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종 분말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 KC2N2H3O3 회색 B급, C급 효과는 뛰어나나 비싸서 잘 안씀 [해설작성자 : Simon]
8.
조연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소
2.
일산화탄소
3.
산소
4.
에탄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조연성 가스는 자기자신은 타지않고 상대가 잘 타도록 도와주는 가스를 말합니다. (주인공이 아닌 조연으로 이해하심 기억에 오래 남아요.) [출처] 조연성 가스란 무엇일까요?|작성자 강바다 [해설작성자 : 델리타콤]
조연성가스 : 자기자신은 타지 않고 상대가 잘 타도록 도와줌 할로겐족 원소인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산소공급원인 산소, 오존이 조연성가스에 해당 [해설작성자 : 봉봉둥절]
9.
분자내부에 니트로기를 갖고 있는 TNT, 니트로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제5류 위험물의 연소 형태는?
1.
분해연소
2.
자기연소
3.
증발연소
4.
표면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제5류 위험물의 위험성은 외부의 산소공급 없이도 자기연소하므로 연소 속도가 빠르고 폭발적이다 [해설작성자 : 소나무와별]
10.
가연물질의 종류에 따라 화재를 분류하였을 때 섬유류 화재가 속하는 것은?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화재의 종류에는 A급 B급 C급 D급 K급으로 나뉨 A급 : 일반화재, 백색 B급 : 유류 및 가스화재, 황색 C급 : 전기화재, 청색 D급 : 금속화재, 무색 K급 : 주방화재 - 섬유는 연소 후 재를 남기는 가연물이기 때문에 일반화재로 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광주안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가스 화재는 E급 입니다. [해설작성자 : 냠냠]
[오류신고 반론] 2018년도에 어느분이 블로그에 올려준 자료 그대로 올립니다. A급 화재 - 일반화재(종이, 목재, 옷, 플라스틱, 고무 등 가연물질의 화재) B급 화재 - 유류화재(가연성액체, 가스, 페인트, 유류의 화재) C급 화재 - 전기화재(단락, 감전, 스파크, 고전압이 안가되어 발생하는 화재) D급 화재 - 금속화재(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알루미늄 등 가연성 금속화재) E급 화재 - 가스화재(LPG, LNG, 도시가스 화재) K급 화재 - 주방화재(식물성유, 동물성유, 지방유 등 주방, 조리기구에서 일어나는 화재) [해설작성자 : 소나무와별]
1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을 수납하는 운반용기의 외부에 주의사항을 표시하여야 할 경우, 어떤 내용을 표시하여야 하는가?
1.
물기엄금
2.
화기엄금
3.
화기주의/충격주의
4.
가연물 접촉주의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제1류 위험물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화기·충격주의, 물기엄금, 가연물접촉주의 그 밖의 것 화기·충격주의, 가연물접촉주의
제2류 위험물 철분·금속분·마그네슘 화기주의, 물기엄금 인화성고체 화기엄금 그 밖의 것 화기주의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물질 화기엄금, 공기접촉엄금 금수성물질 물기엄금
제4류 위험물 - 화기엄금
제5류 위험물 - 화기엄금, 충격주의
제6류 위험물 - 가연물접촉주의 [해설작성자 : 사랑옵다]
12.
다음 연소 생성물 중 인체에 독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이산화탄소
2.
일산화탄소
3.
수증기
4.
포스겐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5000 일산화탄소 50 포스겐 0.1ppm 수증기:수증기먹고 죽는 사람도 있나요? [해설작성자 :문화대혁명]
13.
알킬알루미늄 화재에 적합한 소화약제는?
1.
물
2.
이산화탄소
3.
팽창질석
4.
할로겐화합물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알킬알루미늄은 D급 화재(금속화재)이고 화재시 가장 적합한 소화제는 팽창질석이나 팽창진주암이다. [해설작성자 : 소나무와별]
수압기에서 피스톤의 반지름이 각각 20cm와 10cm이다. 작은 피스톤에 19.6N의 힘을 가하는 경우 평형을 이루기 위해 큰 피스톤에는 몇 N의 하중을 가하여야 하는가?
1.
4.9
2.
9.8
3.
68.4
4.
78.4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파스칼의 원리에서,
P1 = P2 이고, P1 = F1/A1 P2 = F2/A2
피스톤의 반지름이 큰 쪽을 P1,F1,A1 피스톤의 반지름이 작은쪽을 P2,F2,A2로 두면,
F1 = F2 x (D1/D2)^2 = 19.6[N] x (0.4/0.2)^2 = 78.4[N]
(D1/D2)^2 은 어디서 나왔는가? (A1/A2) = (Pi/4) x D1^2 / (Pi/4) x D2^2 에서, (Pi/4) 약분. [해설작성자 : a.k.a. GA(D)US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1 = F2 x (D1/D2)^2 = 19.6[N] x (0.4/0.2)^2 = 78.4[N] -> F1 = F2 x (D1/D2)^2 = 19.6[N] x (0.2/0.1)^2 = 78.4[N] D1 = 0.2m , D2 = 0.1m [해설작성자 : Dr. Puri]
24.
그림과 같이 중앙부분에 구멍이 뚫린 원판에 지름 D의 원형 물제트가 대기압 상태에서 V의 속도로 충돌하여 원판 뒤로 지름 D/2의 원형 물제트가 V의 속도로 홀러나가고 있을 때, 이 원판이 받는 힘을 구하는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ρ는 물의 밀도이다.)
1.
2.
3.
4.
3ρπV2D2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원판이 받는 힘은 pQV =pAV^2 직경이 큰 쪽에서의 힘 - 직경이 줄어드는 쪽에서의 힘 pA1V1 - pA2V2 = p(Pi/4)x D1^2 x V1 - p(Pi/4) x D^2/4 x V2 [해설작성자 : a.k.a. GA(D)USS]
원넓이 A 공식 πr2= π*D/2*D/2 = πD2/4 직경이 좁은 쪽의 면적(A)은 물제트 대비 1/4 이므로, 원판이 힘을 받는 면적(A)은 3/4 원판에 가해지는 힘은 pQV = pAV2 = p*(3/4*A)*V2에서 면적 A=πD2/4 p*(3/4*πD2/4)*V2= 3/16*pπV2D2 [해설작성자 : roaal]
25.
압력 0.1MPa, 온도 250℃ 상태인 물의 엔탈피가 2974.33 kJ/kg이고 비체적은 2.40604m3/kg이다. 이 상태에서 물의 내부에너지(kJ/kg)는 얼마인가?
무한한 두 평판 사이에 유체가 채워져 있고 한 평판은 정지해 있고 또 다른 평판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Couette 유동을 하고 있다. 유체 A만 채워져 있을 때 평판을 움직이기 위한 단위면적당 힘을 τ1이라 하고 같은 평판 사이에 점성이 다른 유체 B만 채워져 있을 때 필요한 힘을 τ2라 하면 유체 A와 B가 반반씩 위아래로 채워져 있을 때 평판을 같은 속도로 움직이기 위한 단위면적당 힘에 대한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τ1+τ2/2
2.
3.
2τ1τ2/τ1+τ2
4.
τ1+τ2
정답 : [
3
] 정답률 : 66%
40.
2m 깊이로 물이 차있는 물 탱크 바닥에 한 변이 20cm인 정사각형 모양의 관측창이 설치되어 있다. 관측창이 물로 인하여 받는 순 힘(net force)은 몇 N인가? (단, 관측창 밖의 압력은 대기압이다.)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의 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를 하는 사람에게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 명령을 할 수 있는 사람은?
1.
소방본부장
2.
시·도지사
3.
의용소방대원
4.
소방대상물의 관리자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의 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를 하는 사람에게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 명령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본서장임
본서장은 물건의 소유자 관리자 점유자에 대하여 다음각호의 명령할수있다 1.불장난 모닥불 흡연 화ㅣ취급 풍등 등 소형열기구 날리기 그밖에 화재의 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 2.타고남은 불 또는 화기의 우려가 있는 재의처리 3.함부로 버려두거나 그냥 둔위험물 그밖에 불에 탈수있눈 물건을 옮기거나 치우게하는조치
위 세가지항목은 전부 200이하 과태료 [해설작성자 : roahchinese]
4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공지의 너비 기준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2m 이하
2.
2m 이상
3.
3m 이하
4.
3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위험물제조소의 보유공지 1. 지정수량의 10배 이하: 3m 이상 2.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5m 이상 [해설작성자 : 익명의 제보자]
4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48만배 이상인사업소의 자체소방대에 두는 화학소방자동차 및 인원기준으로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대, ⓑ 5인
2.
ⓐ 2대, ⓑ 10인
3.
ⓐ 3대, ⓑ 15인
4.
ⓐ 4대, ⓑ 20인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제 18조 제3항> 자체소방대에 두는 화학소방차 및 인원 1.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3천배 이상 12만배 미만인 사업소 화학소방자동차 1대 / 자체 소방대원 수 5인 2. ~ 12만배 이상 24만배 미만인 사업소 화학소방자동차 2대 / 자체 소방대원 수 10인 3. ~ 24만배 이상 48만배 미만인 사업소 화학소방자동차 3대 / 자체 소방대원 수 15인 4. ~ 48만배 이상인 사업소 화학소방자동차 4대 / 자체 소방대원 수 20인 5. 옥외탱크저장소에 저장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50만배 이상인 사업소 화학소방자동차 2대 / 자체 소방대원 수 10인 [해설작성자 : 라피도포라]
45.
화재예방법상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기준이 아닌 것은? (단, 석탄/목탄류를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경우는 제외)(2023년 01월 03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는다.
2.
쌓는 높이는 20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실내의 경우1.2m 또는 쌓는 높이 1/2 중 큰 값 이상으로 간격을 둘 것
4.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는 품명·최대수량 및 화기취급의 금지 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특수가연물은 소방기본법 → 화재예방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3]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 기준 <2023.01.03.> 1. 특수가연물의 저장/취급 기준 가.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나. 다음 기준에 맞게 쌓을 것 <살수설비/대형수동식소화기> : 높이 15m 이하 / 쌓는부분 바닥면적 : 200m2 이하 (석탄/목탄류 : 300) <그 밖의 경우> : 상동 10m / 50m2 (200) 다 : 생략 라 : 생략 마 : 쌓는 부분 바닥면적 사이는 - 실내 : 1.2m or 쌓는 높이 1/2 중 큰 값 이상으로 간격을 둘 것 - 실외 : 3m 또는 쌓는 높이 중 큰 값 이상 상동
2. 특수가연물 표지 가.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서는 품명, 최대저장수량, 단위부피당 질량 또는 단위체적당 질량, 관리책임자 성명/직책, 연락처 및 화기취급의 금지표시가 포함된 특수가연물 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 출처 :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3199호, 2023. 1. 3., 일부개정]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이 관련규정이 개정된 관계로 3번 보기를 적절하게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스누설경보기
2.
소방호스
3.
스프링클러헤드
4.
분말자동소화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가스누설 경보기는 경보설비에 해당 [해설작성자 : roahchinese]
47.
소방기본법령상 출동한 소방대원에게 폭행 또는 협박을 행사하여 화재진압 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한 사람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방기본법 제50조(벌칙)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 위력(威力)을 사용하여 출동한 소방대의 화재진압ㆍ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 소방대가 화재진압ㆍ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위하여 현장에 출동하거나 현장에 출입하는 것을 고의로 방해하는 행위 - 출동한 소방대원에게 폭행 또는 협박을 행사하여 화재진압ㆍ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 출동한 소방대의 소방장비를 파손하거나 그 효용을 해하여 화재진압ㆍ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하는 행위 -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한 사람 -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방해한 사람 -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용수시설 또는 비상소화장치를 사용하거나 소방용수시설 또는 비상소화장치의 효용을 해치거나 그 정당한 사용을 방해한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 등의 동의 대상물의 범위로 틀린 것은?
소방시설공사업법령에 따른 완공검사를 위한 현장확인 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이거나 11층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는 제외)
2.
가연성가스를 제조·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가연성가스탱크의 저장용량 합계가 1천톤 이상인 시설
3.
호스릴 방식의 소화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
4.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지하상가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스프링클러,물분무등소화설비 설치된 특소 (호스릴제외) [해설작성자 : roahchinese]
5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에 다음 중 어떤 소방시설을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면 면제 받을 수 있는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포소화설비
2.
물분무소화설비
3.
간이스프링클러설비
4.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발전시설 중 전기저장시설은 제외한다)에 적응성 있는 자동소화장치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를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설비의 유효범위에서 설치가면제된다. [해설작성자 : 철가방]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이 변경되어 그 기준이 강화되는 경우 기존 특정 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중 강화된 기준을 설치장소와 관계없이 항상 적용하여야 하는 것은? (단, 건축물의 신축·개축·재축·이전 및 대수선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을 포함한다.)
1.
제연설비
2.
비상경보설비
3.
옥내소화전설비
4.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변경된 화재안전기준 1.소화기구,비상경보설비,자동화재속보설비,피난구조설비 2.공동구 통신사업용 지하구 3.노유자시설에 설치하는 간이스프링클러,자동화재탐지설비,단독경보형감지기 4.의료시설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간이스프링클러 자동화재탐지,자동화재속보 [해설작성자 : roahchinese]
5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시·도지사가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을 하지 아니한 관리업자에게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국민에게 심한 불편을 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 처분을 한다. 과징금의 기준은?
1.
1000만원 이하
2.
2000만원 이하
3.
3000만원 이하
4.
5000만원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23년2월 현재 법률에 3천만원 <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6조(과징금처분) ① 시ㆍ도지사는 제35조제1항에 따라 영업정지를 명하는 경우로서 그 영업정지가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3천만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과징금을 부과하는 위반행위의 종류와 위반 정도 등에 따른 과징금의 금액,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희망1]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별 성질로서 틀린 것은?
1.
제1류 : 산화성 고체
2.
제2류 : 가연성 고체
3.
제4류 : 인화성 액체
4.
제6류 : 인화성 고체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제6류 : 산화성 액체 [해설작성자 : 김민철 ]
5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종합점검 대상기준에 맞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000
2.
3000
3.
4000
4.
5000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스프링클러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2.물분무소화설비 설치된 연 5000이상 특정소방대상물 (위험물제조소,호스릴제외) 3.제연설비 설치된터널 4.공공기관중 연1000이상 옥내소화전,자동화재 탐지설비 (소방대가 근무하는 공공기관 제외) 5.다중이용업장이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연2000이상인것 [해설작성자 : roahchinese]
* 법률개정으로 종합정밀점검이 '종합점검'으로 용어가 변경되었습니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2022.12월 개정
3. 종합점검은 다음의 구분에 따라 실시한다. 가. 종합점검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을 대상으로 한다. 1) 법 제22조제1항제1호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 2)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3)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hose reel) 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한 경우는 제외한다]가 설치된 연면적 5,000m2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제조소등은 제외한다) 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제1호나목, 같은 조 제2호(비디오물소극장업은 제외한다)ㆍ제6호ㆍ제7호ㆍ제7호의2 및 제7호의5의 다중이용업의 영업장이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연면적이 2,000m2 이상인 것 5) 제연설비가 설치된 터널 6)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제2조에 따른 공공기관 중 연면적(터널ㆍ지하구의 경우 그 길이와 평균 폭을 곱하여 계산된 값을 말한다)이 1,000m2 이상인 것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된 것. 다만, 「소방기본법」 제2조제5호에 따른 소방대가 근무하는 공공기관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희망1]
현재 명칭이 변경되어 종합정밀점검은 -> 종합점검 , 작동기능점검은 -> 작동점검으로 변경되어 시험에 출제됩니다. (해설작성자 : 다보스소방안전관리자)
5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펄프공장의 작업장, 음료수공장의 충전을 하는 작업장 등과 같이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 난이도 등급 I 의 옥내탱크저장소에서 유황만을 저장·취급 할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소화설비로 옳은 것은?
1.
물분무소화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포소화설비
4.
옥내소화전설비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황은 상온에서 자연발화하지 않지만 매우 연소하기 쉬운 가연성 고체로 연소 시 유독한 SO2를 발생하여 소화가 곤란하며 산화제가 목탄가루 등과 혼합되어 있는 것은 약간의 충격등에 의해 착화 폭발을 일으 킨다. 소화방법 : 소규모 화재는 모래로 질식소화하며, 대규모 화재는 물로 분무 주수한다. 따라서 물분무 소화설비가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쿙쿙이친구]
59.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자보수를 하여야하는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 보증기간이 3년이 아닌 것은?
1.
자동소화장치
2.
비상방송설비
3.
스프링클러설비
4.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소방시설공사의 하자 보수 보증기간
2년 - 유도등,유도표지,피난기구/비상조명등,비상경보설비,비상방송설비/무선통신보조설비 3년 - 자동소화장치,옥내외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간이스프링클러설비,물분무등소화설비,상수도소화용수설비,자동화재탑지설비,소화활동설비 [해설작성자 : 마동한]
60.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대장은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소방활동구역을 정하여 소방활동에 필요한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외에는 그 구역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 중 소방활동구역에 출입할 수 없는 사람은?
1.
소방활동구역 안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소유자·관리자 또는 점유자
2.
전기·가스·수도·통신·교통의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사람
3.
시·도지사가 소방활동을 위하여 출입을 허가한 사람
4.
의사·간호사 그 밖의 구조·구급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시도지사->대장 [해설작성자 : 버즈는 무선이어폰이 아닌 가수입니다]
61.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헤드의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4, ⓑ 3.7
2.
ⓐ 3.7, ⓑ 9.1
3.
ⓐ 6.0, ⓑ 9.3
4.
ⓐ 9.1, ⓑ 13.7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제10조(헤드)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헤드는 다음 각 호에 적합하여야 한다.<개정 2012.8.20.> 1. 헤드 하나의 방호면적은 6.0m2 이상 9.3m2 이하로 할 것 2. 가지배관의 헤드 사이의 거리는 천장의 높이가 9.1m 미만인 경우에는 2.4m 이상 3.7m 이하로, 9.1m 이상 13.7m 이하인 경우에는 3.1m 이하으로 할 것 3. 헤드의 반사판은 천장 또는 반자와 평행하게 설치하고 저장물의 최상부와 914mm 이상 확보되도록 할 것 4. 하향식 헤드의 반사판의 위치는 천장이나 반자 아래 125mm 이상 355mm 이하일 것 5. 상향식 헤드의 감지부 중앙은 천장 또는 반자와 101mm 이상 152mm 이하이어야 하며, 반사판의 위치는 스프링클러배관의 윗부분에서 최소 178mm 상부에 설치되도록 할 것 6. 헤드와 벽과의 거리는 헤드 상호간 거리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최소 102mm 이상일 것 7. 헤드의 작동온도는 74℃ 이하일 것. 다만, 헤드 주위의 온도가 38℃ 이상의 경우에는 그 온도에서의 화재시험 등에서 헤드작동에 관하여 공인기관의 시험을 거친 것을 사용할 것 8. 헤드의 살수분포에 장애를 주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적합할 것 <개정 2012.8.20.> 가. 천장 또는 천장근처에 있는 장애물과 반사판의 위치는 별도 1 또는 별도 2와 같이 하며, 천장 또는 천장근처에 보·덕트·기둥·난방기구·조명기구·전선관 및 배관 등의 기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물과 헤드 사이의 수평거리에 따른 장애물의 하단과 그 보다 윗부분에 설치되는 헤드 반사판 사이의 수직거리는 별표 1 또는 별도 3에 따를 것. 나. 헤드 아래에 덕트·전선관·난방용배관 등이 설치되어 헤드의 살수를 방해하는 경우에 는 별표 1 또는 별도 3에 따를 것. 다만, 2개 이상의 헤드의 살수를 방해하는 경우에는 별표 2를 참고로 한다. 9. 상부에 설치된 헤드의 방출수에 따라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에는 방출수를 차단할 수 있는 유효한 차폐판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관리사이웃]
62.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 설치하는 비상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큰 압력을 작은 압력으로 떨어뜨려줘야 하므로 25, 2.5중 2.5가 맞고 조정이니깐 이하!! 따라서 2.5이하로 암기 [해설작성자 : B반 정대리]
6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에서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최대 몇 개 이하로 해야 하는가? (단, 방수구역은 나누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구역으로 되어 있다.)
1.
50
2.
40
3.
30
4.
2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50개 이하로 할 것. 다만, 2개 이상의 방수구역으로 나눌 경우에는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25개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남경성]
6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배관의 설치기준 중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개수가 3개인 경우 배관의 구경은 최소 몇 m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단, 연결살수설비 전용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1.
40
2.
50
3.
65
4.
80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 화재안전기준 제5조 배관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개수 1개-> 배관의 구경 32mm 2개 -> 배관의 구경 40mm 3개 -> 배관의 구경 50mm 4개 또는 5개 -> 배관의 구경 65mm 6개 이상 10개 이하 -> 배관의 구경 80mm [해설작성자 : 짱구는 못말려]
68.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대상물마다 설치
2.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3.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4.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역방출방식의 경우 '방호구역마다' 설치 국소방출방식의 경우 '방호대상물마다' 설치 [해설작성자 : 자리이타]
69.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옥내소화전펌프의 후드밸브를 소방용 설비외의 다른 설비의 후드밸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경우의 유효수량으로 옳은 것은? (단, 옥내소화전설비와 다른 설비 수원을 저수조로 겸용하여 사용한 경우이다.)
1.
저수조의 바닥면과 상단 사이의 전체 수량
2.
옥내소화전설비 후드밸브와 소방용 설비외의 다른 설비의 후드밸브 사이의 수량
3.
옥내소화전설비의 후드밸브와 저수조 상단 사이의 수량
4.
저수조의 바닥면과 소방용 설비 외의 다른 설비의 후드밸브 사이의 수량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⑤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을 수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설비의 전용수조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3.6.10.> [종전의 제4항에서 이동 2012.2.15.] 1. 옥내소화전펌프의 후드밸브 또는 흡수배관의 흡수구(수직회전축펌프의 흡수구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다른 설비(소방용설비 외의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후드밸브 또는 흡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때 2. 제5조제2항에 따른 고가수조로부터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직배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를 다른 설비의 급수구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때 ⑥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저수량을 산정함에 있어서 다른 설비와 겸용하여 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설비의 후드밸브·흡수구 또는 수직배관의 급수구와 다른 설비의 후드밸브·흡수구 또는 수직배관의 급수구와의 사이의 수량을 그 유효수량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관리사이웃]
70.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포소화설비의 배관 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또는 포헤드설비의 가지 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방식으로 한다.
2.
송액관은 겸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포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포소화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전용으로 할 수 있다.
3.
송액관은 포의 방출 종료 후 배관안의 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적당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낮은 부분에 배액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65 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100 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또는 포헤드설비의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교차배관에서 분기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쪽 가지배관에 설치하는 헤드의 수는 8개 이하로 한다. 2.송액관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포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포소화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와 겸용할 수 있다 4.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100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출처-법제처 행정규칙 포소화설비 설비기준 [해설작성자 : roachinese]
71.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송수구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구경 65mm 의 쌍구형으로 할 것
2.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1500m2를 넘을 때마다 1개(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 이상을 설치할 것
4.
가연성가스의 저장・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송수구는 그 방호대상물로부터 20m 이상의 거리를 두거나 방호대상물에 면하는 부분이 높이 1.5m 이상, 폭 2.5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벽으로 가려진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을 설치할 것.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랑은 상관없지만 보기 4번 항목의 법령이 수정되었습니다
<법령 개정 사항>
[2021. 12. 16.] NFSC 104 제7조 (송수구) 1. 가연성가스의 저장・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송수구는 그 방호대상물로부터 20m 이상의 거리를 두거나 방호대상물에 면하는 부분이 높이 1.5m 이상, 폭 2.5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벽으로 가려진 장소에 설치할 것
해당 항목이 다음과 같이 변경
[2022. 12. 1.] NFPC 104 제7조 (송수구)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은 오류신고 내용이라면 정답이랑 상관이 있지 않나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72.
미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미분무소화설비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나의 발화원을 가정한 설계도서 작성 시 고려하여야 할 인자를 모두 고른 것은?
1.
㉠, ㉢, ㉥
2.
㉠, ㉡, ㉢, ㉤
3.
㉠, ㉡, ㉣, ㉤, ㉥
4.
㉠, ㉡, ㉢, ㉣, ㉤, ㉥
정답 : [
4
] 정답률 : 68%
7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차압 등에 관한 기준 중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12.5
2.
40
3.
70
4.
110
정답 : [
4
] 정답률 : 78%
74.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은?
1.
라인 푸로포셔너 방식
2.
펌프 푸로포셔너 방식
3.
프레져 푸로포셔너 방식
4.
프레져사이드 푸로포셔너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포소화설비 NFSC 105 제3조 정의 20. "펌프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정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21. "프레져 푸로포셔너방식"이란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22. "라인 푸로포셔너방식"이란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따라 포 소화 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23. "프레져사이드 푸로포셔너방식"이란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성정한]
75.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간이소화용구를 비치하였을 경우 능력 단위의 합은?
1.
1 단위
2.
1.5 단위
3.
2.5 단위
4.
3 단위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화약제 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의 능력단위 1. 마른모래 - 삽을 상비한 50L이상의 포 2.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 - 삽을 상비한 80L이상의 포 1,2번 둘다 능력단위는 1포당 0.5단위 입니다. 총 3포 = 1.5능력단위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양상욱]
76.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기준상 연면적이 40000m2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소화수조의 최소 저수량은 몇 m3인가? (단,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15000m2 이상인 경우이다.)
1.
53.3
2.
60
3.
106.7
4.
120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을 기준면적으로 나누어 얻은 수(소수점이하의 수는 1로 본다)에 20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기준면적 1.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15,000m2 이상인 경우 : 7,500 m2 2. 그 밖의 소방대상물 : 12,500m2
따라서 40000 / 7500 =5.333 여기서 소수점 이하의 수는 1로 보기때문에 6 * 20 = 120 m3 [해설작성자 : 삼인이에스]
77.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용어에 대한 정의로 틀린 것은?
1.
"소화약제"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고체・액체 및 기체의 물질을 말한다.
2.
"대형소화기”란 화재 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능력 단위가 A급 20단위 이상, B급 10단위 이상인 소화기를 말한다.
3.
"전기화재(C급 화재)”란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기기기, 배선과 관련된 화재를 말한다.
4.
"능력단위"란 소화기 및 소화약제에 따른 간이소화용구에 있어서는 소방시설법에 따라 형식승인 된 수치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 A급은 10단위 이상, B급은 20단위 이상인 소화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진주공무원학원]
78.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배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5m/s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80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3.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후단 직관부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mm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이상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 2021년 4월 1일 일부개정 <제6조 배관 등> 1. 펌프의 토출측 주배관의 구경은 유속이 '4m/s' 이하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의 구경 '100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65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4.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mm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자리이타]
추가 법령 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자리이타님의 4번 내용이 일부 개정되었습니다. 개정전 문구 ⑨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구경 20밀리미터 이상의" 배관에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종전의 제8항에서 이동 2012. 2. 15.> 22년 10월 13일 법령 문구 개정후 문구 ⑧ 가압송수장치의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한 배관에 체절압력 "이하"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시 필기부터]
79.
소화전함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상 옥내 소화전함의 재질을 합성수지 재료로 할 경우 두께는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옥내소화전함의 재질은 두께1.5mm이상의 강판 또는 두께4mm이상의 합성수지재로 한다. [해설작성자 : 대머리독수리]
80.
소화설비용 헤드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상 소화설비용 헤드의 분류 중 수류를 살수판에 충돌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물분무헤드 형식은?
1.
디프렉타형
2.
충돌형
3.
슬리트형
4.
분사형
정답 : [
1
] 정답률 : 7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②
②
②
②
②
③
③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③
③
③
①
④
③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①
④
①
①
③
②
③
①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①
②
②
③
②
③
③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①
④
④
②
①
④
④
③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④
④
③
③
④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①
④
①
①
②
①
②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④
④
④
②
④
②
③
④
①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