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지속시간이 유달시간보다 긴 경우 전배수구역의 강우가 동시에 하수관 시작점에 모일 수 있다.
4.
최근 도시화로 인해 강우의 유출계수와 유달시간이 증가하여 침수피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유출계수: 내린 비가 하수구로 빠지는 젇도 > 는 도시화와 관련있지만 유달시간은 강우강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틀린 답인가..?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7.
수질오염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한계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수질오염 지표에 비해 측정에 긴 시간이 필요하다.
2.
수중에 함유된 유기물 중 생분해성 유기물만 측정이 가능하다.
3.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독성물질의 방해가 예상된다.
4.
BOD5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질산화 미생물이 필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8.
다음은 소리의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 음폐효과)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고음(높은 주파수)이 저음(낮은 주파수)을 잘 마스킹한다.
2.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때 마스킹효과는 커진다.
3.
마스킹효과란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4.
두 음의 주파수가 같을 때는 맥동현상에 의해 마스킹효과가 감소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4%
9.
다음은 토양과 지하수의 정화 및 복원기술과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 복원기술로서 양수처리기법은 정화된 물을 지하로 투입하여 지중 내의 오염지하수를 희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농도를 규제치 이하로 떨어뜨리는 기법을 의미하며 가장 간단하고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이다.
2.
오염토양의 처리기법은 위치에 따라 in-situ와 ex-situ처리법으로 나뉘며 in-situ 처리법으로는 토양증기추출법, 고형화 ㆍ 안정화법, 생물학적 분해법 등이 있고 ex-situ처리법으로는 열탈착법, 토양세척법, 산화 ㆍ 환원법, 토양경작법 등이 있다.
3.
물리ㆍ 화학적 방법을 통해 독성물질 및 오염물질의 유동성을 떨어뜨리거나 고체구조 내에 가두는 방식의 처리기법을 고형화 ㆍ 안정화법이라고 하며, 중금속이나 방사능물질을 포함하는 무기물질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토양경작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상에 위치시킨 후 정기적인 뒤집기에 의한 공기공급을 통해 호기성 생분해를 촉진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양수처리기법: 오염된 지하수를 끌어올려 처리하는 방법 / 가장 간단, 보편화 / 지상에서 처리장치 필요 [해설작성자 : 나옹레옹]
10.
청계천의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수의 BOD를 측정한 결과 상류 하천수의 BOD는 25mg/L, 하류 하천수의 BOD는 19mg/L이었다. 상류 하천수의 DO가 9mg/L이었고, 하천수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동안 4mg/L의 재포기가 있었다고 할 때, 하류 하천수의 DO는 얼마인가? (단, 지류에서 유입 ㆍ 유출되는 오염수 또는 하천수는 없다.)
1.
4mg/L
2.
5mg/L
3.
6mg/L
4.
7mg/L
정답 : [
4
] 정답률 : 82%
11.
다음 중 소음평가를 나타내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I(Articulation Index, 명료도지수)는 음성레벨과 배경소음레벨의 비율인 신호 대 잡음비에 기본을 두며 AI가 0%이면 완벽한 대화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2.
NC(Noise Criteria)는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3.
PNL(Perceived Noise Level, 감각소음레벨)은 공항주변의 항공기소음을 평가한 방법이다.
4.
SIL(Speech Interference Level, 회화방해레벨)은 도로교통소음을 인간의 반응과 관련시켜 정량적으로 구한 값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AI(명료도지수) : 0~1사이 값으로 표현되며 1에 가까울수록 음성이 명확하게 전달됨을 의미 2) NC : 소음을 1/1옥타브밴드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 실내소음을 평가하는 방법 *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변동이 심한 소음을 평가하는 척도는 등가소음도 4) SIL(회화방해레벨) : 명료도지수를 간편화할 목적으로 제한한 회화방해에 관한 척도로 소음을 600~1200, 1200~2400, 2400~4800HHz의 세 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의 산술평균 [해설작성자 : 524]
12.
대기의 수직혼합이 억제되어 대기오염을 심화시키는 기온역전현상은 생성과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다음 설명은 어떤 기온역전층에 대한 내용인가?
1.
침강역전
2.
복사역전
3.
난류역전
4.
전선역전
정답 : [
2
] 정답률 : 96%
13.
다음 중 등가비(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ϕ > 1이면 공기가 과잉으로 공급되는 불완전연소이다.
2.
등가비는 공기비의 역수이다.
3.
등가비는 (실제 연료량/산화제)/(완전연소를 위한 이상적 연료량/산화제) 이다.
4.
ϕ = 1이면 완전연소를 의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90%
14.
토양오염의 특징을 설명한 다음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은 일단 오염되면 원상 복구가 어렵다.
2.
토양오염은 물, 공기 등 오염경로가 다양하다.
3.
토양오염은 매체의 특성상 대부분 잔류성이 적은 편이다.
4.
토양오염은 대부분 눈에 보이지 않아 인지가 쉽지 않다.
정답 : [
3
] 정답률 : 100%
15.
하수에 공기를 불어넣고 교반시키면 각종 미생물이 하수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증식하며 플록을 형성하는데 이것을 활성슬러지라고 한다. 다음 중 활성슬러지법 처리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