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불량한 재래종 가축의 능력을 비교적 짧은 시일 내에 일정 수준까지향상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1.
계통교배
2.
누진교배
3.
순종교배
4.
상호역교배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불량한 재래종을 개량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재래종 암컷에 개량종 순종 종모축을 계속 교배시키는 방법 초기에는 잡종의 개량속도가 빠르나 갈수록 느려진다 [해설작성자 : 뿌요뿌요쿤]
4.
선발의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유전력을 높인다.
2.
선발차를 크게 한다.
3.
세대간격을 길게 한다.
4.
유전적 개량량이 커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세대 간격을 짧게 한다. [해설작성자 : 과락쟁이]
5.
암수 모두 무각인 서포크종 면양 수컷(hh)과 암수 모두 유각인 도셋혼종 면양 암컷 (HH)을 교배시키면 F1(Hh)은 암컷이 무각, 수컷이 유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암컷과 수컷의 유전자형이 동일하지만 호르몬 등의 작용으로 표현형이 암수 간에 다르게 나타나는 유전 현상은?
1.
반성유전
2.
종성유전
3.
한성유전
4.
간성유전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반성유전은 성염색체를 통해 전달된다. 한성유전은 상염색체에 유전자가 존재하나, 한 쪽 성에만 발현되는 것이다.
종성유전은 형질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상염색체에 존재하나, 성호르몬 등의 작용에 의해 성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형질을 말한다. (대머리, 얼굴털 등) [해설작성자 : palbox20]
6.
X형질과 Y형질의 유전분산은 각각 4.0 및 9.0이며 이들 두 형질간 유전공분산은 3.0이다. 이들 두 형질간 유전 상관계수는?
1.
0.08
2.
0.23
3.
0.50
4.
0.70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전 상관(rA) = cov.A(유전공분산)/(σAX*σAY(유전분산)) 따라서 유전 상관계수 = 3.0/(√4.0 * √9.0) = 3.0/6.0 = 0.5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해설에 식과 풀이는 맞는데 유전 분산이라고 잘못 적혀있네요. σ^2 AX = X의 유전 분산 σAX = X의 유전 표준편차
유전 상관 = 유전 공분산 / (X의 유전 표준편차 * Y의 유전 표준편차) [해설작성자 : d+hyn]
7.
각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0.5로 같을 때, 소의 유전형질의 우열 관계는 [보기]와 같다. 모든 형질은 각각 독립적으로 유전된다고 했을 때, BbPpHh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 간에서 태어나는 자손 중 흑색 피모, 무각, 검은 얼굴을 가진 개체가 나타날 확률은?
1.
1/64
2.
3/64
3.
9/64
4.
27/64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4 x 3/4 x 1/4 B_ P_ hh 흑색 무각 다른 색깔 [해설작성자 : 차라차라차차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는 BbPpHh 인데, 해설은 BbPphh 를 설명하고 있네요. 답은 3/4*3/4*3/4=27/64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리리코]
[오류신고 반론] 검은 얼굴이라고 했으니까 hh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1]
8.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을 지배하는 현상은?
1.
유전자 다면작용
2.
유전자 상위성
3.
두 유전자좌 간의 연관
4.
혈액형 유전자좌에서의 이형접합
정답 : [
1
] 정답률 : 88%
9.
다음 젖소의 형질 중 유전력이 가장 낮은 것은?
1.
번식능률
2.
비유량
3.
사료효율
4.
유지율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지율의 유전력은 0.5로 매우 높다. 비유량의 유전력은 0.25이다. 사료효율의 유전력은 0.3~0.4이다. 번식능률의 유전력은 일반적으로 0~0.19로 매우 낮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10.
각 형질간의 상관관계가 경제가치를 고려하여 다수의 형질에 대하여 점수를 매겨 선발하는 방법은?
1.
결합선발법
2.
순차선발법
3.
독립도태법
4.
선발지수법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 개체선발법 : 개체의 능력만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방법 2. 순차선발법 : 우선 한 형질에 대하여 선발하여 일정수준까지 도달하면 다음 형질을 선발하는 방법, 한 번에 한 형질씩 개량하는 방법이다. 3. 독립도태법 : 가축의 여러 형질을 동시에, 독립적으로 선발하는 방법. 이때 각 형질마다 일정한 수준을 정하고 그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도태한다. 4. 선발지수법 : 가축 개량 시 1개의 형질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형질을 개량, 여러 형질을 종합적인 점수로 산출하여 선발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11.
계통 교잡 시 나타나는 일반 조합능력은 주로 유전자의 어떤 작용에 의존하는가?
1.
우성 작용
2.
초우성 작용
3.
상위성 작용
4.
상가성 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대립유전자간에 있어 유전자형의 변화에 따라 표현형 능력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유전자 작용을 상가적 작용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초우성 : 대립유전자간 상호작용에서 이형접합체 유전자가진 개체가 동형접합체가진 개체보다 성적이 우수한 현상 [해설작성자 : 헛둘셋?]
조합능력은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조합능력: 한 계통이 여러개의 다른 계통과 교배되어 나오는 각종 F1 능력의 평균. 상가적효과(상가성 작용)에 기인함. 특정조합능력: 특정 두 개체 교배시, 그 조합이 평균이상으로 특별히 우수하거나 열등한 자손을 생산하는 능력. 우성효과(우성작용)에 기인함. 초우성과 상위성 작용도 특정조합능력이 기인하는 작용이라고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하하호호수]
12.
다음 중 선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집단의 유전자 빈도를 변화시킨다.
2.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를 변화시킨다.
3.
새로운 유전자를 창조한다.
4.
특정 유전자를 고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선발의 기능 -유전자 빈도 변화 -유전자형 빈도 변화(유전자 빈도가 변하면 동시에 변화) -인간의 목적에 따라 유전자 빈도, 유전자형 빈도를 증가, 감소, 제거 -우수한 개체가 종축으로 선발되면 다음세대 자손은 보다 우수 -특정 유전자 고정 [해설작성자 : 바밤바]
13.
다음 혈통도에서 A의 근교계수는 얼마인가? (단, FA=0이다.)
1.
0.5
2.
0.25
3.
0.125
4.
0.0625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일단 B와 C의 공통 선조는 D 하나입니다. A의 근교계수는 각 공통선조의 {(1/2)^n+n’+1}*(1+Fa)의 값의 합입니다. n은 A의 부친으로부터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고 n은 A의 모친으로부터 공통전조까지의 세대수입니다. B에서 공통선조(D)까지의 세대수는 1입니다. (n=1) C에서 공통선조(D)까지의 세대수는 1입니다. (n’=1) Fa는 공통선조의 근교계수입니다. 나와 있지 않으므로 0입니다. 따라서 {(1/2)^n+n’+1}*(1+Fa)는 {(1/2)^3}*(1+0) = 0.125*1 = 0.125A의 근교계수는 각 공통선조의 {(1/2)^n+n’+1}*(1+Fa)의 값의 합인데, A의 공통선조는 D만 존재하므로 답은 0.125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같은 시기에 "분만한" "번식우" = 동거우 같은 시기에 "분만된" "송아지" = 동기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정답 4번 젖소 종모우의 산유능력 평가 방법은 동거우비교법, 동기우비교법, 최적선형불편예측법이 있다. 동거우비교법은 씨수소의 딸소의 능력을 같은 우군 내의 다른 암소의 능력과 비교하는 방법이고, 동기우비교법은 분만일이 거의 비슷한 동기에 출산한 암컷의 무리와 비교 평가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수진(부민문학사 문제집 참고)]
16.
잡종교배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동형접합체 개체를 늘리기 위하여
2.
품종 또는 계통 간의 상보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3.
잡종강세를 이용하기 위하여
4.
유해한 열성인자의 발현을 가리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76%
17.
어느 젖소군의 평균 유량이 7500kg이며, 이 우군에 속하는 A라는 젖소가 한 비유기 동안에 8500kg의 우유를 생산하였다면 A라는 젖소의 유량에 대한 육종가는? (단, 유량에 대한 유전력(h2)은 0.3이라고 가정함)
1.
7250kg
2.
7800kg
3.
8500kg
4.
9550kg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육종가 추정 공식은 다음과 같다. 개체의 특정 형질에 대한 BV(육종가) = h^2(유전력)*(X(개체의 특정 형질의 능력치)-Xbar(특정 형질의모집단 평균치)) + Xbar BV = 0.3*(8500kg-7500kg)+7500kg = 0.3*1000kg+7500kg = 300kg+7500kg = 7800kg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18.
유전자형이 AaBbCc인 개체가 생산하는 배우자의 종류는 몇 가지인가? (단, A, B, C는 연관되어 있지 않다.)
1.
3
2.
6
3.
8
4.
9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F1 배우자 종류 수=2^n 이형접합체가 3쌍이므로 2X2X2=8 [해설작성자 : 축기 헛둘셋]
19.
한우의 후대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정소 후대검정우의 선정기준은 후보씨수소 1두당 교배암소 40두 이상을 교배시켜 생산되고 유전자검사 결과 친자가 확인된 수송아지가 6두 이상 이어야 한다.
2.
후대검정우에 대한 검정기간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하며, 예비검정은 축군의 평균월령이 가급정 6개월령일 때 시작하여 300일동안 실시한다.
3.
후대검정을 개시한 후보씨수소에 대하여는 보증씨수소로 선발되기 이전까지는 냉동정액을 생산, 보관하여야 한다.
4.
후대검정우의 체중 측정 시기는 개시 시, 축군 평균 일령이 360일령, 540일령 및 종료 시로 4회 측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제9조 (검정기간과 후대검정우 선발기준) ① 후대검정우에 대한 검정기간은 예비검정과 본검정으로 구분하며, 예비검정은 축군평균 150일령에서 180일령사이에 최소 20일간 실시하고, 이 기간 중 기생충구제, 예방접종, 질병검사와 사육환경 적응여부를 검정하며, 본 검정은 예비검정이 끝난 후 검정축군의 평균일령이 180일령에 개시하여 530일 동안 실시한다. 단, 축군의 일령범위는 평균값 ±30일 이내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순종교배(purebred breeding)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근친교배(inbreeding)
2.
이계교배(outbreeding)
3.
무작위교배(random mating)
4.
윤환교배(rotational crossing)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순종교배의 종류에는 근친교배, 계통교배, 이계교배, 무작위 교배가 있습니다. 윤환교배는 잡종교배의 한 방법이며, 2개 이상의 품종을 이용하여 생산된 교잡종 암컷에 순종 수컷을 매 세대 교대로 교배하는 방법입니다. 유전적으로 다른 개체, 계통, 품종 등을 교배하여 잡종강세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교배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2과목 : 가축번식생리학
21.
젖소에서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수정란을 이식할 경우 가장 좋은 이식 부위는?
1.
자궁각 선단
2.
난관
3.
자궁경관
4.
난소
정답 : [
1
] 정답률 : 66%
22.
포유가축에서 실시하는 발정동기화 기술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만관리와 자축관리가 용이해진다.
2.
인공수정의 이용효율이 높아진다.
3.
인건비와 약품비가 절약된다.
4.
가축생산 시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발정 동기화 장점 -발정 증상이 뚜렷하여 수정 적기의 판정이 용이하다. -분만 관리와 자축 관리가 용이하다. -계획 번식과 생산조절이 가능하다(=가축생산 시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인공수정의 이용효율이 높아진다. -계절 번식을 시키면 사양 과리가 편리하다. -가축의 개량과 능력검정 사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발정 동기화 단점 -사용약품의 부작용 우려가 있다.(난포 낭종, 기형축 생산 가능성) -인건비와 약품비 등 비용이 든다. -전문 지식과 숙련 기술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바밤마]
<문제 해설> 수탉의 정액은 채취방법과 채취빈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사출량은 0.1~1.0ml 범위 내 입니다. 돼지의 경우 150~400ml입니다. 소의 경우 5~10ml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26.
소에서 수정란을 자궁에서 이식할 때 임신율이 가장 높은 수정란의 발달 단계는?
1.
4세포기
2.
8세포기
3.
배반포기
4.
상실배기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소의 수정란 이식은 배반포기에 임신율이 가장 높은 수정란 발달 단계는 배반포기입니다. 상실배 - 약 44% 후기 상실배 - 53% 초기 배반포 - 65% 배반포 - 66% 후기 배반포 - 64% (Wright, 1981)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27.
다음 중 어떤 경우에 정자형성(spermatogenesis)이 가장 심각하게 저하되는가?
1.
비타민 A와 B의 겹핍 시
2.
비타민 A와 E의 결핍 시
3.
비타민 E와 K의 결핍 시
4.
비타민 K와 D의 결핍 시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지용성비타민에서 정자형성에 관여하는 비타민은 A와 E입니다. Vit A 결핍 시 정자형성이 미분화단계에서 정지됩니다. Vit E 결핍 시 마찬가지로 정자형성부전을 일으킵니다. (Vit E는 항산화역할을 하는 비타민으로, 정자 형성을 방해하는자유라디칼의 활동을 막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28.
소, 면양 및 돼지에서 초기배의 약 25~40%는 수정과 착상의 말기에서 소실된다. 이와 같은 초기배치사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발정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한 초기배 수송의 촉진 또는 지연으로 생긴다.
2.
소, 면양 및 말에서 비유기중에 초기배치사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3.
특히 돼지의 경우 초기배의 높은 사망률은 모축의 연령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4.
모체의 영양과 초기배치사는 무관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29.
난자가 난관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긴 것은? (단, 난관의 길이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1.
소
2.
말
3.
면양
4.
개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 - 72 ~ 90시간 말 - 98시간 면양 - 72시간 개 - 168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성숙한 포유가축의 자궁이 수행하는 일반적인 생리적 기능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난자와 정자의 수송
2.
황체기능의 조절
3.
교미
4.
임신유지 및 분만개시
정답 : [
3
] 정답률 : 77%
31.
정자의 수정능 획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자는 암컷 생식기도관 내 분비액에 의해 수정능파괴인자가 제거됨으로써 수정능을 얻는다.
2.
정자의 수정능파괴인자 제거를 위하여 인위적 처리를 할 시엔 동결이나 60℃정도의 열처리를 하면 된다.
3.
정자의 수정능획득은 주로 자궁에서 개시되어 난관 협부에서 완성된다.
4.
수정능을 획득한 정자는 형태적 변화로 첨체반응을 일으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32.
뇌하수체전엽 호르몬이 아닌 것은?
1.
난포자극호르몬(FSH)
2.
황체형성호르몬(LH)
3.
성장호르몬(GH)
4.
임부태반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에는 FSH, LH, TSH, ACTH, Prolactin, MSH, Endorphin, GH가 있습니다. hCG(사람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는 임신 직후에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태바리호식카]
목초나 사료작물 등을 식물학적으로 분류하여 이용하고 있는 학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과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영구불변하다.
2.
속명과 종명으로 구성되어 이명법이라고도 한다.
3.
다른 단어와 구별하기 위하여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4.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며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종명은 소문자로 쓴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74.
방목 후 초지의 청소베기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잡초 발생을 줄인다.
2.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3.
불식목초(不食牧草)를 줄인다.
4.
벼과 작물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75.
옥수수 사일리지의 수확 최적기에 해당되지 않는 시기는?
1.
단위면적당 최대의 건물수량이 기대되는 시기
2.
사일로에 충전할 때 단위 면적당 최대의 건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시기
3.
사일리지의 가소화영양소 총량 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
4.
사일리지로 만들었을 때 사일로로부터 침출액이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
정답 : [
4
] 정답률 : 76%
76.
옥수수 사일리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일로를 개봉하고 깊숙한 곳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손으로 꽉 쥐었더니 즙액이 한 두 방울 떨어지고 손에서는 톡 쏘는 듯한 산취가 오래 동안 가시지 않았다. 이 사일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너무 늦게 수확하여 재료의 건물율이 너무 높고 아마도 곰팡이나 효모가 많이 있을 것이다.
2.
수분함량에 비하여 재료의 절단 길이가 길고 곡분과 같은 첨가제를 과도하게 이용하였을 것이다.
3.
조기수확으로 수분함량이 너무 높고 과발효 또는 젖산 발효보다 낙산발효가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4.
충분한 예건과 유산균 첨가제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삼출액에 의한 손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양질의 사일리지는 젖산 발효에 의한 향긋한 과일 향이 난다, 즙액이 흐르고 톡 쏘는 산취는 수분함량이 높고 낙산발효에 의한 것이다. 사일리지의 수분함량은 68~72%가 적당하고, 손으로 한 움큼 집어 20~30초간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로 물이 약간 스며 나오는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유월]
77.
내한성이 약하여 주로 남부지방에서 이용되는 사료작물로 사료가치가 높고 여러 번 수확할 수 있는 초종은?
1.
호밀
2.
귀리
3.
사료용 피
4.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정답 : [
4
] 정답률 : 76%
78.
사일리지 조제에 있어서 발효를 순조롭게 진행시키기 위한 재료의 수분은 몇 %가 적당한가? (단, 벙커 사일로의 경우로 한다.)
1.
38~42%
2.
55~60%
3.
68~72%
4.
80~85%
정답 : [
3
] 정답률 : 64%
79.
칼륨 함량이 60%인 염화칼륨 비료를 이용하여 칼륨성분 120kg/ha를 추비로 주려고 할 때 필요한 비료 총량은?
1.
72kg/ha
2.
200kg/ha
3.
240kg/ha
4.
300kg/ha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120*100/60 2)120/0.6 [해설작성자 : 풀풀]
120*60/100 120/0.6 =200 [해설작성자 : 준형죠스바]
80.
건초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5%이하
2.
20~25%
3.
30~35%
4.
40~45%
정답 : [
1
] 정답률 : 80%
81.
축산경영 조직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적 조건
2.
사회ㆍ경제적조건
3.
개인적 사정
4.
고용노동력의 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축산경영 조직의 결정 = 축산 경영의 입지 조건 1. 자연적 조건 2. 경제적 조건 3. 사회적 조건 4. 경영의 내적 조건(개인적 사정) [해설작성자 : 이틀남음]
<문제 해설> * AP = 평균생산물 (Average Product) = 단위 투입당 산출량 MP = 한계생산물 (Marginal Product) = 투입량 1단위 추가시 산출량 변화 MP > AP : AP ↑ 추가 투입 단위 생산량(MP)이 평균보다 크므로 평균 상승 MP < AP : AP ↓ 추가 투입 단위 생산량(MP)이 평균보다 작으므로 평균 하락 MP = AP : AP 최대 [해설작성자 : 기사따자]
91.
홀스타인 젖소에서 착유한 우유의 평균비중(15℃)은?
1.
1.638
2.
1.055
3.
1.032
4.
0.944
정답 : [
3
] 정답률 : 69%
92.
고기를 숙성시키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육색의 증진
2.
보수성 증진
3.
위생안전성 증진
4.
맛과 연도의 개선
정답 : [
4
] 정답률 : 80%
93.
식육의 전기자극(electrical stimulation) 효과가 아닌 것은?
1.
히트링(heat-ring) 생성
2.
저온단축 방지
3.
육색 향상
4.
연도 증진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히트링은 도체 냉각 시 표면과 심부의 냉각 속도가 달라 발생하는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두용가리]
전기자극은 히트링 현상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유월]
94.
사상조직(sandy)은 가당연유의 품질저하에 가장 큰 요인이다. 사상조직과 관련이 깊은 성분은?
1.
카세인
2.
유당
3.
유지방
4.
효소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사상조직은 유당이 냉각에 의해 결정화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유월]
95.
우유의 살균(LTLT 또는 HTST)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데 널리 쓰이는 시험법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생선은 포함되지 않는다. 외국어 표기 meat(영어), 食肉(한자) 식육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가축의 고기라는 의미로 야생동물의 고기와는 구별됨 이라고 지식백과에 나와있긴 한데요...3번도 답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뿡빵]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식육은 사육되는 포유동물의 조직인 적육, 가금의 조직인 가금육, 민물이나 바닷물의 어패류의 조직인 어육, 야생동물이나 수렵동물의 조직인 수렵동물육과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양에서는 식유이라고 하면 적육만을 의미하고, 국내에서는 적육과 가금육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출처 : 한기동 저서 <원리를 생각하는 축산식품가공학> P.184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사람]
97.
근육이 식육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만들어지는 것은?
1.
젖산(lactic acid)
2.
아세트산(acetic acid)
3.
시트릭산(citric acid)
4.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단백질을 흡수하면 글리코겐이라는 형태로 근육내에 저장하게됨 단백질 분해 시 - 젖산 생성 [해설작성자 : ㅋㅋ]
98.
가당연유와 가당탈지연유에 첨가할 수 있는 첨가물이 아닌 것은?
1.
설탕
2.
포도당
3.
구연산
4.
과당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설탕, 포도당, 과당, 올리고당 첨가 가능 [해설작성자 : 유월]
99.
신 맛과 청량감을 부여하고 염지반응을 촉진시켜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주로 생햄이나 살라미 제품에 이용되는 것은?
1.
염미료
2.
감미료
3.
산미료
4.
지미료
정답 : [
3
] 정답률 : 74%
100.
육제품 제조 시 물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원가 절감
2.
온도 조절작용
3.
원료 혼합물의 점도 조절
4.
육단백질 결합 강화
정답 : [
4
] 정답률 : 5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③
②
③
②
③
③
①
①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③
④
③
①
②
③
②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③
①
③
①
③
②
④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④
③
②
④
④
④
②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②
③
①
②
①
③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①
①
①
③
③
②
②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④
①
①
①
④
③
②
①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②
①
④
④
③
④
③
②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③
③
②
②
④
②
④
①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④
①
②
①
②
①
③
③
④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