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연소하여 생성된 가스= 1/2CO2 +1H2O 이므로 총 1.5mol “연소하여 생성된 가스” 중 “초기 공급 가스 과잉분” 이므로 (0.75/1.5)*100=50% 입니다 [해설작성자 : 도라]
[오류신고 반론] CH_4+2O_2 -> CO_2 + 2H_2O 메탄은 1mol이 공급되지만 산소가 0.5mol밖에 없으므로, 반응에 참여하는 메탄은 0.25mol입니다. 따라서 0.75mol의 메탄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는 0.25mol, 물은 0.5mol 생성됩니다.
"연소하여 생성된 가스"가 이산화탄소+물(+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메탄)이라면, "연소하여 생성된 가스"의 몰 수 = 0.25+0.5(+0.75)(mol) 0.75 / (0.25+0.5(+0.75))*100(%)=50(%)
6.
아래 유기화합물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3-메틸-4-헵탄올
2.
5-메틸-4-헵탄올
3.
3-메틸-4-알코올헵탄
4.
2-메틸-1-프로필부탄올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가장 긴 탄소사슬을 찾는다. -7개로 헵테인, 알콜기가 있으므로 헵탄올 우선순위가 높은 알콜기에 번호를 낮게 부여 -어느쪽으로 세어도 4번 치환기의 번호가 낮도록 부여 -3번
따라서 보기1 3-메틸-4-헵탄올 [해설작성자 : Birdy]
7.
일반적인 분석과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문제정의 → 방법 선택 → 대표시료 취하기 → 분석시료 준비 → 측정 수행 → 화학적 분리가 필요한 모든 것을 수행 → 결과의 계산 및 보고
2.
문제정의 → 방법 선택 → 대표시료 취하기 → 분석시료 준비 → 화학적 분리가 필요한 모든 것을 수행 → 측정 수행 → 결과의 계산 및 보고
3.
문제정의 → 대표시료 취하기 → 방법 선택 → 분석시료 준비 → 화학적 분리가 필요한 모든 것을 수행 → 측정 수행 → 결과의 계산 및 보고
4.
문제정의 → 대표시료 취하기 → 방법 선택 → 분석시료 준비 → 측정 수행 → 화학적 분리가 필요한 모든 것을 수행 → 결과의 계산 및 보고
정답 : [
2
] 정답률 : 77%
8.
분석용 초자기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다
2.
가, 라
3.
가, 나, 라
4.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나) TD(To Deliver)는 20도에서 10mL를 옮길 수 있다는 말 [해설작성자 : 이걸틀리네]
9.
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상에 따른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2.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3.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4.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속함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ㅠ]
10.
광학기기를 바탕으로 한 분석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GC
2.
IR
3.
NMR
4.
XRD
정답 : [
1
] 정답률 : 80%
11.
알켄의 친전자성 첨가반응의 한 예이다. 아래와 같은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1.
카이랄 중심 이동(chiral center shift)
2.
수소음이온 이동(hydride shift)
3.
라디칼 반응(radical reaction)
4.
공명(conjigation)
정답 : [
2
] 정답률 : 62%
12.
의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개수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양성자 : 37, 중성자 : 0, 전자 : 37
2.
양성자 : 17, 중성자 : 0, 전자 : 17
3.
양성자 : 17, 중성자 : 20, 전자 : 37
4.
양성자 : 17, 중성자 : 20, 전자 : 17
정답 : [
4
] 정답률 : 87%
13.
계통오차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바탕시험을 한다.
2.
조성을 알고 있는 시료를 분석한다.
3.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실험을 한다.
4.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시료를 분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실험을 하면 같은 결과가 재현될 수 있으므로, 계통 오차를 검출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14.
주족원소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ⅠA족인 알칼리금속(alkali metal)은 비교적 부드러운 금속으로 Li, Na, K, Rb, Cs 등이 포함된다.
2.
ⅡA족인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에는 Be, Mg, Sr, Ba, Ra 등이 포함된다.
3.
ⅥA족인 칼코젠(Chalcogen)에는 O, S, Se, Te 등이 포함되며,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과 2:1 화합물로 만든다.
4.
ⅦA족인 할로젠(Halogen)에는 F, Cl, Br, I 가 포함되며, 물리적 상태는 서로 상당히 다르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번 알칼리 토금속과 1:1로 화합물 생성 [해설작성자 : 고도]
15.
표준 온도와 압력(STP) 상태에서 이산화탄소 11.0g 이 차지하는 부피(L)는?
1.
5.6
2.
11.2
3.
16.8
4.
22.4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STP상태에서 이상기체는 그 종류에 상관없이 1mol당 22.4L 이산화탄소의 분자량은 44 따라서 11g은 0.25mol 0.25mol×22.4L/mol=5.6L [해설작성자 : Birdy]
이상기체라는 말이 없기때문에 1mol=22.4L 라는 공식이 성립되지않을꺼같습니다. PV=nRT 공식을 사용해야할꺼같습니다. STP 는 1atm , 0℃(273.15K) 이고 n=11.0g/(44.0g/mol) R=0.08206 Lxatm/molxK V=nRT/P = (0.25x0.08206x273.15) / 1 = 5.6
16.
시료를 파괴하지 않으며 극미량(<1 ppm)의 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은?
1.
열분석
2.
전위차법
3.
X-선 형광법
4.
원자 형광 분광법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오류 무조건 종말점 기준으로 pH = 7 강산-강염기 적정 pH > 7 약산-강염기 적정 pH < 7 강산-약염기 적정 종말점 기울기 거의 수직이 아니라 기울어져 있으면 약산-약염기 적정 시작 지점(11), 끝나는 지점(4.5)으로 푸는 문제 X [해설작성자 : Rivolo]
36.
EDTA를 이용한 착물형성적정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여러 자리 리간드(multidentate ligand)인 EDTA는 적정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약이다.
2.
금속과 리간드의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를 형성상수(formation constant)라 한다.
3.
EDTA는 H6Y2+로 표시되는 사양성자계이다.
4.
EDTA는 대부분의 금속이온과 전하와는 무관하게 1:1 비율로 착물을 형성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EDTA는 사염기산으로 H4Y로 표시됨. [해설작성자 : ㅇㅅ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NaF와 NaClO4이 0.050M 녹아 있는 두 수용액에서 불화칼슘(CaF2)을 포화용액으로 만들었다. 각 용액에 녹은 칼슘 이온(Ca2+)의 몰농도의 비율( )는? (단, 용액의 이온세기가 0.050M 일 때, Ca2+와 F-의 활동도계수는 각 0.485, 0.81 이고, CaF2의 용해도곱상수는 3.9×10-11 이다.)
CH3CH2CH2Cl을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로 분석하였다. 가운데 탄소인 메틸렌에 있는 수소의 다중선의 수는?
1.
3
2.
5
3.
6
4.
12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spin-spin splitting 의 n+1 rule] 가운데 methylene proton을 제외한 양쪽 carbon의 proton은 5개이므로 5+1로 육중선(sextet)이 정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제가 봐도 6중선이 답 같은데 답은 4번 12로 표기 되어있네요?... [해설작성자 : 뭐죠]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답안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4번 맞습니다... 왼쪽수소(CH3)와 오른쪽수소(CH2Cl)의 환경이 다르므로 짝지음 상수가 다른데 어떻게 같은 환경의 수소로 두고 계산하는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실전에서 NMR기기로 분석하면 인접한 수소끼리 짝지음 상수에 큰 차이가 없어 다중선이 n+1로 나오는데 이론적으로는 환경이 다르다고 보기 때문에 (3+1)x(2+1)로 계산하여 답이 12가 된다고 합니다 필기 시험이라 이론적인 값을 답으로 낸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이용하여 시료 CaC2O4·H2O를 분석할 때, 서모그램 상 두 번째로 높은 온도(420~660℃)에서 나타나는 수평영역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단, 분석조건은 비활성 기체 속에서 5℃/min 상승시키면서 980℃까지 온도를 올렸다 가정한다.)
1.
CaC2O4·H2O
2.
CaCO3
3.
CaO
4.
CaC2O4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온도 상승에 따라 다음 차례로 화합물이 남는다. 그 과정에서 물, 이산화탄소가 날아가며 무게는 감소한다. CaC2O4·H2O → CaC2O4 → CaCO3 → CaO [해설작성자 : log2]
CaC2O4 가 CaCO3가 되는 건 일산화탄소가 날아간 것. CO2가 날아가면 CaCO2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Rivolo]
50.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조절된 온도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이 두 물질에 흘러 들어간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열량분석법은?
1.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l DSC)
2.
열무게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3.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4.
직접주사엔탈피법(Direct-Injection Enthalpimetry; DIE)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차주사열량법은 에너지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시차열분석법은 온도 차이를 시료온도의 함수로 측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51.
유리전극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측정할 때 오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접촉전위 오차
2.
나트륨(Na+) 오차
3.
평형시간 오차
4.
습도 오차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리전극으로 pH를 측정할 때 영향을 주는 오차 1. 알칼리 오차 2. 산 오차 3. 탈수 4. 낮은 이온세기 5. 접촉전위의 변화 6. 표준 완충용액의 pH오차 7. 온도변화에 따른 오차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ㅠ]
52.
분자질량분석법에서 분자량이 83인 C6H11+의 분자량 M에 대한 M+1 봉우리 높이 비는? (단, 가장 많은 동위 원소에 대한 상대 존재 백분율은 2H : 0.015, 13C : 1.08 이다.)
1.
(M+1)/M = 6.65%
2.
(M+1)/M = 5.55%
3.
(M+1)/M = 4.09%
4.
(M+1)/M = 3.36%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량 M+1인 경우: C 1개가 13C 또는 H 1개가 2H
C 1개가 13C: 6C1 * 0.0108 = 0.0648 H 1개가 2H: 11C1 * 0.00015 = 0.00165
M+1: 0.0648 + 0.00165 = 0.06645
따라서, (M+1)/M = 0.06645 = 6.645%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53.
비극성 유기시료를 HPLC를 이용하여 분리·분석 시 정지상에 비극성물질을, 이동상에 극성물질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명칭은?
Ag2SO3 + 2e- ⇄ 2Ag + SO32- 반쪽반응의 표준환원전위에 가장 가까운 값(V)은? (단, Ag2SO3의 용해도곱 상수는 1.5×10-14이고, 은 이온이 은 금속으로 환원되는 표준 환원전위는 +0.799V 이다.)
1.
-0.019
2.
+0.39
3.
+0.80
4.
+1.21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E=E0 + 0.05916/n log Ksp E = 0.799 + 0.05916 / 2 log(1.5 x 10^-14) E = 0.39 [해설작성자 : 경뚱]
보통 네른스트식 하면 E=E0-0.05916/n log Q로 많이 외우시는데 이때 Q는 환원/산화 Ksp는 Ag2+가 전자를 얻는 환원 반응이므로 산화/환원 역수를 취해주거나 위에 선생님처럼 +0.05916/n log Q로 해주거나 이거까지 적어주셨으면 완벽하셨을 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Rivolo]
56.
다음 중 시료의 분자량 측정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이온화 방법은?
1.
빠른원자충격법(Fast Atom Bombardment; FAB)
2.
전자충격이온화법(Electron Impact ionization; EI)
3.
장탈착법(Field Desorptin; FD)
4.
장이온화법(Field Ionization; FI)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자충격이온화는 토막내기과정으로 어미-이온 봉우리가 없어져 분자량을 알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ㅠ]
57.
IR spectroscopy 의 적외선 변환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광전도 변환기
2.
파이로전기 변환기
3.
열 변환기
4.
광촉매 변환기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적외선흡수분광법의 적외선 검출기 - 열 변환기, 열전기쌍, 볼로미터, 파이로 전기 변환기, 광전도 변환기 [해설작성자 : 만거]
실험 결과의 의심스러운 측정값을 버릴 것인지 보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간단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계학적 시험법은?
1.
t-시험법
2.
Q-시험법
3.
F-시험법
4.
ANOVA-시험법
정답 : [
2
] 정답률 : 62%
66.
분석방법의 유효성평가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1.
A, B, C, D, E
2.
A, B, C, D
3.
A, B, D, E
4.
A, B, E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 : 측정횟수를 늘려 분석 -> 정밀성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67.
분석 장비의 시험장비 밸리데이션 결과 문서에 포함되지 않는 밸리데이션 항목은?
1.
DQ(Design Qualification)
2.
CQ(Calibration Qualification)
3.
OQ(Operatinal Qualification)
4.
PQ(Performance Qualification)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설계 적격성 (Design Qualification, DQ) (2) 설치 적격성 (Installation Qualification, IQ) (3) 운전 적격성 (Operational Qualification, OQ) (4) 성능 적격성 (Performance Qualification, PQ) [해설작성자 : 행운]
68.
정량 한계를 산출하는 데 적당한 신호 대 잡음비는?
1.
2 : 1
2.
3 : 1
3.
5 : 1
4.
10 : 1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정량한계 LOQ(QL) = 10 x s [해설작성자 : 난공주]
69.
전처리 과정의 정밀성 중 반복성은 시험농도의 100%에 상당하는 농도에서 검체의 열적인 분해가 없는 한, 단시간 간격에 걸쳐 분석법의 전 조작을 반복 측정하여 상대 표준 편차값이 1.0% 이내로 할 때 최소 반복측정 횟수는?
1.
1
2.
2
3.
3
4.
6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반복성의 평가방법 평가방법 1 : 규정된 범위를 포함한 농도에 대해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9회 반복하여 측정한다. 평가방법 2 : 시험농도의 100%에 해당하는ㄴ 농도로 시험방법의 전체 조작을 적어도 6회 반복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70.
밸리데이션 항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확성 : 측정값이 일반적인 참값 또는 표준값에 근접한 정도
2.
정밀성 : 균일한 검체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각각의 측정값들 사이의 분산 정도
3.
완건성 : 시험방법 중 일부 매개변수가 의도적으로 변경되었을 때 측정값이 영향을 받지 않는지에 대한 척도
4.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물질의 함유량으로 정확한 값으로 정량되는 검출 가능 최소량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검출한계 :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 [해설작성자 : 짜루]
+ 반드시 정량 가능할 필요는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1.
분석시험의 정밀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HPLC 측정값으로 회수율을 계산했을 때 회수율에 대한 상대표준편차(%RSD)는?
1.
0.166
2.
0.167
3.
0.168
4.
0.169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RSD = 표준편차/평균*100 으로 구할 수 있음. 공학계산기 활용할 경우, 표준편차 = 0.167, 평균 = 99.5 따라서 %RSD = 0.167/99.5*100=0.168 [해설작성자 : 답 3번 맞음]
표본표준편차에서 표준편차의 경우 n-1을 모표준편차에서 표준편차의 경우 n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럼 이번 문제는 어느 경우인가? 표본이 수가 적은 일반적인 실험이므로 표본표준편차를 써서 n-1을 하는 것이 옳다. 풀이를 확장하면 결국 분산은 (0.1^2+0.2^2+0.2^2+0.2^2+0.1^2)/5 = 0.14/5 = 0.028 표준편차는 sqrt(0.028)=1.67332.... 공학용 계산기에서 ans를 사용해보자 (ans/99.5) * 100 = 0.168172... = 0.168 답은 3 [해설작성자 : Rivolo]
72.
의약품 제조에서 시험법 재밸리데이션이 필요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시험방법이 변경된 경우
2.
주성분의 함량이 변경된 경우
3.
원료의약품의 합성방법이 변경된 경우
4.
원개발사의 밸리데이션 자료를 확보한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재밸리데이션 1. 원료의약품의 합성 방법 변경 2. 완제의약품의 조성 변경 (주성분 함량 변경) 3. 시험 방법의 변경 => 실험 과정 자체의 변화
부분 밸리데이션 1. 실험실이나 실험자의 변경 2. 분석법의 변경 3. 생체 시료의 변경 4. 시료 전처리 과정 변경 5. 보관 조건 변경 =>실험 과정 자체가 아니라 전후 환경 변화 [해설작성자 : 난공주]
73.
아래 측정값의 변동계수는?
1.
183%
2.
133%
3.
63%
4.
13%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평균 = 5 분산 = {(1-5)^2+(3-5)^2+(7-5)^2+(9-5)^2}/5 = 8 -> 표준편차 : 2.8284 변동계수(%) = 표준편차/평균 x 100 = 2.8284/5 x 100 =56.6%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아돈노]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 3.16 나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루트((1-5)^2+(3-5)^2+(7-5)^2+(9-5)^2}/5-1)=3.16 으로 계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세 곳의 분석기관에서 측정된 농도가 다음과 같을 때, 가장 정밀도가 높은 기관은?
1.
모두 같다.
2.
A 기관
3.
B 기관
4.
C 기관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 표준편차 : 8.736 B 표준편차 : 2.0467 C 표준편차 : 2.804 라 제일 작은 B가 답 아닌가요 .. ? [해설작성자 : 화아탕합시당]
[오류신고 반론] 각각의 크기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표준편차만 따지는게 아니고 평균으로 나눠준 RSD(%)를 사용해야 합니다. B는 9.53%, C는 7.64%으로 C입니다. [해설작성자 : 22년 1회차 화이팅]
75.
불확정도 전파와 유효숫자를 고려하였을 때, 4.6(±0.05)×2.11(±0.03)의 계산 결과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정폐기물의 처리방법 중 소각, 매립도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분리수거는 재활용에 대한 내용이므로 정답은 2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시험붙자화이팅]
[추가 오류 신고] 해설 및 오류 신고 두 분 다 틀렸습니다. 법령 복붙 할거면 다 하세요. 헷갈리게 부분만 하지 말고. "처리"란 폐기물의 수집, 운반, 보관, 재활용, 처분을 말한다. "처분"은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 중간 처분과 매각 해역 반출 등 최종 처분이 있다. 오류 신고 반론에 재활용은 '처리'에 포함되니깐 그럼 문제 없겠네요? ㅎㅎ [해설작성자 : Rivolo]
82.
중화적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메틸오렌지는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 반응에 활용되는 지시약이다.
2.
중화에 필요한 표준 용액의 양으로부터 시료 중의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알 수 있다.
3.
시료 용액 중에 포함된 산이나 염기를 염기나 산의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는 것이다.
4.
산과 염기의 중화는 당량 대 당량으로 일어나므로, 완전중화는 산과 염기는 그램 당량수가 같아야 일어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메틸오렌지는 산에 사용하는 지시약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4. 완전중화는 산과 염기의 그램 당량수가 아닌 당량수가 같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83.
다음 중 황산이 사용되어 합성되는 화학물질이 아닌 것은?
1.
Acetamide
2.
Diethyl ether
3.
Ethyl acetate
4.
Potassium Sulfate
정답 : [
1
] 정답률 : 50%
84.
고압가스 용기 색상 중 수소 가스를 나타내는 것은?
1.
녹색
2.
백색
3.
황색
4.
주황색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공업용가스용기의 색상 녹색 - 산소 백삭 - 암모니아 황색 - 아세틸렌 주황색 - 수소 [해설작성자 : 까칠고기]
85.
화합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할로겐 화합물 등은 산화제로서 적은 양으로 강렬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방호복, 고무장갑, 보안경 및 보안면 같은 보호구를 착용하고 취급하여야 한다.
2.
나노입자 및 초미세 금속 분말을 취급시에는 폐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방진 마시크 등의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3.
대부분의 미세한 금속 분말은 물과 산의 접촉으로 수소 가스를 발생하고 발열한다. 특히, 습기와 접촉할 때 자연 발화의 위험이 있어 폭발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한다.
4.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 화합물, 아조 화합물, 하이드라진 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등은 연소속도가 느리나, 가열, 충격, 마찰 등으로 폭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 화합물, 아조 화합물, 하이드라진 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등은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 물질)에 해당하며, 연소속도가 빠르고 가열, 마찰, 충격 등으로 폭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화학물질 분석 중 물질에 대한 확인이 전제되지 않는 화재상황 시 아래 보기 중 적절한 대응을 모두 나타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3.
ㄱ, ㄷ
4.
ㄱ
정답 : [
4
] 정답률 : 81%
87.
다음 중 유해폐기물 처리를 위한 무해화 기술이 아닌 것은?
1.
고정화-유리화(immobilization by vitrification)
2.
고정화-열경화성 캡슐화(immobilization by thermosetting encapsulation)
3.
열분해 가스화(gasificatio by thermal decomposition)
4.
플라스마 소각(plasma incineration)
정답 : [
2
] 정답률 : 44%
88.
소방시설법령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자격이 아닌 것은?
1.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위험물기능장·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으로 위험물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소방안전관리자 =>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특급-소방공무원20년, 2급-소방공무원3년, 3급-소방공무원1년 [해설작성자 : ㅎㅈ]
89.
다음 폐기물 중 지정폐기물을 모두 선택하여 나열한 것은?
1.
A, B, C, D, E, F, G
2.
A, B, C, D, E, F
3.
A, B, C, E, F
4.
A, B, E, F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생활 쓰레기는 지정폐기물에 해당 안됩니당 [해설작성자 : 김수야니]
90.
어떤 반응계에서 화학반응이 진행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잇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든 화학반응에는 열과 빛이 발생하는 발열 현상이 수반된다.
2.
탄산수소나트륨과 시트르산이 반응하는 용액에서 기포발생을 확인한다.
3.
황산구리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넣으면 연한 청색이 진한 청색으로 변한다.
4.
두 가지 수용액이 혼합되어 고체 입자가 형성되는 반응에 의해 불용성 물질의 침전이 발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91.
분석 업무 폭발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재
2.
금속분말
3.
유기질소화합물
4.
산 및 알칼리류
정답 : [
1
] 정답률 : 70%
92.
지정수량 20배 이하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옥내저장소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저장창고의 벽·기둥·바다·보 및 지붕이 내화구조여야 한다.
2.
저장창고의 출입구에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방식의 갑종방화문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3.
저장창고에 창을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4.
저장창고는 지면에서 처마까지의 높이가 6m 이상인 복층건물로 하고, 그 바닥을 지반면보다 낮게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저장창고는 지면에서 처마까지의 높이가 6m 미만인 단층건물로 하고 그 바닥을 지반면보다 높게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요정]
93.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구성항목이 아닌 것은?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
화학제품의 제조방법
3.
취급 및 저장방법
4.
유해·위험성
정답 : [
2
] 정답률 : 65%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2류 위험물인 가연성 고체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유황
2.
철분
3.
나트륨
4.
마그네슘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나트륨은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로 분류됨 [해설작성자 : Birdy]
95.
다음 NFPA 라벨에 해당하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폭발성이 대단히 크다.
2.
물에 대한 반응성이 있다.
3.
일반적인 대기환경에서 쉽게 연소될 수 있다.
4.
노출 시 경미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진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건강위험성 [ 노출시 경미한 부상 유발 ] 3- 인화성 [ 발화점 23-38 ] 4- 반응성 [ 일반적인 대기환경에서 폭발 ] W. - 기타 [ 물과 반응 , 반응시 심각한 위험 ] [해설작성자 : 최수빈살려 ]
96.
등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보다 가볍다.
2.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3.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4.
가솔린보다 인화점이 높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등유는 4류 위험물인데 4류는 물보다 비중은 작고 공기보다는 비중이 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마라맛]
97.
연구실안전법령상 안전점검의 종류와 실시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상점검 : 연구개발활동에 사용되는 기계·기구·전기·약품·병원체 등의 보관상태 및 보호장비의 관리실태 등을 육안으로 실시하는 점검
2.
정기점검 : 6개월에 1회 이상 실시
3.
특별안전점검 : 연구개발활동에 사용되는 기계·기구·전기·약품·병원체 등의 보관상태 및 보호장비의 관리실태 등을 안전점검기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세부적인 점검
4.
특별안전점검 : 저위험연구실 및 우수연구실인증에 종사하는 연구활동종사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실시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상 점검 : 매일 실험 전 1회 정기 점검 : 매년 1회 이상 특별안전점검 : 실험실 종사자의 안전에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정밀안전점검 : 2년마다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난공주]
98.
화학물질관리법령상 화학물질 보관·저장 관리대장의 작성 내용이 아닌 것은?
1.
함량
2.
위탁인
3.
독성농도
4.
제품(상품)명
정답 : [
3
] 정답률 : 46%
99.
물질들의 폭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HF 가스 및 용액은 극한 독성을 나타내고 폭발할 수 있다.
2.
과염소산은 고농도일 때 모든 유기화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으나 무기화학물과는 비교적 안정하게 반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