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류 병해의 분류 ~ 무.배추 무사마귀병: 병원균:점균(끈적균) 기 주 :무.배추.양배추 등 월동형태: 휴면포자로 토양에서 월동 (시들음~전신병징) 특 징: 저온다습,산성토양에서 다발~석회사용 [해설작성자 : 장미허브]
2.
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 소독으로는 방제효과가 매우 적다.
2.
담녹갈색의 짧은 다이아몬드형 병무늬를 형성한다.
3.
잎, 잎자루, 잎혀, 마디, 이삭목, 이삭가지, 볍씨 등에 발생한다.
4.
볍씨의 발아 직후부터 발생하여 출수 후 성숙기까지 계속 발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벼 도열병은 종자소독이 방제효과가 있다.
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병은?
1.
오이 노균병
2.
오이 흰가루병
3.
오이 덩굴마름병
4.
오이 잿빛곰팡이병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노균병은 거의 모든 박과 채소작물에 발생하지만 특히 오이에 피해가 큰 중요 병해로서 보통 생육중기 이후부터 잎에 발생한다. 생육후기에 저온 다습하면 아랫잎부터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데, 최소 6시간 동안 100%의 상대습도가 유지되어야만 병원균의 포자낭이 형성되고, 발병온도 범위는 5~30℃이며, 발병적온은 15~20℃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새로운 식물체가 파종되어 생장하면 다시 발아하여 지상부로 침입하고, 잎 뒷면에서 다량의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 중으로 쉽게 전반된다. 병원균의 균사가 잎의 기공이나 수공으로 침입하여 세포간극에서 생장하며 흡기를 내어 세포의 영양을 흡수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이 노균병 [Downy mildew, 露菌病] (국가병해충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문제 해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은 진균 중 담자균류에 의한 병이고, 대부분의 기주교대균은 담자균류이다.
6.
다음 중 벼에서는 가장 잘 발생하지 않는 병은?
1.
오갈병
2.
녹병
3.
도열병
4.
잎집무늬마름병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담자균류 녹균목[''Pucciniales'' (이전의 ''Uredinales'')]에 속하는 균류인 녹균류는 약 7,000종이 알려져 있으며 과수류, 수목류 등 중요한 농작물이나 임목에 기생하며 발생하는데, 한 종의 균의 기생범위는 좁고 기생성(寄生性) 분화(分化)로 진행되어 피해를 입히므로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녹균은 기생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털 모양, 작은 그릇 모양 등 독특한 모양의 포자층을 형성한다. 이 포자층에 다수의 포자가 생기며 이 포자덩어리는 철의 녹처럼 적갈색인 것이 많다. 녹균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소생자 ·녹포자 ·하포자, 동포자의 네 종류의 다른 포자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녹포자시기 ·하포자시기 ·동포자시기를 각기 완전희 다른 식물에서 지내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종(異種) 기생성, 이런 현상을 이종기생 또는 숙주교대(宿主交代)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녹병 [Rust] (미생물학백과 )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7.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중에서 균사에 격막이 없는 병원균으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난균, 자낭균
2.
난균, 접합균
3.
담자균, 자낭균
4.
담자균, 접합균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난균, 접합균은 균사에 격막이 없다. 자낭균, 담자균은 균사에 격막이 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문제 해설> 벼 줄무늬 잎마름병의 매개충은 애멸구이고, 병원균은 바이러스이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살균제 살포 효과가 없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11.
병원균이 담자기와 담자 포자를 형성하는 것은?
1.
감자 역병
2.
벼 깨씨무늬병
3.
배추 무사마귀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리 겉깜부기병 담자균. Ustilago nuda.담자기(전균사 형성). 이삭이 흑갈색 분말의 후막포자로 덮여있으며 후막포자가 막이 찢어지면서 포자가 비산.화기 전염된 것이 제1차 전염원이 되고 바람에 의해 비산한 후막포자가 제2차 전염원이 된다. 종자소독, 저항성 품종 재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병징은 이삭이 흑갈색 분말의 후막포자(厚膜胞子)로 덮인 것처럼 보이며 처음에는 막으로 싸여 있던 후막포자가 막이 찢어지면서 포자가 비산(飛散)되고 이삭의 중축(中軸)만 남게 된다. 병원균(Ustilago muda)은 화기전염(花器傳染)된 것이 제1차 전염원이 되고 바람에 의하여 비산한 후막포자가 제2차 전염원이 된다. 화기감염은 후막포자가 보리꽃의 암술머리를 통하여 씨방에 이르러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병든 종자라도 외관상으로는 구별하기 힘들다. 종자소독을 하여야 하며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리겉깜부기병 [loose smu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문제 해설> 1차 전염원이란 1차 감염을 일으킨 오염된 토양, 병든 식물의 잔재에서 월동한 균핵, 난포자, 식물의 조직 속에서 휴면상태로 있는 균사 등 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18.
오이류 덩굴쪼김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가 낮은 것은?
1.
종자를 소독한다.
2.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3.
잎 표면에 약제를 집중적으로 살포한다.
4.
호박이나 박을 대목으로 접목하여 재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오이류 덩굴쪼김병은 토양병이므로, 잎 표면 약제 살포 효과가 없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19.
벼 키다리병의 병징 형성 원인으로 병원균이 분비하는 주요 호르몬은?
1.
옥신
2.
에틸렌
3.
지베렐린
4.
사이토키닌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키다리병균은 벼 종자가 발아하면서 분비하는 영양원을 이용하여 쉽게 증식을 하고 지베렐린을 분비하여 벼의 키다리병을 일으키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키다리병의 가장 눈에 띄는 병징은 벼 줄기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져(키다리 증상) 쉽게 도장되는 것이다. 지베렐린은 생육을 촉진하며 키다리병균이 식물체내에서 이 호르몬을 합성하여 병징을 나타낸다. 또한 지베렐린은 도열병균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유성세대 학명은 gibberella fujikuroi, 무성세대는 Fusarium moniliforme 이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20.
다음 중 감자 Y 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층은?
1.
복숭아혹진딧물
2.
번개매미충
3.
끝동매미충
4.
응애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PVY로 약기. 폭 12~13nm, 길이 730nm 크기의 끈모양 식물바이러스. 유전체의 (+)센스RNA는 약 9,500염기로 구성되고 5′말단에는 작은 단백질을 공유결합하며 3′말단에는 폴리(A)배열을 하고 있다. 유전체RNA에서는 폴리단백질로 분자량이 340,000인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이후 폴리단백질에 내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하여 폴리단백질을 8개의 단백질로 분해하게 된다. 즉, 바이러스는 8개의 유전자를 갖는 셈이다. PVY는 주로 가지과식물을 숙주로 하며, 진딧물이 전파하는 감자의 주요 병해의 원인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2과목 : 농림해충학
21.
누에의 성장단계에서 어미가 생성하는 휴면호르몬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휴면단계는?
1.
알 휴면
2.
유충 휴면
3.
성충 휴면
4.
번데기 휴면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누에 알이 가지고 있는 휴면 호르몬은 휴면을 위해 배아의 발달을 억제하며 이는 모체에서 온 것이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22.
앞날개가 경화되어 있는 곤충은?
1.
벼메뚜기
2.
검정송장벌레
3.
땅강아지
4.
썩덩나무노린재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앞날개가 경화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 곤충은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1.벼메뚜기 : 메뚜기목 2.검정송장벌레 : 딱정벌레목 3.땅강아지 : 메뚜기목 4.썩덩나무노린재 : 노린재목 [해설작성자 : PDK]
* 메뚜기목 (Orthoptera; 직시목): 곧게 뻗은(직, Ortho-) 날개(시, -ptera); 막상의 날개가 곧게 뻗어 있음. * 딱정벌레목 (Coleoptera; 초시목): 칼집(초,Coleo- ) 날개(시,-ptera); 딱지날개(앞날개)는 혁질로 경화되어 있으며 막질의 뒷날개를 칼집처럼 감싸고 있음. * 노린재목 (Hemiptera; 반시목): 절반의(Hemi-,반) 날개(시,-ptera); 앞날개의 절반은 혁질이며 절반은 막질임 * 파리목 (Diptera; 쌍시목): 두개의(Di-,쌍) 날개(시,-ptera): 뒷날개 한 쌍이 평균곤으로 변형되어있어 앞날개 한 쌍만 있음. * 나비목 (Lepidoptera; 인시목): 비늘의(lepido-,인) 날개(시,-ptera); 날개가 비늘로 덮여있음 * 벌목 (Hymenoptera; 막시목): 막상의(Hymeno-, 막) 날개(시,-ptera); 막질의 날개를 가짐. [해설작성자 : Allom]
23.
윤작과 혼작을 통하여 방제효과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해충의 특성은?
1.
기주범위가 넓고 이동성이 높은 해충
2.
기주범위가 넓고 이동성이 낮은 해충
3.
기주범위가 좁고 이동성이 낮은 해충
4.
기주범위가 좁고 이동성이 높은 해충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윤작, 혼작(경종적 방제)은 병원균의 기주범위가 넓고 매개충의 이동성이 높으면 효과가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추가 오류 신고] 탈피호르몬 고 / 유약호르몬 고 -> 유충에서 유충으로 탈피 탈피호르몬 고 / 유약호르몬 저 -> 성충으로 탈피(우화) 정답 2번
25.
내충성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감수성
2.
항객성
3.
항생성
4.
내성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식물의 내충성은 항객성, 항생성, 내성, 비선호성 등과 관계있다. (감수성x, 회귀성x)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항객성(비선호성): 산란, 섭식, 은신처 등이 해충에게 불리한 작물특성 항생성: 해충에게 생리작용에 어떤 형태의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유독한 물질, 영양소 결핍 등으로 해충이 치사하거나 발육 저해) 내성: 감수성품종에 비해 생장이나 수확에 영향을 덜 받고 피해 조직을 회복하는 능력 [해설작성자 : Allom]
26.
살충제 처리 후 무처리구의 생충율이 90% 이고, 처리구의 생충율이 22.5% 일 경우 처리구의 보정 사충율은?
<문제 해설> 해충방제용 천적을 활용한 생물-생태적 방제는 생태계 영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목적 해충을 선택적으로 포식 혹은 기생하는 천적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PDK]
해충방제를 위한 천적의 경우 특정 해충에 대한 포식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기에 포식성 범위는 좁은 것으로 선택한다. [해설작성자 : 산새이해수]
28.
사과잎말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년에 1회 발생한다.
2.
유충으로 월동한다.
3.
유충의 머리는 녹색을 띤 황갈색이다.
4.
유충의 흩눈은 3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년에 1회 발생한다 → 오답. 실제로는 연 3~5회 발생합니다. 유충으로 월동한다 → 맞습니다. 나무껍질 틈 등에서 유충 상태로 겨울을 납니다. 유충의 머리는 녹색을 띤 황갈색이다 → 맞는 표현입니다. 유충의 흩눈은 3개이다 → 맞습니다. 일반적인 유충의 형태적 특징입니다. [해설작성자 : 열공]
29.
다음 해충 중 기주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은?
1.
벼멸구
2.
흰등멸구
3.
애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벼멸구는 벼만 가해한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30.
다음 중 토양해충인 것은?
1.
송장벌레
2.
바퀴
3.
땅노린재
4.
땅강아지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토양해충은 흙속에서 그 생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면서 생활하는 곤충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31.
자연생태계와 비교할 때 농생태계의 특징은?
1.
영양단계의 상호관계가 간단하다.
2.
영양물질 순환이 폐쇄적이다.
3.
종의 다양성이 높다.
4.
유전자 다양성이 높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농생태계 순 생산성이 높고, 생태계 내부 물질순환은 개방형이며 속도가 빠르다.영양사슬이 단순하며, 종 및 유전적 다양성이 낮다. 엔트로피가 높고 안정성은 떨어지므로 인간에 의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곤충의 성비(sex ratio)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수컷의 수 / 암컷의 수
2.
암컷의 수 / 수컷의 수
3.
암컷의 수 / (암컷의 수 + 수컷의 수)
4.
수컷의 수 / (암컷의 수 + 수컷의 수)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곤충의 성비는 암컷의 수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ㅇ]
33.
페로몬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상대 성의 개체를 유인한다.
2.
음식의 위치를 알려준다.
3.
다른 곤충간의 통신으로 냄새나 독성을 이용하여 자신을 보호한다.
4.
사회생활을 하거나 집단을 이루는 곤충류에서 천적의 침입 등 위험을 알려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알로몬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디디]
34.
곤충의 혈림프를 구성하는 혈구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수분보존
2.
식균작용
3.
피낭형성
4.
응고작용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혈구: 식균,피낭,응고,영양분 저장 및 분배 [해설작성자 : 배민준]
수분보존 기능은 혈구가 아닌 곤충의 외골격, 왁스층, 말피기관 등 체내 수분 조절기관이 담당합니다. 따라서 혈구의 기능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열공]
35.
특정 지역의 해충 밀도를 추정하고자 할 때 비교적 많은 표본수가 요구되는 해당 해충의 분포양식은?
1.
포아송분포
2.
균일분포
3.
임의분포
4.
집중분포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집중분포 양식을 보이는 해충군집은 다른 양식에 비해 분포지의 균일도가 낮다. 즉, 좁은 구역별로 해충의 군집규모 차이가 들쑥날쑥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수의 분포 표본이 존재해야 지역별 분포 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PDK]
포아송분포: 확률론에서 단위 시간 안에 어떤 사건이 몇 번 발생할 것인지를 표현하는 이산확률분포 균일분포(규칙분포): 각 개체가 균등하게 공간 차지 임의분포: 각 개체가 살 확률이 어디든 동일 집중분포: 개체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충 중 외래종이 아닌 것은?
1.
섬서구메뚜기
2.
꽃매미
3.
갈색날개매미충
4.
열대거세미나방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4번 아메리카대륙 원산 2016년 아프리카 2017년 동남아시아 2019년 중국 우리나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 섬서구메뚜기: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고유종. 중국 북부,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문제는 외래종이 아닌 해충을 물어보고 있기 때문에 1번이 정답입니다. (출처: 정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페이지) [해설작성자 : 윈터]
37.
살충제가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주요 경로가 아닌 것은?
1.
경구
2.
경피
3.
기문
4.
돌기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경구 : 입 경피 : 피부 기문 : 숨쉬는 구멍 [해설작성자 : 도오트]
38.
종합적해충방제에서 방제를 실시해야 되는 해충의 밀도수준은?
1.
경제적 소득수준
2.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3.
물리적 피해수준
4.
해충 밀도수준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해충 방제에서 경제적 피해수준이란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이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39.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금지병해충이 발견되었을 경우 취하는 조치로 맞는 것은?
1.
소독
2.
폐기 또는 반송조치
3.
시료분석
4.
전문가 회의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금지병해충: 검출시 폐기 또는 반송 관리병해충: 병해충이 검출되었지만 소독하면 수입 가능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40.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예찰에 이용되는 페로몬은?
1.
성페로몬
2.
분산페로몬
3.
길잡이페로몬
4.
경보페로몬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과 과수원에 복숭아심식나방의 성충 발생 정도를 예찰하는 방법으로는 성페로몬 트랩이 가장 적절함. (나비목) [해설작성자 : ㅇㅇ]
3과목 : 재배학원론
41.
다음 중 작물 생육 필수원소에서 다량으로 소요되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칼슘
2.
칼륨
3.
질소
4.
니켈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식물의 필수 대량 원소: 탄소, 산소, 수소, 질소, 칼륨, 칼슘, 인, 마그네슘, 황 식물의 필수 미량 원소: 철, 염소, 망간, 붕소, 아연, 구리, 몰리브덴, 니켈
42.
토양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립(單粒)구조는 토양통기와 투수성이 불량하다.
2.
입단(粒團)구조는 유기물과 석회가 많은 표층토에서 많이 보인다.
3.
이상(泥狀)구조는 과습한 식질토양에서 많이 보인다.
4.
단립(單粒)구조는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입단구조(떼알구조): 단일 입자가 결합하여 2차 입자가 되고 이것이 모여 3차, 4차 등 집합해 있는 구조. 흙 알갱이들이 적당히 뭉쳐있어 조직 사이 공간 많음. 그 공간 사이에 물 조장과 공기 소통이 원할하여 뿌리가 살기 좋음. 석회와 유기물을 많이 주는 것이 떼알구조 유지에 좋음 *단립구조(홑알구조): 토양입자가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있는 것.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어 공기, 물은 잘 통하나 수분 및 비료성분을 머금을 수 없음. 처음 땅을 개간 시 떼알조직이나 계속 된 경작 및 장마철의 비로 인해 떼알을 만든 유기물이 분해되어 홑알 조직으로 변하며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상구조: 미세한 토양입자가 무구조, 단일상태로 집합된 구조이나, 건조하면 각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부정형의 흙덩이를 형성하능 것이 단립구조와 다르다. 부식 함량이 적고, 과습한 식질(점토질) 토양에서 많이 보이며, 소공극은 많으나 대공극이 적어 토양통기가 불량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다음 중 질소질 비료가 아닌 것은?
1.
요소
2.
유안
3.
질산암모늄
4.
용성인비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용성인비는 인산질 비료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식물의 진화와 관련하여 작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아억제물질이 감소하거나 소실되는 방향으로 발달되었다.
2.
분얼이나 분지가 일정 기간 내에 일시에 발생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3.
개화기는 일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4.
탈립성이 큰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식물의 탈립성이란 완숙한 열매가 기주로부터 떨어지는 성질을 말한다. 인간이 재배하는 작물의 열매는 땅에 떨어지지 않아야 상품가치가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탈립성이 낮은 품종으로 진화 및 개량해왔다. [해설작성자 : PDK]
유효수량 : 필요한 수량 중에서 강우로부터 직접 공급되고 이용되는 수량 [해설작성자 : 곧시험]
46.
신품종이 기본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일성
2.
변이성
3.
구별성
4.
안정성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품종개량에서는 흔히 부모세대에서 골라낸 이로운 유전적 특징(저항성, 색, 기능성 물질 등)이 자손세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신품종을 판매하려면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특정 유전자를 상실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종자(또는 종묘)를 생산할 수 있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문제 해설> 중과피(中果皮)는 육질이고 내과피(內果皮)는 나무처럼 단단하게 되어 그 안에 종자가 들어 있는 열매로, 벚나무·매실나무· 매화나무· 복숭아나무· 감탕나무· 올리브·체리·호두나무·멀구슬나무의 열매가 그 예이다. +사과는 이과(梨果)이다. [해설작성자 : 핵과 [drupe, 核果] (두산백과)]
토양이나 수질 오염을 통하여 인체에 중금속 중독을 초래하며 이타이이타이병이 나타나는 것은?
1.
카드뮴
2.
규소
3.
망간
4.
몰리브덴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이타이이타이병은 카드뮴에 대한 만성 중독으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병은 일본 도야마현 진즈강 유역에서 1910년경부터 발생하였으며 카드뮴에 의해 뼈속 칼슘분이 녹아서 생긴 신장장애와 골연화증으로, 이 병에 걸리면, 너무 아파서, 아프다,아프다란 뜻의 질병입니다. [해설작성자 : 왕이슬]
이타이이타이병은 카드뮴에 대한 만성 중독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일본 도야마현 진즈강 유역에서 1910년경부터 발생하였으며 신장장애와 골연화증을 일으키며, 이 병에 걸리면 너무 아파서 아프다, 아프다라는 뜻의 병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왕이슬]
54.
다음 중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은?
1.
모관수
2.
결합수
3.
중력수
4.
흡착수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모관수: 토양 공극 내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모세관 현상을 통해 지하수가 상승하며 공급된다. 결합수: 점토광물에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있어 식물이 이용할 수 없는 수분이다. 중력수: 모세관 현상없이 중력에 의해 공극에 흐르는 물로 근권 아래까지 흘러간 물은 이용할 수 없다. 흡착수: 토양입자에 흡착한 수분이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55.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 두 작물을 일컫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
1.
대파작물
2.
앞작물
3.
동반작물
4.
구황작물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동반작물: 다년생초지에서 초기의 산초량(産草量)을 높이기 위하여 섞어서 덧뿌리는 작물(알팔파나 클로버의 포장에 귀리나 보리를 파종함). [해설작성자 : 네이버 지식백과]
56.
다음 중 벼의 수해를 크게 하는 조건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저수온, 청수, 유수
2.
저수온, 탁수, 정체수
3.
고수온, 청수, 유수
4.
고수온, 탁수, 정체수
정답 : [
4
] 정답률 : 79%
57.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적은 작물은?
1.
호박
2.
알팔파
3.
옥수수
4.
완두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요수량이 가장 작은 작물은 옥수수, 수수, 기장의 3종이 대표적이다. [해설작성자 : PDK]
58.
침관수 피해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퇴수 후 새로운 물을 갈아 댄다.
2.
김을 매어 지중통기를 좋게 한다.
3.
침수 후에는 병충해의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방제가 필요없다.
4.
피해가 심할 때에는 추파, 보식 등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대다수의 진균병(벼 도열병,흰잎마름병, 깨씨무늬병 등)이 다습한 조건에서 전파/감염하기 쉽고 비 온 후에는 농약이 씻겨 내려간 상태이기 때문에 특별히 방제에 신경써야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문제 해설> 지구상의 식물 85%는 C3 식물(벼, 밀, 보리 등)이고, 대표적인 C4 식물은 옥수수, 사탕수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농약학
61.
약효지속시간이 길어야 하는 보호살균제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보호살균제 살포액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은?
1.
습윤성과 확전성
2.
부착성과 고착성
3.
현수성과 유화성
4.
침투성과 입자의 크기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보호 살균제는 병원균 포자가 침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예방목적) 고안되었기 때문에 작물체 표면에서 오래 버틸 수 있도록 부착성과 고착성이 우수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62.
수화제(Wettable Powder; WP)에 주로 사용되는 증량제는?
1.
toluene
2.
sulfamate
3.
bentonite
4.
methanol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에 잘 팽윤되어 점착성을 띠며, 주로 수화제의 증량제로 사용 되고, 비교적 무거운 점토광물로서 흡유가가 천연의 증량제 중 가장 높은 것은 벤토나이트이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63.
농약의 독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농약은 유해한 생물에만 유효하고 그 밖의 생물에는 무독해야 한다.
2.
병, 해충의 내성으로 인한 약효 저하로 고독성농약 등록이 늘어가고 있다.
3.
독성이 약한 농약도 체내에 다량섭취되면 독작용을 나타낸다.
4.
농약의 독성강도에 따라 적절한 주의를 기울여 피해를 최소화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환경 및 인축 독성, 잔류독성, 기존 농약의 저항성 발달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더 안전하고 자연적으로 분해가능한 저독성 농약의 등록이 늘고있다. 고독성농약은 반대로 중독사고 등 부작용으로 등록이 취소되거나 사용이 금지되는 추세로 과거보다 국내 등록건수가 줄어들었다.
<문제 해설> 원액용량 X (원액 농도 / 희석 농도-1) X 원액 비중 =200 x (45/0.3 - 1) x 1 = 200 x 149 = 29,800cc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해설 추가 원래 농도(45%)에서 희석 후의 농도(0.3%)는 1/150 차이가 남 즉 유제의 양이 150배 늘어날 경우 0.3%로 농도가 맞춰지는 것이기 때문에 농도가 맞춰진 최종 유제의 양은 200*150 = 30000이 됨 구하고자 하는 것은 ‘소요된 물의 양’이기 때문에 최종 유제의 양(30000)에서 기존 유제의 양(200)을 빼면 소요된 물의 양(29800)을 구할 수있음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싫다]
77.
농약의 품질불량의 원인이 되어 약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약해
2.
불순물의 혼합에 의한 약해
3.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4.
고농도에 의한 약해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농약의 품질불량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약해는 원제의 생산, 유통, 보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는 경우이다. 품질변화로 인해 유해성분이 생성되거나, 불순물이 혼합되고, 불량한 원제 부성분에 의해 약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고농도에 의한 약해는 정상적인 원제를 사용자가 잘못된 방법(부적절한 농도로 제제)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약해이다. [해설작성자 : PDK]
78.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ADI) 설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NOAEL은 No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MRL은 Maximum Residue Limit의 약어이다.)
<문제 해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화본과, 방동사니과, 광엽 (소엽류x, 로제트형x)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85.
수용성이 아닌 원제를 아주 작은 입자로 미분화시킨 분말로 물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제초제의 제형은?
1.
유제
2.
보조제
3.
수용제
4.
수화제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화제는 원제가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주제를 카올린이나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하여 아주 잘게 세분된 입자로 만들고, 습윤, 분산에 필요한 적정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물에 넣어 희석하면 입자가 고루 분산되는 현탁액이 되도록 제형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두콩이]
유제: 물에 녹지 않는 성분을 유기용매에 녹인 제재 수용제 : 물에 잘 녹는 농약원제를 수용성 증량제로 희석, 투명한 액체가됨 보조제: 제형 분류가 아님, 농약 효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보조 물질, 전착제, 증량제, 용제, 유화제, 협력제가 있음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86.
광합성을 억제하는 계통의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Triazine계
2.
Urea계
3.
Acetamide계
4.
Bipyridylium계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Acetamide계 제초제는 탄소수가 큰 지방산인 VLCFA의 생합성에 관련된 신장효소(Elongase)를 저해하는 제초제이다. [해설작성자 : PDK]
87.
다음 중 일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여뀌, 물달개비
2.
벗풀, 띠
3.
보풀, 민들레
4.
올방개, 토끼풀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여뀌, 물달개비를 제외한 모든 선지 다 다년생 잡초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 방법
2.
제형
3.
처리 약량
4.
광도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제초에와 식물체의 접촉과 보유의 차이에 따라 선택성 폭 결정 처리약량, 제형, 처리위치 및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선택성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식물적요인(발육상태, 영양소공급, 건강상태, 품종)/ 환경적용인(광도, 온도, 습도, 강우량)/ 생물적요인(형태적, 생리적)/ 물리적요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직파 시 포장에서 잡초와 함께 발아, 성장하며 경합하게 된다. 모종이나 모를 키워 이식재배를 하면 발아하는 동안 모종 준비하는 기간 동안 포장의 잡초를 방제하거나 작물의 경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경운은 땅을 갈아엎어 잡초나 잡초종자를 땅속에 깊이 묻어버려 일시적으로 방제효과가 있으나 때로는 종자나 병해충을 더 멀리 퍼뜨리는 역할이 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