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정액법 :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가상각대상금액(취득가액-잔존가치)을 경제적내용연수 동안 매년 균등하게 비용으로 인식하는 방법 감가상각비 =(취득가액-잔존가치)/내용연수 정률법 : 일반적으로 유형자산의 취득 초기에는 수선유지비가 적게 발생하고 사용기간이 경과할수록 숸유지비가 많이 발생 즉 취득초기에는 감가상각비 많이 계상하고 후기에는 감가상각비 적게 계상함으로 수익 비용대응원칙에 부합된 방법 감가상각비 - 장부가액(취득가액-기초감가상각누계액)x 상각율 연수합계법 : 정률법과 마찬가지로 상각비가 체감 감가상각비 =(취득가액-잔존가치)x 잔여내용연수/내용연수의 합계
* 초기 감가상각비 : 정률법>내용연수합계법>정액법 초기 장부가액:(취득가액-감가상각누계액) : 정액법>내용연수합게법>정률법 [해설작성자 : **]
11.
다음 중 비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퇴직급여충당부채
2.
유동성장기부채
3.
미지급세금
4.
선수금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장기차입금, 장기매입채무와 같이 퇴직급여충당부채는 비유동자산입니다 [해설작성자 : 모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