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단계 진동제어는 추가적인 진동제어 단계가 저주파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주파 진동 제어 시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123]
2.
마스킹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 한다.
2.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때는 마스킹 효과가 대단히 작아진다.
3.
마스킹 효과는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4.
두 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는 맥동이 생겨 마스킹 효과가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두 개의 음이 동시에 발생될 때 한 음의 최저 가청한계(청각이 감지할 수 있는 음의 최소 레벨)가 다른 음 때문에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쉽게 설명하면 ‘A’라는 음이 ‘B’라는 큰 소리에 의해 들리지 않는 현상을 마스킹효과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승효니]
강한 큰 소리(방해음) 때문에 듣고자 하는 소리의 주파수가 더 낮아져 잘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 -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한다 - 두음이 주파수가 비슷할때 마스킹효과가 커진다 - 두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 맥동이 생겨 마스킹 효과가 감소한다 - 마스킹 소음의 레벨이 높을수록 마스킹되는 주파수의 범위가 늘어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간이진단 기술이 아닌 것은?
1.
점검원이 수행하는 점검 기술
2.
운전자에 의한 설비감시 기술
3.
설비의 결함 진전을 예측하는 예측 기술
4.
사람 접근이 가능한 설비를 대상으로 하는 점검 기술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설비의 결함 진전을 예측하는 예측 기술 # - 간이진단을 수행하는 주체는 메카트로닉스공학기술이 집대성된 자동화 설비의 유지보수를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라도 일정 이상의 교육과 경험을 축적하였을시 수행할수 있겠으나, - 설비의 결함진전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관련 지식과 일정 이상 다년간의 숙련된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하므로 비전공자도 수행할수 있는 간이진단 기술과는 거리가 있겠다고 할수있다. [해설작성자 : KET(주)]
4.
진동의 측정 단위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m
2.
m/s
3.
m/s2
4.
m2/s2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진동의 단위 1. 변위 2. 속도 3. 가속도 [해설작성자 : 봉다리]
"m2/s2"는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진동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123]
<문제 해설> 벤투리관 곧은 모양의 관 일부가 가늘게 교축된 관으로, 큰 직경의 유체와 작은 직경의 유체의 압력 차이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승효니]
7.
방진에 사용되는 패드의 종류 중 많은 수의 모세관을 포함하고 있어 습기를 흡수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PVC 등 플라스틱 재료를 밀폐해서 사용하는 재료는?
1.
강철
2.
코르크
3.
스펀지 고무
4.
파이버 글라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GLASS FIBER(유리섬유) 유리섬유는 특징원료를 용융, 방사하여 매우 가늘고 길게 성형한 뒤에 급냉시켜 만든 섬유상태의 유리를 말하며 그 형태, 생산 방법에 따라 단열 및 흡음재로 사용하는 단섬유와 각종수지 보강재로 사용하는 장섬유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단섬유를 글라스 울(glass wool), 장섬유를 글라스 화이바(glass fiber)라고 합니다.
화이바글라스의 특성 - 탁월한 기계적 특성 : 강철보다 뛰어난 인장강도를 활용한 고성능 복합소재 생산가능 - 전기 절연적인 특성 : 전기 절연성이 현저하게 양호하여 얇은 두께로서 전기절연체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가짐 - 우수한 치수 안정성 : 열에 의한 팽창 또는 신축이 거의 없어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 각종 수지에 혼합, 다양한 소재 생산가능 - 화학적인 특성 : 적절한 수지에 혼합시키면 강한 내화학성을 가지며 안전 물질로서 법적 사용규제가 전혀 없어 석면 대체 물질로서 널리 사용 됨 - 불연성으로서의 특성 : 본질적으로 무기물이기 때문에 불연성이며 화재시 연기 또는 유독성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건축재료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됨 - 유기물과 상용성이 우수 : 다양한 표면처리제를 사용하여 각종 수지와의 우수한 결합력을 가짐 [해설작성자 : KET(주)]
8.
소음계로 소음 측정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청감보정회로를 사용한다.
2.
반사음 영향에 대한 대책을 세운다.
3.
암소음 영향에 대한 보정값을 고려한다.
4.
변동이 적은 소음은 fast에 변동이 심한 소음은 slow에 놓고 측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Fast와 Slow는 측정 시간 가중치를 나타내며, Fast는 짧은 시간 동안의 소음을 감지하는 데에 적합하고, Slow는 장기간에 걸친 소음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변동이 적은 소음은 Slow, 변동이 심한 소음은 Fast에 놓고 측정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123]
9.
유체의 동력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유량 또는 유속을 압력으로 변환하는 차압 검출 기구가 아닌 것은?
1.
노즐
2.
부르동관
3.
오리피스
4.
벤투리관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부르동관 :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 수압요소의 일종. 단면이 타원형인 금속관을 C형으로 구부린 것으로, 한 끝이 닫혀 있고,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밖으로 넓게 펴지려고 하여 변위를 일으킨다. 부르동관은 다른 수압 요소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응답이 빠르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진동의 에너지를 표현하는 값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실효값
2.
편진폭
3.
양진폭
4.
평균값
정답 : [
1
] 정답률 : 87%
11.
와전류형 변위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회전수
2.
가속도 진동
3.
축(shaft)의 팽창량
4.
축(shaft)의 중심 변화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속도 진동은 가속도 센서로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이어도]
12.
주파수 변환 신호 처리 시 발생하는 에러 현상으로 어떤 최고 입력 주파수를 설정했을 때 이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가진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생기는 문제를 뜻하는 현상은?
1.
확대(zooming)
2.
엘리어싱(aliasing)
3.
필터링(filtering)
4.
시간 와인더(time winder)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엘리어싱은 나이키스트 샘플링 이론에 의해 정상적으로 샘플링된 신호의 주파수가 나이퀴스트 주파수보다 높을 때 발생하는 주파수 혼동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신호를 고주파로 샘플링할 때, 저주파 구성 요소로 잘못 해석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123]
13.
진동의 종류별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형 진동 : 진동의 진폭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진동계가 운동하는 방식이다.
2.
자유 진동 : 외란이 가해진 후 계가 스스로 진동을 하고 있는 경우이다.
3.
비감쇠 진동 : 대부분의 물리계에서 감쇠의 양이 매우 적어 공학적으로 감쇠를 무시한다.
4.
규칙 진동 : 기계 회전부에 생기는 불평형, 커플링부의 중심 어긋남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진동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선형 진동: 진동계의 기본요소들이 모두 선형적으로 작동할 때 야기되는 진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조절계의 제어동작에서 입력에 비례하는 크기의 출력을 내는 제어 방식은?
1.
비례제어
2.
적분제어
3.
미분제어
4.
ON-OFF제어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 비례 제어[proportional control] P 제어 비례 동작을 가하여 하는 방식의 제어를 말한다. 예컨대 실내 온도 등 제어하려는 대상의 편차값을 검출하여 편차에 비례하는 조작량에 의하여 제어를 한다. - 적분 제어[integral control] I 제어 비례 제어에서 발생하는 잔류 편차를 적분 동작으로 제거해 오차를 줄이기 위한 제어 방법. 전류 편차를 누적한 후 출력량을 늘려 오차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적분 동작을 이용해 목표한 설정값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제어. - 미분 제어[differential control] D 제어 기본적인 자동 제어의 하나. 제어 목표값과 실현값의 차(편차)의 시간적 변화에 비례하는 제어 신호를 조작부에 주어 미분 동작을 일으켜 실현값이 목표값에 달하는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올 지향하는 제어. - ON-OFF제어 제어장치는 그 대상에 대해서 제어하는 양을 목표로 하는 값에 일치시키도록 조작하는데, 그 조작량이 1 이나 0, 즉 목표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두 가지 정보에 의해서 제어하는 방식이다. 시스템은 비교적 간단하나 복잡한 제어에는 문제가 많다. 릴레이 제어는 대표적인 온오프제어이며 경보용 ·조절용에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KET(주)]
15.
고유진동수와 강제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진폭이 크게 발생하는 현상은?
1.
공진
2.
풀림
3.
상호간섭
4.
캐비테이션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공진은 시스템이 받는 외부 강제진동의 주파수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할 때, 진폭이 크게 증폭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외부 에너지가 시스템 내의 고유진동에 에너지를 추가하여 진폭이 커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123]
16.
면적식 유량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압력 손실이 적다.
2.
기체 유량을 측정할 수 없다.
3.
부식성 액체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액체 중에 기포가 들어가면 오차가 생기므로 기포 빼기가 필요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면적식 유량계는 주로 소용량 유체, 고점도 유체, 부식성 유체, 슬러리 유체의 유량 측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좁은 부분의 면적이 유동에 따라 변화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원리로, 장점으로는 비용 효율적이고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쉽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압력 손실이 적고 유량에 따른 눈금이 직선적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면적식 유량계의 특징: 측정 가능한 유체: 소용량 유체, 고점도 유체, 부식성 유체, 슬러리 유체 등에 적합. 유량 측정 원리: 좁은 부분의 면적이 유동에 따라 변화하여 유량 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열전온도계(thermo electric pyrometer)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구리와 콘스탄탄의 이종재를 결합하여 200~300℃ 정도의 저온용으로 사용한다.
2.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양단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을 이용한다.
3.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전력 현상을 톰슨 효과(Thomson effect)라 한다.
4.
백금로듐과 백금의 이종재를 결합하면 1000℃ 이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제벡효과 :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 접합부의 온도 차에 의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1821년에 독일의 제베크가 발견 [해설작성자 : 진달래]
톰슨 효과 : 동일한 금속에서 부분적인 온도차가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발열 또는 흡열이 일어나는 현상 [해설작성자 : KET(주)]
<문제 해설> 기류음은 직접적인 공기의 압력 변화에 의한 유체역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 (예:나팔 등의 관악기, 폭발음, 음성 등) [해설작성자 : 늘처음처럼]
20.
소음기의 내면에 파이버 글라스(fiber glass)와 암면 등과 같은 섬유성 재료를 부착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는?
1.
팽창형 소음기
2.
간섭형 소음기
3.
공명형 소음기
4.
흡음형 소음기
정답 : [
4
] 정답률 : 86%
2과목 : 설비관리
21.
설비번호의 표시방법과 설비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비번호는 1매만 만든다.
2.
설비번호 부착은 눈에 잘 띄는 곳에 확실하고 견고하게 해야 한다.
3.
설비대장은 설비에 대한 개략적인 크기와 개략적인 기능 등을 기재한다.
4.
설비대장은 모든 설비 중 제조일자로부터 5년이 지난 장비로서 관리가 필요한 설비만 선택적으로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설비대장은 사람의 이력서와 같은 개념으로서, 제조현장내 입고,설치 시점부터 해당 설비에 대한, 스펙,구입년도,구입가격,입고설치일자,제조업체명,제조업체 연락처 등등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 설비보전담당자가 이직, 퇴사 등의 사유로 교체가 되더라도 인수인계할수 있도록 명문화하여 관리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KET(주)]
22.
설비의 잠재열화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설비를 감지하는 보전방법은?
1.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2.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
3.
개량보전(Corrective Maintenance)
4.
보전예방(Maintenance Prevention)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태기준 예방보전(예지보전,CBM) 설비 상태를 기준으로 보전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열화를 나타내는 지침이 있을 때 보전을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양종필]
"잠재" 된 현상이기 때문에 "예지" Predictive라고 생각하면 쉽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초이스 기술검사 최소장]
23.
뜻이 있는 기호법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항목의 첫 글자나 그 밖의 문자를 기호로 하는 방법은?
1.
순번식 기호법
2.
기억식 기호법
3.
세구분식 기호법
4.
삼진분류 기호법
정답 : [
2
] 정답률 : 81%
24.
생산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사람
2.
설비
3.
재료
4.
생산성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생산의 3요소 사람(Man),설비(Machine),재료(Material) 번외로 생산의 4요소로서 추가 사항은 공법(Method)으로서 흔히 제조현장에서 흔히 4M 이라고 일컫음 [해설작성자 : KET(주)]
25.
설비배치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생산량 증가
2.
생산 원가 절감
3.
생산인력의 증가
4.
우량품 제조 및 설비비 절감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설비배치는 생산 시설 내에서 설비와 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우량품을 제조하고 설비비를 절감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인력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설비배치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설비배치는 생산 과정을 자동화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123]
26.
지그와 고정구(jig and fixture), 금형, 절삭공구, 검사구(gauge) 등 각종의 공구를 통칭하는 용어는?
1.
치공구
2.
계측공구
3.
공작기계
4.
제작공구
정답 : [
1
] 정답률 : 82%
27.
자주 보전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자주 보전은 미리 작성한 보전카렌더에 의해 전개해나가는 활동이다.
2.
총점검단계는 설비의 기능과 구조를 알 수 있게 하는 활동이다.
3.
초기청소를 통해 오염의 발생 원인을 찾는다.
4.
발생 원인과 공간 개소대책은 자주 보전의 중요 활동요소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자주 보전 활동은 TPM의 기본 개념을 설비 부문에 적용한 것이며 운전자가 소집단활동, 전원 참가, 스스로 전개하는 보전활동이다. (미리 작성한 계획이 아닌 스스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프로젝트의 착수에서 완성에 이르는 일반적인 순서 중 프로젝트의 가치가 평가되는 단계는?
1.
연구개발
2.
조달과 건설
3.
프로젝트 확립
4.
경제성의 결정
정답 : [
4
] 정답률 : 71%
29.
TPM의 다섯 가지 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집단 활동을 통해 PM추진
2.
설비의 효율화를 위한 개선 활동
3.
최고 경영층부터 제일선까지 전원 참가
4.
설비에 관계하는 사람이 빠짐없이 활동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PM 전사적 생산보전. 과거의 ‘설비보전업무는 보전 부서만의 고유업무이다’라는 인식을 깨뜨리고 전 종업원이 설비의 보전업무에 참가, 설비고장의 원천적 봉쇄는 물론 불량제로·재해 제로를 추구해 기업의 체질을 변화시키고자 하는기업혁신운동이다. TPM의 유래는 1971년 일본 플랜트 메인티넌스협회(JIPM)가 1960년대미국에서 도입된 PM기법을 발전시킨 데서 비롯됐다. [해설작성자 : KET(주)]
<문제 해설> 회분(Ash)이나 황(S) 성분이 거의 없어 매연이나 SO2 발생이 거의 없다고 하네요. [해설작성자 : 설보기돋보기]
32.
어떤 설비가 i개의 부품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을 때, 평균고장(수리)시간(MTTR)을 나타내는 식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MTTR[평균 수리 시간] = 수리에 걸린 총 시간의 합 / 고장(수리) 횟수 ※ 해당 고장에 대한 수리완료까지의 걸린 시간 - MTBF[평균 장애(고장) 간격] = 총 가동 시간 / 고장(수리) 횟수 ※ 한번 고장 수리 후 다음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간격 시간 [해설작성자 : KET(주)]
33.
다음 설명에서 괄호 안에 해당하는 측정방식의 종류는?
1.
편위법
2.
영위법
3.
치환법
4.
보상법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대표적인 비교측정의 사례로 치환법 이라고 함 [해설작성자 : KET(주)]
34.
품질불량은 설비, 가공조건 및 인적 요소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불량을 “0”으로 달성하기 위한 접근 방법이 아닌 것은?
만성로스 개선 방법 중 설비나 시스템의 불합리 현상을 원리 및 원칙에 따라 물리적 성질과 매커니즘을 밝히는 사고방식은?
1.
FTA
2.
FMEA
3.
QM분석
4.
PM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67%
36.
평균이자법 산출 시 연간비용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총자본비 + 회수금액 + 투자액
2.
총자본비 + 회수금액 + 가동비
3.
상각비 + 평균이자 + 가동비
4.
상각비 + 평균이자 + 투자액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상각 : 특정 기간에 걸쳐 대출 또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다시 말해, 오랜 기간에 걸쳐 대출 상환금을 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정화 포레버]
37.
초기 고장기에 발생하는 고장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설계상의 오류
2.
부적정한 설치
3.
제조과정의 실수
4.
열화에 의한 고장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화에 의한 고장은 초기 고장이 아닌 장기간 사용했을때 발생하는 고장의 원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그래프는 설비의 최적보전계획에 의한 비용 및 처리량을 나타낸다. (1), (2)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최소비용점, (2) 최적수리주기
2.
(1) 최대비용점, (2) 최대수리주기
3.
(1) 최소비용점, (2) 최대수리주기
4.
(1) 최소보전점, (2) 최소수리주기
정답 : [
1
] 정답률 : 74%
39.
특정 환경과 운전보건 하에서 주어진 시점동안 규정된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확률을 나타내는 것은?
1.
고장률(failure)
2.
신뢰도(reliability)
3.
가동률(operating ratio)
4.
보전도(maintainability)
정답 : [
2
] 정답률 : 80%
40.
설비의 공사관리 기법 중 PERT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형적 시간(Most Likely Time)은 공사를 완료하는 최빈치를 나타낸다.
2.
낙관적 시간(Optimistic Time)은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최단 시간이다.
3.
비관적 시간(Pessimistic Time)은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최장 시간이다.
4.
위급경로(Critical Path)는 공사를 완료하는데 가장 시간이 적게 걸리는 경로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장 경로가 긴 일련의 활동으로 프로젝트 전체를 끝내기 위해 반드시 기한 내에 완료되어야 하는 활동 [해설작성자 : 설보기돋보기]
3과목 : 기계일반 및 기계보전
41.
감속기에 사용하는 평기어 언더컷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잇수비를 작게 한다.
2.
이높이가 높은 기어로 제작한다.
3.
압력각을 20°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4.
기어의 잇수를 한계 잇수 이상으로 설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언더컷] 기어에서 이의간섭으로 이의 강도와 물림율이 저하되는 것 [방지대책] 1. 이의 높이를 줄이고 압력각을 20도 이상으로 한다 2. 한계잇수 이상으로 제작한다 3. 이의 높이가 낮은것을 사용한다 4. 전위기어를 만들어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기사준비자]
42.
교류 및 직류 아크용접기의 특성을 비교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교류 아크용접기는 자기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2.
교류 아크용접기가 직류 아크용접기 보다 감전위험성이 높다.
3.
아크의 안정성은 교류용접기가 직류용접기 보다 우수하다.
4.
무부하 전압은 직류 아크용접기에 비하여 교류 아크용접기가 높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3.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유압 펌프
2.
공기압 모터
3.
유압 전도장치
4.
요동형 액추에이터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압 = ▲ (속이 꽉찬 삼각형) 공압 = △ (속이 빈 삼각형) 펌프 = 삼각형 화살표 뾰족한 부위가 원밖으로 모터 = 삼각형 화살표 뾰족한 부위가 원 안으로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및 확정답안 확인해 봤는데 보기에 이상 없으며 확정답안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윗분께서 말씀하신 과열여부가 발열 점검 대상입니다. 전동기 소손여부는 단순히 외부에서 점검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기에 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제철보국]
[오류신고 반론] 정답 3번이 맞는듯 합니다. 소손의 사전적 의미는 "소손 = 불에 타서 부서짐. 또는 불에 태워서 부숨." 입니다. 말그대로 전동기의 코일의 절연피막(애나멜 플락스)이 과전류에 의한 이상발열로 인해 불에타서 탄화된 상태를 그지경이 되면 모터 내부 심선 코일이 각상간 쇼트 및 외함 전동기 외함(하우징)에 지락까지 발생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점검항목이 아니라, 긴급하게 전동기 교체를 통한 수리를 요하는 상태라고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ET(주)]
[오류신고 반론] 점검이라는 뜻을 유추해보자면 정상동작하고 있는 기계를 설펴본다는 의미이고, 소손은 불에 타거나 그을려 동작을 하지않을 때 보여지는 현상이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송승민]
관은 원칙적으로 1줄의 실선으로 도시하고, 동일 도면 내에서는 같은 굵기의 선을 사용한다.
3.
관은 파단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하게 파단할 경우 2줄의 평행선으로 도시할 수 있다.
4.
표시 항목은 관의 호칭지름, 유체의 종류·상태, 배관계의 식별, 배관계의 시방, 관의 외면에 실시하는 설비·재료 순으로 필요한 것을 글자·글자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관을 파단하여 표시하는 경우 파단선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배관의 제도 • 제도방법 - 관은 한 줄의 굵은 실선으로 지시하고 같은 도면에는 같은 굵기로 한다. 다만 관의 계통, 상태, 목적을 표시하기 위해 선의 종류를 실선, 파선, 쇄선, 2줄의 평행선 등을 이용하여 바꾸어 도시하여도 되며 선의 종류에 따른 의미를 보기 쉽게 명기한다. - 긴 관을 파단하여 표시하는 경우 판단선으로 표시한다. - 유체의 흐름 방향 : 실선의 화살표로 방향을 지시한다. - 관의 도시선이 교차하는 경우 접속점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 배관의 지시 - 표시항목은 관의 호칭지름, 유체의 종류 및 상태, 배관계의 식별, 배관계의 시방, 관의 외면에 실시하는 설비, 재료 순으로 필요한 것을 글자• 글자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관의 굵기 및 종류: 관의 굵기를 지시하는 숫자 옆에 관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호나 문자를 지시한다(에L 40 SPP85) -유체의 종류 기호 : 공기(A), 가스(G), 유류(이, 수증기(5), 물(W)로 관 위에 표시한다. - 복잡한 도면은 지시선을 이용하여 지시한다. - 계기의 지시는 선을 끌어내어 동그라미 안에 종류를 기재하여 지시한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54.
리프트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폐가 느리다.
2.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3.
유체의 에너지 손실이 크다.
4.
밸브와 밸브 시트의 맞댐이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리프트(체크)밸브 흐르는 유체가 수문을 밀어 올리는 형태로, 외력없이 밸브를 간단히 열고 밸브와 시트의 맞댐이 용이하다. 다만 밸브를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고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공기 중에서는 액체 상태를 유지하고 공기가 차단되면 중합이 촉진되어 경화가 일어나는 접착제는?
4.(오일)중에 함유된 O 그리스동판부식시험은 그리스에 함유된 오일의 정재도와 유리상태의 산 및 알카리의 유무를확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판부식 시험 (Copper Strip Corrosion Test) → 구리판을 넣어 가열했을 때 그리스 속에 있는 부식성 성분(특히 산, 알칼리, 황 화합물) 때문에 생기는 변색 정도를 보는 시험. 즉,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게 아니고, 부식성 여부만 확인하는 시험임.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64.
그리스 급유법이 아닌 것은?
1.
그리스 건
2.
그리스 컵
3.
그리스 니플
4.
집중 그리스 윤활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그리스 니플 -> 그리스 니플은 그리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이다. [해설작성자 : KET(주)]
65.
유압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발생되는 현상은?
1.
동력소비 증대
2.
계통 내의 압력상승
3.
계통 내의 압력손실 증대
4.
내·외부 틈으로의 누유 증대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내·외부 틈으로의 누유 증대 -> 작동유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작동유의 유동성이 너무커 기밀 유지가 어려우므로 누유 현상이 발생하고, 저점도로 인한 유압 계통의 마모도가 증대 된다. [해설작성자 : KET(주)]
66.
다음 윤활유의 급유법 중 윤활유를 미립자 또는 분무 상태로 급유하는 방법으로 여러개의 다른 마찰면을 동시에 자동적으로 급유할 수 있는 것은?
1.
바늘 급유법
2.
버킷 급유법
3.
비말 급유법
4.
원심 급유법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분무 상태 =비말 급유법 [해설작성자 : 망경동 킬바사]
67.
베어링 허용회전수의 50% 이상으로 회전할 때, 하우징 내부의 축 및 베어링을 제외한 공간용적에 대하여 충진하여야 할 가장 적절한 그리스 양은?
1.
100% 충진한다.
2.
1/3 ~ 1/2 정도 충진한다.
3.
1/2 ~ 3/4 정도 충진한다.
4.
신유가 빠져 나올 때까지 충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베어링 허용 회전수의 50% 이상으로 회전 >>> 1/3 ~ 1/2 정도 충진 50% 이하로 회전 >>> 1/2 ~ 2/3 정도 충진 일반적인 충진량은 1/2 정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ISO 산업용 윤활유 점도 분류의 기준온도는?
1.
15℃
2.
24℃
3.
40℃
4.
44℃
정답 : [
3
] 정답률 : 67%
69.
순환급유 종류 중 마찰면이 기름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급유 방법은?
1.
유욕 급유
2.
패드 급유
3.
나사 급유
4.
원심 급유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유욕(Bath) 급유법 : 마찰면이 오일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방법으 로, 윤활이 원활하고 냉각효과도 높다. 직립형 수력 터빈의 추력 베어링에 많이 사용되고 방적 기계의 스핀들과 피치원의 원주속도 가 5m/s 내의 감속기어 및 원 기어에 사용하며 롤링베어링 윤활에 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문제 해설> 리징: 이의 작용면에 미끄럼 방향으로 '주름 형성' 리플링: 리플링은 소성 유동과 연관된 파손으로 90도 근처 각도로 접촉면에 '물결 무늬' 스폴링: 파인 홈 지름이 크고 상당한 영역으로 피팅이 발생한 것 (피팅: 기어 재질이 견딜수 있는 치면 용량을 초과했을 때 나타나는 피로파괴 현상) 스코어링: 스커핑이라고도 하며 금속 접촉이 일어나 그 부분이 '용융되어 뜯겨나가는' 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마모성분분석 • 페로그래피법 : 윤활유를 채취하여 그 속의 마멸분 크기나 형상 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마모입자의 크기로 판단하는 정량 페로그 래피법과 마모입자의 형상으로 판단하는 분석 페로그래피법으 로 구분한다. • SOAP법 : 채취한 시료유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발광에 의해 금속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마모성분 외에 농도까지 측정 가능하다. 숙련도를 요구하는 진단방법이다. 연소 방식에 따라 아세틸렌 불꽃을 사용하는 원자흡광법, 고압방전을 사용하는 회전전극법, 약 7,000~9,000°c의 플라스마를 이용하 는 ICP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76.
윤활제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갖추어야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물에 대해서 안정할 것
2.
장기간 보관 시 안정할 것
3.
첨가 시 휘발성이 높을 것
4.
첨가제 상호간에 반응하여 침전 등이 생성되지 않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77%
77.
120~232℃ 정도의 적점을 지니고 있으며, 섬유구조로 안정성이 높아 고온특성은 좋은편이지만, 내수성이 나쁜 특성을 가진 그리스는?
1.
칼슘 그리스
2.
바륨 그리스
3.
나트륨 그리스
4.
알루미늄 그리스
정답 : [
3
] 정답률 : 74%
78.
페로그래피(ferrograph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도 시험방법이다.
2.
마멸입자 분석법이다.
3.
패취 시험방법이다.
4.
수분함유량 시험방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페로그래피법 : 윤활유를 채취하여 그 속의 마멸분 크기나 형상 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마모입자의 크기로 판단하는 정량 페로그 래피법과 마모입자의 형상으로 판단하는 분석 페로그래피법으 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79.
그리스를 가열했을 때 반고체 상태의 그리스가 액체 상태로 되어 떨어지는 최초의 온도는?
1.
주도
2.
적하점
3.
이유도
4.
산화안전도
정답 : [
2
] 정답률 : 72%
80.
이면에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된 결과 이면상에서 국부적으로 피로된 부분이 박리되어 작은 구멍이 발생하는 현상은?
1.
피팅
2.
긁힘
3.
스코링
4.
리플링
정답 : [
1
] 정답률 : 72%
81.
공기압 에너지를 저장할 때에는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지만 실린더의 저속 운전 시 속도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공기압의 특성은?
1.
배기 시 소음
2.
공기의 압축성
3.
과부하에 대한 안정성
4.
압력과 속도의 무단 조절성
정답 : [
2
] 정답률 : 69%
82.
베르누이 정리의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 : 유체의 속도, g : 중력가속도, p : 유체의 압력, γ : 비중량, Z : 유체의 위치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0%
83.
오리피스(orifi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길이가 단면치수에 비해 비교적 긴 교축이다.
2.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3.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점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유체의 압력강하는 교축부를 통과하는 유체점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오리피스란- 배관의 중간에 둥근 구멍이 뚫린 칸막이를 말하며 유체가 여기를 통과하는 경우“오리피스” 전후에서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84.
유압실린더의 불규칙적으로 작동할 때 원인으로 적절한 것은?
1.
모터 고장
2.
솔레노이드 소손
3.
작동유의 점도변화
4.
펌프 케이싱의 지나친 조임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압실린더인 만큼 작동유가 원인이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압작동유의 열화원인 1. 마찰로 인하여 마모된 미세한 불순물들이 유입되는 경우 2. 연속작업으로 작동유 온도의 상승에 따른 화학적 열화 3. 공기 중 수분을 흡수, 공기 중 산소를 혼입 [해설작성자 : 길예은]
<문제 해설> 2. 미터 인 방식 (meter - in system) : 액추에이터의 입구쪽 관로에서 유량을 교축시켜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3. 미터 아웃 방식 (meter - out system) : 액추에이터의 출구쪽 관로에서 유량을 교축시켜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4. 블리드 오프 방식 (bleed - off system) : 액추에이터로 흐르는 유량의 일부를 탱크로 분기함으로써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일반적인 유압 발생장치에서 기름 탱크의 용량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펌프 토출량의 3배 이상
2.
펌프의 토출량과 같은 크기
3.
스트레이너 유량의 3배 이상
4.
공기 청정기 통기용량의 3배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6%
94.
미리 정해 놓은 순서 또는 일정한 논리에 의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제어는?
1.
동기 제어
2.
시퀀스 제어
3.
비동기 제어
4.
ON-OFF 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78%
95.
비접촉식 검출 요소(센서, 스위치)가 아닌 것은?
1.
광전 스위치
2.
리밋 스위치
3.
유도형 센서
4.
용량형 센서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제어장치 내부 상부에 설치하여 문을 열면 내부에 전등이 켜지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접촉이 있어야 동작을 하는걸 말합니다.접점을 이용한 것으로~ [해설작성자 : 깐족대는 취준생]
2. 리밋 스위치 -> 흔히 극한스위치라고도 하며 여러가지 형태의 제품군이 있으나, 공통적으로 작동 방식 및 내부 접점 등이 기계식으로 동작 되는 스위치이다. 보기의 1,3,4와 같이 전자식,광학식 등의 형태의 비접촉식에 비해 장점으로는 전기적인 노이즈에 의한 신호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직접 접촉하여 신호를 검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각종 안전장치류 개소에 보통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KET(주)]
96.
실린더의 속도를 급속히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밸브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번 그림이 급속배기밸브이다. (문제에서 속도를 급속히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초기에 투자하는 자동화 시스템은 비용발생이 많이 들지요 시간이 지날수록 인건비는 줄어든다고 유추하시면 편하게 푸실 문제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이송되는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기위한 작업에 적합한 핸들링 장치는?
1.
리니어 인덱싱
2.
밀링이송 인덱싱
3.
수직 로터리 인덱싱
4.
수평 로터리 인덱싱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① 리니어 언덱싱:**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되는 부품을 정렬하고,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이송되는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② 밀링이송 언덱싱:** 밀링 헤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③ 수직 로터리 언덱싱:** 부품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④ 수평 로터리 언덱싱:** 부품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이송되는 얇은 금속판에 구멍을 내는 작업에 적합한 핸들링 장치는 리니어 언덱싱**입니다. [해설작성자 : 최강이대경]
99.
유압 피스톤의 직경이 50mm이고 사용압력이 60kgf/cm2일 때 실린더가 낼 수 있는 추력은? (단, 실린더의 효율은 무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