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분뇨 특성 성분: -대부분 수분(96~97.5%). -질소화합물[주로 암모늄계열-중탄산암모늄(NH4HCO3)나 탄산암모늄((NH4)2CO3)형태로 중탄산이온과 탄산이온이 pH강하 막아줌]과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음 성질 1)고액분리 어려움 2)질소화합물로 인한 알칼리성을 띈다. [해설작성자 : Alex Kim]
3.
우리나라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의료폐기물 중 위해의료폐기물이 아닌 것은?
1.
조직물류폐기물
2.
병리계폐기물
3.
격리폐기물
4.
혈액오염폐기물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출처]의료폐기물 분리배출 지침 (환경부) 1. 격리의료폐기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의 감염병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격리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한 일체의 폐기물
2. 위해의료폐기물 가. 조직물류폐기물 : 인체 또는 동물의 조직·장기·기관·신체의 일부, 동물의 사체, 혈액· 고름 및 혈액생성물(혈청, 혈장, 혈액제제) 나. 병리계폐기물 : 시험·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배양용기, 보관균주, 폐시험관, 슬 라이드, 커버글라스, 폐배지, 폐장갑 다. 손상성폐기물 : 주사바늘, 봉합바늘, 수술용 칼날, 한방침, 치과용침, 파손된 유리 재질의 시험기구 라. 생물·화학폐기물 : 폐백신, 폐항암제, 폐화학치료제 마. 혈액오염폐기물 : 폐혈액백, 혈액투석 시 사용된 폐기물, 그 밖에 혈액이 유출될 정도로 포함되어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폐기물 3. 일반의료폐기물 : 혈액·체액·분비물·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주사기, 수액세트 [해설작성자 : Alex Kim]
할로겐족 함유 폐기물을 소각시 다이옥신 등의 독성 물질 생산량이 많다 [해설작성자 : 앙앙이]
4과목 : 폐기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크롬을 정량할 때 KMnO4를 사용하는 목적은?
1.
시료 중의 총 크롬을 6가크롬으로 하기 위해서다.
2.
시료 중의 총 크롬을 3가크롬으로 하기 위해서다.
3.
시료 중의 총 크롬을 이온화하기 위해서다.
4.
다이페닐카바자이드와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62.
용액의 농도를 %로만 표현하였을 경우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W:무게, V:부피)
1.
V/V%
2.
W/W%
3.
V/W%
4.
W/V%
정답 : [
4
] 정답률 : 78%
63.
시료의 전처리 방법으로 많은 시료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회화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며, 시료 중에는 염화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래 보기 중 회화에 의한 유기물분해 방법이 적용 가능한 중금속은?
1.
납(Pb)
2.
철(Fe)
3.
안티몬(Sb)
4.
크롬(Cr)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납,철,안티몬은 회화가 아닌 휘산 [해설작성자 : 강해린렛츠고]
회화법 : 목적성분이 400도 이상에서 휘산되지 않고 쉽게 회화될 수 있는 시료에 적용. 단, 시료 중 염화암모늄,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등이 다량 함유된 경우에는 납, 철, 주석, 아연, 안티몬 등이 휘산되어 손실될 수 있음. 따라서 회화에 의한 유기물분해 방법이 적용 가능한 물질은 크롬 [해설작성자 : 꼬리꼬리]
64.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하여 비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량한계는 0.005mg/L이다.
2.
운반 가스로 아르곤 가스(순도 99.99%이상)를 사용한다.
3.
아르곤-수소불꽃에서 원자화시켜 253.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전처리한 시료 용액 중에 아연 또는 나트륨붕소수화물을 넣어 생성된 수소화비소를 원자화시킨다.
폐기물 소각시설의 소각재 시료채취에 관한 내용 중 회분식 연소 방식의 소각재 반출 설비에서의 시료채취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하루 동안의 운행시간에 따라 매 시간마다 2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하루 동안의 운행시간에 따라 매 시간마다 3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하루 동안의 운전횟수에 따라 매 운전시마다 2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하루 동안의 운전횟수에 따라 매 운전시마다 3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76.
시안(CN)을 분석하기 위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안화합물을 측정할 때 방해물질들은 증류하면 대부분 제거된다.
2.
정량한계는 0.01mg/L이다.
3.
pH2 이하 산성에서 피리딘ㆍ피라졸론을 넣고 가열 증류한다.
4.
유출되는 시안화수소를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포집한 다음 중화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 pH2 이하 산성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이나트륨(피리딘ㆍ피라졸론 X)을 넣고 가열 증류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pH2 이하 피리딘피라졸로법 --> 흡광광도법 [해설작성자 : 워니]
77.
총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함은 같은 조건에서 10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1mg이하일 때를 말한다.
2.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3.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뜻한다.
4.
무게를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수치의 무게를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젤미젤리]
78.
시료의 조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의 축소방법에는 구획법, 교호삽법, 원추 4분법이 있다.
2.
소각잔재, 슬러지 또는 입자상 물질 중 입경이 5mm 이상인 것은 분쇄하여 체로 걸러서 입경이 0.5~5mm로 한다.
3.
시료의 축소방법 중 구획법은 대시료를 네모꼴로 엷게 균일한 두께로 편 후, 가로 4등분, 세로 5등분하여 20개의 덩어리로 나누어 20개의 각 부분에서 균등량씩을 취해 혼합하여 하나의 시료로 한다.
4.
축소라 함은 폐기물에서 시료를 채취할 경우 혹은 조제된 시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 모은 시료의 평균적 성질을 유지하면서 양을 감소시켜 측정용 시료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소각잔재, 슬러지 또는 입자상 물질은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이외의 폐기물 중 입경이 5mm 이상인 것은 분쇄하여 체로 걸러서 입경이 0.5~5mm로 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79.
폐기물 시료 20g에 고형물 함량이 1.2g이었다면 다음 중 어떤 폐기물에 속하는가? (단, 폐기물의 비중=1.0)
1.
액상폐기물
2.
반액상폐기물
3.
반고상폐기물
4.
고상폐기물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액상폐기물: 시료 중 고형물 함량이 5% 미만 반고상폐기물: 시료 중 고형물 함량이 5% 이상 15% 미만 고상폐기물: 시료 중 고형물 함량이 15% 이상 시료 20g 중 고형물 함량 1.2g이면 고형물 함량 = 1.2/20 * 100% = 6%, 반고상폐기물 [해설작성자 : 법규면과락기원]
80.
PCB측정 시 시료의 전처리 조작으로 유분의 제거를 위하여 알칼리 분해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알칼리제로 사용하는 것은?
1.
산화칼슘
2.
수산화칼륨
3.
수산화나트륨
4.
수산화칼슘
정답 : [
2
] 정답률 : 62%
81.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인 경우의 검사기간 기준으로 ( )에 옳은 것은?
1.
㉠ 3년, ㉡ 3년
2.
㉠ 1년, ㉡ 3년
3.
㉠ 3개월, ㉡ 3개월
4.
㉠ 1년, ㉡ 1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41조(폐기물처리시설 사용신고 및 검사) (1)소각 및 소각열회수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초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2)매립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년이 되는 날 1-3 (3)멸균분쇄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개월,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개월 3-3 (4)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1년이 되는 날 1-1 (5)시멘트 소성로: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해설작성자 : k-곤죽]
82.
에너지 회수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해당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 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2.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의 30퍼센트 이상을 원료나 재료로 재활용하고 그 나머지 중에서 에너지의 회수에 이용할 것
3.
회수열을 50퍼센트 이상 열원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4.
에너지의 회수효율(회수에너지 총량을 투입에너지 총량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이 75퍼센트 이상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회수열을 모두(50퍼센트 이상 X) 열원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해설작성자 : k-곤죽]
83.
음식물류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폐기물 처분시설의 기술관리인의 자격으로 틀린 것은?
1.
일반기계산업기사
2.
전기기사
3.
토목산업기사
4.
대기환경산업기사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일반기계산업기사→일반기계기사 [해설작성자 : k-곤죽]
시행규칙 별표 14(기술관리인 자격기준); 다음의 자격을 가진 자 1명 이상 매립시설: 기사(폐기물, 수질, 토목, 일반기계, 건설기계설비, 화공, 토양) 소각시설, 시멘트 소성로,용해로 및 소각열회수시설: 기사(폐기물, 대기, 토목, 일반기계, 건설기계설비, 화공, 전기, 전기공사) 의료폐기물 대상 시설: 폐기물처리산업기사, 임상병리사, 위생사 음식물류폐기물 대상 시설: 산업기사(폐기물, 대기, 수질, 토목, 화공)/기사(일반기계, 전기) [해설작성자 : k-곤죽]
84.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자가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ㆍ관리에 관한 기술관리 대행을 체결할 경우 대행하게 할 수 있는 자로서 옳지 않은 것은?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은? (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운영하는 폐기물처리 시설 제외)
1.
사료화ㆍ퇴비화 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1톤인 시설
2.
최종처분시설 중 차단형 매립시설에 있어서는 면적이 200제곱미터인 매립시설
3.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매립용적이 2만세제곱미터인 시설
4.
연료화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10톤인 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시행령 제15조(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 (1)매립시설 ①지정폐기물: 면적 3300m^2 이상/면적 330m^2 이상 or 용적 1000m^3 이상 차단형 매립시설 ②지정폐기물 외 폐기물: 면적 10000m^2 이상 or 매립용적 30000m^3 이상 (2)소각시설: 시간당 처분능력 600kg(의료폐기물 200kg) 이상 (3)압축·파쇄·분쇄·절단시설: 1일 처분능력 or 재활용능력 100톤 이상 (4)사료화·퇴비화·연료화시설: 1일 재활용능력 5톤 이상 (5)멸균분쇄시설: 시간당 처분능력 100kg 이상 [해설작성자 : k-곤죽]
86.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 처리서설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일처리 능력이 10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소각시설
2.
매립면적 3300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용적 3만 세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행령 제14조(주변지역영향조사대상): 1일 처분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매립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매립면적 15만제곱미터 이상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시멘트 소성로, 1일 재활용능력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열회수시설 [해설작성자 : k-곤죽]
87.
의료폐기물 중 일반의료폐기물이 아닌 것은?
1.
일회용 주사기
2.
수액세트
3.
혈액ㆍ체액ㆍ분비물ㆍ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4.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번은 손상성폐기물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88.
폐기물처리시설의 폐쇄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48%
89.
관리형 매립시설 침출수 중 COD의 청정지역 배출허용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단, 청정지역은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의 지역구분에 따른다.)
1.
200mg/L
2.
400mg/L
3.
600mg/L
4.
800mg/L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021년 9월 10일 개정 COD 측정법과 관계없이 청정지역 200 가지역 300 나지역 400 [해설작성자 : k-곤죽]
90.
폐기물처리사업 계획의 적합통보를 받은 자 중 소각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환경부 장관이 요구하는 시설·장비·기술능력을 갖추어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신청서에 추가서류를 첨부하여 적합통보를 받은 날부터 언제까지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이내
2.
1년 이내
3.
2년 이내
4.
3년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33%
91.
폐기물처리업자,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 등은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장부를 갖추어 두고, 폐기물의 발생·배출·처리상황 등을 기록하여 최종 기재한 날부터 얼마 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1년
3.
3년
4.
5년
정답 : [
3
] 정답률 : 76%
92.
사업장일반폐기물배출자가 그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보관할 수 있는 기간 기준은? (단, 중간가공 폐기물의 경우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