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차 자료도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차 자료는 연구자가 원하는 개념을 마음대로 측정할 수 없으므로 척도의 타당도가 문제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불운의 심리학과]
2.
설문지 회수율을 높이는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쇄형 질문의 수를 가능한 줄인다.
2.
독촉편지를 보내거나 독촉전화를 한다.
3.
개인신상에 민감한 질문들을 가능한 줄인다.
4.
겉표지에 설문내용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응답자가 인식하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폐쇄형 질문이라 함은 일정한 수의 선택지로 응답의 내용이 한정되어있어 응답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을 말한다. 그렇기에 응답자들이 응답을 길게 쓸 필요가 없어서 답변에 용이하다. 설문지 회수율을 높이려면 오히려 폐쇄형 질문이 더 많이 들어가게 해서 응답자가 답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안e]
3.
다음 중 종단적 연구가 아닌 것은?
1.
패널 연구(panel study)
2.
코호트 연구
3.
시계열 연구
4.
단면 연구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단적 연구 = 하나의 연구대상을 일정 기간 동안 관찰하여 그 대상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 기술적 조사방법 -추세 조사, 코호트조사(동년배연구), 패널조사, 시계열 연구 등
특징 : 현장조사이다, 조사마다 새롭게 표집된 표본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측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동태적이다, 일정기간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조사를 한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다. [해설작성자 : sol]
4.
순수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독립변수의 조작
2.
외생변수의 통제
3.
비동질 통제집단의 설정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무작위 할당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비동질 통제집단의 설정은 순수실험설계가 아닌 유사실험설계 (준실험 설계)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순수실험설계의 특징 1) 대상의 무작위화 2) 독립변수의 조작가능성 3) 외생변수의 통제 4) 시기,대상에 대한 측정 통제 [해설작성자 : 카푸]
5.
우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2.
접근하기 편리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조사가 가능하다.
3.
응답 대상자 자신이 직접 응답했는지에 대한 통제가 어렵다.
4.
회수율이 낮으므로서 서면 또는 전화로 협조를 구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우편조사는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데 용이하다. 쉽게 생각해서 내가 어떤 사람과 편지를 주고 받았다는 사실을 나와 그 사람만 알지 다른 사람은 알 수 있는가? [해설작성자 : 안e]
설문지 작성 후 발신자의 정보를 기입하지 않으면 수신자는 신원을 확인할 수 없다. 즉 익명성 보장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사조사 옾챗 방장 통계학도]
6.
실험설계 방법 중 유사실험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동류집단설계
2.
비동질 통제집단설계
3.
단일집단 반복실험설계
4.
통제집단 사후측정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통제집단 사후측정은 순수실험설계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sol]
7.
다음 중 분석 단위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가구소득 조사
2.
대학생의 연령 조사
3.
가구당 자동차 보유현황 조사
4.
전국 슈퍼마켓당 종업원 수 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석단위는 개인,집단,조직,사회적가공물 총 네가지로 나뉜다. 대학생의 연령조사는 개인분석단위. 나머지는 집단 분석단위. [해설작성자 : 카푸]
*분석단위 : 자료수집 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단위 1) 개인 2) 집단 ex)가족,학급,학과 3) 조직제도 ex)기업, 학교 4) 사회적 가공물/생성물 5) 지역사회,지방정부,국가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8.
다음과 같은 질문의 형태는?
1.
개방형
2.
양자택일형
3.
다지선다형
4.
자유답변형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다지선다와 양자택일은 헷갈릴 수 있으나 상이한 개념이다. [해설작성자 : 사조사 오픈채팅방 운영진 통계학도]
9.
어떤 대상이나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그 대상이나 사람의 구체적인 특성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어떤 효과에 기인한 것인가?
1.
후광효과(halo effect)
2.
동조효과(conformity effect)
3.
위신향상효과(self-lifting effect)
4.
체면치레효과(ego-threat effect)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후광효과 : 측정대상의 한 가지 속성에 강한 인상을 받아 이를 토대로 전체 속성을 평가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동조 효과는 특정 사람의 경우 보다는 여러 군집에 대한 의견을 따르는 효과로 이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심층면접법(in-depth intervie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체로 대규모 조사연구에 적합하다.
2.
같은 표본규모의 전화조사에 비해 대체로 비용이 많이 든다.
3.
면접자는 응답자와 친숙한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4.
면접자 개인별 차이에서 오는 영향이나 오류를 통제하기 어렵다.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심층면접은 개별적인 경험과 의견을 깊이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대규모 표본을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규모 조사에는 설문조사나 전화조사와 같은 양적 방법이 더 적합합니다. [해설작성자 : 봉봉이]
11.
면접조사에서 면접과정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면접지침을 작성하여 응답자들에게 배포한다.
2.
면접기간 동안에도 면접원에 대한 철저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3.
면접원 교육과정에서 예외적인 상황은 언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면접원에 대한 사전교육은 면접원에 의한 편향(bias)을 크게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면접지침은 작성하여 면접원들에게 배포(응답자x) 3) 교육과정에서 예외적인 상황 언급하여 주의줘야 함 4) 면접원들에 대한 사전교육은 편향을 줄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카푸]
12.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 사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량평가 외에 정성평가를 체계화하고 싶을 때
2.
임상심리사의 윤리적 갈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을 때
3.
선임 사회조사분석사의 경험적 지식이 타당한지 알고 싶을 때
4.
결혼이주민 조사 시 연구자의 문화적 편견을 검토하고 싶을 때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윤리적 갈등이라 함은 답이 정해지지 않은 개인적인 사견이기 때문에 과학적 조사가 필요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사조사 오픈채팅방 운영진 통계학도]
13.
집단이나 사회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속 개인에 관한 결론을 도출할 때 발생하는 오류는?
1.
제1종 오류
2.
생태학적 오류
3.
제3종 오류
4.
비체계적 오류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생태학적 오류 - 분석 단위를 집단에 두고 얻은 연구의 결과를 개인에게 동일하게 적용해서 발생하는 오류 개인주의적 오류 - 분석 단위를 개인에 두고 얻은 연구의 결과를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해서 발생하는 오류 환원주의적 오류 - 넓은 범위의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변수 또는 개념의 종류를 지나치게 한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해설작성자 : 발등 불나버림]
14.
연구문제의 가치를 판단하는 학문적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창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경험적 검증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3.
이론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사회적 쟁점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구의 가치 1) 독창성 2) 경험적 검증가능성 3) 윤리적 배려 4) 현실적 제한 [해설작성자 : 카푸]
15.
다음에 해당하는 연구 형태는?
1.
패널 연구
2.
횡단적 연구
3.
동질성집단 연구
4.
경향성 연구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동질성집단 연구(코호트 연구) : 동일 시점에 동일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분석하는 것 동일시점에 특수목적 고등학교 입학이라는 동일 경험을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점이 아닌 2016년 부터 2020년 까지 시간의 변화에 따라 표본을 추출하므로 동질성집단 연구(코호트 연구)에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행정학과]
16.
기술적 조사의 연구문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대도시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어떠한가?
2.
어느 도시의 도로확충이 가장 시급한가?
3.
아동복지법 개정에 찬성하는 사람의 비율은 얼마인가?
4.
가족 내 영유아 수와 의료비 지출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기술적 조사 : 현재 상황을 조사하여 요약, 기록, 묘사 설명적 조사 : 탐색, 기술 자료를 기반으로 인과관게 규명 4. 인과관계 규명 - 설명적 조사 [해설작성자 : 발등에 불났다]
*목적에 의한 븐루 1)탐색적 연구 -조사설계 확정하기 이전,예비적 실시,명제 정립,타당도 검증 2)기술적 연구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 크기/비율/수준 등에 대한 단순 통계쩍인 자료를 수집(발생빈도와 비율) 3)설명적 연구 -인과관계 규명하거나 미래예측,why에 대한 대답 제공 따라서 1,2,3번은 단순 현상에 대한 답을 원하는 기술적 연구이고 4번만 인과론적 설명을 전개하여 설명적 연구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17.
귀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귀납적 논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가설과 관찰결과를 비교하게 된다.
2.
특수한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 진리 또는 원리로서의 결론을 내리는 방법이다.
3.
관찰된 사실 중에서 공통적인 유형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이 요구된다.
4.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많은 사실들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들의 유형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귀납법은 관찰과 자료의 수집을 통해 개별적인 사실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내 보편성과 일반성을 가지는 하나의 결론을 내린다. [해설작성자 : sol]
18.
측정이 반복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효과로 인해 실험 대상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성숙효과
2.
통계적 회귀
3.
시험효과
4.
실험대상의 소멸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성숙효과: 실험기간 중 실험집단의 육제적 심리적 특성이 자연적으로 변화 2) 통계적회귀: 실험대상으로 선정된 집단이 잘못 선정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종속변수의 수준에 있어서 아주 낮거나 아주 높은 상태에 있다면 외적타당성 저해 3) 시험효과: 측정이 반복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효과 4) 실험대상의 소멸: 선정된 실험대상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써 독립변수 효과가 왜곡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카푸]
19.
질문지 작성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질문지는 한번 실시되면 돌이킬 수 없으므로 가능한 많은 양의 정보가 실릴 수 있도록 작성한다.
2.
필요한 정보의 종류, 측정방법, 분석할 내용, 분석의 기법까지 모두 미리 고려된 상황에서 질문지를 작성한다.
3.
질문지 작성에는 일정한 원리와 이론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 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신중하게 작성한다.
4.
동일한 양의 정보를 담고 있어도 설문지의 분량은 가급적 적어야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의 획득을 위한 질문문항 외에 다른 요소들은 설문지에 포함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지나치게 많은 질문은 응답자의 피로를 유발시킴 3. 모든 질문지 작성에 적용되는 일정한 원리와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지나치게 적은 잘문은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저해한다 [해설작성자 : 박지성(nct dream) 부인]
20.
경험적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참여관찰의 결과는 일반화의 가능성이 높다.
2.
내용분석은 질적인 내용을 양적 자료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3.
조사연구는 대규모의 모집단 특성을 기술하는데 유용하다.
4.
실험은 외생변수들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참여관찰은 질적연구이기 때문에 표준화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시대고시책에 나와있음]
21.
다음 질문항목의 문제점은?
1.
응답항목간의 내용이 중복되어 있다.
2.
대답 가능한 응답을 모두 제시해주지 않았다.
3.
의미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4.
조사가 임의로 응답자들에 대한 가정을 하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기업과 정부는 모든 단체를 포괄할 수 없기에 대답 가능한 응답을 모두 제시해주지 않았다.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22.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구자는 상황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없다.
2.
양적자료이기 때문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한 기술이 쉽다.
3.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현실상황에서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연구조사방법이다.
4.
독립변수를 조작하는 현장시험과는 다르며, 자연 상태에서 연구대상을 관찰해 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참여관찰은 질적자료이기 때문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한 기술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치즈]
23.
좋은 가설이 되기 위한 요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검증 가능해야 한다.
2.
입증된 결과는 일반화가 가능해야 한다.
3.
사용된 변수는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4.
추상적이며 되도록 긴 문장으로 표현을 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가설의 구비조건 1. 명료성 2. 가치중립성 3. 특정화 4. 실증성 5. 이론적 근거 추상적이고 되로록 긴 문장의 표현은 가설의 명료성을 저해시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인구센서스에 해당하는 조사방법은?
1.
사례조사
2.
패널조사
3.
횡단조사
4.
코호트(cohort)조사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인구센서스는 하나의 시간대에 전체를 다 조사하는 횡단조사이다 [해설작성자 : 불운의 심리학과]
25.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조사원과 응답자의 상호 이해 부족으로 오류가 개입될 가능성이 높고, 질문과정에서 조사원이 응답자의 응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료수집 방법은?
1.
대인면접법
2.
전화면접법
3.
우편조사법
4.
인터넷조사법
정답 : [
1
] 정답률 : 87%
26.
다음에서 설명하는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외생변수는?
1.
시험효과
2.
표본의 편중
3.
성숙효과
4.
우연적 사건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성숙효과: 실험기간 중 실험집단의 육제적 심리적 특성이 자연적으로 변화 2) 통계적회귀: 실험대상으로 선정된 집단이 잘못 선정되어 츨정하고자 하는 종속변수의 수준에 있어서 아주 낮거나 아주 높은 상태에 있다면 외적타당성 저해 3) 시험효과: 측정이 반복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효과 4) 실험대상의 소멸: 선정된 실험대상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써 독립변수 효과가 왜곡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공단가즈앙]
*내적타당도 저해 요인 1)외부사건(우연한 사건) 2)성숙 또는 시간의 경과 3)통계적 회귀 4)검사요인(테스트효과,시험효과) 5)선별요인 -실험,통제집단 선발할 시 편견을 가짐 6)도구요인(효과) 7)상실요인(실험대상의 탈락) 8)모방 *외적타당도 저해 요인 1)연구표본의 대표성 2)호손효과 -실험대상자 스스로 실험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인식할 대 나타나는 반응이 연구 결과에 영향 미침 3)플라시보 효과 4)검사의 상호작용 효과 5)표본의 편중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27.
설문조사의 질문항목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민감한 질문이나 주관식 질문은 앞에 배치한다.
2.
서로 연결되는 질문은 논리적순서대로 배치한다.
3.
비슷한 형태로 질문을 계속하면 정형화 된 불성실 응답이 발생할 수 있다.
4.
문항이 담고 있는 내용의 범위가 넓은 것에서부터 점차 좁아지도록 배열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민감한 질문이나 주관식 질문은 뒤에 배치해야 응답을 끌어낼 수 있다. 앞인 경우 설문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카푸]
28.
과학적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선별적 관찰에 근거한다.
2.
연구의 반복을 요구하지 않는다.
3.
연역법적 논리의 상대적 우월성을 지지한다.
4.
모든 지식은 잠정적이라는 태도에 기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과학적 방법의 특징-변화가능성 : 이론의 연구 결과는 언제든지 비판되고 수정될 수 있다. 지식이나 이론은 언제든지 비판되고 수정될 수 있는 변화가능성을 가지므로 과학적 방법은 잠정적인 태도를 기반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행정학과]
29.
사례연구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ㄷ → ㄴ → ㄹ → ㅁ
2.
ㄷ → ㄱ → ㄹ → ㄴ → ㅁ
3.
ㄷ → ㄴ → ㄱ → ㅁ → ㄹ
4.
ㄷ → ㄴ → ㄹ → ㄱ → ㅁ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사례연구 단계 1)연구문제 선정(어떤 것을 연구할지) 2)사실 또는 자료 수집(1,2차자료 수집) 3)사실 또는 자료의 요약(얻은 자료를 정리) 4)사실의 설명(얻은 자료를 토대로 연구내용 설명) 5)보고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30.
관찰 대상자가 관찰사실을 아는지에 대한 여부를 기준으로 관찰기법을 분류한 것은?
1.
직접/간접/ 관찰
2.
자연적/인위적 관찰
3.
공개적/비공개적 관찰
4.
체계적/비체계적 관찰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관찰이 일어나는 상황이 인공적인지 여부 - 자연적 / 인위적 관찰시기가 행동발생과 일치하는가 여부 - 직접 / 간접 피관찰자가 관찰사실을 알고 있는가 여부 - 공개적 / 비공개적 관찰주체 또는 도구가 무엇인가에 따라 - 직접적 / 기계를 이용한 관찰 [해설작성자 : 발등에 불났다]
<문제 해설> 같은 간격으로 나열되어있는 숫자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등간척도이다 [해설작성자 : 불운의 심리학과]
0부터 100까지 즉, 숫자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고 0점라는 점수가 “없다.”의 의미가 아닌 0점 그 자체의 의미를 가지므로 등간척도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경영학도]
*서열척도 - 상대적인 순서와 서열상 관계를 나타냄 - 명칭을 부여하고, 순서 및 서열 부여 - 거리나 간격의 의미를 두지 않는다 *등간척도 - 서열화하고 서열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수치부여 - 변수 간 카테고리 사이의 거리 또는 가치가 동일할 경우 측정가능 - +,-사용가능 - 절대적인 ㅇ점 없음. 하지만 임의적인 0점 가짐 (0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아니라, '0만큼' 있는 상태를 의미)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33.
비확률표집방법이 아닌 것은?
1.
편의표집
2.
유의표집
3.
집락표집
4.
눈덩이표집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비확률표집은 각 단위가 표본에 포함될 확률을 알 수 없고 표집오차를 산정할 수 없는 방법 1) 편의표집: 편리성에 기준을 두고 표본 추출 2) 유의표집: 조사자가 조사문제와 모집단에 대한 지식이 충부니 많을 경우 유용하게 쓰임 3) 할당표집: 모집단의 속성을 반영한 할당표에 따라 각 범주에서 할당된 표본수를 임의 표집(층화표집과 다름) 4) 눈덩이표집: 소수의 표본으로부터 점차 표본을 늘려가는 표집방법. 질적연구에 많이 이용 [해설작성자 : 카푸]
34.
일반적인 표본추출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ㄴ → ㄹ → ㄷ → ㅁ → ㄱ
2.
ㄷ → ㄹ → ㄴ → ㅁ → ㄱ
3.
ㄷ → ㄴ → ㄹ → ㄱ → ㅁ
4.
ㄹ → ㄷ → ㄴ → ㅁ → ㄱ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표본조사설계의 절차 1)모집단 확정 2)표집틀 선정(모집단의 조사대상자 목록있는 거라고 보면됨. 모집단에 누가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 3)표집방법(조사대상자를 어떻게 뽑지?) 4)표본크기 결정(누구 뽑을지는 정함. 몇명 뽑을거야?) 5)표본추출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35.
계통표집(systematic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각 층위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단순무작위표집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표집틀에 주기성이 없는 경우 모집단을 잘 반영할 수 있다.
4.
최초의 표본집단을 무작위로 선정한 다음에 k번째마다 표본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번은 층화표본추출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sol]
36.
다음 중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인 것은?
1.
자녀수
2.
지능지수(IQ)
3.
원화로 나타낸 연간소득
4.
3단계(상, 중, 하)로 나눈 계층적 지위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범주형 변수 : 명목척도, 서열척도 4 서열척도 [해설작성자 : 리오]
37.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측정도구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2.
면접자들은 일관된 태도로 면접을 한다.
3.
가능하면 단일 항목을 이용하여 개념이나 속성을 측정한다.
4.
조사 대상자가 관심 없거나 너무 어려워하는 내용은 제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신뢰도 높이는 방법 1) 측정항목을 증가시키고 유사하거나 동일한 질문을 2회 이상한다 2) 면접자들은 일관적 면접방식으로 일관성있는 답변을 유도 3) 측정도구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4) 신뢰성이 인정된 기존의 측정도구를 사용 4) 조사대상이 관심없거나 무성의한 답변은 예측이 어려운 결과를 도출하므로 제외 [해설작성자 : 카푸]
38.
층화표본추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확률표본추출방법 중 시간, 비용 및 노력을 가장 절약할 수 있다.
2.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할 때보다 표본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3.
각 소집단에서 뽑는 표본 수에 따라 비례·불비례층화추출방법으로 나뉜다.
4.
모집단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서로 상이한 소집단으로 나누고 이들 각각의 소집단들로부터 빈도에 따라 적절한 일정수의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층화표본추출은 단순무작위표본추출 또는 계통적 표본추출보다 불필요한 자료의 분산을 축소하므로 시간, 노력,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층화 시 모집단에 대한 사전 지식이 요구되며, 층화에 근거가 되는 명부가 필요하고 층화목록이 없는 경우 그것을 만들어내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확률표본추출방법 중 가장 많은 시간,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5일의전사]
확률 표본 추출 중 시간 및 비용 절약 순서 1. 집락 (젤 적게 듬) 2. 층화 3. 계통
표본 크기 같을 때 표본 오차 크기 1. 집락 (제일 큼) 2. 단순 무작위 3. 층화 [해설작성자 : 20230712시험]
39.
기준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험적 타당도
2.
이론적 타당도
3.
예측적 타당도
4.
동시적 타당도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기준 관련 타당도 (실용적 타당도, 경험적 타당도) : 경험적 근거에 의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전문가가 만들어 놓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에 의한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문제 해설> 2. 측정오차는 타당도와 관계성이 크다. 서로 반비례 관계임. 3. 신뢰도가 없으면 타당도 설명 불가 4. 확률 오차가 크면 신뢰도 낮아짐. [해설작성자 : 수포자도 할수있나요]
42.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적 속성을 양적 속성으로 전환하는 작업이다.
2.
경험의 세계와 개념적·추상적 세계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3.
조사대상의 속성을 추상적 개념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이다.
4.
이론을 구성하는 개념들을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 가능한 자료와 연결해주는 과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측정은 관찰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객관화, 표준화를 통해 과학적인 관찰과 표준화된 측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관적 **추상적인 판단에서 야기되는 오류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sol]
43.
신뢰도 측정방법 중 설문지 혹은 시험지의 문항들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 부분에서 얻은 측정값들을 두 번의 조사에서 얻어진 것처럼 간주하여 그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검사하는 방법은?
1.
반분법
2.
재검사법
3.
동형방법
4.
상관분석법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반분법과 동형방법을 헷갈리지 않는 것이 포인트이다. [해설작성자 : 사조사 오픈채팅방 운영진 통계학도]
44.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와 대학 진학 후 학업성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방법은?
1.
내용타당도
2.
논리적타당도
3.
내적타당도
4.
기준관련타당도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내용타당도(표면타당도, 액면타당도, 논리적 타당도) : 연구자가 의도한 내용대로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가 내적 타당도 : 각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론하여 그것이 실험에 의한 진정한 변화에 의한것인지를 판단하는 인과조건의 충족정도 기준타당도(기준관련 타당도, 실용적 타당도, 경험적 타당도) : 경험적 근거에 의해 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전문가가 만들어놓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도구에 의한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외적변수(기준)와 측정도구의 측정결과(척도의 점수) 간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타당도를 파악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sol]
45.
표집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찰단위란 직접적인 조사대상을 의미한다.
2.
모집단이란 우리가 규명하고자 하는 집단의 총체이다.
3.
표집단위란 표집과정의 각 단계에서의 표집대상을 지칭한다.
4.
표집간격이란 표본을 추출할 때 추출되는 표집단위와 단위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표집간격이란 추출되는 표본사이의 간격 [해설작성자 : 카푸]
46.
과녁의 가운데를 조준하고 쏜 화살 5개 모두 제일 가장자리의 동일한 위치에 집중되었을 때 신뢰도와 타당도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높다.
2.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낮다.
3.
신뢰도는 높지만 타당도는 낮다.
4.
타당도는 높지만 신뢰도는 낮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일 가장자리인 경우, 높은 신뢰도와 낮은 타당도를 의미 제일 정중앙인 경우 높은 신뢰도와 높은 타당도 여기저기 흩뿌려진 경우, 낮은 신뢰도와 보통 타당도 중앙에서 먼 곳으로 한쪽에 흩뿌려진 경우 낮은 신뢰도와 낮은 타당도. 과녁에 꽂힌 화살이 관찰값을 나타내며 과녁 가운데를 조준(연구자 측정값)하며 쏜 화살이라 타당도가 낮고 동일한 위치로 집중되면 신뢰도가 높아짐 [해설작성자 : 카푸]
<문제 해설> 조작화 : 측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추상적인 개념들을 경험적, 실증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체화하는 것이다, 될 수 있는 한 실행 가능하고 관찰 가능한 조작을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한 용어로 구성된 것이며 조작적 정의의 최종 산물은 수량화이다. [해설작성자 : sol]
<문제 해설> 온도는 0개념이 들어가있지만, 절대값 0이 아니기에 등간척도입니다. [해설작성자 : 카푸]
55.
다음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가별 통계 자료를 수집한다고 할 때, ‘출생률’은 어떤 변수인가?
1.
매개변수
2.
독립변수
3.
외적변수
4.
종속변수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영향을 받는 변수가 종속변수이다. [해설작성자 : 사조사 오픈채팅방 운영진 통계학도]
56.
측정오차의 발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계분석기법
2.
측정시점의 환경요인
3.
측정방법 자체의 문제
4.
측정시점에 따른 측정대상자의 변화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측정오차의 주요 근원 ] 1. 측정자에 의한 오차 2. 측정대상에 의한 오차 3. 고정반응 4. 문화적 차이나 인구 사회학적 차이의 개입 5.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편향 6. 측정도구와 측정대상자의 상호작용 7. 측정도구와 측정방법상의 문제 8. 측정대상자의 표기상 오차와 분석과정상의 문제 9. 인간의 지적 특수성에 의한 오차 10. 시간,장소적인 제약에서 오는 오차 11. 환경적 요인의 변화 [해설작성자 : 니냐뇨]
57.
사회조사에서 척도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연속성은 척도의 중요한 속성이다.
2.
척도는 변수에 대한 양적인 측정치를 제공한다.
3.
척도는 여러 개의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나타낸다.
4.
척도를 통하여 하나의 지표로서 제대로 측정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개념을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불연속성이 아닌 연속성이 척도의 중요한 속성이다. [해설작성자 : sol]
58.
개념(concep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념은 이론의 핵심적 구성요소이다.
2.
개념은 특정대상의 속성을 나타낸다.
3.
개념 자체를 직접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4.
개념의 역할은 실제연구에서 연구방향을 제시해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개념은 조작화 과정을 거쳐 추상적인 개념들을 경험적, 실증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cocobol]
59.
다음 중 군집표집의 추정 효율이 가장 높은 경우는?
1.
집락 간 평균이 서로 다른 경우
2.
각 집락이 모집단의 축소판일 경우
3.
각 집락 내 관측값들이 비슷할 경우
4.
각 집락마다 집락들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집락내 이질, 집락간 동질 만 기억하세요. 1. 집락 간 (평균이 서로다른 경우) 이질? 아니죠. 동질일 경우 효율이 높습니다. 2. 각 집락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습니다. 고로 모집단의 축소판일 수록, 추정효율이 좋아집니다. 3. 각 집락 내 (내 관측값들이 비슷) 동질? 아니죠. 이질일 경우 효율이 높습니다. 4. 각 집락마다 (집락들의 특성이 서로 다른경우) 이질? 아니죠 동질일 경우 효율이 높습니다. [해설작성자 : 통계학도]
60.
단순무작위표본추출에 따른 표본평균의 분포가 갖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 평균을 중심으로 대칭형이다.
2.
표본평균 분포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과 같은 것은 아니다.
3.
큰 표본을 사용할수록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 평균 근처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4.
표본평균의 분포는 모집단 평균 근처가 가장 밀집되어 있고 평균에서 떨어질수록 적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하나의 표본 평균은 모평균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표본 평균 분포의 평균은 모평균이다.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61.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이항분포
2.
정규분포
3.
표본분포
4.
중심극한정리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중심극한정리란 동일분포를 가지는 분포들의 평균은 그 개수가 많아지면서 언제나 정규분포로 수렴한다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니냐뇨]
62.
어느 질병에 대한 3가지 치료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모형 Xij=µ+αi+εij에서 오차항 εij에 대한 가정으로 틀린 것은?
*결정계수 =ssr/sst=1-sse/sst *sst = sse+ ssr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64.
어느 지역의 유권자 중 94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가장 선호하는 정당을 조사한 결과를 연령대별로 정리하여 다음의 이차원 분할표를 얻었고, 분할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의수준 0.05에서 연령대와 선호하는 정당과의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맞는 것은?
1.
카이제곱 통계량이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2.
우도비 통계량이 유의수준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3.
우도비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4.
카이제곱 통계량에 대한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2 : 통계량 자체는 신뢰구간과 유의확률을 구하는데에 사용될 뿐 가설 결정의 기준은 아니다. 3,4: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65.
평균이 70이고, 표준편차가 5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집단에서 추출된 1개의 관찰값이 80이었다고 하자, 이 개체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화점수는?
공정한 주사위 1개를 20번 던지는 실험에서 1의 눈을 관찰한 횟수를 확률변수 X라 하고, 정규근사를 이용하여 P(X ≥ 4)의 근사값을 구하려 할 때, 연속성 수정을 고려한 근사식으로 맞는 것은? (단, Z는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이다.)
1.
P(Z ≥ 0.1)
2.
P(Z ≥ 0.4)
3.
P(Z ≥ 0.7)
4.
P(Z ≥ 1)
정답 : [
1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n이 클 땐 이항분포의 값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B(n,p)를 정규분포로 근사시킨 N(np, npq)를 이용해 계산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값에 오차가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0.5를 넣어서 값을 보정해 준다. X가 이항분포를 따를 때, P(a≤X≤b)≒P(a-np/root(npq)≤Z≤b-np/root(npq)) ≒P(a-np-0.5/root(npq)≤Z≤b-np+0.5/root(npq))
<문제 해설> *상관계수는 변수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이용됨 // 변수 단위와 관계 없음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 상관계수는 변수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 변수간의 관계의 정도와 방향을 하나의 수치로 요약해서 표시한다. 상관계수는 -1 ~ 1 사이의 값.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울 수록 상관관계는 낮아진다. 상관계수가 -1 또는 1에 가까울 수록 상관관계는 높아진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 수룩 상관관계가 높아짐 =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 수록 상관관계가 높아짐 =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해설작성자 : 피치젤리]
70.
x를 독립변수로 y를 종속변수로 하여 선형회귀분석을 하고자한다. 다음의 요약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절편을 구하면?
어느 지역의 청년취업률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한 500명 중 400명이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청년취업률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단, Z가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일 때, P(Z > 1.96)=0.025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통계정 추정- 구간추정 - 비율의 신뢰구간 공식을 암기할 것 [해설작성자 : 좋은 하루 되세요.]
72.
20개로 이루어진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을 때, 중위수와 사분위 범위(interquartile range)의 값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40, 7
2.
40, 8
3.
41, 7
4.
41, 8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Q3는 75%의 위치값에 해당하는 부분이니까 15번째 수와 16번째 수의 중간값인 (45+45)/2=45가 맞고 Q1는 25%의 위치값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5번째 수와 16번째 수의 중간값인 (37+39)/2=38입니다. 따라서 사분위수 범위는 Q3-Q1=45-38=7이 맞으므로 정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업공학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현재 자료의 총 개수가 짝수개이므로 중위수는 10번째자료(40)와 11번째자료(42)의 평균인 41입니다. 이때 1분위수는 중위수 기준 왼쪽(숫자가 낮은쪽)의 자료의 중위값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중위수인 41보다 숫자가 낮은 자료의 개수는 총10개입니다 이때 자료의 개수가 짝수이므로 10개중 5번째와 6번째 자료값의 평균이 1분위수입니다. 그러므로 5번째자료(45)와 6번째자료(45)의 평균인 45가 1분위수가 됩니다.
같은 논리로 3분위수는 전체 자료의 중위수인 41보다 높은 수들의 중위값으로 구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답은 3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망나뇽너프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산업공학도 님이 작성해주신 첫번째 해설 중, 1분위수 즉 Q1을 구하는 과정에서 25%의 위치값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5번째 수와 16번째 수"가 아닌 "5번째 수와 6번째 수"의 중간값인 (37+39)/2 = 38 입니다. 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회사에서 품질을 관리하기 위하여 생산된 제품 가운데 100개를 추출하여 조사 하였다. 그 중 부적합품수를 X라 할 때, X의 기댓값이 5이면, X의 분산은?
1.
0.05
2.
0.475
3.
4.75
4.
9.5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X의 기댓값이 5 → 100 X p = 5 , p = 1/20 Var(X) = np(1-p) 이므로 100 X (1/20) X (19/20) = 4.75 [해설작성자 : 질리언장인]
*이항분포 : 어떤 시행에서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p, 일어나지 않을 확률 q(1-p) 라고한다 E(x) = np var(x) = npq *n=100, E(x)=5 를 알 때, 100p=5 이므로 따라서 p=1/20 *var(x) = npq = 100*1/20*19/20 = 4.75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74.
평균이 40, 중앙값이 38, 표준편차가 4일 때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1.
4%
2.
10%
3.
10.5%
4.
40%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변이계수 :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것 [해설작성자 : 완두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오류 있어 수정) 평균을 표준편차로 나눈 것 [해설작성자 : 쀼뷰륭]
[오류신고 반론]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것이 맞습니다. 4/40=10% [해설작성자 : 문흥동개구리]
75.
표본자료로부터 추정한 모평균 µ에 대한 95% 신뢰구간이 (-0.042, 0.522)일 때, 유의수준 0.05에서 귀무가설 H0:µ=0 대립가설 H1:µ≠0의 검증 결과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1.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2.
신뢰구간의 상한이 0.522로 0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해야 한다.
3.
신뢰구간과 가설검증은 무관하기 때문에 신뢰구간을 기초로 검증에 대한 어떠한 결론도 내릴 수 없다.
4.
신뢰구간을 계산할 때 표준정규분포의 임계값을 사용했는지 또는 t분포의 임계값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해석이 다르다.
k개의 독립변수 xi(i=1, 2, …, k)와 종속변수 y에 대한 중희귀모형 y=α+β1x1+…+βkxk+ε을 고려하여, n개의 자료에 대해 중희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총 편차 를 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3개의 제곱합 의 자유도를 각각 구하여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0m당 평균 1개의 흠집이 나타나는 전선이 있다. 이 전선 10m를 구입하였을 때, 발견되는 흠집수의 확률분포는?
1.
이항분포
2.
초기하분포
3.
기하분포
4.
포아송분포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단위시간, 단위면적 또는 단위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어떤 사건의 횟수를 확률변수 X라 하면, 확률변수 X는 λ를 모수로 갖는 포아송분포를 따른다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추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검정력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2.
신뢰구간은 넓을수록 바람직하다.
3.
표본의 수는 통계적 추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표본조사시의 문제이다.
4.
모든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표본의 수가 클수록 신뢰구간의 길이는 짧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원하는 수준이나 다른 조건에 따라 다르다. 관례적으로는 1-β=0.8을 사용한다. 2. 아주 넓은 신뢰구간의 예: 우리나라 직장인의 평균 급여는 [100만원, 900만원]이다. 너무 넓으면 추정으로서의 의미가 없어진다. 3. 바로 밑 4번 보기와 충돌. 표본의 수 n이 커질수록 표본분포의 분산이 작아져서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7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sX, sY는 각각 X와 Y의 표준편차이다.)
1.
Y=-2X+3일 때 sY=4sX이다.
2.
상자그림(BOX plot)은 여러 집단의 분포를 비교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3.
상관계수가 0이라 하더라도 두 변수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도 있다.
4.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여러 집단의 분산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Y=aX+b에서 V(Y)=a2V(X) 따라서 Y의 분산은 X의 분산의 네 배이고 Y의 표준편차는 X의 표준편차의 두 배이다. [해설작성자 : 칠칠에사십구]
80.
확률변수 X는 평균이 2이고, 표준편차가 2인 분포를 따를 때, Y=-2X+10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어느 대형마트 고객관리팀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매일 고객을 분류하여 관리한다. 어느 특정한 날 마트를 방문한 고객들의 자료를 분류한 결과 A그룹이 30%, B그룹이 50%, C그룹이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날 마트를 방문한 고객 중 임의로 4명을 택할 때, 이들 중 3명만이 B그룹에 속할 확률은?
1.
0.25
2.
0.27
3.
0.37
4.
0.39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고객이 B그룹에 속할 확률은 50/(30+50+20) = 1/2이고, 고객의 방문은 각 독립이다. X를 B그룹에 속하는 사람의 수라고 하면 4명을 선택할 때 X명만 B그룹에 속할 확률은 4CX(1/2)^X(1-1/2)^(4-X)이다. 따라서 3명만 B그룹에 속할 확률은 4C3(1/2)^3(1-1/2)^(4-3) = 0.25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다음은 왼손으로 글자를 쓰는 사람 8명에 대하여 왼손의 악력 X와 오른손의 악력 Y를 측정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왼손으로 글자를 쓰는 사람들의 왼손 악력이 오른손 악력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고자 한다. 검정통계량 T의 값과 기각역을 구하면?
1.
T=0.71, T≥1.860
2.
T=2.01, T≥1.895
3.
T=0.71, |T|≥2.365
4.
T=2.01, |T|≥2.365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귀무가설: 양 손 악력에 차이가 없다 left=right 대립가설: 왼손이 오른손보다 강하다 left>right → 단측검정 짝을 이루는 표본의 t검정통계량 T=차이의 평균/(차이의 표준편차/root(표본수)) =3.5/(4.93/root(8))=2.008≒2.01 자유도는 8-1=7 분포표에서 자유도 7, 알파 0.05를 찾는다. 임계치는 T=0.895 *양측검정이었다면 알파 0.025를 찾는다. 이때의 임계치는 |T|=2.365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다음은 3개의 자료 A, B, C에 대한 산점도이다. 이 자료에 대한 상관계수가 -0.93, 0.20, 0.70 중 하나일 때, 산점도와 해당하는 상관계수의 값을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자료 A:-0.93, 자료 B:0.20, 자료 C:0.70
2.
자료 A:-0.93, 자료 B:0.70, 자료 C:0.20
3.
자료 A:0.20, 자료 B:-0.93, 자료 C:0.70
4.
자료 A:0.20, 자료 B:0.70, 자료 C:-0.93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울수록 상관이 없는것이니 예를들어 그림 C가 제일 상관없어 보이니 그런것…!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어요악]
자료 A는 반비례 관꼐이므로 상관계수가 음수이다 . 따라서 -0.93이다 . 자료 b가 자료 c에 비해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므로 자료B가 0.70, 자료 c가 0.20 이다
84.
다음은 독립변수가 k개인 경우의 중회귀모형이다. 최소제곱법에 의한 회귀계수 벡터 β의 추정식 b는? (단, X′은 X의 치환행렬이다.)
1.
b=X′y
2.
b=(X′X)-1y
3.
b=X-1y
4.
b=(X′X)-1X′y
정답 : [
4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A=Y-Xβ라고 두고 단순회귀에서처럼 최소제곱법을 이용하면 된다. 그러면 정규방정식 X'Xβ=X'y를 얻는다.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85.
어느 여행사에서 앞으로 1년 이내에 어학연수를 원하는 대학생들의 비율을 조사하기를 원한다. 95% 신뢰수준에서 참 비율과의 오차가 3%이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 몇 명의 대학생을 조사해야 하는가? (단, Z0.05=1.645, X0.025=1.96이고, 표본비율 p는 0.5로 추측한다.)
1.
250
2.
435
3.
752
4.
1068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비율을 추정할때 표본수의 결정
n=z^2*pq/d^2 q=1-p d=신뢰도계수 * 표준오차=오차한계
n=(1.96^2/0.02^2)*0.5*0.5 [해설작성자 : 완두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어떤 공장에서 생산된 전자제품 중 5개의 표본에서 1개 이상의 부적합품이 발견되면, 그 날의 생산된 전제품을 불합격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합격으로 처리한다. 이 공장의 생산공정의 모부적합품률이 0.1일 때, 어느 날 생산된 전제품이 불합격 처리될 확률은? (단, 95 = 59049이다.)
<문제 해설> [*바람직한 통계적 추정량의 결정기준] 1)불편성 -추정량의 기대치가 추정할 모수의 실제값과 같을 때, 이 추정량은 불편성을 가짐 2)효율성 -추정량이 불편추정량이고, 그 분산이 다른 추정량에 비해 최소의 분산을 갖는 성질 3)일치성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추정량이 확률저ㄱ으로 모수에 가깝게 수렴하는 성질 4)충분성 -모수에 대하여 가능한 한 많은 표본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추정량의 설질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89.
다음 표는 빨강, 파랑, 노랑 3가지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남학생 200명과 여학생 20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선호도를 조사한 분할표이다.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색상에 차이가 없다면, 파랑을 선호하는 여학생 수에 대한 기대도수의 추정값은?
1.
70
2.
75
3.
80
4.
85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카이제곱 독립성 및 동일성 검정 기대도수 = oi*oj/n 따라서 200*160/400 = 80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참조) 기대도수를 구하는 원리와 검정의 논리 만약에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색상이 다르지 않다면 남성 200명과 여성 200명은 전체 선호 색상 비율로 배분 되어 있을 것이다. 색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15/40, 16/40, 9/40 = 0.375, 0.4, 0.225이므로 남녀의 0.375*200=75명은 빨강을, 0.4*200=80명은 파랑을, 0.225*200=45명은 노랑을 선호해야 한다. 만약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면 표의 각 칸의 수는 위에서 구한 기대도수와 차이가 있게 된다. 차이가 많이 날수록 성별과 색상 선호는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독립성 검정이다. [해설작성자 : 레몬사탕]
90.
도수분포가 비대칭이고 극단치들이 있을 때 보다 적절한 중심성향 척도는?
1.
산술평균
2.
중위수
3.
조화평균
4.
최빈수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분포모양이 비대칭인 경우에는 중앙값이 산술평균이나 최빈수보다 자료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의 허용한계를 뜻하는 통계적 용어는?
1.
기각역
2.
유의수준
3.
검정통계량
4.
대립가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종어류 : 귀무가설이 참이에도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과오를 제1종오류라고 하며 제2종 오류보다 심각! *오류를 발생시킬 확률은 ?(유의수준)이며 이때 ?는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의 최대허용한계라는 뜻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
확률변수 X의 분포의 자유도가 각각 a와 b인 F(a, b)를 따른다면 확률변수 Y=1/X의 분포는?
1.
F(a, b)
2.
F(b, a)
3.
F(1/a, 1/b)
4.
F(1/b, 1/a)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f-분포 -왼쪽으로 기울어진 오른쪽 긴 꼬리 비댕칭분포 형태 -자유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칭성에 가까워짐 -항상 양의 값을 가짐 -두 개의 분산을 비교, 추론하는데 사용(분산의 동일성검정에 사용) -확률변수 x가 f(m,n)을 따를때, 1/x의 분포는 f(n,m)을 따른다 [해설작성자 : 합격꼬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