.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ㆍ분석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보좌 및 지도ㆍ조언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ㆍ관리ㆍ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8.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으로 정한 안전에 관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9.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ㆍ유지 10. 그 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② 사업주가 안전관리자를 배치할 때에는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 등 해당 사업장의 작업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③ 사업주는 안전관리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외부전문가의 평가ㆍ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④ 안전관리자는 제1항 각 호에 따른 업무를 수행할 때에는 보건관리자와 협력해야 한다.
⑤ 안전관리자에 대한 지원에 관하여는 제14조제2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안전관리자”로, “법 제15조제1항”은 “제1항”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제18조 안전관리자의 업무 등]
[시행 2021. 4. 1.] [대통령령 제31004호, 2020. 9. 8., 일부개정] 제22조(보건관리자의 업무 등) ① 보건관리자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4. 법 제110조에 따라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해설작성자 : 제22조 보건관리자의 업무 등]
10.
재해조사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인적, 물적 양면의 재해요인을 모두 도출한다.
2.
책임 추궁보다 재발 방지를 우선하는 기본태도를 갖는다.
3.
목격자 등이 증언하는 사실 이외의 추측의 말은 참고만 한다.
4.
목격자의 기억보존을 위하여 조사는 담당자 단독으로 신속하게 실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2인의 담당자가 조사 [해설작성자 : 마크퀸]
제3자의 입장에서 공정하게 조사하며 그러기 위해 조사는 2인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김온지]
<문제 해설> 브레인스토밍 4원칙 1. 타인 의견에 비판 금지 2. 자유분방한 의견 제시 3. 질보다는 양 추구하여 다수 의견 제시 4. 타인 의견에 수정 의견 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기계등에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곤돌라
2.
연삭기
3.
사출성형기
4.
고소 작업대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022년 08월 16일 개정된 규정]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22. 8. 18.] [대통령령 제32873호, 2022. 8. 16., 일부개정] 제74조(안전인증대상기계등) ① 법 제84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 또는 설비 가. 프레스 나. 전단기 및 절곡기(折曲機) 다. 크레인 라. 리프트 마. 압력용기 바. 롤러기 사.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아. 고소(高所) 작업대 자. 곤돌라
20.
안전관리조직의 유형 중 라인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안전지식과 기술축적이 용이하다.
3.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뿐이므로 간단명료하다.
4.
독립된 안전참모 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 L&S 2.안전지식과 기술축적이 용이하다. → S 3.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뿐이므로 간단명료하다. → L 4.독립된 안전참모 조직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 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정신상태 불량에 의한 사고의 요인 중 정신력과 관계되는 생리적 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경계통의 이상
2.
육체적 능력의 초과
3.
시력 및 청각의 이상
4.
과도한 자존심과 자만심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신력과 관계되는 생리적 현상 1. 시력과 청각의 이상 2. 신경계통의 이상 3. 육체적 능력의 초과 4. 근육운동의 부적합 5. 극도의 피로
과도한 자존심과 자만심 은 개성적 결함의 요소이다. 개성적 결함의 요소 1. 과도한 자존심과 자만심 2. 다혈질 및 인내력 부족 3. 약한 마음 4. 감정적의 장기 지속성 5. 도전적 성격 6. 경솔성 7. 과도한 집착성 8. 배타성 9. 게으름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22.
선발용으로 사용되는 적성검사가 잘 만들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방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산업심리학에서의 견물효과 : 연구나 조사 중에 관찰 대상이 자신이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행동이나 반응이 변하는 현상 비교군-호손의 공장실험(호손효과) : 연구 대상자가 연구나 실험에 참여하면서 주목받고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행동이나 성과가 개선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건안기 1트 합격가즈아]
28.
안전보건교육의 단계별 교육 중 태도교육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동작 및 표준작업방법의 습관화
2.
안전장치 및 장비 사용 능력의 빠른 습득
3.
공구·보호구 등의 관리 및 취급태도의 확립
4.
작업지시·전달·확인 등의 언어·태도의 정확화 및 습관화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안전장치 및 장비 사용 능력의 빠른 습득 → 기능교육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29.
O.J.T(On the Job Train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4.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2.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 OFF.J.T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30.
인간의 심리 중에는 안전수단이 생략되어 불안전 행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안전수단이 생략되는 경우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식과잉이 있을 때
2.
교육훈련을 실시할 때
3.
피로하거나 과로했을 때
4.
부적합한 업무에 배치될 때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수단을 생략(단락)하는 경우 1. 의식, 과잉 2. 피로, 과로 3. 주변 영향
구안법 교사가 주도하는 기존의 암기식 교과내용 중심의 지도법에서 탈피하여 학생중심으로 생활 그 자체를 교육으로 간주하는 교육원리.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학습법. [해설작성자 : Pepsi]
3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에서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1.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채용 시 교육,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1)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 2) 작업 개시 전 점검 3) 정리정돈 및 청소 4) 사고발생시 긴급조치 5)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6)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7)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 8)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 [해설작성자 : ns]
근로자 정기교육 내용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 직무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관리감독자교육 내용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 직무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 *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 * 산재보상보험제도 *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 현장 근로자와의 의사소통능력 향상, 강의능력 향상, 기타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등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인]
34.
학습이론 중 S-R 이론에서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간의 원리
2.
일관성의 원리
3.
기억의 원리
4.
계속성의 원리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파블로프(Pavlov)의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 : 일관성, 계속성, 강도, 시간의 연속성(원리) [해설작성자 : 파블로프(Pavlov)의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
35.
허시(Hersey)와 브랜차드(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 리더십의 4가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제적 리더십
2.
지시적 리더십
3.
참여적 리더십
4.
위임적 리더십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허시&블랜차드(Hersey&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 1) 능력과 의지가 모두 낮은 경우(R1): 지시형 리더 2) 능력은 낮으나 의지가 높은 경우(R2): 설득형 리더 3) 능력은 높으나 의지가 낮은 경우(R3): 참여형 리더 4) 능력과 의지가 모두 높은 경우(R4): 위임형 리더 [해설작성자 : ns]
허쉬브랜챠드 위임형 / 참여형 / 설득형 / 지시형 허쉬브랜드초콜렛 // '위'기다 '참'지못할 '설'사 '지'사제 먹어! 허쉬브랜드 - 위 참 설 지 [해설작성자 : 진주곰]
36.
안전교육 훈련의 기술교육 4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준비단계
2.
보습지도의 단계
3.
일을 완성하는 단계
4.
일을 시켜보는 단계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안전교육 및 심리 중 위험 및 예지훈련 4단계 1단계 : 현상파악 : 어떤 위험이 잠재하고 있는가? (사실의 파악) 2단계 : 본질추구 : 이것이 위험의 포인트 (원인을 찾다) 3단계 : 대책수립 : 어떻게 할 것인가? (대책을 세움) 4단계 : 목표설정 : 이렇게 하자. (행동계획을 결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안전교육 훈련의 기술적교육 4 단계 1단계: 준비단계(도입) 2단계: 일을 해보이는 단계 (실연) 3단계: 일을 시켜보는 단계 (실습) 4단계: 보습 지도의 단계(확인)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37.
휴먼에러의 심리적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입력 오류(input error)
2.
시간지연 오류(time error)
3.
생략 오류(omission error)
4.
순서 오류(sequential error)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휴먼 에러 - 내적 요인(심리적 요인) ① 지식 부족 / ② 의욕이나 사기 결여 / ③ 서두르거나 절박한 상황 / ④ 체험적 습관 / ⑤ 선입관 / ⑥ 주의 소홀 / ⑦ 과다자극, 과소자극 / ⑧ 피로 [해설작성자 : David.T.Lee]
입력오류 → 행동적 요인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스웨인의 인적에러 분류를 묻는 질문입니다.
인적에러의 분류(Swain의 저서에서 인용) (1) Omission Error-필요한 작업 내지 단계를 수행하지 못했던 에러. (2) Commission Error-작업 및 단계를 수행했지만 실수하고 있었다. (3) Extraneons Act-수행해서는 안 될 불필요한 작업 내지 행동을 도입했다. (4) Sequential Error-작업수행의 순서를 착각했다. out-of sequence에서 수행했다. (5) Time Error-소정의 시간에 수행하지 못했다, 서둘렀다, 너무 더뎠다. [해설작성자 : 하이마음]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안전교육방법은?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3.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TWI : 주로 관리감독자를 교육대상으로하며 직무에 관한 지식, 작업을 가르치는 능력(작업지도), 작업방법을 개선하는 기능 등을 교육하는 기업내 정형교육(부하통솔법, 안전관리법)
MTP : 중간계층 관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
ATT : 정책수립, 조직통제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교육
CCS : 경영자에 대한 정형적인 교육으로 ATP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하이마음]
39.
다음은 리더가 가지고 있는 어떤 권력의 예시에 해당하는가?
1.
보상권력
2.
강압권력
3.
합법권력
4.
전문권력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조직이 지도자에게 부여하는 권력 보상권력 강압권력: 적절한 처벌을 통해 효과적인 통제유도 ( 승진탈락, 임금삭감, 해고 등) 합법 권력
지도자 자신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권력 준거권력 전문권력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40.
몹시 피로하거나 단조로운 작업으로 인하여 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의 의식 수준으로 옳은 것은?
1.
phase l
2.
phase Ⅱ
3.
phase Ⅲ
4.
phase Ⅳ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의식수준 5단계**
단계 주의 상태 신뢰도 비고 0 수면 중 0 의식의 단절, 의식의 우회 Ⅰ 졸음 상태 0.9 이하 의식수준의 저하 Ⅱ 일상 생활 0.99 ~ 0.99999 Ⅲ 적극 활동 0.99999 이상 주의집중 (15분 이상 불능) Ⅳ 과긴장 0.9 이하 주의의 일점집중 [해설작성자 : 의식수준 5단계]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로 옳은 것은?
1.
Command error
2.
Extraneous error
3.
Secondary error
4.
Commission error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extraneous error: 불필요한 task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서 기인한 error
1. command error: 요구된 것을 실행하고자 하여도 필요한 물건, 정보, 에너지등의 공급이 없는 것처럼 작업자가 움직이려해도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발행하는 error 3. secondary error: 작업형태나 작업조건 중에서 다른문제가 생겨 그 때문에 필요한 사항을 실행할 수 없는 error, 어떤 결함으로부터 파생하여 발생하는 error 4. commision error: 필요한 task 또는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으로 인한 error [해설작성자 : pjd7828]
**(Swanin의 분류) 휴먼에러의 심리적 분류 omissoin error (생략오류)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데 기인한 에러 Time error (시간오류) : 절차의 수행지연으로 인한 에러 Commission error(작위오류) :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으로 인한 에러 Sequencial error(순서오류) : 절차의 순서착오로 인한 에러 Extraneous error(과잉행동 오류) :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생기는 에러 [해설작성자 : 휴먼에러 분류]
** 원인의 레벨적 분류** Primary error :작업자 자신으로부터 발생한 에러 Secondary error : 작업형태, 작업조건 중 문제가 생겨 발생한 에러 Command error : 작업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발생한 에러 [해설작성자 : 원인의 레벨적 분류]
42.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구의 기능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그 위치를 정해준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동작경제의 3원칙 (1)동작능력의 활용의 원칙 1)발 또는 왼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오른손을 사용하지 않는다. 2)양손으로 동시에 작업을 시작하고 동시에 끝낸다. 3)양손이 동시에 쉬지 않도록 함이 좋다. (2)작업량 절약의 원칙 1)적게 움직이게 한다. 2)재료나 공구는 취급하는 부근에 정돈한다. 3)동작의 수를 줄인다. 4)동작의 량을 줄인다. 5)물건을 장시간 취급할 경우에는 장구를 사용할 것 (3)동작개선의 원칙 1)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로 한다. 2)양손은 동시에 반대의 방향으로, 좌우대칭적으로 운동한다. 3)관성, 중력 기계력 등을 이용한다. 4)작업장의 높이를 적당히 하여 피로를 줄인다. [해설작성자 : pjd7828]
43.
컷셋(Cut Sets)과 최소 패스셋(Minimal Path Sets)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컷셋은 시스템 고장을 유발시키는 필요최소한의 고장들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표시한다.
2.
컷셋은 시스템 고장을 유발시키는 기본고장들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불신뢰도를 표시한다.
3.
컷셋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표시한다.
4.
컷셋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성공을 유발하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F.T.A(결함수 분석법) 중 (6) 컷과 패스 1)컷(cut):컷이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여기서는 통상사상, 생략 결함 사상 등을 포함한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을 말한다. 2)미니멀 컷(minimal cut):컷 중 그 부분집합만으로는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것, 즉 정상사상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컷을 미니멀 컷이라 한다. 3)패스(path)와 미니멀 패스(minimal path):패스란 그 속에서 포함되는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처음으로 정상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으로서, 미니멀 패스는 그 필요한 최소한의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신뢰도 (1)인간-기계체계의 신뢰도(r1:인간, r2:기계) 1)직렬(series system) Rs(신뢰도)= r1 x r2 (r1<r2로 보면 Rs는 r1보다 작거나 같다) 2)병렬(parallel system) Rs(신뢰도)= r1 + r2(1-r1)(r1<r2로 보면 Rs는 r2보다 크거나 같다) = 1-(1-r1)(1-r2) (2)설비의 신뢰도 1)직렬연결:자동차운전 Rs=R1 X R2 X R3 ... Rn 2)병렬연결:열차나 항공기의 제어장치 Rp=1-(1-R1)(1-R2)...(1-Rn) (3)리던던시 방식 1)병렬 리던던시 2)대기 리던던시 3)M out of N 리던던시(N개중 M개 동작 시 계는 정상) 4)스페어에 의한 교환 5)페일 세이프(fail saf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Chapanis가 정의한 위험의 확률수준과 그에 따른 위험발생률로 옳은 것은?
1.
전혀 발생하지 않는(impossible) 발생빈도 : 10-8/day
2.
극히 발생할 것 같지 않는(extremely unlikely) 발생빈도 : 10-7/day
3.
거의 발생하지 않은(remote) 발생빈도 : 10-6/day
4.
가끔 발생하는(occasional) 발생빈도 : 10-5/day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자주:10^-2/day 2)보통:10^-3/day 3)가끔:10^-4day 4)거의 발생하지 않는:10^-5/day 5)극히 발생할 것 같지않은:10^-6/day 6)전혀 발생하지 않는:10^-8/day [해설작성자 : U]
46.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 중 정성적 평가방법의 주요 진단 항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건조물
2.
취급물질
3.
입지 조건
4.
공장 내 배치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 (1)안전성 평가의 5단계 1단계:관계자료의 작성준지 / 2단계:정성적 평가 / 3단계:정량적 평가 / 4단계:안전대책 / 5단계:재평가
**정량적인 평가 항목은 취급물질, 화학설비의 용량, 온도, 압력, 조작 등. [안정성 평가 6단계]
1단계 : 관계자료 정비 검토 2단계 : 정성적인 평가(입지조건, 공장 내 배치, 소방설비, 공정 기기, 수송 저장, 원재료, 중간재, 제품) 3단계 : 정량적인 평가(취급물질, 화학설비의 용량, 온도, 압력, 조작) 4단계 : 안전대책 수립 5단계 : 재해사례에 의한 평가 6단계 : FTA에 의한 재평가
**정성적 평가 항목** - 당해 화학설비의 취급물질, 용량, 온도, 압력 및 조작의 5항목에 대해 A,B,C,D급으로 분류하고 A급:10점, B급:5점, C급:2점, D급:0점 으로 부여한 후 5항목에 관한 점수들의 합을 구한다. 등급 | 점수 | 내 용 ======================================================= 등급 I | 16점이상 | 위험도가 높다. 등급 II | 11~15점이하 | 주위상황,다른 설비와 관련해서 평가 등급 III | 10점 이하 | 위험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 ]
<문제 해설> 인체계측 (1) 인체계측자료의 응용원칙 1)최대치수와 최소치수:최대치수 또는 최소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한다. 2)조절범위(조절식):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에 맞도록 만드는 것이다. 3)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최대치수나 최소치수, 조절식으로 하기 곤란할 때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한다. [해설작성자 : pjd7828]
49.
작업공간의 배치에 있어 구성요소 배치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능성의 원칙
2.
사용빈도의 원칙
3.
사용순서의 원칙
4.
사용방법의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용빈도,중요도,기능별,사용순서의 원칙에 의해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인간의 위치 동작에 있어 눈으로 보지 않고 손을 수평면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짧은 거리는 지나치고, 긴 거리는 못 미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사정효과(range effect)
2.
반응효과(reaction effect)
3.
간격효과(distance effect)
4.
손동작효과(hand action effect)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신체활동 및 생리적 배경 (1)지구력(endurance):사람은 자기의 최대근력을 잠시동안만 낼 수 있으며 근력의 15%이하의 힘은 상당히 오래 유지할 수 있다. (2)동작의 속도와 정확성 1)반응시간(reaction time):동작을 개시할때 까지의 총시간을 말한다. 2)단순반응시간(simple reaction time):하나의 특정한 자극만이 발생할 수 있을때 반응에 걸리는 시간으로 자극을 예상하고 있을때 반응시간은 0.15~0.2초 정도이다.(특정감관,강도,지속시간등의 자극의 특성, 연령, 개인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 3)자극이 가끔 일어나거나 예상하고 있지 않을 때 반응시간은 약 0.1초가 증가한다. 4)동작시간: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0.3초(조종활동에서의 최소치)이다. 따라서, 총 반응시간=단순반응시간+동작시간=0.2+0.3=0.5초 (3)사정효과(range effect):눈으로 보지않고 손을 수평면상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짧은거리는 지나치고 긴거리는 못미치는 경향을 말하며 조작자가 작은오차에는 과잉반응, 큰오차에는 과소반응을 하는 것이다. (4)전전(tremor;잔잔한 떨림)을 감소시키는 방법 1)시각적 참조 2)몸과 작업에 관계되는 부위를 잘 받친다. 3)손이 심장높이에 있을 때가 손 떨림이 적다. 4)작업대상물에 기계적 마찰이 있을 때 [해설작성자 : pjd7828]
51.
다음 현상을 설명한 이론은?
1.
피츠(Fitts) 법칙
2.
웨버(Weber) 법칙
3.
신호검출이론(SDT)
4.
힉-하이만(Hick-Hyman)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독일 의 생물학자 인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 와 독일 의 심리학자 인 구스타프 페히너 가 발견한 법칙이다. 흔히 베버의 법칙 (Weber's law)라고도 불린다. 베버-페히너의 법칙이란 감각기에서 자극의 변화를 느끼기 위해서는 처음 자극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자극을 받아야 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멋쟁이]
피츠의법칙: 사용성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에서 대해 속도와 정확성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법칙 시작점에서 목표로 하는 지역에 얼마나 빠르게 닿을 수 있을지를 예측 [해설작성자 : U]
52.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는?
1.
정보의 내용이 복잡하고 긴 경우
2.
정보가 공간적인 위치를 다룬 경우
3.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4.
수신 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순응이 요구될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청각적 표시 장치 (1) 청각적 표시장치가 시각적인 것보다 효과가 있는 경우 1)신호원 자체가 음일 때 2)무전기의 신호, 항로 정보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제시할 때 3)음성 통신 경로가 전부 사용되고 있을 때(청각적 신호는 음성과는 확실히 구별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pjd7828]
*청각적/시각적 표시장치 1. 정보의 길이가 짧고 간단한 경우/ 정보의 내용이 복잡하고 긴 경우 2. 재참조 되지 않음/재참조 됨 3. 시간적인 사상을 다룬다/공간적인위치를 다룬다 4.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을때 5. 시각계통이 과부하일 때/청각계통이 과부하일 때 6. 주위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일 때/주위가 너무 시끄러울 때 7. 자주 움직이는 경우/한곳에 머무르는 경우 [해설작성자 : 홍콩]
53.
서브시스템, 구성요소, 기능 등의 잠재적 고장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위험을 파악하는 위험 분석 기법으로 옳은 것은?
1.
ETA(Event Tree Analysis)
2.
HEA(Human Error Analysis)
3.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
4.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고장의 형과 영향 분석(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1)FMEA : 시스템 안전분석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요소의 고장을 형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각 요소의 1형식 고장이 시스템의 1영향에 대응한다.) [해설작성자 : pjd7828]
54.
정신작업 부하를 측정하는 척도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때 심박수의 변동, 뇌 전위, 동공 반응 등 정보처리에 중추신경계 활동이 관여하고 그 활동이나 징후를 측정하는 것은?
<문제 해설> 인간 - 귀납적 기계 - 연역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시스템의 수명 및 신뢰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렬설계 및 디레이팅 기술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직렬시스템에서는 부품들 중 최소 수명을 갖는 부품에 의해 시스템 수명이 정해진다.
3.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의 평균 수명(MTBF)은 평균 고장률(λ)과 정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4.
수리가 불가능한 구성요소로 병렬구조를 갖는 설비는 중복도가 늘어날수록 시스템 수명이 길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3.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의 평균 수명(MTBF)은 평균 고장률(λ)과 정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MTBF = MTTR + MTTF MTBF = 가동시간/고장건수 (가동시간 = 부하시간 - 고장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시스템의 평균 수명(MTBF)은 평균 고장률(λ)과 반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평균 고장률 불변시) MTBF = 1/λ [해설작성자 : 안전잼민이]
5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해당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하는 대상은?
1.
시·도지사
2.
관할 구청장
3.
고용노동부장관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ㆍ제출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에서 정하는 유해ㆍ위험 방지에 관한 사항을 적은 계획서(이하 “유해위험방지계획서”라 한다)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다만, 제3호에 해당하는 사업주 중 산업재해발생률 등을 고려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주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스스로 심사하고, 그 심사결과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작업면상의 필요한 장소만 높은 조도를 취하는 조명은?
1.
완화조명
2.
전반조명
3.
투명조명
4.
국소조명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작업면상의 필요한 장소만 높은 조도를 취하는 조명 : 국소조명 [해설작성자 : 날라리절세미녀]
60.
자동차를 생산하는 공장의 어떤 근로자가 95 dB(A)의 소음수준에서 하루 8시간 작업하며 매 시간 조용한 휴게실에서 20분씩 휴식을 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8시간 시간가중평균(TWA)은? (단, 소음은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로 측정하였으며, OSHA에서 정한 95dB(A)의 허용시간은 4시간이라 가정한다.)
1.
약 91 dB(A)
2.
약 92 dB(A)
3.
약 93 dB(A)
4.
약 94 dB(A)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소음에 대한 노출 기준 - 우리나라의 노출기준(8시간) : 90dB(5dB 변화율) T = 8/2^[(LL-90)/5] LL = 16.61log(8/T)+90dB(A) T = 노출지속시간 LL = 허용소음한계
<문제 해설> 1.히스토그램 2.특성요인도 3.파레토도 4.체크시이트 5.각종 그래프 및 관리도 6.산점도 7.층별 [해설작성자 : 품질관리를 위한 7가지 도구]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 수법 - 7가지 도구] ① 그래프 - 관리도 :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중심선이나 한계선을 기입한 것 ② 산점도 - 상관도 : 두 개의 짝으로 된 데이터가 항목의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가를 나타냄 ③ 특성요인도 - 원인결과도 :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냄 ④ 히스토그램 - 분포도 : 길이, 무게, 시간, 경도, 두께 등을 측정하는 계량 값을 나타냄 ⑤ 파레토도 - 영향도 : 불량, 고장 등의 건수(손실금액)을 항목별로 나누어 나타냄 ⑥ 층별 - 부분집단도 : 필요한 요인마다 데이터를 구분해서 잡는 것 ⑦ 체크시트 - 집중도 : 불량수, 결점수 등 데이터가 분류 항목의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가를 나타냄 [해설작성자 : David.T.Lee]
62.
벽돌공사 시 벽돌쌓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2.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미식 쌓기 또는 불식쌓기로 한다.
3.
하루의 쌓기 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한다.
4.
세로줄눈은 구조적으로 우수한 통줄눈이 되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미식 쌓기 또는 불식쌓기로 한다. → 영식 쌓기 또는 화란식 쌓기
3.하루의 쌓기 높이는 1.8m를 표준으로 한다. → 최소 1.2M 최대1.5M
4.세로줄눈은 구조적으로 우수한 통줄눈이 되도록 한다. → 세로줄눈은 통줄눈이 되지 않도록 한다.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이 되도록한다. [해설작성자 : 스머프]
6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정표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횡선식 공정표
2.
CPM
3.
PDM
4.
LOB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공정표(공정관리 기법)의 종류 1) Gantt Chart:횡선식공정표(Bar Chart)=막대그래프 1920년에 미 육군 병기국 Henry L.Gantt가 예정과 실행과의 비교를 표시하는 방법을 고안 > 전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공정표로 작성 및 이해하기가 쉬움. 종류: a.횡선식 공정표:공정별 공사를 종축에 순서대로 나열하고, 횡축에 날짜를 표기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공정을 횡선으로 표시한 공정표. b.사선식 공정표:횡선식 공정표와 같이 작업의 관련성은 나타낼 수 없으나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 데 편리한 공정표. 특징: ㄱ.계획 실적대비편리 ㄴ.단기간 계획 시 유리 ㄷ.시작과 끝이 확실 ㄹ.공종 간 연관 관계 표시가 어렵다.(대책:Linked Bar Chart) 2)Mile Stone Chart(이정계획) 3)Net work 공정표 a.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w Technique) -신규,경험없는 사업, 공기단축 -목표 기일에 작업을 완성하기 위한 시간,자원,기능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project의 일정과 cost의 관리를 위한 기법 b.CPM(Critcla Path Method)(화살표도식=Activity on arrow):ADM공정표 - 다소 복잡,건설업에 적합,경험이 많은 PROJECT에적용, 일점시간추정(확정적시간),일정중심관리(장비,자재,인원등의 자원 조달이 완벽하다 고 보고 관리함) - 공정 간의 선후 관계를 표현. - 공정 명을 화살표상에 기입 - 반복,경험이 있는 사업,공비절감 - 작업 시간에 비용을 결부시켜 MCX(minimum cost expediting)공사의 비용 곡선을 구하여 급속계획의 비용증가를 최소화한 것으로 공비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기법 c.ADM(Arrow Diagramming Method=IJ식 공정표):PERT,CPM공정표를 말함 d.PDM(Procedencd Diagramming Method)(연관도표=마디도표) >반복적이고 많은 작업이 동시에 일어날 때에 network작성에 더욱 효율적이고 node안에 작업과 소요일수 등 공사의 관련 사항이 표기
4)곡선식 공정표(바나나곡선=공정관리곡선)
* LOB (Line of Balance) - 기울기가 크면 작업이 빨리 진행되는 것, 기울기가 작으면 작업이 늦어지는 것. - 고층 건축물 또는 도로공사와 같이 반복되는 작업들에 의하여 공사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작업들이 소요되는 자원의 활용이 공사기간을 결정 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 LOB 기법은 반복작업에서 각 작업조의 생산성을 유지시키면서, 그 생산성을 기울기로 하는 직선으로 각 반복작업의 진행을 표시하여 전체 공사를 도식화하는 기법이다. = LSM(Linear Scheduling Method)기법 [해설작성자 : 공정표의 종류]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관리에서 활용되는 비파괴시험(검사) 방법으로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는 것은?
일명 테이블 폼(table form)으로 불리는 것으로 거푸집널에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기계적인 요소로 부재화한 대형 바닥판거푸집은?
1.
갱 폼(Gang form)
2.
플라잉 폼(Flying form)
3.
유로 폼(Euro form)
4.
트래블링 폼(Traveling form)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갱 폼(Gang form) - 표면 피복 강화합판이나 각재, 철골을 이용하여 특수 제작한 것으로, 옹벽, 기둥을 일체식으로 제작한다 3. 유로 폼(Euro form) - 합판이나 특수경량 강으로 만들며 하나의 판넬로 기둥, 벽, 바닥의 조립이 가능 4. 트래블링 폼(Traveling form) - 이동거푸집 [해설작성자 : 스머프]
66.
시험말뚝에 변형율계(Strain gauge)와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부착하여 말뚝항타에 의한 파형으로부터 지지력을 구하는 시험은?
1.
정재하 시험
2.
비비 시험
3.
동재하 시험
4.
인발 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동적재하시험] ① 게이지 부착 : 시험말뚝 천공한 구멍에 고강도 볼트를 사용하여 변형률계(strain gauge)와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부착 ② 측정 : 지지력 확인을 위한 재항타 시험의 경우 3~5회 타격하고, 항타 시공관입성 분석의 경우 소요 지지력이 확보될 때까지 혹은 지지층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타격을 가하면서, 가속도계와 변형률계에 의한 힘과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 정재하시험 : 기초말뚝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타입된 말뚝에 실제하중을 재하시험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Pepsi]
67.
콘크리트 공사 시 철근의 정착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은보의 주근은 벽체에 정착한다.
2.
큰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3.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4.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작은보의 주근은 '벽체'가 아니라 '큰보'에 한다. [해설작성자 : ns]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주근에 정착 작은보의 주근은 큰보에 정착 벽철근은 기둥보 또는 바닥판에 정착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 직교하는 단부 보 밑에 기둥이 없을 경우 상호간 정착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주근'이 아니라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
68.
지반개량 지정공사 중 응결공법이 아닌 것은?
1.
플라스틱 드레인공법
2.
시멘트 처리공법
3.
석회 처리공법
4.
심층혼합 처리공법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플라스틱 드레인공법 → 드레인은 물빼기 작업. [해설작성자 : ns]
플라스틱 드레인공법 : PBD(Plastic board drain)공법 - 연약지반처리공법의 하나로 연직배수공법임 [해설작성자 : paintier]
69.
공사계약 중 재계약 조건이 아닌 것은?
1.
설계도면 및 시방서(specification)의 중대결함 및 오류에 기인한 경우
2.
계약상 현장조건 및 시공조건이 상이(difference)한 경우
3.
계약사항에 중대한 변경이 있는 경우
4.
정당한 이유 없이 공사를 착수하지 않은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4. 정당한 이유 없이 공사를 착수하지 않은 경우 → 취소조건
[재계약 조건] 1. 계약사항의 변경 2. 설계도면이나 시방서의 하자 3. 상이한 현장조건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70.
콘크리트에서 사용하는 호칭강도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발주 시 구입자가 지정하는 강도
2.
구조계산 시 기준으로 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3.
재령 7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는 강도
4.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할 때 목표로 하는 압축강도로 품질의 표준편차 및 양생온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강도에 할중한 것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콘크리트 호칭강도: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발주 시 구입자가 지정하는 강도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1.호칭강도(Norminal Strength) KS F4009(레디믹스 콘크리트)에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구분을 나타내는 호칭 콘크리트 표준양생조건에서 28일 동안 양생한 후 파괴하고 측정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말한다.
2.설계기준강도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구조설계에서 기준으로 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말한다. 즉, 설계기준강도는 구조계산에서 기준으로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V=Q×3600/CM ×E×K×f V : 굴삭토량 Q : 버켓용량 Cm : 사이클타임[sec] E : 작업효율 K : 굴삭계수 f : 용적변화계수 V=0.5×3600/20×0.9×0.7×1.25=70.87[m3] [해설작성자 : 과일촌]
72.
강구조 부재의 용접 시 예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재의 표면온도가 0℃ 미만인 경우는 적어도 20℃ 이상 예열한다.
2.
이종금속간에 용접을 할 경우는 예열과 층간온도는 하위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실시한다.
3.
버너로 예열하는 경우에는 개선면에 직접 가열해서는 안 된다.
4.
온도관리는 용접선에서 75mm 떨어진 위치에서 표면온도계 또는 온도쵸크 등에 의하여 온도관리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 '하위'가 아니라 '상위' [해설작성자 : ns]
73.
공동도급방식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험의 분산
2.
시공의 확실성
3.
이윤 증대
4.
기술 자본의 증대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공동도급의 장·단점] (1) 장점 : ① 융자력 증대 / ② 기술의 확충 / ③ 위험의 분산 / ④ 공사시공의 확실성 / ⑤ 신용도의 증대 / ⑥ 공사도급 경쟁완화
(2) 단점 : 한 회사의 도급공사보다 경비 증대 [해설작성자 : David.T.Lee]
74.
지하수가 없는 비교적 경질인 지층에서 어스오거로 구멍을 뚫고 그 내부에 철근과 자갈을 채운 후, 미리 삽입해 둔 파이프를 통해 저면에서부터 모르타르를 채워 올라오게 한 것은?
1.
슬러리 월
2.
시트 파일
3.
CIP 파일
4.
프랭키 파일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슬러리 월 → 지중에 일정 폭의 도량을 굴착하고 현장 철근벽체를 연속 성형하여 굴착공사의 토류벽 및 영구벽을 사용, 고단가
2. 시트 파일 → 접속성이 있는 Sheet Pile을 맞물리게 하여 연속 타입하거나 매립하여 흙막이벽으로 하는 방법, 소음,진동 多
4. 프랭키 파일 →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 마개를 만들고 추로 이 마개를 내려침으로써 강관을 지반 중에 인입하고, 정해진 지반에 도달하면 콘크리트를 추로 치면서 말뚝을 만드는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해설작성자 : 스머프]
75.
기초의 종류 중 지정형식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접기초
2.
피어기초
3.
복합기초
4.
잠함기초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3. 복합기초 → Slab 형식에 의한 분류이다.
기초의 분류(Slab 형식에 의한 분류 : 얕은기초) 독립기초 복합기초 연속기초 온통기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지정의 형식에 의한 기초의 분류 직접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잠함기초(케이슨 기초) [해설작성자 : 솜주먹]
76.
철골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접불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스캘럽(scallop)
2.
언더컷(under cut)
3.
오버랩(over lap)
4.
피트(pit)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용접불량의 종류] ① Slag Inclusions (슬래그혼입) = Slag가 완전히 부상하지 못하고 용착금속속에 섞혀있는 상태로서 용접부를 취약하게 하며, Creak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된다. ② Porosity (기공 : Blow hole) = 용접부에 작은 구멍이 산재되어 있는 형태로서 가장 취약적인 상황으로 용접부를 완전 제거한후 재용접하여야 한다. ③ Under Cut (언더컷) = 용접의 변끝을 따라 모재가 파여지고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남아있는 부분 ④ Over lap (오버랩) = 용착금속이 변끝에서 모재에 융합되지 않고 겹친부분 ⑤ Pit (피트) = Blow hole이나 용융금속이 튀는 현상이 발생한 결과 용접부의 바깥면에서 나타나는 작고 오목한 구멍 ⑥ Spatter (스펠트) = 용융금속중의 일부입자가 모재로 이행하면서 용접부를 이탈해 용착되는 용융방울로서 사용되는 Sheilding Gas의 종류에 따라 발생정도가 달라진다. ⑦ Cracking (크랙킹) = 용착금속이 냉각후 실모양의 균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서 열간 및 냉간균열이 있다. ⑧ Incomplete Fusion (용입불량) = 모재의 어느 한부분이 완전히 용착되지 못하고 남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David.T.Lee]
Scallop(스캘럽) 용접선의 교차로 인한 열영향을 피하기 위해 한 쪽의 부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미장공법, 뿜칠공법을 통한 강구조부재의 내화피복 시공 시 시공면적 얼마 당 1개소 단위로 핀 등을 이용하여 두께를 확인하여야 하는가?
다음은 표준시방서에 따른 철근의 이음에 관한 내용이다.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D29
2.
D25
3.
D32
4.
D35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겹침이음기준 : D35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79.
슬라이딩 폼(Sliding for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일 5~10m 정도 수직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속도가 빠르다.
2.
타설작업과 마감작업을 병행할 수 없어 공정이 복잡하다.
3.
구조물 형태에 따른 사용 제약이 있다.
4.
형상 및 치수가 정확하며 시공오차가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슬라이딩 폼(Sliding form)에 관한 설명] * 콘크리트를 부어 넣으면서 [거푸집]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속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거푸집]. ① 1일 5~10m 정도 수직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속도가 빠르다. ② 타설작업과 마감작업을 병행할 수 있고, 공정이 단순하다. ③ 구조물 형태에 따른 사용 제약이 있다. 단면변화 없는 구조물에 적용 가능. ④ 수밀성 확보되며, 형상 및 치수가 정확하며 시공오차가 적다. ⑤ 자체 유압기를 이용하여 인양하므로 별도의 양중장비 필요 없음 ⑥ 주야간 연속작업으로 공기단축 ⑦ 초기 비용이 많이 든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타설작업과 마감작업을 병행할 수 없어 공정이 복잡하다. → 병행할 수 있어 단순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응회암은 구조재가 아니라, 장식 재료 등으로 사용됨. [해설작성자 : David.T.Lee]
82.
표면건조포화상태 질량 500g의 잔골재를 건조시켜, 공기 중 건조상태에서 측정한 결과 460g, 절대건조상태에서 측정한 결과 450g이었다. 이 잔골재의 흡수율은?
1.
8%
2.
8.8%
3.
10%
4.
11.1%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흡수율(500-450)/450=11.1% [해설작성자 : ns]
(500-450)/450 X 100(%) = 11.11111111 흡수율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 중량-절건상태중량/절건상태중량X100(%) [해설작성자 : 너굴맨]
83.
목재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비중이 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2.
가력방향이 섬유방향과 평행일 때의 압축강도가 직각일 때의 압축강도보다 크다.
3.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강도는 계속 낮아진다.
4.
옹이가 있으면 압축강도는 저하하고 옹이 지름이 클수록 더욱 감소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강도는 계속 낮아진다. → 강도는 동일 [해설작성자 : ns]
84.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사용용도와 혼화제 종류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E 감수제 : 작업성능이나 동결융해 저항성능의 향상
2.
유동화제 : 강력한 감수효과와 강도의 대폭적인 증가
3.
방청제 : 염화물에 의한 강재의 부식억제
4.
증점제 : 점성, 응집작용 등을 향상시켜 재료분리를 억제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② 유동화제 : 유동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콘크리트 내 미세입자를 분산시켜 콘크리트 혼합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한다. 높은 감수효과는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강력한 감수효과와 강도의 대폭적인 증가 : 고강도용 감수제 혹은 고성능 감수제 [해설작성자 : 인하대 화이팅]
85.
고강도 강선을 사용하여 인장응력을 미리 부여함으로서 큰 응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은?
1.
매스 콘크리트
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
AE 콘크리트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PS강재를 긴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력을 주어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휨저항을 크게 한 것을 말한다.
① 긴 스팬구조가 용이하므로 보다 넓은 공간설계가 가능하다. ②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으로 부재 단면의 축소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자중이 경감된다. ③ 내구성 및 복원성이 크고,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④ 하중이 큰 용도의 구조물에 대응하기가 용이하다. ⑤ 화재 시에 위험도가 높다. ⑥ 공정이 복잡하고, 고도의 품질관리가 요구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pre + stress = 미리 스트레스(응력)을 받음 [해설작성자 : 징당근]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골재를 미리 배치하고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는 방식이며, 수축과 균열을 줄일 수 있지만 시공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사전 인장력을 가해 강도를 높이는 방식이며,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비용이 높고 시공이 복잡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온지]
86.
유리의 중앙부와 주변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응력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현상을 유리의 열파손이라 한다. 열파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유리에 많이 발생한다.
2.
동절기의 맑은 날 오전에 많이 발생한다.
3.
두께가 얇을수록 강도가 약해 열팽창응력이 크다.
4.
균열은 프레임에 직각으로 시작하여 경사지게 진행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리의 열파손] * 유리의 열파손이란 태양광의 쏘임에 따른 유리의 온도차이로 인한 팽창성 차이가 응력을 발생시켜 유리가 파손되는 현상을 말한다. ① 색유리에 많이 발생 : 열 흡수 많기 때문 ② 동절기 맑은날 오전에 많이 발생 : 프레임과 유리의 온도차 클 때 ③ 두께가 두꺼울 수록 열팽창 응력 큼 ④ 균열은 프레임에 직각으로 시작하여 경사지게 진행 ⑤ 판유리 온도차 60℃ 이상 되면 열파손 발생 [해설작성자 : David.T.Lee]
1종. 2종 압축강도(MPa) 24.50 이상. 14.70 이상 흡수율(%) 10% 이하. 15% 이하
22년 기준으로 개정 및 변경되었습니다. 점토벽돌은 1종과 2종 밖에 없어요. 참고하세요~ [해설작성자: 탈스코해보자]
88.
아스팔트를 천연아스팔트와 석유아스팔트로 구분할 때 천연아스팔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로크아스팔트
2.
레이크아스팔트
3.
아스팔타이트
4.
스트레이트아스팔트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천연 아스팔트] ① 록크(Rock) 아스팔트 ② 레이크(Lake) 아스팔트 ③ 샌드(Sand) 아스팔트 ④ 아스팔타이트(Aspaltite) [해설작성자 : David.T.Lee]
1.로크아스팔트 다공질의 사암 또는 석회암에 침투된 상태에서 산출하는 천연 아스팔트이다. 아스팔트 함유량은 10% 정도이며 잘게 부수어 도로포장에 사용한다. 2.레이크아스팔트 땅속에서 뿜어져 나온 천연 아스팔트가 암석 사이에 침투되지 않고 지표면에 호수 모양으로 퇴적되어 있는 아스팔트 3.아스팔타이트 미네랄 물질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고(高)융해점의 견고한 천연 아스팔트 [해설작성자 : 스머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원유를 상압 증류 및 수증기 또는 진공증류를 거친뒤에 얻어지는 최종 잔유물로, 분해되지 않는 역청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 용도 : 아스콘 제조용, 루핑제조용, 도로포장용,방습공사용 등 [해설작성자 : Pepsi]
[추가 오류 신고] 모래의 표면수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습윤상태에서 모래가 얼마나 물을 흡수하였는지 알아야 합니다. 문제에서 모래의 습윤 상태는 780g이고 절대건조 상태는 720g이므로, 이 두 가치의 차이 즉 780g - 720g = 60g가 모래가 흡수한 물의 무게입니다.
다음으로 모래의 흡수율이 5%라고 주어졌으므로, 이를 통해 절대건조 상태의 모래가 물을 얼마나 흡수할 수 있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흡수율 = (흡수된 물의 무게 / 절대건조 상태의 모래 무게) x 100% 따라서, 흡수된 물의 무게 = 흡수율 x 절대건조 상태의 모래 무게 / 100% = 5% x 720g / 100% = 36g
따라서 모래가 흡수할 수 있는 물의 무게는 36g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모래가 흡수한 물의 무게는 60g이므로, 표면에 남아 있는 물의 무게는 60g - 36g = 24g입니다.
따라서, 모래의 표면수율 = (표면에 남아 있는 물의 무게 / 절대건조 상태의 모래 무게) x 100% = (24g / 720g) x 100% = 3.33%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3번 3.33%기 맞는 답입니다 흡수율 =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중량 - 절대건조상태 중량 / 절대건조상태중량 X 100 5= A-720/720 X 100 A= 756g 표면수율 = 습윤상태 중량 -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 중량 / 절대건조상태 중량 X 100 = 780-756 /720 X 100 = 3.33% [해설작성자 : 송사]
[오류신고 반론] 표면수율=((습윤-표건)/표건)X100 입니다. 습윤상태(표면+내부물가득)에서 표건상태(내부물가득)을 빼면 표면에 있는 물량만 나오겠죠? [해설작성자 : ㅂㅇㅇㄴㅇ]
[추가 오류 신고] 성안당-'한번에 합격하는 건설안전기사 기출문제집 필기' 해당 교재에서는 표면수율=((습윤-표건)/절건)X100 으로 나오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미장재료 중 회반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화속도가 느린 편이다.
2.
일반적으로 연약하고, 비내수성이다.
3.
여물은 접착력 증대를, 해초풀은 균열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4.
소석회가 주원료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여물은 접착력 증대를, 해초풀은 균열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 여물은 "균열방지", 해초풀은 "접착력 증대" [해설작성자 : ns]
93.
다음 합성수지 중 열가소성수지가 아닌 것은?
1.
알키드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아크릴수지
4.
폴리프로필렌수지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기공업재료 -합성수지 -열가소성 수지 :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나일론).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
-열경화성 수지 : 페놀수지,요소수지,폴리에스테르,멜라민수지, 규소수지, 폴리에스테르, 거품 폴리우레탄 →열과 압력을 가하면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으나 한 번 식었다면 굳으면 수지의 화학적 구조가 달라져 다시 열을 가해도 녹거나 부드러워지지 않는다.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열성이 좋다. [해설작성자 : 합성수지]
94.
전기절연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강화플라스틱 (F.R.P)의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1.
멜라민수지
2.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3.
페놀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멜라민수지 접착제 :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로 내수성이 우수하여 내수합판용으로 사용 •내수성이 크다 •순백색 또는 투명백색이다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로 제조 •마감재, 전기부품, 치장판, 내장재로 적당 / 먹재접합에 사용 3.페놀수지 접착제 : 용제형과 에멀젼형이 있고 멜라민, 초산비닐등과 공중합시킨 것도 있다 •수용형, 용제형, 분말형 등이 있으며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들 이종재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 •재수합판의 접착제, 전기배전판, 도료등에 사용 •내열‧내수성이 우수한 편이다 •기온20℃이하에서는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완전히 강화되면 적동색을 띈다 4.염화비닐수지는 P.V.C라고 칭하며 내산‧알칼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다, 판재‧파이프등의 각종 성형품 [해설작성자 : 피터룡]
95.
강의 열처리 방법 중 결정을 미립화하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 800~1000℃까지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에 로(爐)의 내부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방법은?
1.
풀림
2.
불림
3.
담금질
4.
뜨임질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강의 일반 열처리 불림(소준=Normalizing) : 강을 800~1000 [℃] 로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천천히 냉각시킨다. (공냉) 풀림(소둔=Annealing) : 강을 800~1000 [℃] 로 가열한 후 노 속에서 천천히 냉각시킨다. (노냉) 담금질(소입=Quenching) : 강을 800~1000 [℃] 로 가열한 후 물 또는 기름 속에서 급히 냉각시킨다. 뜨임질(소려=Tempering) : 담금질 한 후 다시 200~600 [℃] 로 가열한 다음 공기 중에서 천천히 냉각시킨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96.
단열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단열성능이 좋다.
2.
같은 두께인 경우 경량재료인 편이 단열에 더 효과적이다.
3.
일반적으로 다공질의 재료가 많다.
4.
단열재료의 대부분은 흡음성도 우수하므로 흡음재료로서도 이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단열성능이 나쁘다 [해설작성자 : 장경호]
97.
목재 건조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강도의 증진
2.
중량의 경감
3.
가공성의 증진
4.
균류 발생의 방지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가공성 증진 = 가공성이 용이하다 강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가공성은 당연히 떨어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가공성 증진 = 가공성이 떨어짐. 건조 목적은 가공 용이 인데, 가공성 증진은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말임 위 해설은 틀림 [해설작성자 : ㅇ]
[오류신고 반론] 맨위 해설이 맞습니다만? 增進 (증진) : 더하여 나아감. 또는 나아가게 함. 목재건조의 목적은 강도의 증진. 강도가 올라가면? 가공이 어렵다. 가공성의 증진은 틀린말. [해설작성자 : King James Bible]
<문제 해설> [금속재료의 일반적인 부식 방지 대책, 금속부식] ① 가능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키지 않는다. ②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은 뜨임질, 풀림 등에 의해서 제거한다. ③ 표면은 평활, 깨끗하게 하고, 물기나 습기가 없도록 한다. ④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⑤ 균질한 것을 선택하고 사용할때 큰 변형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99.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는 청정·견경해야 한다.
2.
골재는 소요의 내화성과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3.
골재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며, 예각으로 된 것이 좋다.
4.
골재는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 입형과 입도를 갖는 것이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골재의 요구성능 1. 표면이 거칠어야 한다. 2. 형태는 구형이 좋다.(둔각이 좋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미장재 구분 -. 기경성(공기중 경화):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회반죽 바름, 흙벽바름 등 -. 수경성(물속에서 경화) : 시멘트몰탈, 석고플라스터 등 [해설작성자 : Pepsi]
101.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설공사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2.
지상높이 25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의 건설등 공사
3.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4.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댐의 건설등 공사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지상높이 25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의 건설등 공사 → 지상높이가 31m 이상 [해설작성자 : 스머프]
대상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개조 또는 해체 ○ 지상높이 31m 이상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 건축물 ○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 문화,집회시설 - 판매시설, 운수시설 (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 - 종교시설 -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 지하도 상가 - 냉동,냉장 창고시설 ○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 최대지간 길이 50m 이상인 다리의 건설 등 ○ 터널의 건설 ○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 댐의 건설 등 ○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Pepsi]
102.
사면 보호 공법 중 구조물에 의한 보호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블럭공
2.
식생구멍공
3.
돌쌓기공
4.
현장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식생구멍공 → 구조물이 아니 식물을 이용 [해설작성자 : 스머프]
103.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속도 기준은?
1.
최대 제한 속도가 10km/h 이하
2.
최대 제한 속도가 20km/h 이하
3.
최대 제한 속도가 30km/h 이하
4.
최대 제한 속도가 40km/h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업주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 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 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최대 제한 속도 10km/h [해설작성자 : .]
104.
발파구간 인접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진동치(cm/sec)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기존 구조물에 금이 가 있거나 노후구조물 대상일 경우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1.
문화재 : 0.2cm/sec
2.
주택, 아파트 : 0.5cm/sec
3.
상가 : 1.0cm/sec
4.
철골콘크리트 빌딩 : 0.8 ~ 1.0cm/sec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철골콘크리트빌딩: 1.0-4.0cm/sec [해설작성자 : sj]
발파허용 진동치 건물기초에서 허용진동치 문화재 0.2 주택, 아파트 0.5 상가 1.0 철근콘크리트 빌딩 및 상가 1.0~4.0 [해설작성자 : 개나리]
105.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 것
3.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4개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해설작성자 : ns]
파이프 서포트 안전기준 1.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2.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시행 2024. 1. 1.] 제332조의2(동바리 유형에 따른 동바리 조립 시의 안전조치) 사업주는 동바리를 조립할 때 동바리의 유형별로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각 목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1.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의 경우 나.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해설작성자 : paintier]
[오류신고 반론] 액상화 발생 조건 액상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지진과 지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지진의 강도, 지속시간, 사질토의 간극비, 지하수위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규모 5 이상이면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진동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피해는 커진다. 하지만 지반 증폭현상이나 진동 지속시간에 의해 규모 5 이하에서도 액상화 현상은 발생가능하다. 지하수위는 지표면에서 10 m 이내에 존재하고 그 깊이가 얕을수록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액상화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의 지반은 다음과 같다 [네이버 지식백과] 액상화현상 [Liquefaction] (지질학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에듀월 3번 으로 나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정답은 1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에듀월 3번으로 나옵니당...
입도가 불량한 재료를 입도가 양호한 재료로 치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검색해보니 well point, deep well공법등이 사질토에 적합, 점토지형에는 사용불가 인거보니 3번도 적용은 가능한방법의 일종은 맞는데 1번이 좀 더 정확한 방법인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나그네]
[오류신고 반론] 문제가 지하수위 상승과 사질토 지반의 액상화 현상을 방지하기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이니 가능한 방법으로는 1번과 3번 모두 해당되지만 지하수위 상승으로 야기된 포화된 사질토 지반의 액상화 현상을 방지하는것이 목표이기에 지하수위를 낮추는 방안인 1번이 더 정답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3번은 지하수위가 높은상태로 유지되면 입도가 양호한 재료로 바꿔도 시간이 지나면 계속 포화될 가능성이 크니까요. [해설작성자 : 제생각에는요]
이 문제는 '지하수위가 상승', '포화된 사질토 지반' 키워드에 집중하여 풀어야 됩니다. 웰포인트 공법은 사질토 지반에서 사용하는 지하수위 저하 공법 중 가장 경제적인 공법입니다.
'점성토'의 경우라면 진공압을 이용하는 웰포인트 공법의 적용이 어려우니 치환 공법이 정답이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질토'의 경우는 굳이 돈이 많이드는 치환 공법을 적용할 이유가 없으며, 지하수위 상승으로 인하여 포화된 사질토에는 어차피 치환을 해봐야 똑같아집니다.
따라서 답은 1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3기사 도전자]
112.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m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띠장 간격은 2.0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2개" [해설작성자 : ns]
113.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2.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3.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4.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8조(이동식비계) 3.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최대적재하중은 250kg - 이동식비계의 바퀴에는 뜻밖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쐐기 등으로 바퀴를 고정 시킨 다음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에 고정하거나 아웃트리거(outrigger,전도방지용 지지대)를 설치하는 필요한 조치를 할 것 [해설작성자 : ns]
114.
가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는 30° 이하로 할 것
2.
경사가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3.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4.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참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제23조(가설통로의 구조) 사업주는 가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다만, 작업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만 임시로 해체할 수 있다. 5.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6.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미터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스머프]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의 사용을 금하도록 할 것
2.
낙하·충격에 의한 돌발적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설치하고 거푸집동바리 등을 인양장비에 매단 후에 작업을 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할 것
4.
해당 작업을 하는 구역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재료, 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달줄·달포대 등의 사용을 "금하도록 할 것" →"사용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ns]
117.
터널공사의 전기발파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선은 점화하기 전에 화약류를 충진한 장소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서 도통시험 및 저항시험을 하여야 한다.
2.
점화는 충분한 허용량을 갖는 발파기를 사용하고 규정된 스위치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한다.
3.
발파 후 발파기와 발파모선의 연결을 유지한 채 그 단부를 절연시킨 후 재점화가 되지 않도록 한다.
4.
점화는 선임된 발파책임자가 행하고 발파기의 핸들을 점화할 때 이외는 시건장치를 하거나 모선을 분리하여야 하며 발파책임자의 엄중한 관리하에 두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발파 후 즉시 발파모선을 발파기로부터 분리하고, 그 단부를 절연시킨 후 재점화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David.T.Lee]
118.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조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에 작용하는 긴압 정도를 체크하여 그 정도가 최대한 차이나도록 할 것
2.
강(鋼)아치 지보공의 조립은 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3.
기둥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목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4.
주재(主材)를 구성하는 1세트의 부재는 동일 평면 내에 배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64조(조립 또는 변경시의 조치)제 365조(부재의 해체) 제366조(붕괴 등의 방지)
제364조(조립 또는 변경시의 조치) 사업주는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조치하여야 한다.
1. 주재(主材)를 구성하는 1세트의 부재는 동일 평면 내에 배치할 것 2.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 정도가 균등하게 되도록 할 것 3. 기둥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목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4. 강(鋼)아치 지보공의 조립은 다음 각 목의 사항을 따를 것 가. 조립간격은 조립도에 따를 것 나. 주재가 아치작용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쐐기를 박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다. 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라. 터널 등의 출입구 부분에는 받침대를 설치할 것 마. 낙하물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판 등을 설치할 것 5. 목재 지주식 지보공은 다음 각 목의 사항을 따를 것 가. 주기둥은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쐐기 등을 사용하여 지반에 고정시킬 것 나. 양끝에는 받침대를 설치할 것 다. 터널 등의 목재 지주식 지보공에 세로방향의 하중이 걸림으로써 넘어지거나 비틀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양끝 외의 부분에도 받침대를 설치할 것 라. 부재의 접속부는 꺾쇠 등으로 고정시킬 것 6. 강아치 지보공 및 목재지주식 지보공 외의 터널 지보공에 대해서는 터널 등의 출입구 부분에 받침대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제364조(조립 또는 변경시의 조치)]
119.
다음 중 지하수위 측정에 사용되는 계측기는?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이 답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