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4. 수잉기는 유수형성기부터~출수 직전까지의 기간 이삭과 영화가 커지고, 감수분열을 거쳐 암수 생식세포가 완성된다. [해설작성자 : 시용]
18.
벼의 냉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연형 냉해가 예상되면 알거름을 준다.
2.
규산질 및 유기질 비료를 준다.
3.
저온으로 냉해가 우려되면 질소시용량을 줄인다.
4.
장해형 냉해가 우려되면 이삭거름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19.
땅콩의 생리 및 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통 오전 10시에 가장 많이 개화한다.
2.
협실 비대의 기본적인 조건은 암흑과 토양수분이다.
3.
완전히 결실하는 것은 총 꽃 수의 30% 내외에 불과하다.
4.
결협과 결실은 붕소의 효과가 크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3. 완전히 결실하는 것은 총 꽃 수의 10% 정도에 불과하다 4. 결협과 결실은 석회의 효과가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땅콩은 주로 오전 5시에 가장 많이 개화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식물의 일장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일식물의 유도일장과 한계일장의 주체는 보통 단일측에 있다.
2.
장일식물에는 시금치, 상추, 귀리 등이 있다.
3.
중간식물은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화성이 유도된다.
4.
중성식물은 특정한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되며, 2개의 한계일장을 가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단일식물의 최적일장과 유도일장의 주체가 단일측에 있고, 한계일장은 보통 장일측에 있다. 3. 중간식물(정일성 식물)은 어떤 좁은 범위의 특정한 일장에서만 화성이 유도되며, 2개의 뚜렷한 한계일장이 있다. 4. 중성식물은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대단히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화성이 유도되며, 화성이 일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 장일식물 : 맥류, 양귀비, 시금치, 양파, 상추, 아마, 티머시, 아주까리, 감자 [해설작성자 : ]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②
③
③
③
③
②
①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④
①
②
③
④
①
②
②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