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주의표지: 도로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 또는 그 부근에 위험물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할 수 있도록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 규제표지: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각종 제한, 금지등의 규제를 하는 경우에 이를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 지시표지: 도로의 통행방법,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에 도로사용자가 이에 따르도록 알리는 표지 - 보조표지: 주의표지, 규제표시 또는 지시표시의 주 기능을 보충하여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 노면표지: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각종 주의, 규제, 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선으로 알리는 표지 [해설작성자 : 쨍]
5.
감각기에서 자극의 변화를 느끼기 위해서는 처음 받은 자극보다 일정 비율 이상으로 큰 자극을 받아야 된다는 이론은?
1.
베버의 법칙(Weber's Law)
2.
피츠의 법칙(Fitts' Law)
3.
신호검출이론(Signal Detection Theory)
4.
힉-하이만의 법칙(Hick-Hyman Law)
정답 : [
1
] 정답률 : 55%
6.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ㆍ유지
2.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 건의
3.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4.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
정답 : [
3
] 정답률 : 69%
7.
레빈(K. Lewin)의 인간의 행동에 대한 함수 B=f(P, E)에서 E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77%
8.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 절연성이 없다.
2.
질식 소화 효과가 있다.
3.
기체 상태의 비중은 공기보다 무겁다.
4.
대기압, 상온에서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9.
폭발의 원인에 따른 분류 중 물리적 폭발에 해당하는 것은?
1.
산화폭발
2.
분해폭발
3.
증기폭발
4.
중합폭발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폭발의 분류 ㅇ 공정별 분류 - 화학적 폭발: 산화반응, 분해반응, 중합에 의한폭발 - 물리적 폭발: 액화가스 증기폭발, 수증기폭발, 전선폭발, 감압폭발
ㅇ 기상폭발과 응상폭발 - 기상폭발: 가스폭발, 분무폭발, 분진폭발, 가스의분해폭발(에틸렌, 산화에틸렌), 증기운폭발(밀폐공간 외) - 응상폭발: 수증기폭발(물리적폭발, 화염동반하지않음), 증기폭발, 혼합위험에 의한 폭발, 전선폭발 - BLEVE: 물리+화학/ 과열상태의 탱크에서 내부의 액화가스를 분출하여 기화되어 착화되었을 때 폭발하는 현상으로 벽면파괴를 동반하는 형상 ** cf. 증기운 폭발(UVCE): 대기중에 가연성 가스가 유해하거나 가연성 액체가 유출되어서 발생하는 폭발, 밀폐공간 외 [해설작성자 : 쨍]
1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가축이나 야생동물로부터 사람에게 감염되는 인수공통(人獸共通)감염병에 해당하는 것은?
1.
인간면역결핍증
2.
수두
3.
홍역
4.
탄저병
정답 : [
4
] 정답률 : 68%
11.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작업공정의 요소 중 행동의 대상을 지적하고 큰 소리로 확인하는 방법은?
1.
툴박스미팅(Tool Box Meeting)
2.
안전교육관찰프로그램(Safety Training Observation Program)
3.
지적확인(Pointing and Calling)
4.
과오원인제거(Error Cause Removal)
정답 : [
3
] 정답률 : 82%
1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상 안전보건교육 중 근로자 정기교육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표준안전 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2.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3.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4.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근로자만 하는것 -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관한 사항 (정기교육시/채용시x)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채용시) - 사고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채용시)
* 관리감독자만 하는것 (정기교육) - 작업공정의 유해, 위험과 재해예방 대책에 관한 사항 (채용시x) -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 체계와 안전, 보건조치 현황에 관한 사항 - 표준 안전 작업방법 결정 및 지도, 감독 요령에 관한 사항 - 현장 근로자와의 의사소통 능력 및 강의 능력 등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에 관한 사항 (채용시x) - 비상시 또는 재해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채용시에만 하는것 -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 자료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사항(근로자만) - 사고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근로자만)
안전교육에서 주제를 학습시킬 범위와 내용의 수준을 의미하는 '학습의 정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인지→지각→이해→적용
2.
지각→인지→이해→적용
3.
이해→인지→지각→적용
4.
이해→지각→인지→적용
정답 : [
1
] 정답률 : 56%
14.
「식품안전기본법」상 식품 등에 존재하는 위해요소가 인체의 건강을 해하거나 해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와 그 정도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1.
위험성평가
2.
위해성평가
3.
유해성평가
4.
유독성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위해성 평가: 식품등에 존재하는 위해요소가 인체의 건강을 해하거나 해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와 그 정도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 (cf. 화학물질 관리법) - 위해성: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노출되는 경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정도 - 유해성: 화학물질의 독성등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좋지아니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 고유의 성질(유-한 성질) - 유해화학물질: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 유독물질: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한것을 말한다. - 허가물질: 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제조, 수입 사용하도록 환경부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와 화학물질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한 것 - 제한물질: 특정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서 그 용도로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 저장, 운반 또는 사용을 금지하기위하여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과의 협의와 화학물질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한 것 - 금지물질: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서 모든용도로의 *(이하동일) [해설작성자 : 쨍]
15.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시행령」상 대테러특공대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국방부장관
2.
경찰청장
3.
소방청장
4.
해양경찰청장
정답 : [
3
] 정답률 : 83%
16.
마주 보는 두 외벽 중 하나에 결함이 있어, 그 외벽이 지탱하는 건물 지붕의 측면 부분이 무너져 내려 삼각형의 공간이 발생하는 건축물 붕괴 유형은?
1.
경사형 붕괴
2.
팬케이크형 붕괴
3.
V자형 붕괴
4.
캔틸레버형 붕괴
정답 : [
1
] 정답률 : 63%
17.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상 성능평가에서 시설물을 사용한 연수 및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재료적 성질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에 저항하는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은?
1.
안전성능 평가
2.
내구성능 평가
3.
사용성능 평가
4.
종합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안전점검 등: 안전점검, 긴급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말한다. - 상태평가: 안전점검 등에서 시설물의 외관을 조사하여 결함의 정도를 포함한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안전성 평가: 안전점검 등에서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고 설계도서 및 기존의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를 참고하여 시설물의 구조, 수리, 수문해석 등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안전성능평가: 조사시점의 외관상 결함정도 및 시설물에 작용하는 내, 외적하중(고정하중, 활하중 등)으로 인해 시설물에 발생할 수 잇는 손상 및 붕괴에 저항하는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내구성능 평가: 성능평가에서 시설물을 사용한 연수 및 외부 환경조건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재료적 성질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에 저항하는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사용성능평가: 성능평가에서 시설물의 예상 수요를 고려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사용가능한 연수 동안 확보해야 할 사용자 편의성 및 계획 당시의 설계기준에 근거한 사용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종합평가: 안전점검 등 성능평가에서 상태평가와 안전성평가 또는 안전성능, 내구성능, 사용성능 평가 결과에 의하여 안전 및 성능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쨍]
18.
연간 총근로시간수가 반영되지 않는 산업재해지표는?
1.
도수율
2.
강도율
3.
연천인율
4.
환산도수율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연천인율: 연간 천명당 사망자 수 * 도수율: 10 6시간당 재해 발생 건수 (=빈도율: 10 6시간당 재해 발생 빈도) * 강도율: 1000시간 당 근로 손실 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