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편심코어 -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 - 고층일 경우 구조상 불리하므로 소규모에 적합 - 바닥면적이 커지면 코어 외 별도의 피난설비가 필요 (ex. 설비 샤프트 등 )
2. 개실형 배치 - 복도에 의해서 각 층, 각 실의 여러 부분으로 들어가는 형식 - 독립성, 쾌적성이 좋음 - 칸막이 등의 설치로 공사 비용이 높음 - 방길이에는 변화를 줄 수 있으나 복도로 인해서 깊이에는 변화를 줄 수 없음 - 소규모의 사무실이므로 경기불황일 때 임대하기가 용이
3. 승강기의 배치 - 직선형 : 1뱅크는 4대 이하로 하고 5대 이상은 보행거리가 길어서 좋지 않음 - 엘코브형 : 1뱅크는 4~6대, 대면거리는 3.5~4.5m 정도로 함
4. 기준층의 계획 - 스프링클러와 설비요소, 책상의 배치, 칸막이벽의 설치, 지하주차장의 주차 등을 위하여 모듈에 따라 격자식 계획을 채용 [해설작성자 : 긍정의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