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가) 고구려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키고 난 뒤, 보장왕때 사건이다. (642년) (나) 계백과 관창이 싸움 > 황산벌 전투 (660년) [백제 멸망하기 직전 & 고구려 멸망 이전]
1. 안승 > 고구려 멸망 이후 2. 나 당 연합 > 나 당 연합으로 백제를 멸망 시킴 3. 관산성 전투 > 백제 성왕때, 연개소문 정변 이전 4. 흑치상지 > 백제 부흥 운동 (나) 이후 5. 백강 전투 > 백제 부흥 운동 (나) 이후
즉,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INQ]
6.
다음 가상 대화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었다.
2.
독서삼품과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3.
왕의 장인인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켰다.
4.
무열왕의 직계 자손이 왕위를 세습하였다.
5.
혜공왕이 귀족 세력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원종과 애노의 난 > 통일 신라 말기
1. 궁예의 후고구려, 통일 신라 말기 이후에 세워짐 2. 독서삼품과 > 통일 신라 원성왕 3. 김흠돌의 난 > 통일신라 신문왕 4. 무열왕의 직계 자손 > 통일신라 초기 문무왕 5. 혜공왕 > 통일 신라 말기로 넘어갈때 쯤 왕권 약화될때 시기
즉, 원종과 애노의 난 이후에 일어난 일은 궁예가 후고구려 건국 1번 [해설작성자 : INQ]
889년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등 농민반란이 일어나고 독자적인 할거 세력이 나타나 전국적인 내란에 휩싸이게 되었다.이들 반란군 가운데 붉은 바지를 입은 무리가 있었는데, 이들을 당시 적고적(赤袴賊)이라 불렀다. 896년(진성여왕 10) 적고적은 동쪽으로 진격하여 신라의 수도인 경주 서남방면까지 진격할 정도로 기세를 보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정혜공주 & 장문휴 & 인안(발해 무왕 연호) 등으로 발해임을 파악할 수 있음
ㄱ > 건원중보는 고려 ㄴ > 발해 솔빈부의 말 특산물 ㄷ> 외사정 파견은 왕권을 강화하는데 힘을 썼던 통일 신라의 문무왕 ㄹ> 발해는 거란과 교류
즉 답은 ㄴ,ㄹ 4번 [해설작성자 : INQ]
건원중보 - 고려 성종 [해설작성자 : ㅈㅅㅈㅅㅋ]
9.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3점]
1.
2.
3.
4.
5.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 통일신라 3.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 통일신라 4. 서산마애삼존불 : 백제말기, 중국 남북조 말기 제나라, 주나라(5,6세기) 영향 5.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 고려 [해설작성자 : 나무바람]
1.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고려 [해설작성자 : 소소]
10.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관리를 파견하였다.
2.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
3.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4.
거란 침입에 대비하여 개경에 나성을 축조하였다.
5.
국자감에 서적포를 두어 출판을 담당하게 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광덕"-을 보고 고려 광종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고려 성종 2. 고려 숙종 4. 고려 현종 5. 고려 숙종 [해설작성자 : 관찰자]
11.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국정을 총괄하는 중앙 관서였다.
2.
무신 집권기 최고 권력 기구였다.
3.
사간원, 홍문관과 함께 삼사로 불렸다.
4.
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5.
소속 관원이 낭사와 함께 서경권을 행사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려사- 이므로 고려의 관점에서 봐야함 사헌대라고 해서 사헌부를 생각하면 안되고, 고려에서는 어사대가 사헌부의 역할을 수행했음
1. 고려시대 국정 총괄기구는 중서문하성 2. 무신집권기 최고 권력기구는 교정도감 3. 사간원, 홍문관과 함께 삼사로 불렸던 것은 조선의 사헌부 4. 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개칭된 것은 도병마사 5. 고려의 어사대 관원들은 낭사와 함께 서경권(국왕의 인사조치 거부권한)을 행사하였음.
답은 5번 [해설작성자 : ㅇㅇ?]
12.
밑줄 그은 ‘이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만권당을 두어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2.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을 운영하였다.
3.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4.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
5.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보기 설명은 고려 공민왕
3. 쌍기의 건의를 받아 과거제를 실시한 왕 = 광종 4.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규범을 제시한 왕 = 태조왕건 5.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한 왕 = 성종 [해설작성자 : 국기다요]
1. 1307년(충렬왕 33)에 원나라에서 무종(武宗)을 옹립한 공으로 다음해에 복위한 충선왕이 1313년(충선왕 5)에 왕위를 충숙왕에게 물려주고, 그 다음해인 1314년(충숙왕 1) 원나라로 가서 자신의 사제(私第)에 이를 세웠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만권당(萬卷堂))]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충선왕 > 원나라 연경에 세운 만권당.. 1314년(충숙왕)에 마련되었지만 추진하고 세운건 충선왕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가) 국가에 대한 고려의 대응으로 옳은 것은? [2점]
1.
광군을 조직하여 침입에 대비하였다.
2.
윤관을 보내 동북 9성을 개척하였다.
3.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하였다.
4.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장기 항전을 준비하였다.
5.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을 수복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강조 양규 - (가)국가 거란
1. 광군을 조직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 2. 윤관 동북 9성 - 여진 3. 화통도감 - 일본 4. 강화도 장기항전 - 몽골 5. 쌍성총관부 - 몽골 [해설작성자 : 뾰]
강조의 정변(목종↓ 현종↑)을 구실로 거란 침입 1 광군 조직(거란) - 고려 정종 2 윤관 동북9성 (여진) - 고려 예종 3 최무선 화통도감 (일본) - 고려 우왕 4 강화도 장기 항전 (몽골) - 고려 고종 / 무신집권기 의종 말 ~ 원종 / 의종 명종 신종 고종 원종 / 무신집권기 난은 명종때 다 터지고 만적의 난만 신종때라고 외우면 쉬움 5 쌍성총관부 철령 이북 수복(몽골) - 고려 공민왕 [해설작성자 : 정리할겸]
14.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1.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2.
송상이 전국 각지에 송방을 설치하였다.
3.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이 있었다.
4.
신라방을 형성하여 중국과 활발히 교역하였다.
5.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팔관회,신봉루, 송 → 고려
2. 조선 3. 신라 지증왕 4. 신라 5. 조선 [해설작성자 : 구름]
15.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망이 망소이의 난은 고려 무신집권 초기인 1176냔(명종 6)부터 이듬해까지 약 1년 반에 걸쳐서 충청도 공주 명학소를 중심으로 일어남 [해설작성자 : 쀼]
공주 명학소 - 망이 망소이의 난 집강소 - 동학농민운동 [해설작성자 : 가끔 헷갈릴때 있어 나만 그런가]
<문제 해설> 15세기 초, 조선 초에 관련된 과학 기술분야 찾기 1. 거중기 : 정조(1776년) 때 정약용이 제작한 기계, 수원화성 축조에 이용 > 조선 후기 2. 향약집성방 : 세종, 조선 초기 의학 서적 3. 칠정산 : 세종(1444년) 때 만들어진 한국사 최초의 역법서 4. 계미자 : 태종 이방원, 조선 최초이 금속활자, 갑인자 : 세종 때 만들어진 활자 5. 농사직설 : 세종(1429) 때 편찬한 농서 2 ~ 5는 조선 초, 그러므로 1번이 답 [해설작성자 : 버들]
향약집성방 - 조선 세종 향약구급방 - 고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의학서) 칠정산 - 조선 세종때 이순지 양부일구(해시계),자격루(물시계),혼천의 - 장영실 개조된 혼천의 나오면 홍대용 홍대용 - 지전설, 무한우주론, 의산문답 [해설작성자 : 사람이름 문제 그만좀 힘들다 진짜]
19.
밑줄 그은 ‘이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전지와 시지를 등급에 따라 지급하였다.
2.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 부담액을 고정하였다.
3.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의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4.
관리에게 녹봉을 지급하고 수조권을 폐지하였다.
5.
개국 공신에게 인성, 공로를 기준으로 토지를 지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과전법 → 직전법 직전법은 전현직 관리에게 모두 수조권을 주던 과전법과 달리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함 [해설작성자 : 앰자고ㅇㅅㄱ여친]
1. 전지와 시지를 등급에 따라 -- 고려 전시과 2. 풍흉에 관계 없이 -- 영정과 3. 현직 관리 -- 직전법 (세조) 5. 개국 공신에게 인성과 공로 기준으로 토지 지급 -- 태조 역분전 [해설작성자 : ㅠㅠㅠ ]
4 직전법 폐지 - 조선 명종11년(155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영정법 조선 인조 [해설작성자 : 정말 덥다]
20.
다음 가상 대화의 배경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수양 대군이 정권을 장악하는 과정을 정리한다.
2.
자의 대비 복상 문제로 전개된 예송을 알아본다.
3.
인물성동이론을 두고 전개된 호락논쟁을 조사한다.
4.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동인이 입은 피해를 분석한다.
5.
인현 왕후가 폐위되고 남인이 권력을 장악한 사건을 파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위의 글은 성삼문이 나오므로 단종과 세조 사이의 일을 말한다 1. 수양대군 : 세조 -- 정권장악 o 2. 자의대비 복상문제인 예송 -- 현종 3. 인물성동이론 -- 이간과 한원진 (서인) : 조선후기 4, 정여립 모반 사건 -- 선조 5. 인현왕후 -- 숙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림 동인,서인으로 나뉨 2 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기축옥사가 일어남 서인이 동인학살 3 정철(서인)의 건저의 사건으로 동인이 정권을 잡고 서인 처리 문제에 대해 강경파 (북인) 온건파(남인)으로 나뉨 4 광해군때 북인이 정권을 잡음 4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음 (이때 북인 몰락 남은건 남인 서인) 5 현종때 2번의 예송 (1차) 기해예송때 1년 입자 (서인 이김) (2차) 갑인예송때 9개월 입자 (남인 이김) 6 숙종때 3번의 환국 (장희빈+남인, 인현왕후+서인 묶어서 생각하면 됨) (1차) 경신환국 허적,윤휴등 남인 대거축출 (서인집권) (2차) 기사환국 숙종 장희빈의 아들을 원자로 삼는가 남인 찬성 (남인집권) 인현왕후 폐위 (3차) 갑술환국 인현왕후 복위 (남인은 몰락하고 이때 서인은 노론 서론으로 나눠짐) [해설작성자 : 이 해설쓴 나 칭찬해 솔직히 이거 ㄹㅇ 자주 나옴]
참고로 노산군이 단종입니다. 단종은 한참 후대에 추존된 묘호이며, 당시에는 노산군으로 불렸습니다.(EX: 조선왕조실록) [해설작성자 : apr2015]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째 해설하신 분 5번에 (2차) 갑인예송 부분 오류 있어요. 9개월 -> 1년 입니다. 둘 다 1년상이 이긴다고 암기하시면 편해요. [해설작성자 : 이방인]
21.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조선 전기 - 분청사기 조선 후기 - 백자
분청사기의 특징 - 구름무늬 [해설작성자 : 쉽당]
1 고려 후기 유행한 상감청자 2 청화백자 3 고려 전기 유행한 순청자 4 분청사기 5 발해 [해설작성자 : 문화재에 약함 ㅎ;]
22.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가 동원되었다.
2.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적군을 격퇴하였다.
3.
정봉수와 이립이 용골산성에서 항쟁하였다.
4.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 등이 청에 인질로 끌려갔다.
5.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비변사가 처음 설치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후금, 강홍립, 삼전도 라는 단어가 나온것으로 보아 조선 인조 때이다 1. 나선정벌 - 효종 2. 권율 - 임진왜란 3. 정봉수 이립 용골산성 - 정묘호란 4. 소현세자 봉림대군 - 삼전도 이후 5. 비변사 처음 설치 (임시기구) - 중종 [해설작성자 : ㅠㅠㅠ ]
비변사 처음 설치 (임시기구) - 중종 삼포왜란 이후 비변사 임시기구 → 상설기구 - 명종 을묘왜변 비변사 강화 → 임진왜란 세도정치 시기 권력기반 흥선대원군때 혁파 [해설작성자 : ★비변사★ 아주 중요 별표]
전 42조에 걸친 이 장정의 중요 내용은 ① 아편수입 금지(제31관) ② 천재·변란으로 인한 식량 부족의 우려가 있을 때의 방곡령(防穀令)의 선포(제37관) ③ 관세 및 벌금의 조선 화폐에 의한 납입(제40관) ④ 일본 상민에 대한 최혜국 대우(제42관) ⑤ 장정의 5년간 유효(제42관)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갑신정변의 영향으로 체결 - 톈진조약, 한성조약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 - 임오군란으로 일어난 제물포조약 일본인 재정 고문을 두도록 하는 조항 - 러일전쟁 이후 1차 한일협약 부산 외 2개 항구를 개항한다는 내용을 포함 - 강화도조약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문제 해설> 1.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 - 1908년 일본 토지조사사업을 위해 설립된 회사 3.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실시 - 러일전쟁 이후 제1차한일협약 4. 회사 설립을 허가제로 하는 회사령이 공포 - 1910년대 일본 식민지 시절 5. 황국 중앙 총상회의 상권 수호 운동이 전개 - 강화도 조약 이후 임오군란 기점으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이후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관세령 철폐 1923 [해설작성자 : 민국]
동양 척식 주식 회사(동척) 1908년 입니다 1910년이 한일 병합이고 토지조사사업도 1910년이라 한일병합 전 생긴 동척(08) 중요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세 폐지는 1876년 강화도조약 중 조일무역규칙에서도 있었지만, 문제에서는 총독부가 관세를 폐지했다고 했으므로 1920년대이다. 물산장려운동은 조만식, 이상재 주도로 평양에서 시작되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꼭 1급]
41.
다음 대화에 나타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원산 총파업의 노동자들과 연대하였다.
2.
치안 유지법이 제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3.
국민 대표 회의가 개최되는 계기가 되었다.
4.
한일 학생 간 충돌이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
5.
민족 협동 전선인 신간회 결성에 영향을 미쳤다.
정답 : [
5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융희 황제(제27대 왕 순종) 인산일, 만세운동을 보아 보기는 6.10 만세운동이다. [해설작성자 : 벗어나자69점]
1. 원산 총파업의 노동자들과 연대 - 1920년대 2. 치안 유지법이 제정되는 결과 - 1925년 3. 국민 대표 회의가 개최되는 계기 - 1923년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4. 한일 학생 간 충돌이 발단 - 광주학생항일운동, 신간회가 후원함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학생들덕분에 시위가 가능했다고 말하는걸 보아 6ㆍ10만세운동인것을 알수있습니다. 준비과정에서 민족주의세력과 사회주의세력이 연대하게 되어 민족유일당운동이 전개되었 고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은 일부 사회주의세력들과 연합하여 조선민흥회를 결성하였고 일부사회주의세력도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여 민족주의진영과의 제휴를 주장하였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게 신간회 입니다.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단체였고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지원하고 근우회를 지원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넘모어려운것...]
42.
밑줄 그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점]
1.
만주 군벌과 일제가 미쓰야 협정을 체결하였다.
2.
한국인에 한해 적용되는 조선 태형령이 공포되었다.
3.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4.
강압적인 통치를 목적으로 헌병 경찰 제도가 실시되었다.
5.
평양 등지에서 반중 폭동을 초래한 만보산 사건이 일어났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만주 군벌과 일제가 미쓰야 협정을 체결 - 1925년 2. 한국인에 한해 적용되는 조선 태형령이 공포 - 1910년대 4. 강압적인 통치를 목적으로 헌병 경찰 제도가 실시 - 1910년대 5. 평양 등지에서 반중 폭동을 초래한 만보산 사건 - 1930년대 만주사변 촉발 계기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43.
밑줄 그은 ‘그’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1.
연해주에서 대한 광복군 정부를 수립하였다.
2.
대한 광복회의 총사령으로 친일파를 처단하였다.
3.
중국 국민당과 협력하여 조선 의용대를 창설하였다.
4.
만주 사변 이후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5.
민중의 직접 혁명을 주장하는 조선 혁명 선언을 집필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의열단 단장 : 김원봉 김원봉 : 조선 의용대 창설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전기과이예창]
1. 연해주에서 대한 광복군 정부를 수립 - 이상설 2. 대한 광복회의 총사령으로 친일파를 처단 - 박상진(공화정을 지향) 4. 만주 사변 이후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 - 한국 독립군, 지청천 5. 민중의 직접 혁명을 주장하는 조선 혁명 선언을 집필 - 신채호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1 이상설 - 권업회, 이상설+이동휘 - 대한 광복군 2 신민회도 공화정 지향 지청천 - 한국 독립군 쌍성보 전투, 대전자령 전투 한국 광복군 총사령관 한국 광복군 부사령관은 김원봉 [해설작성자 : ...]
44.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나운규의 아리랑이 개봉된 장소
2.
기미 독립 선언서가 인쇄된 장소
3.
조선 형평사 창립 대회가 개최된 장소
4.
전형필이 수집한 문화재가 전시된 장소
5.
강우규가 일본 총독에게 폭탄을 던진 장소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기미 독립 선언서가 인쇄된 장소 - 서울 종로 보성사 3. 조선 형평사 창립 대회가 개최된 장소 - 진주 4. 전형필이 수집한 문화재가 전시된 장소 - 서울 도봉구 간송미술관 5. 강우규가 일본 총독에게 폭탄을 던진 장소 - 서울역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간송미술관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습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apr2015]
45.
다음 성명서를 발표한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1.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2.
국내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두었다.
3.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4.
의거 활동을 위해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다.
5.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선전포고,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을 창설 - 1940 대한민국 임시정부 2. 국내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 - 1923년 이전 대한민국 임시정부 3.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 - 1919년 신한청년당 김규식 4. 의거 활동을 위해 한인 애국단을 조직 -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5.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 - 194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46.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허정 과도 내각이 성립되는 배경이 되었다.
2.
전개 과정에서 3⋅1 민주 구국 선언이 발표되었다.
3.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4.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한 신한 공사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5.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제주도, 남한만의 단독 선거 반대=제주 4.3 사건 '4.3사건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 위해 특별법 제정되었다' 잘나오는 키워드 [해설작성자 : 한능검 1급 easy]
1. 허정 과도 내각이 성립되는 배경 - 이승만 3.15 부정선거 2. 전개 과정에서 3⋅1 민주 구국 선언이 발표 - 박정희 7차 개헌, 유신헌법에 반발 4. 귀속 재산 처리를 위한 신한 공사 설립의 계기 - 광복 후 미군정이 진행 5.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 - 전두환 때 5.18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제주 43사건은 2025.04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됨 [해설작성자 : 한능검 74회 응시bao]
47.
다음 뉴스가 보도된 정부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을 제거하였다.
2.
인민 혁명당 재건위 사건을 조작해 관련자를 탄압하였다.
3.
정부에 비판적인 경향신문을 폐간하는 등 언론을 통제하였다.
4.
여당 부통령 후보 당선을 위해 3⋅15 부정 선거를 자행하였다.
5.
반민 특위를 이끌던 국회 의원들에게 간첩 혐의를 씌워 체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뉴스는 이승만 정부시기
2. 박정희때 사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부산 정치 파동 : 1952년 5월 21일 헌병 사령관 원용덕(元容德)은 부산 시내에 공산 게릴라들이 나타나 5명의 미국인과 한국인을 살해했다고 발표하였다. 이어 이승만 정부는 1952년 5월 25일 0시를 기해 임시 수도 부산을 포함한 경상남도 일원과 전라남도·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비상 계엄령을 발동하였다. 계엄사령부는 계엄 선포 다음날인 26일에 국회 의사당으로 등원하던 야당 의원 48명이 탄 전용 버스를 의사당 정문에서 연행·견인하여 헌병대로 끌고 갔다. [출처 - 향토문화대전]
6월 20일, 부산 국제 구락부에서 야당과 재야 인사들이 반독재 호헌 구국 선언을 하는 회의장에 괴한이 습격하여 피습당하는 일(국제 구락부 사건)
2. 인민혁명당 사건, 즉 인혁당 사건(人革黨 事件)은 중앙정보부의 조작에 의해 도예종 등의 인물들이 기소되어 무려 선고 18시간 만에 사형이 집행된 날조사건이다. 1964년의 제1차 사건에서는 반공법, 1974년의 제2차 사건에서는 국가보안법·대통령 긴급조치 4호 위반 등에 따라 기소되었다. 1975년 4월 8일에 대법원이 사형을 선고한 후, 불과 18시간 만에 사형이 집행되었다. 인혁당 사건은 국가가 법을 이용해 무고한 국민을 살해한 사법살인 사건이자 박정희 정권 시기에 일어난 대표적 인권 탄압의 사례로 알려져 있다
1 3 4 5는 이승만 정부, 2는 빅정희 정부 때 사건 [해설작성자 : D-12]
1.진보당 사건. 1959년 2.인혁당 사건. 1964년 3.경향신문 폐간사건. 1959년 4.3.15 부정선거. 1960년 5.반민특위 사건. 1949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1점]
1.
포항 제철소 1기 설비가 준공됐어요.
2.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했어요.
3.
3저 호황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이 증가했어요.
4.
대통령의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를 실시했어요.
5.
대통령 직속 자문 기구로 노사정 위원회가 구성됐어요.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박정희 2. 노무현 3. 전두환 4. 김영삼 5. 김대중 [해설작성자 : ㅎㅇ]
49.
(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유신 체제가 붕괴되는 계기가 되었다.
2.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였다.
3.
양원제 국회가 출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4.
신군부의 비상 계엄 확대가 원인이 되었다.
5.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박종열 열사 추모,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이한열 열사 장례식 이 키워드를 총합해보면 이 민주화 운동은 '6월 민주항쟁'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월민주항쟁: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습니다. 답은 5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유신 체제가 붕괴되는 계기 - 10.26사태로 박정희 사망 2.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 - 박정희 한일수교 3. 양원제 국회가 출현하는 결과 - 4.19혁명 이후 내각책임제(민의원+참의원)로 장면 정부 출범 4. 신군부의 비상 계엄 확대가 원인 - 전두환 5.18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2. 한일 국교 정상화 반대 - 6.3 시위 [해설작성자 : ㅇㅇ]
5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2.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3.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서명
4.
최초의 이산가족 고향 방문 실현
5.
남북한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단 조성 합의
정답 : [
5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해당 사진은 김대중 정부를 뜻하고있기때문에 김대중 대통령이 시행한 정책중인 5번이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과이예창]
1.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 노태우 2.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 박정희 3.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서명 - 노태우 4. 최초의 이산가족 고향 방문 실현 - 전두환 [해설작성자 : 54회 응시자]
참고로 개성공단 착공 합의는 김대중 정부 시절이지만 개성공단의 완공은 노무현 정부 시절 개성공단의 폐쇄는 박근혜 정부 시절입니다. [해설작성자 : apr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