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산업발전법〔시행 2021.1.1.〕〔법률 제17761호, 2020.12.29., 타법개정〕에서 규정한 유통산업시책의 기본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산업에서의 소비자 편익의 증진
2.
유통구조의 선진화 및 유통기능의 효율화 촉진
3.
유통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4.
무점포 판매의 경쟁력 제고
5.
유통산업의 지역별 균형발전의 도모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유통산업시책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유통구조의 선진화 및 유통기능의 효율화 촉진 2. 유통산업의 소비자 편익의 증진 3. 유통산업의 지역별 균형발전의 도모 4. 유통산업의 종류별 균형발전의 도모 5. 중소유통기업의 구조개선 및 경쟁력의 강화 6. 유통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7. 선전한 상거래 질서의 확립 및 공정한 경쟁여건의 조성 8. 그 밖에 유통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유통경로에서 중간상이 필요한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거래의 복잡성을 줄이고 거래 과정을 활성화한다.
2.
소유, 장소, 시간상의 효용을 창출한다.
3.
분류과정을 통한 구색상의 차이를 조정한다.
4.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탐색의 비용을 절감해준다.
5.
거래를 비정례화하여 교환거래를 역동적으로 구성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5%
3.
총거래수 최소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매상을 개입시킴으로써 각 경로구성원에 의해 보관되는 제품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3.
소비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4.
유통경로에서 다양하게 수행되는 기능들을 전문성을 가진 유통업체에게 맡김으로써 경제성을 강화한다.
5.
중간상의 참여는 거래빈도의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한 거래비용을 낮춘다.
정답 : [
5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유통경로에서 중간상이 개입함으로써 거래수가 결과적으로 단순화·통합화되어 실질적인 거래비용이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직장 내에서 준수해야할 양성평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히 남성과 여성을 고정관념으로 구분 짓기 보다 상황에 맞춰 고려해야 한다.
2.
지위를 이용한 성적 언동으로 상대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3.
진정한 양성평등을 위해서는 항상 절대적 평등을 적용해야 한다.
4.
성희롱 관련 상담 및 고충 처리를 위해 공식 창구를 운영해야 한다.
5.
성희롱 예방교육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5.
소매업의 유형 중 편의점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라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 편의성이 높다.
2.
고객의 접근이 용이한 지역에 위치하여 공간적 편의성이 높다.
3.
구매빈도가 높고 재고회전이 빠른 생필품 위주의 제품계열을 주로 취급한다.
4.
제품판매 이외의 다양한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
프랜차이즈형 편의점은 독립형 편의점에 비해 운영의 자율성이 높다.
정답 : [
5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프랜차이즈형 체인사업은 독자적인 상품 또는 판매ㆍ경영 기법을 개발한 체인본부가 상호ㆍ판매방법ㆍ매장운영 및 광고방법 등을 결정하고, 가맹점으로 하여금 그 결정과 지도에 따라 운영하도록 하는 형태의 체인사업이므로 프렌차이즈형 편의점은 독립형 편의점에 비해 운영의 자율성이 낮다. [해설작성자 : 몰라]
6.
소매상과 생산자∙도매상의 상대적 특성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1.
㉠
2.
㉡
3.
㉢
4.
㉣
5.
㉤
정답 : [
3
] 정답률 : 79%
7.
마케팅경로 구성원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 : 소비자, 생산자 그리고 거래를 계획하고 촉진하는 데 필요한 마케팅환경 영향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배포함
2.
촉진 : 생산자들이 제품을 적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자극함
3.
접촉 : 예상되는 구매자를 탐색하고 커뮤니케이션 함
4.
조정 : 상품을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맞춤, 제조, 등급화, 조립, 포장하는 활동이 포함됨
5.
협상 : 제품의 소유권 이전을 위해 상품의 가격과 기타 조건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냄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촉진은 판매를 촉진한다는 말이므로 적시제공이 아닌 판매를 빠르게 성사시키기 위한 기능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