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옥탄가는 iso-octane과 n-hptane으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22.
다음 회분 성분 중 백색에 가깝고 융점이 높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이 답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2번,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CaO
2.
SiO2
3.
MgO
4.
Fe2O3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이산화규소가 회분 중 흰색이며 녹는점이 높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23.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연가스 회수, 나프타 분해, 석유정제 시 부산물로부터 얻어진다.
2.
비중은 공기의 1.5~2.0배 정도로 누출 시 인화 폭발의 위험이 크다.
3.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증발열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4.
메탄, 에탄올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로 1 atm에서 –168℃ 정도로 냉각하면 쉽게 액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LPG의 주 성분은 프로판과 부탄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1atm에서 -168ºC 정도로 냉각하면 액화되는 것은 LNG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허수아비]
24.
고체연료의 연소방법 중 유동층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나 미연탄소의 배출이 많다.
2.
미분탄연소에 비해 연소온도가 높아 NOx 생성을 억제하는데 불리하다.
3.
미분탄연소와는 달리 고체연료를 분쇄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른 동력손실이 없다.
4.
석회석입자를 유동층매체로 사용할 때, 별도의 배연탈황 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른 연소법에 비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발생 억제가 잘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요정]
Nox 생성양 적음 (장점) 투입전 파쇄 필요 압력손실 및 동력비가 높음 [해설작성자 : 너굴전]
25.
디젤노킹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속도를 높인다.
2.
급기온도를 높인다.
3.
기관의 압축비를 크게 하여 압축압력을 높인다.
4.
착화지연 기간 및 급격연소 시간의 분사량을 적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디젤노킹: 디젤엔진의 자발화 과정에서 점화지연 시간이 길어질 경우, 그 동안 분사된 연료의 양이 증가하여 다량의 연료가 한꺼번에 연소가 되면서 연소실의 압력이 높아져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 * 방지대책 - 세탄가 높은 연료 사용 - 착화지연 기간 및 급격연소시간의 분사량 감소 - 디젤기관의 압축비를 높여 압축압력을 높게함 - 연료 분사개시때 분사량 감소 - 분사 시 공기(급기)온도를 높게함 - 회전속도를 낮게함 [해설작성자 : 이얏호]
26.
회전식 버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무각도가 40~80°로 크고, 유량조절범위도 1:5 정도로 비교적 넓은 편이다.
2.
연료유는 0.3~0.5kg/cm2 정도로 가압하여 공급하며, 직결식의 분사유량은 1000L/h이하이다.
3.
연료유의 점도가 크고, 분무컵의 회전수가 작을수록 분무상태가 좋아진다.
4.
3000~10000rpm으로 회전하는 컵모양의 분무컵에 송입되는 연료유가 원심력으로 비산됨과 동시에 송풍기에서 나오는 1차 공기에 의해 분무되는 형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료유의 점도가 작고 회전속도가 커야 분무상태가 좋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27.
액체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분이 거의 없으며 연소, 소화, 점화의 조절이 쉽다.
2.
화재, 역화의 위험이 크고, 연소 온도가 높기 때문에 국부가열의 위험이 존재한다.
3.
기체연료에 비해 밀도가 커 저장에 큰 장소가 필요하지 않고 연료의 수송도 간편한 편이다.
4.
완전연소 시 다량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므로 연소장치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소화가 용이하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액체연료는 소화, 연소조절이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4번은 고체연료의 특징 [해설작성자 : G11]
28.
폭굉 유도 거리(DID)가 짧아지는 요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이 높다.
2.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하다.
3.
정상의 연소속도가 작은 단일가스이다.
4.
관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내경이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정상 연소속도가 큰 복합가스일수록 폭굉이 잘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고위발열량이 12000kcal/kg인 연료 1kg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탄소가 87.7%, 수소가 12%, 수분이 0.3%이었다. 이 연료의 저위발열량(kcal/kg)은?
1.
10350
2.
10820
3.
11020
4.
1135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Hh=Hl+6(9H+W) 의 식으로 저위발열량(Hl)를 구하는 것이므로 Hl=Hh-6(9H+W) 입니다. (H: 수소, W: 수분) 식에 주어진 값을 대입해서 풀어보면 저위발열량 = 12000 -6(9*12+0.3) = 11350.2 kcal/kg 이 나오므로 답은 4번 11350 입니다. [해설작성자 : 문제푸는 알파카]
추가합니다.
Hl=Hh-600(9H+W)를 사용하실 때에는 수소와 수분을 확률이 아니라 소수점으로 고쳐서 넣으실 때는 600이 맞습니다. HI=12000-600(9*0.12 + 0.003)
만약 확률 숫자를 그대로 사용하실 분들은 (예-80% 이면 '80') HI=Hh-6(9H+W) 를 사용하는게 계산이 맞습니다. HI=12000-6(9*12 + 0.3) [해설작성자 : 문제푸는 알파카]
32.
분무화 연소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압 분무화식
2.
충돌 분무화식
3.
여과 분무화식
4.
이류체 분무화식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분무화 연소방식은 유압 분무화식, 충돌 분무화식, 이류체 분무화식, 회전이류체 분무화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33.
기체연료의 연소방법 중 예혼합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길이가 길고 그을음이 발생하기 쉽다.
2.
역화의 위험이 있어 역화방지기를 부착해야 한다.
3.
화염온도가 높아 연소부하가 큰 곳에 사용가능하다.
4.
연소기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변하지 않고 균일하게 연소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예혼합연소는 화염길이가 짧고 그을음은 적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1번은 확산연소 [해설작성자 : G11]
34.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연소는 휘발분 함유율이 적은 물질의 표면 탄소분부터 직접 연소되는 형태이다.
2.
다단연소는 공기 중의 산소 공급 없이 물질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산소를 사용하여 연소하는 형태이다.
3.
증발연소는 비교적 융점이 낮은 고체연료가 연소하기 전에 액상으로 융해한 후 증발하여 연소하는 형태이다.
4.
분해연소는 분해온도가 증발온도보다 낮은 고체연료가 기상 중에 화염을 동반하여 연소할 경우 관찰되는 연소 형태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자기연소가 공기 중 산소 공급없이 자기 내부의 산소로 연소하는 형태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35.
S함량이 5%인 B-C유 400kL를 사용하는 보일러에 S함량이 1%인 B-C유를 50% 섞어서 사용하면 SO2의 배출량은 몇 % 감소하는가? (단, 기타 연소조건은 동일하며, S는 연소시전량 SO2로 변환되고, S함량에 무관하게 B-C유의 비중은 0.95임)
Q = A X V Q = 5000m/h V = 0.34m/s A = d^2π/4 5000m/h x 1h/3600s = d^2π/4 x 0.34m/s 이렇게 계산기에 적은 후 솔브하면 d = 2.28 고로 2.3 실기에도 나오는 편이니 숙지하시길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짱구]
<문제 해설> 물은 시멘트 산업에서 배출가스 조절제로 쓰인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56.
가연성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촉매산화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력손실이 커서 운영 비용이 많이 든다.
2.
체류시간은 연소 장치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짧다.
3.
촉매로는 백금, 팔라듐 등의 귀금속이 활성이 크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4.
촉매들은 운전시 상한온도가 있기 때문에 촉매층을 통과할 때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촉매산화법은 압력손실이 작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57.
직경이 1.2m인 직선덕트를 사용하여 가스를 15m/s의 속도로 수송할 때, 길이 100m당 압력손실(mmHg)은? (단, 덕트의 마찰계수 = 0.005, 가스의 밀도 = 1.3kg/m3)(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이 답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대기 중의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체류시간(retention time)이 가장 긴 것은?
1.
플루오렌(fluorene)
2.
나프탈렌(naphthalene)
3.
안트라센(anthracene)
4.
벤조(a)피렌(benzo(a)pyrene)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3개의 고리를 가진 PAH 2. 2개의 고리를 가진 PAH 3. 3개의 고리를 가진 PAH 4. 5개의 고리를 가진 PAH
고리 수가 많을수록 체류시간이 길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79.
굴뚝 배출가스 중의 일산화탄소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분석할 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피분율 99.9%이상의 헬륨을 운반가스로 사용한다.
2.
활성알루미나(Al2O3 93.1%, SiO2 0.02%)를 충전제로 사용한다.
3.
메테인화 반응장치가 있는 불꽃이온화 검출기를 사용한다.
4.
내면을 잘 세척한 안지름이 2~4mm, 길이가 0.5~1.5m인 스테인리스강 재질관을 분리관으로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일산화탄소의 충전제는 합성 제올라이트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80.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설치조건(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형변압기, 고주파가열 등으로부터 전자유도를 받지 않아야 한다.
2.
부식성 가스 및 먼지발생이 적고, 진동이 없으며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3.
실온 10~25℃, 상대습도 30~85% 범위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없어야 한다.
4.
공급전원은 기기의 사양에 지정된 전압 전기용량 및 주파수로 전압변동은 40% 이하이고, 급격한 주파수 변동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압변동은 10%이하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8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환경기술인 등의 교육을 받게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행정 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대기환경보전법 제77조 및 물환경보전법 제67조 소음·진동관리법 제46조의 규정을 위반하여 환경기술인의 교육을 받게 하지 아니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기억하자. 교육 미이행에 세게 때릴 정도로 법이 각박하지는 않지만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는 내야 한다. [과태료 vs 벌금] 과태료: 행정처분 벌금: 형벌, 전과기록이 남는 형사처벌 죽, 형사처벌에 관련된 규정을 위반할 경우 부괴되는 재산형의 하나 [해설작성자 : 문제푸는 알파카]
1 >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이룬자동차정기검사를 받지 아니한 자 [해설작성자 : 금쪽이]
8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국립환경과학원장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도시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
2.
기후·생태계변화 유발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구대기측정망
3.
대기 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기중금속측정망
4.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외대기측정망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대기 중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는 대기중금속측정망은 시, 도지사가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1조 참고 시도지사 : 도시대기측정망, 도로변측정망, 대기중금속측정망 이외는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국립환경과학원장 또는 한국환경공단 [해설작성자 : 대기아자아자]
8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개선명령의 이행보고와 관련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대기오염도 검사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건환경연구원
2.
유역환경청
3.
한국환경공단
4.
환경보전협회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환경보전협회는 환경기술인 교육 관련기관 [해설작성자 : 배띠녕]
84.
대기환경관계법령상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중 시멘트 수송공정에서 적재물은 적재함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몇 cm 이하까지 적재하여야 하는가?
24년 7월 기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240513 개정) 비산먼지 발생사업의 신고 등(제58조 4항) [별표 14]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시멘트·석탄·토사·사료·곡물·고철의 운송업은 적재함 상단으로부터 5㎝ 이하까지 적재물을 수평으로 적재할 것 [해설작성자 : 라따뚜이]
8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분체상 물질을 싣고 내리는 공정의 경우,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작업을 중지해야 하는 평균풍속(m/s)의 기준은?
1.
2 이상
2.
5 이상
3.
7 이상
4.
8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4년 7월 기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240513 개정) 비산먼지 발생사업의 신고 등(제58조 4항) [별표 14]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싣기 및 내리기(분체상 물질을 싣고 내리는 경우만 해당) - 풍속이 평균초속 8m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해설작성자 : 라따뚜이]
8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장거리이동대기오염물질대책위원회의 위원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분야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내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예방의학 분야
2.
유해화학물질 분야
3.
국제협력 분야 및 언론 분야
4.
해양 분야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분야 : 산림 분야, 대기환경 분야, 기상 분야, 예방의학 분야, 보건 분야, 화학사고 분야, 해양 분야, 국제협력 분야 및 언론 분야 [해설작성자 : 꿈지]
삭제된 법령입니다.
87.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경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도지사는 당해 지역에 대하여 대기오염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2.
지역의 대기오염 발생 특성 등을 고려하여 특별시, 광역시 등의 조례로 경보 단계별 조치사항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3.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지역, 대상 오염물질, 발령 기준, 경보 단계 및 경보 단계별 조치 등에 필요한 사항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4.
경보단계 중 경보발령의 경우에는 주민의 실외활동 제한 요청, 자동차 사용의 제한 및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환경부령이 아닌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치단체장,도지사 등이 정합니다(지역마다 대기오염도가 다르다 보니 각자 지역장이 하는거에요)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오류신고 반론] 24년 7월 기준 대기환경보전법(220610 개정) 대기오염에 대한 경보(제8조 4항)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지역, 대상 오염물질, 발령 기준, 경보 단계 및 경보 단계별 조치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첫 번째 해설대로 '대통령령'이 맞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대통령령'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4191호, 2024. 2. 6., 일부개정]에 해당합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2조 ①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지역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지역으로 한다. <개정 2013. 1. 31., 2014. 2. 5., 2016. 7. 26.>
②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의 대상 오염물질은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에 따라 환경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 중 다음 각 호의 오염물질로 한다. <개정 2012. 7. 20., 2014. 2. 5., 2019. 2. 8.>
③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제4항에 따른 대기오염경보 단계는 대기오염경보 대상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하되, 대기오염경보 단계별 오염물질의 농도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4. 2. 5., 2019. 2. 8.>
④ 대기환경보전법 제8조제4항에 따른 경보 단계별 조치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사항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역의 대기오염 발생 특성 등을 고려하여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의 조례로 경보 단계별 조치사항을 일부 조정할 수 있다. <개정 2013. 1. 31., 2014. 2. 5.>
대상 지역만 보면 시ㆍ도지사가 지정하는 것이 맞지만, 나머지 사항들은 환경정책기본법, 환경부령, 조례로 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라따뚜이]
8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기후·생태계 변화 유발물질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염화불화탄소와 수소염화불화탄소
2.
염화불화산소와 수소염화불화산소
3.
불화염화수소와 불화염소화수소
4.
불화염화수소와 불화수소화탄소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제3조(기후ㆍ생태계 변화유발물질) 법 제2조제2호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염화불화탄소와 수소염화불화탄소를 말한다.<개정 2013. 5. 24.>
8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장거리이동대기오염물질 대책위원회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회의 위원장은 환경부장관이 되고, 위원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 등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위촉하거나 임명하는 자로한다.
3.
위원회와 실문원회 및 장거리이동대기 오염물질 연구단의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환경부장관은 장거리이동대기오염물질 피해방지를 위하여 5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고 시·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위원회의 위원장은 환경부차장이 되고, 위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함 [해설작성자 : 두껍]
삭제된 법령입니다.
90.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중 “에틸벤젠”기준으로 옳은 것은?
[오류신고 반론]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3조 과징금 확인해보니 부과 기준에 대해서 바뀐 것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
9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 연료 및 첨가제의 제조·판매 또는 사용에 대한 규제현황” 업무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연 1회
2.
연 2회
3.
연 4회
4.
수시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위임업무 보고사항 업무내용 / 보고횟수 / 보고기일 환경오염사고 발생 및 조치사항 / 수시 / 사고발생시 수입자동차 배출가스 인증 및 검사 현황 / 연 4회 / 매 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자동차 연료 및 첨가제의 제조, 판매 또는 사용에 대한 규제현황 / 연 2회 / 매 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 자동차 연료 또는 첨가제의 제조기준 적합 여부 검사 현황 / 연료 : 연4회, 첨가제 : 연2회 / 연료: 매분기 종료후 15일 이내, 첨가제: 매 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 측정기기관리 대행법의 등록, 변경등록 및 행정처분 현황 / 연 1회 / 다음 해 1월 15일까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비산먼지 발생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금속물질의 채취업, 제조업 및 가공업
2.
제1차 금속 제조업
3.
운송장비 제조업
4.
목재 및 광석의 운송업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이 아닌것은 곡물, 고철, 목재, 광석운송업, 화학약품 제조업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