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성분이 완전 혼합되어 하나의 이상용액을 형성할 때 i성분의 화학포텐션(μi)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동일 온도와 압력 하에서 I성분의 순수한 화학포텐(μpurei)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xi는 i성분의 몰분율, μ(T,P)는 해당 온도와 압력에서의 화학포텐셜을 의미한다.)
1.
2.
3.
4.
RTlnxi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순수한 i > x(i)=1 > RT*lnx(i)=0 [해설작성자 : 금쪽이]
4.
Cp가 3.5R(R; ideal gas constant)인 1몰의 이상기체가 10bar, 0.005 m3에서 1bar로 가역정용과정을 거쳐 변화할 때, 내부에너지 변화(△U; J)와 엔탈피 변화(△H; J)는?
1.
△U= -11250, △H= -15750
2.
△U= -11250, △H= -9750
3.
△U= -7250, △H= -15750
4.
△U= -7250, △H= -9750
정답 : [
1
] 정답률 : 59%
5.
100000kW를 생산하는 발전소에서 600K에서 스팀을 생산하여 발전기를 작동시킨 후 잔열을 300K에서 방출한다. 이 발전소의 발전효율이 이론적 최대효율의 60%라고 할 때, 300K에 방출하는 열량(kW)은?
1.
100000
2.
166667
3.
233333
4.
333333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이론적 최대효율 = (Th-Tc) / Th = 0.5 2) 발전소의 발전효율 = 이론적 최대효율 0.5 * 0.6 = 0.3 3) 0.3 = W / Qh = 100,000 kW / Qh 4) Qh = 4번 5) Qc = Qh - W = 3번 [해설작성자 : 금쪽이]
6.
주위(Surrounding)가 매우 큰 전체 계에서 일손실(lost work)의 열역학적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하첨자 total, sys, sur, 0는 각각 전체, 계, 주위, 초기를 의미한다.)
<문제 해설> 4 > BWG는 값이 작을수록 관벽이 두꺼움을 의미합니다, // 응축기, 열교환기 등에서 사용되는 배관용 동관류를 표기하는 경우에 사용 [해설작성자 : 금쪽이]
36.
침수식 방법에 의한 수직관식 증발관이 수평관식 증발관보다 좋은 이유가 아닌 것은?
1.
열전달 계수가 크다.
2.
관석이 생기는 물질의 증발에 적합하다.
3.
증기 중의 비응축 기체의 탈기효율이 좋다.
4.
증발효과가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수평관식 증발관 1) 관석의 생성 염려가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2) 액층이 깊지 않아 비점 상승도가 작다. 3) 비응축기체의 탈기효율이 우수하다. 수직관식 증발관 1) 주로 사용된다. 2) 관석이 생성될 경우 가열관 청소가 쉽다. 3) 액의 순환이 좋으므로 열전달계수가 커서 증발효과가 크다. +) Down Take : 관군과 동체 사이에 액의 순환을 좋게 하기 위해 관이 없는 빈 공간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37.
3층의 벽돌로 쌓은 노벽의 두께가 내부부터 차례로 100, 150, 200mm, 열전도도는 0.1, 0.05, 1.0kcal/m·h·℃이다. 내부온도가 800℃, 외벽의 온도는 40℃일 때, 외벽과 중간벽이 만나는 곳의 온도(℃)는?
1.
76
2.
97
3.
106
4.
117
정답 : [
1
] 정답률 : 38%
38.
액액 추출의 추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택도가 큰 것을 선택한다.
2.
추질과 비중차가 적은 것을 선택한다.
3.
비점이 낮은 것을 선택한다.
4.
원용매를 잘 녹이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추질과이 비중차는 클수록 좋다. [해설작성자 : 취업가즈아]
39.
벤젠 40mol%와 톨루엔 60mol%의 혼합물을 100kmol/h의 속도로 정류탑에 비점의 액체상태로 공급하여 증류한다. 유출액 중의 벤젠 농도는 95mol%, 관출액 중의 농도는 5mol% 일 때, 최소 환류비는? (단, 벤젠과 톨루엔의 순성분 증기압은 각각 1016, 405mmHg이다.)
1.
0.63
2.
1.43
3.
2.51
4.
3.42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최소 환류비 = ( x(D) - y(F) ) / ( y(F) - x(F) ) y(F, B) 구하는 법 ~ 라울의 법칙(yi * P = xi * P^sat) 이용 1) 벤젠 기준 : y(F, B) * P = 0.4 * 1016 2) 톨루엔 기준 : Y(F, T) * P = 0.6 * 405 3) 1)과 2)를 더한 좌변은 P가 되고, 그 값은 649.4 mmHg입니다. 4) 1)에 P를 대입하여 다시 정리하면 y(F, B)를 구할 수 있고, 그 값은 0.625입니다. 이 방법은 제가 개인적으로 즐겨 쓰는 방법인데, 책에 나와있는 풀이(α=Pa/Pb 이용)와는 다르니 편한대로 골라 풀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40.
슬러지나 용액을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가열하여 기체 중에 분산시켜 건조시키는 건조기는?
1.
분무 건조기
2.
원통 건조기
3.
회전 건조기
4.
유동층 건조기
정답 : [
1
] 정답률 : 65%
3과목 : 공정제어
41.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어기
2.
제어밸브
3.
측정장치
4.
외부교란변수
정답 : [
4
] 정답률 : 66%
42.
열교환기에서 외부교란 변수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유입액 온도
2.
유입액 유량
3.
유출액 온도
4.
사용된 수증기의 성질
정답 : [
3
] 정답률 : 55%
43.
G(s)=10/(s+1)2인 공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 제어를 하는 경우 모든 양의 비례이득 값에 대해 제어계가 안정하다.
2.
PI 제어를 하는 경우 모든 양의 비례이득 및 적분시간에 대해 제어계가 안정하다.
3.
PD 제어를 하는 경우 모든 양의 비례이득 및 미분시간에 대해 제어계가 안정하다.
4.
한계이득, 한계주파수를 찾을 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PI제어는 windup현상에 의해 항상 안정할 수는 없다 [해설작성자 : 개구리]
44.
근의 궤적(root locus)은 특성방정식에서 제어기의 비례이득 Kc가 0으로부터 ∞까지 변할 때, 이 Kc에 대응하는 특성방정식의 무엇을 s 평면상에 점철하는 것인가?
1.
근
2.
이득
3.
감쇠
4.
시정수
정답 : [
1
] 정답률 : 52%
45.
폐루프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을 때 계가 안정하기 위한 Kc의 필요충분조건은?
1.
-0.21 < Kc < 1.59
2.
-0.21 < Kc < 2.71
3.
0 < Kc < 2.71
4.
-0.21 < Kc < 0.21
정답 : [
1
] 정답률 : 51%
46.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이론은?
1.
Final Theorem
2.
Stkes Theorem
3.
Taylers Theorem
4.
Ziegle-Nichols Theorem
정답 : [
1
] 정답률 : 70%
47.
주파수 응답에서 위상 앞섬(phase lesad)나타내는 제어기는?
1.
P 제어기
2.
PI 제어기
3.
PD 제어기
4.
제어기는 모두 위상이 지연을 나타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48.
동특성이 매우 빠르고 측정 잡음이 큰 유량루프의 제어에 관련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PID 제어가의 미분동작을 강화하여 제어성능을 향상시킨다.
2.
공정의 전체 동특성은 주로 밸브의 동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3.
비례동작보다는 적분동작 위주로 PID제어기를 조율한다.
4.
공정의 시상수가 작고 시간지연이 없어 상대적으로 빠른 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49.
제어계의 응답 중 편차(offset)의 의미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정상상태에서 제어기 입력과 출력의 차
2.
정상상태에서 공정 입력과 출력의 차
3.
정상상태에서 제어기 입력과 공정 출력의 차
4.
정상상태에서 피제어 변수의 희망값과 실제 값의 차
정답 : [
4
] 정답률 : 55%
50.
그림과 같은 단면적이 3m2인 액위계(liquid level system)에서 qo=8√h m3/min이고 평균 조작수위 ()는 4m일 때, 시간상수(time constant; min)는?
1.
4/9
2.
3√3/4
3.
3/4
4.
3/2
정답 : [
4
] 정답률 : 31%
51.
다음 블럭선도에서 C/R의 전달함수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1%
52.
저장탱크에서 나가는 유량(FO)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아래 3개의 P&ID 공정도의 제어방식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A, B, C 모두 앞먹임(feedforward) 제어
2.
A와 B는 앞먹임(feedforward)이고, C는 되먹임(feedback) 제어
3.
A와 B는 되먹임(feedback) 제어, C는 앞먹임(feedforward) 제어
4.
A는 되먹임(feedback) 제어, B와 C는 앞먹임(feedforward) 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56%
53.
전달함수 G(s)의 단위계단(unit step) 입력에 대한 응답을 ys, 단위충격(nuit impulse) 입력에 대한 응답을 yI라 한다면 ys와 yI의 관계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3%
54.
함수 e-bt의 라플라스 변환 함수는?
1.
1/(s-b)
2.
e-bs
3.
1/(s+b)
4.
s+b
정답 : [
3
] 정답률 : 69%
55.
공정제어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반응기의 온도를 최대 제한값 가까이에서 운전함으로 반응속도를 올려 수익을 높인다.
2.
평형반응에서 최대의 수율이 되도록 반응 온도를 조절한다.
3.
안전을 고려하여 일정 압력 이상이 되지 않도록 반응속도를 조절한다.
4.
외부 시장 환경을 고려하여 이윤이 최대가 되도록 생산량을 조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56.
시간지연(delay)이 포함되고 공정이득이 1인 1차 공정에 비례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다. 교차주파수(crossover frequency)에서의 각속도(ω)가 0.5rad/min일 때이득여유가 1.7이 되려면 비례제어 상수(Kc)는? (단, 시간상수는 2분이다.)
1.
0.83
2.
1.41
3.
1.70
4.
2.0
정답 : [
1
] 정답률 : 31%
57.
Error(e)에 단위계단 변화 (unit step change)가 있었을 때 다음과 같은 제어기 출력응답(response; P)을 보이는 제어기는?
1.
PID
2.
PD
3.
PI
4.
P
정답 : [
3
] 정답률 : 40%
58.
어떤 액위(liquid level) 탱크에서 유입되는 유량(m3/min)과 탱크의 액위(h)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전달함수로 표시된다. 탱크로 유입되는 유량에 크기 1인 계단변화가 도입되었을 때 정상상태에서 h의 변화폭은?
석유화학 공정 중 전화(conversion)와 정제로 구분할 때 전화공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분해(cracking)
2.
개질(reforming)
3.
알킬화(alkylation)
4.
스위트닝(sweetening)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스위트닝은 전화공정이 아닌 정제공정에 해당합니다 : )
정제
1. 연료유 정제 1) 산에 의한 정제 2) 알칼리에 의한 정제 3) 흡착정제 4) 스위트닝 5) 수소화 처리법
2. 윤활유 정제 1) 용제정제법 2) 탈아스팔트 3) 탈납 [해설작성자 : 금쪽이]
70.
순수 HCl 가스(무수염산)를 제조하는 방법은?
1.
질산 분해법
2.
흡착법
3.
Hargreaves법
4.
Deacon법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염삼의 제조방법
1. 식염의 황산분해법 1) Le Blanc법 2) Mannheim법 3) hargreaves법
2. 합성법
3. 무수염산(순수 HCl) 제조 1) 진한 염산 증류법 2) 직접합성법 3) 흡착법
+) Deacon법 : 부생염산으로부터 Cl2를 제조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금쪽이]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무수염산, anhydrous HCl을 생산할 때, 부산물 회수법과 H2SO4 직접반응법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염산은 물섞여있으니 무수염산을 만들 때 어케하는지 물어보고있다.
강력한 탈수제 H2SO4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실험기구 안에 특정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기체 염산이 반응과정에서 나온 물과 섞여있다고 하자. 그럼 실험기구의 출구 이전에 황산 H2SO4 용액 근처를 지나가게끔 하면 H2O가 탈수제 H2SO4에 흡착하게되고 순수염산만 지나간다. 그러면 출구에서는 무수염산을 capture 할수있다.
무수염산 제조 = 수분기 제거 = 탈수제 H2SO4에 물방울방울 흡착시키기 로 암기하자. [해설작성자 : 페랄타]
둘중에 어떤게 H2O가 더 잘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가? 생각해보면 그래도 CH3가 있는 Nitrile그룹이겠지... 하고 답을 골라보자 [해설작성자 : 페랄타]
80.
염산 제조에 있어서 단위 시간에 흡수되는 HCl 가스량(G)을 나타내는 식은? (단, K는 HCl가스 흡수계수, A는 기상-액상의 접촉면적, △P는 기상-액상과의 HCl 분압차이다.)
1.
G=K2A
2.
G=K△P
3.
4.
G=KA△P
정답 : [
4
] 정답률 : 64%
81.
연속반응 A → R → S → T → U에서 각 성분의 농도를 시간의 함수로 도시(plot)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초기에는 A만 존재한다.)
1.
CR 곡선은 원점에서의 기울기가 양수(+)값이다.
2.
CS, CT, CU 곡선은 원점에서의 기울기가 0이다.
3.
CS가 최대일 때 CT 곡선의 기울기가 최소이다.
4.
CA는 단조감소함수, CU는 단조증가함수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82.
기체반응물 A(AA0= 1mol/L)를 혼합흐름 반응기(V=0.1L)에 넣어서 반응시킨다. 반응식이 2A → R이고, 실험결과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반응의 속도식(-rA; mol/Lㆍh)은?
1.
-rA=(30h-1)CA
2.
-rA=(36h-1)CA
3.
-rA=(100L/molㆍh)CA2
4.
-rA=(150L/molㆍh)CA2
정답 : [
3
] 정답률 : 35%
83.
부반응아 있는 어떤 액상 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부반응을 적게 하는 반응기 구조는? (단, k1=3k2, rR=k1CA2CB, rU=k2CACB3이고, 부반응은 S와 U를 생성하는 반응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부반응이 적게 하려면 B의 농도를 낮게, A농도를 높게 해야하므로 2번 그림이 맞는데 여기는 1번으로 되어있네요. 예문사 22년 12판 교재에는 2번 그림이 정답으로 되어있어요. 답을 2번으로 바꾸거나, 1-2번 선지를 바꿔야 될것 같아요 / 추가로 "부반응아" > "부반응이" 오타부분까지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k1 > k2 이므로 PFR 에서 유리, 선택도 = [k1*Ca^2*Cb]/[k2*Ca*Cb^3] = 3Ca/Cb^2 Ca 고농도, Cb 저농도. 따라서 PFR에 B를 조금씩 넣어 농도를 낮게 유지한다. 따라서 정답1번 (지금 홈페이지 기준으로 1번이 정답이고, 다른 교재 기준으론 2번 그림이 홈패이지 1번 그림과 같아서 교재에서는 정답이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도비]
84.
병렬반응하는 A의 속도상수와 반응식이 아래와 같을 때, 생성물 분포비율(rR/rS)은? (단, 두 반응이 차수는 동일하다.)
1.
속도 상수에 관계없다.
2.
A의 농도에 관계없다.
3.
A의 농도에 비례해서 커진다.
4.
A의 농도에 비례해서 작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85.
다음과 같이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상태가 주어졌을 때 반응열 관계로서 옳은 것은?
1.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20 cal이다.
2.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40 cal이다.
3.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20 cal이다.
4.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40 cal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86.
반응 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방법은?
1.
관형반응기(tubular reactor)를 사용한다.
2.
혼합흐름반응기(mixed flow areactor)를 사용한다.
3.
회분식반응기(batch areactor)를 사용한다.
4.
순환반응기(recycle areactor)에서 순환비를 낮춘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87.
균일계 1차 액상반응이 회분반응기에서 일어날 때 전화율과 반응시간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ln(1-XA)=kt
2.
ln(1-XA)=-kt
3.
4.
정답 : [
2
] 정답률 : 62%
88.
액상 1차 직렬반응이 관형반응기(PFD)와 혼합반응기(CSTR)에서 일어날 때 R성분의 농도가 최대가 되는 PFR의공간시간(τP)과 CSTR의공간시간(τC)에 관한 식으로 옳은 것은?
1.
τC/(τP > 1
2.
τC/(τP < 1
3.
τC/(τP = 1
4.
τC/(τP = k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k1=k2의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PFR이 R의 최대농도를 얻는 데 CSTR보다 짧은 시간을 요한다. +) k2/k1이 1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그 차이가 커진다.
1) 관형반응기의 R 성분의 농도가 최대가 되는 공간시간 = 1 / 대수평균 2) 혼합반응기의 R 성분의 농도가 최대가 되는 공간시간 = 1 / 기하평균 [해설작성자 : 금쪽이]
89.
A → R 반응이 회분식 반응기에서 일어날 때 1시간 후의 전화율은? (단, -rA=3CA0.5mol/Lㆍh, CA0=1 mol/L이다.)
1.
0
2.
1/2
3.
2/3
4.
1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전화율이 1이 되는 시점이 2/3시간이기 때문에, 1시간이 지났을 때 또한 전화율은 1입니다! 계산했을 때 음수가 나와서 놀랬죠? 저도 그랬어요,, ㅎㅎ 전화율을 묻는 문제에서 답안 중에 1이 있다면 위의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 ) [해설작성자 : 금쪽이]
90.
1차 비가역 액상반응을 관형반응기에서 반응시켰을 때 공간속도가 6000h-1이었으며 전화율은 40%였다. 같은 반응기에서 전화율이 90%가 되게 하는 공간속도(h-1)는?
1.
1221
2.
1331
3.
1441
4.
1551
정답 : [
2
] 정답률 : 50%
91.
300J/mol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반응의 650K 반응 속도는 500K에서의 반응 속도보다 몇 배 빨라지는가?
1.
1.02
2.
2.02
3.
3.02
4.
4.02
정답 : [
1
] 정답률 : 57%
92.
다음은 Arrhenius 법칙에 의해 도시(plot)한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선 B보다 A의 활성화 에너지가 크다.
2.
직선 A보다 B의 활성화 에너지가 크다.
3.
초기에는 직선 A의 활성화 에너지가가 크나 후기에는 B가크다.
4.
초기에는 직선 B의 활성화 에너지가가 크나 후기에는 A가크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93.
반응기의 체적이 2000L인 혼합반응기에서 원료가 1000mol/min씩 공급되어서 80%가 전화될 때, 원료 A의 소멸속도(mol/Lㆍmin)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4
] 정답률 : 48%
94.
화학반응의 온도의 존성을 설명하는 것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볼츠만 상수(Boltamann constant)
2.
분자 충돌 이론(Collision theory)
3.
아레니우스식((Arrhenius equation)
4.
랭뮤어 힌셜우드 속도론(Langmuir-Hinshelwood kinetics)
정답 : [
4
] 정답률 : 45%
95.
순환반응기에서 반응기 출구 전화율이 입구 전화율의 2배일 때 순환비는?
1.
0
2.
0.5
3.
1.0
4.
2.0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Xi : 입구 전화율, Xf : 출구 전화율 Xi = [R/(1+R)]Xf 입구 전화율 0.5 로 가정 => 0.5 = [R/(1+R)]*1 따라서 R = 1 [해설작성자 : 도비]
96.
유효계수(η)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h는 thiele modulus이다.)
1.
η는 기공확산에 의해 느려지지 않았을 때의 속도분의 기공 내 실제 평균반응속로 정의된다.
2.
h > 10 일 때 η=∞이다.
3.
h < 0.1 일 때 η≅1이다.
4.
η는 h만의 함수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 : h≫1이면 η=1/h이다. (세공확산의 제한이 강한 경우) [해설작성자 : 금쪽이]
97.
반응물 A가 회분반응기에서 비가역 2차 액상반응으로 분해하는데 5분 동안에 50%가 전화된다고 할 때, 75% 전화에 걸리는 시간(min)은?
1.
5.0
2.
7.5
3.
15.0
4.
20.
정답 : [
3
] 정답률 : 56%
98.
다음과 같은 반응을 통해 목적생성물(R)과 그 밖의 생성물(S)이 생긴다. 목적생성물의 생성을 높이기 위한 반응물 농도 조건은? (단, Cx는 x물질의 농도를 의미한다.)
1.
CB를 크게 한다.
2.
CA를 크게 한다.
3.
CA를 작게 한다.
4.
CA, CB와 무관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99.
액상 2차 반응에서 A의 농도가 1 mol/L일 때 반웅속도가 0.1mol/Lㆍs라고하면 A의 농도가 5 mol/L일 때 반응속도(mol/Lㆍs)는? (단, 온도변화는 없다고 가정한다.)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3
] 정답률 : 57%
100.
어떤 공장에서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공정을 가동한다고 할 때 첨가해야하는 D의 양(mol)은? (단, 반응은 완전히 반응한다고 가정한다.)
1.
19.6
2.
29.6
3.
39.6
4.
49.6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 dCA/dt = CA * CD - dCB/dt = 7 * CB * CD dCA/dCB = CA / 7CB ▶ dCA/CA = dCB/7CB //변수분리하여 적분하면 됩니다 : ) +) A : B = 100 : 1 ▶ CA : CB = 100 : 1 [해설작성자 : 금쪽이]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①
③
①
③
②
④
②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②
④
③
①
①
③
②
④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②
①
②
③
④
②
④
①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③
④
④
③
①
②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②
①
①
①
③
①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②
③
④
①
③
④
②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②
③
④
①
①
①
②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①
③
③
③
③
②
②
④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③
①
②
③
②
②
①
④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①
④
④
③
②
③
①
③
①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