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밀, 콩 등의 국내 생산이 크게 부족하여 사료용을 포함한 전체 곡물자급률은 30% 미만으로 매우 낮다.
2.
사료용을 포함한 곡물의 전체 자급률은 서류>보리쌀>두류>옥수수 순이다.
3.
곡물도입량은 옥수수>밀>콩>쌀 순이다.
4.
쌀을 제외한 생산량은 콩>감자>옥수수>보리 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옥수수, 밀, 콩 등의 국내 생산이 크게 부족하여 사료용을 포함한 전체 곡물자급률은 30% 미만으로 매우 낮다. : 2009년 기준 사료포함 곡물자급률 26.7%
2. 사료용을 포함한 곡물의 전체 자급률은 서류>보리쌀>두류>옥수수 순이다. : 2009년 기준, 쌀 98%, 서류 98.5%, 보리쌀 41.1%, 두류 8.4%, 옥수수 1.0%, 밀 0.5%
3. 곡물도입량은 옥수수>밀>콩>쌀 순이다. : 2009년 기준, 쌀 267천톤, 밀 3878천톤, 옥수수 7352천톤, 콩 1105천톤 따라서 옥수수>밀>콩>쌀 순으로 곡물도입량이 많다.
4.쌀을 제외한 생산량은 콩>감자>옥수수>보리 순이다. : 2009년 기준, 단위는 천톤, 겉보리 18, 쌀보리 77, 맥주보리 54, 밀 19, 콩 139, 옥수수 77, 감자 590, 고구마 351 따라서 감자>보리(겉,쌀,맥주)>=콩>옥수수>밀 (감자가 자급률이 거의 100%에 달한다는걸 알고 있으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임) [해설작성자 : 식자15]
2.
작물의 생장과 발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밤의 기온이 어느 정도 높아서 일중 변온이 작을 때 생장이 느리다.
2.
작물의 생장은 진정광합성량과 호흡량 간의 차이에 영향을 받는다.
3.
토마토의 발육상은 감온상과 감광상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다.
4.
추파맥류의 발육상은 감온상과 감광상이 모두 뚜렷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작물생리학이랑 조금 설명이 다르긴 한데
삼고 재배학원론 기준 206p 밤의 기온이 어느 정도 높아서 변온이 작을 때 대체로 생장이 빠른데, 이는 무기성분의 흡수와 동화양분의 소모가 왕성하기 때문이다.
236p 추파맥류에서는 감온사과 감광상이 모두 뚜렷하며, 자모니카 벼의 만생종에서는 특히 감광상이 뚜렷하고, 토마토에서는 감온상과 감광상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는 등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식자15]
<문제 해설> 이질배수체는 1. 두 종의 중간형질이 나타남 2. 적응력이 큼 3. 감수분열시 염색체 대합이 이루어져 임성이 높게 나타남 생육이 지연되는 반면 영양 및 생식기관의 생육이 증진되는 것은 동질배수체이다. [해설작성자 : 시용]
7.
토양 입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칼슘이온의 첨가는 토양 입단을 파괴한다.
2.
모관공극이 발달하면 토양의 함수 상태가 좋아지나, 비모관 공극이 발달하면 토양 통기가 나빠진다.
3.
유기물 시용은 토양 입단 형성에 효과적이나 석회의 시용은 토양 입단을 파괴한다.
4.
콩과작물은 토양 입단을 형성하는 효과가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칼슘이온은 토양 입단을 조성한다. (나트륨 이온이 파괴한다.) 2. 모관공극은 작은공극(미세공극) 즉 보수성 보비력 좋아진다. / 비모관공극은 큰공극 즉 통기성 좋아진다. 3. 유기물 시용, 석회, 점토, 미생물이 분비하는 점성물질, 뿌리의 압력, 산화철, 균사 등 토양 입단 형성에 효과적이다. 4. 콩과작물은 지력을 도모해 입단 형성하는데 효과가 크다. [해설작성자 : 숩]
8.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는 벼의 초형이 아닌 것은?
1.
잎이 얇고 약간 넓다.
2.
분얼이 약간 개산형이다.
3.
각 잎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4.
상위엽이 직립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삼고 재배학원론 231p
벼의 초형 1) 잎이 과히 얇지 않고, 약간 좁으며, 상위엽이 직립한다 2) 키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다 3) 분얼이 조금 개산형인 것이 좋다 4) 각 잎이 공간적으로 되도록 균일하게 분포한다. + (재배법에 의한 수광태세의 개선) : 규산 칼리를 충분히 주고, 무효분얼기에 질소를 적게 주면 상위엽이 꼿꼿이 선다. [해설작성자 : 식자15]
9.
식물의 굴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뿌리는 양성 굴광성을 나타낸다.
2.
광을 생장점 한쪽에 조사하면 조사된 쪽의 옥신 농도가 높아진다.
3.
덩굴손의 감는 현상은 굴광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굴광성에는 청색광이 가장 유효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뿌리는 음성 굴광성 / 줄기는 양성 굴광성 (빛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2. 광을 생장점 한쪽에 조사하면 조사된 반대쪽의 옥신 농도가 높아진다. (농도가 높아진 곳에서 생장이 촉진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화본과작물의 군락상태에서 최적엽면적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사량이 줄어들면 최적엽면적지수는 작아진다.
2.
최적엽면적지수가 커지면 군락의 건물 생산이 늘어나 수량이 증대된다.
3.
수평엽 품종은 직립엽 품종에 비해 최적엽면적지수가 크다.
4.
최적엽면적지수 이상으로 엽면적지수가 늘어나면 건물 생산은 감소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직립엽] 품종은 [수평엽] 품종에 비해 최적엽면적지수가 크다. - 수광태세가 좋아야 최적엽면적지수가 커짐 [해설작성자 : 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