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1510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색채심리 마케팅


1.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 패턴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단계가 옳은 것은?
     1. 다양화 마케팅 → 대량 마케팅 → 표적 마케팅
     2. 대량 마케팅 → 다양화 마케팅 → 표적 마케팅
     3. 표적 마케팅 → 대량 마케팅 → 다양화 마케팅
     4. 다양화 마케팅 → 표적 마케팅 → 대량 마케팅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케팅 전략은 점차 세분화되어 발전해왔습니다.
과거에는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량 마케팅이 주류였지만, 소비자의 개별 욕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화 마케팅 - 표적 마케팅으로 발전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2. 인간의 선행경험에 따라 다른 감각과 교류되는 색채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뉴턴은 분광실험을 통해 발견한 7개 영역의 색과 7음계를 연결시켰으며, 이 중 C음은 청색을 나타낸다.
     2. 색채와 모양의 추상적 관련성은 요하네스 이텐, 파버비렌, 칸딘스크, 베버와 페흐너에 의해 연구되었다.
     3. '브로드웨이 부기우기'라는 작품은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을 활용하였으며, 색채 언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 20대 여성을 겨냥한 핑크색 스마트 기기의 시각적 촉감을 부드러움이 연상되며, 이와같이 색채와 관련된 공감각을 활용하면 메시지와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은 분광실험을 통해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며 7가지 색으로 분해된다는 사실을 발견
뉴턴의 분광실험은 7가지 색을 확인했지만, 특정 음과 색을 직접 연결한 것은 아님
색채와 감각의 연결(공감각)은 칸딘스키, 몬드리안 등의 예술가와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됨

2. 요하네스 이텐 : 바우하우스에서 색채 감성적표현 연구 / 바버비렌: 색채 심리학 연구 / 칸단스키 : 색채와 음악 공감각적 표현 연구 ( 추상미술) 베버와 페흐너 : 심리물리학에서 색과 감각의 관계 연구

3.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Broadway Boogie Woogie)'
뉴욕의 도시적 구조와 재즈 음악 '부기우기(Boogie Woogie)'의 리듬을 색과 형태로 표현

4. 색채는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촉감, 감정과도 연결될 수 있음
예: 핑크 → 부드러움, 여성스러움 / 블랙 → 고급스러움, 강렬함
마케팅과 디자인에서 공감각적 색채 사용은 브랜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3. 프랑스의 색채학자 필립 랑클로(Jean Philippe Lenclos)와 관련이 가장 높은 학문은?
     1. 색채지리학
     2. 색채인문학
     3. 색채지역학
     4. 색채종교학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필립 랑클로 - 색채지리학
[해설작성자 : 나니]

색채지리학(Color Geography)은 색과 지역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특정 지역의 색채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학문이다.
필립 랑클로는 전 세계 도시와 지역의 색채 환경을 연구하며 ‘색채지리학(Color Geography)’이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는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건축물, 환경, 자연 색상을 분석하여 각 지역만의 색채 정체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 일반적으로 '사과는 무슨 색?'하고 묻는 질문에 '빨간색'이라고 답하는 경우처럼, 물체의 표면색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결정해서 말하게 되는 색은?
     1. 항상색
     2. 무의식색
     3. 기억색
     4. 추측색

     정답 : []
     정답률 : 82%

5. 색채마케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중이 특정 색채를 좋아하도록 유도하여 브랜드 또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
     2. 색채의 이미지나 연상 작용을 브랜드와 결합하여 소비를 유도하는 것
     3. 생산단계에서 색채를 핵심 요소로 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
     4. 새로운 컬러를 제안하거나 유행색을 창조해나가는 총체적인 활동

     정답 : []
     정답률 : 59%

6. 색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생활유형(Life Style) 이 대두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물적 충실, 경제적 효용의 중시
     2. 소비자 마케팅에서 생활자 마케팅으로의 전환
     3.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장애 제거의 필요성
     4. 새로운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기준으로서의 생활유형의 필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색채마케팅에서 '생활유형'이 강조된 이유는 단순한 경제적 효용보단는 소비자의 가치관,취향 감성에 맞춘 맞춤형 마케팅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현대 마케팅은 단순히 제품을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감성적, 심리적 요소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따라서 경제적 효용성(1번 선택지)은 기존의 전통적 마케팅 개념이며, 생활유형이 대두된 이유로 보기 어렵다.

2. 과거에는 단순한 ‘소비자(Customer)’ 개념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삶 전체를 고려한 ‘생활자(Life-style Consumer)’ 마케팅이 중요해짐.
3. 색채는 소비자 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기업이 색채를 통해 소비자와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중요해짐.
4. 생활유형을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더 맞춤형 색채 마케팅을 전개할 필요성이 증가함.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7. 색채 조사를 위한 표본 추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대규모 집단에서 소규모 집단을 뽑는다.
     2. 무작위로 표본추출 한다.
     3. 편차가 가능한 많이 나는 방식으로 한다.
     4.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8. 일반적인 포장지 색채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민트(mint)향 초콜릿 - 녹색과 은색의 포장
     2. 섬세하고 에로틱한 향수 - 난색계열, 흰색, 금색의 포장 용기
     3. 밀크 초콜릿 - 흰색과 초콜릿색의 포장
     4. 바삭바삭 씹히는 맛의 초콜릿 - 밝은 핑크와 초콜릿색의 포장

     정답 : []
     정답률 : 90%

9. 사회·문화 정보의 색으로서 색채정보의 활용사례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동양 : 신성 시 되는 종교색 - 노랑
     2. 중국 : 왕권을 대표하는 색 - 노랑
     3. 북유럽 : 영혼과 자연의 풍요로움 - 녹색
     4. 서양 : 평화, 진실, 협동 - 하양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동양 문화에서는 노랑이 불교와 관련되어 신성한 색으로 여겨짐 (예: 승려의 가사, 황금 불상).
2. 중국에서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는 색은 황색(노랑, Yellow)이며, 황금빛 용과 황제의 로브도 노랑이었음.
3. 북유럽에서는 녹색이 자연, 생명력,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바이킹 문화에서도 녹색이 자연과 연결됨.
4. 서양에서 평화와 협동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색은 ‘파랑(Blue)이다.
하양(White)은 서양에서 ‘순수, 결혼, 신성함’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평화와 협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음.
예를 들어, 유엔(UN)과 유니세프(UNICEF) 같은 평화와 협력을 강조하는 단체는 파란색을 상징색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0. 색채 시장조사의 자료수집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사연구법
     2. 패널조사법
     3. 현장관찰법
     4. 체크리스트법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체크리스트 법은 아이디어 발상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01]

11. 제품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품의 품질, 스타일, 성능을 제품의 가격보다도 우선적 으로 고려해야 된다.
     2. 제품이나 브랜드를 고객의 마음속에 경쟁제품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도록 하는 노력이다.
     3. 경쟁사의 브랜드가 현재 어떻게 포지셔닝 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는 없다.
     4. 제품의 속성 보다는 제품의 이미지를 더 강조해야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포지셔닝은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의 인식 속에서 경쟁 제품과 차별화 되도록 위치를 선정하는 과정이다.
단순한 제품 특징이 아니라 소비자의 인식 속에서 어떻게 자리 잡을 것인가를 전략적으로 고민하는 것이 핵심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2. 제품 수명주기 중 성장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 마케팅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상승
     2. 시장 점유의 극대화에 노력해야 하는 시기
     3. 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및 광고 전략 필요
     4. 유사 제품이 등장하면서 시장이 확대되는 시기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품 수명주기(PLC) 4단계
도입기 (Introduction):제품이 처음 시장에 나오는 시기, 인지도 확보를 위해 차별화된 마케팅이 필요함.
성장기 (Growth):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시기, 기존 마케팅을 유지하며 브랜드 강화를 중심으로 진행.
성숙기 (Maturity):경쟁이 심화되고 시장이 포화되는 시기, 차별화된 마케팅과 브랜드 리뉴얼이 필요함.
쇠퇴기 (Decline):제품의 인기가 줄어들고 시장에서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

3번(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필요)은 성숙기(Maturity)에 해당하는 이유
성장기에는 기존 마케팅을 유지하며 브랜드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성숙기에는 유사 제품이 많아져 차별화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리브랜딩(Rebranding), 프로모션 강화, 새로운 광고 캠페인 등을 통해
소비자 관심을 유지하려는 마케팅 전략이 등장한다.
경쟁 브랜드가 많아지면서 소비자의 이탈을 막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즉, "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시기는 성숙기(Maturity Stage)!

쇠퇴기에서는 광고와 마케팅을 줄이거나 종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품을 완전히 철수할지, 새로운 리뉴얼을 할지 결정하는 단계다.
일부 브랜드는 재출시(리뉴얼) 전략을 사용해 제품을 다시 성장기로 돌리기도 한다.

"새롭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 성숙기에서 필요!
"광고를 줄이거나 리뉴얼 고려" → 쇠퇴기에서 발생!

결론 : 어쨋든 성장기를 찾는 문제의 정답(틀린보기)는 3번 !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3.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의 농담과 색조에서 색의 촉감을 느낄 수 있다.
     2. 소리의 높고 낮음은 색의 명도, 채도에 의해 잘 표현된다.
     3. 좋은 냄새의 색들은 light tone의 고명도 색상에서 느껴 진다.
     4. 쓴맛은 순색과 관계가 있고, 채도가 낮은 색에서 느껴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색의 명암(농담)과 색조는 질감을 연상시키는 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거친 촉감 → 어두운 색, 부드러운 촉감 → 밝은 색으로 느껴진다.
2. 명도가 높은 색(밝은 색)은 높은 소리, 명도가 낮은 색(어두운 색)은 낮은 소리와 연관된다. 또한, 채도가 높은 색은 강한 소리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3. 일반적으로 **상쾌하고 좋은 냄새(꽃, 과일 등)는 밝은 톤(라이트 톤)의 고명도 색상(파스텔톤, 화이트, 옐로우 등)**과 연관된다.
4. 쓴맛(bitter)은 대체로 어두운 색, 낮은 채도와 연관된다.(예: 다크 초콜릿 → 갈색/어두운 색, 한약 → 탁한 갈색/회색)
순색(pure color)은 강렬한 색이므로, 일반적으로 단맛(sweet)과 더 관련이 있다.(예: 사탕 → 빨강, 노랑, 오렌지 등)
따라서 "쓴맛과 순색이 관계 있다"는 표현이 잘못되었으며,쓴맛은 채도가 낮고 어두운 색(흑갈색, 녹색 등)과 연관된다고 보는 것이 맞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4.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SWOT 분석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회
     2. 위협
     3. 약점
     4. 경쟁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해설작성자 : doyeon]

15. 색채별 치료효과에서 대머리, 히스테리, 신경질, 불면증, 홍역, 간질, 쇼크, 이질, 심장 두근거림 등을 치료할 때 효과적인 색채는?
     1. 파랑
     2. 노랑
     3. 보라
     4. 주황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파란색은 진정 효과가 강하며, 신경 안정 불면증,심장두근거림 완화에 등에 효과적이고 또한 혈압을 낮추고 호흡을 안정시키는 색이다.
2. 노랑 - 활력을주고, 신경을 자극하는 색으로 불면증, 신경질 완화에는 적잡하지 않음. 오히려 집중력 향상,우울감 완화에 효과적이다.
3. 보라- 보라색은 신비롭고 명상적인 느낌을 주는 색이지만,주된 효과는 창의력 촉진, 정신적 안정이며, 직접적인 신경 진정 효과는 약하다.일부 연구에서는 보라색이 간질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지만,불면증, 신경질, 쇼크 등의 완화에는 파란색만큼 강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4. 주황 - 에너지를 증진시키는 색으로, 오히려 활력을 주고 감각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신경을 안정시키기보다는 기운을 복돋우는 색이므로 해당 증상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6. 군집(cluster) 표본추출 과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모집단을 모두 포괄하는 목록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선정 해야 한다.
     2. 모집단을 하위 집단으로 구획하여 하위 집단을 뽑는다.
     3. 잠정적 소비계층을 찾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소비자 모두가 모집단이 된다.
     4. 편의가 없는 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표본을 무작위로 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군집 표본추출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군집(Cluster)으로 나눈 후, 일부 군집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표본을 조사하는 방법

3. 군집 표본추출에서는 전국 소비자를 전부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군집을 선정하여 표본으로 사용한다.
만약 전국 소비자를 모두 모집단으로 포함한다면, 군집 표본추출이 아니라 전수조사(Census)나 다른 표본추출 방식(예: 단순 무작위 표본추출)이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7. 구매의사결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은 욕구의 인식, 정보의 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의 결정, 구매 그리고 구매 후 행동의 6단계로 구성된다.
     2. 구매 결정에 필요한 정보는 우선 내적으로 탐색한 후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외적으로 추가 탐색한다.
     3. 특정 상품 구매는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점포의 특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소비자는 구매 후 다른 행동을 옮길 수 있지만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구매 후 소비자는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 있으며, 특히 비싼 제품을 구매하거나 중요한 결정을 내린 후 더 강하게 발생한다.
기업들은 인지 부조화를 줄이기 위해 구매 후 서비스, 고객 만족 보장, 브랜드 신뢰 강화 등의 전략을 활용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인지 부조화를 느낄 수 없다”는 설명은 틀림.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18. 다음은 마케팅정보시스템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내부정보시스템
     2. 고객정보시스템
     3. 마케팅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4. 마케팅 인텔리전스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66%

19. 시장 세분화 기준 설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리적 세분화
     2. 인구 통계학적 세분화
     3. 심리 분석적 세분화
     4. 조직특성 세분화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지리적 세분화 :지리적 세분화(Geographic Segmentation)는 소비자의 거주 지역, 기후, 도시 규모, 국가 등에 따라 시장을 나누는 방법
2. 인구 통계학적 세분화(Demographic Segmentation)는 연령, 성별, 소득, 학력, 직업, 가족 구조 등을 기준으로 나눈다.
3.심리 분석적 세분화(Psychographic Segmentation)는 소비자의 성격,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관심사 등을 기준으로 나눈다.
4. 조직특성 세분화라는 개념은 시장 세분화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20. 마케팅의 변천된 개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제품 지향적 마케팅 :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을 강조하여 효율성을 개선
     2. 판매 지향적 마케팅 : 소비자의 구매유도를 통해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판매기술의 개선
     3. 소비자 지향적 마케팅 :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부응하는 기업의 활동을 통합하여 고객의 욕구 충족
     4. 사회 지향적 마케팅 : 기업이 인간 지향적인 사고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제품 지향(Product-Oriented Marketing)은 “좋은 제품을 만들면 소비자가 알아서 구매할 것”이라는 개념이다.
생산과 유통의 효율성 개선보다는, “최고의 제품을 만들면 소비자가 구매할 것”이라는 사고방식이 더 핵심적이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2과목 : 색채디자인


21.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피부 색소가 아닌 것은?
     1. 붉은색 - 헤모글로빈(hemoglobin)
     2. 황색 - 카로틴(carotene)
     3. 갈색 - 멜라닌(melanin)
     4. 흰색 - 케라틴(keratin)

     정답 : []
     정답률 : 74%

22. 제품을 도면에 옮기는 크기와 실제 크기와의 비율은?
     1. 원도
     2. 척도
     3. 사도
     4. 사진도

     정답 : []
     정답률 : 90%

23. 세계화의 지역화가 동시적 가치인식이 되는 시대에서 디자인이 경쟁력을 갖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적 특수가치 개발
     2. 유기적이고 자생적인 토속적 양식
     3. 친자연성
     4. 전통을 배제한 정보시대에 적합한 기술 개발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동시적 가치인식의 키워드인데 전통을 배제하면 안된다
[해설작성자 : 나는야승연이]

24. 환경이나 건축분야에서 토착성을 나타내며, 환경 특성인 지리, 지세, 기후 조건 등에 의해 시간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된 자연의 색을 뜻하는 것은?
     1. 관용색
     2. 풍토색
     3. 안전색
     4. 정돈색

     정답 : []
     정답률 : 93%

25.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사조로 묶인 것은?
     1. 팝아트, 구성주의
     2. 키치, 다다이즘
     3. 키치, 아르데코
     4. 옵아트, 팝아트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팝아트, 옵아트, 다다이즘- 미국
키치- 독일
아르데코- 프랑스
구성주의- 러시아
[해설작성자 : 이론마스타]

26. 디자인의 기본원리 중 조화(harmony)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점이
     2. 균일
     3. 반복
     4. 주도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디자인 원리 중 "조화(Harmony)" 개념 정리
조화(Harmony) = 균일하고 일체감이 있는 디자인

균일(Uniformity) = 조화의 대표적인 특징! (정답!)

반복(Repetition) = 리듬(Rhythm) 원리에 해당
점이(Contrast) = 대비(Contrast)와 관련됨
주도(Dominance) = 강조(Emphasis)와 관련됨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27. 상품을 선전하고 판매하기 위해 판매현장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형태는?
     1. POP(point of purchase) 디자인
     2. PG(pictography) 디자인
     3. HG(holography) 디자인
     4. TG(typography) 디자인

     정답 : []
     정답률 : 91%

28. 유행색의 색채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유행색 사이클을 조사한다.
     2. 현재 시장에서 주요 군을 이루고 있는 색과 각 색의 분포도를 조사한다.
     3. 전문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임의의 색을 설정 하여 색의 경향을 결정한다.
     4. 컬러 코디네이션(Color Coordination)을 통해 결정된 색과 함께 색의 이미지를 통일화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중심으로 -> 참고하여
[해설작성자 : 갯펄슨]

유행색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조사와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PANTONE, NCS, WGSN 등의 전문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지만, 무작위로 색을 설정하는 것이 아님.
데이터 기반의 트렌드 분석, 소비자 선호도 조사, 글로벌 경제 및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유행색을 결정한다.

따라서 "임의의 색을 설정하여 색의 경향을 결정한다"는 설명은 틀림! (정답!)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29. 다음 중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좋은 비례의 구성은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
     2. 스케일과 비례 모두 상대적인 크기와 양의 개념을 표현 한다.
     3. 주관적 질서와 실험적 근거가 명확하다.
     4. 파르테논 신전 등은 비례를 이용한 형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객관적 질서와 과학적 근거가 명확하다.
[해설작성자 : 다요미]

30. 색의 심리적 효과 중 한색과 난색의 조절을 통해 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1. 개성
     2. 시각적 온도감
     3. 능률성
     4. 영역성

     정답 : []
     정답률 : 95%

31. 다음 색채디자인은 제품의 수명 주기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1. 도입기
     2. 성장기
     3. 성숙기
     4. 쇠퇴기

     정답 : []
     정답률 : 61%

32. 러시아 구성주의자인 엘 리시츠키의 작품을 일컫는 대표적인 조형언어는?
     1. 팩투라(factura)
     2. 아키텍톤(architecton)
     3. 프라운(proun)
     4. 릴리프(relief)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러시아 구성주의의 대표적인 디자이너 엘리시츠키는 선구적인 이미지와 혁신적인 표현양식으로 초기 그래픽 디자인의 방향을 형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절대주의 창시자인 말레비치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회화스타일을 개발하여'프라운'이라 하였다. 이기하학적 추상화 연작은 구성주의 운동의 기틀이 되었다.
[해설작성자 : 나니]

팩투라(Factura) → 재료의 질감과 물질성 (말레비치와 관련 있음)
아키텍톤(Architecton) → 건축적 조형 연구 (말레비치 개념)
프라운(Proun) → 엘 리시츠키가 창안한 조형언어 (회화 + 건축 실험, 정답!)
릴리프(Relief) → 조각에서 사용되는 부조 개념 (구성주의와 직접적 관련 없음)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33. 바우하우스(Bauhaus) 교수들이 미국으로 건너와 뉴 바우하우스를 설립한 동기는?
     1. 학교와 교수들 간의 이견
     2. 미국의 경제성장을 동경
     3. 입학생의 감소로 운영의 어려움
     4. 나치의 탄압과 재정난

     정답 : []
     정답률 : 79%

34. 패션 색채계획에 활용한 '소피스티케이티드(sophisticated)'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품위가 넘치는 클래식한 이미지와 완숙한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
     2. 현대적인 샤프함과 합리적이면서도 개성이 넘치는 이미 지로 다소 차가운 느낌
     3. 어른스럽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감각을 중요시 여기며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전문직 여성의 패션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
     4. 남성정장 이미지를 여성패션에 접목시켜 격조와 품위를 유지하면서도 자립심이 강한 패션 이미지를 추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클래식(Classic) → 우아하고 전통적인 스타일 (1번에 해당)
모던(Modern) → 합리적이고 샤프한 현대적인 스타일 (2번에 해당)
소피스티케이티드(Sophisticated) → 도시적, 지적, 세련된 스타일 ( 정답: 3번)
매니시(Manish) → 남성적인 스타일을 여성 패션에 적용 (4번에 해당)

Sophisticated = 도시적 + 세련됨 + 지적 분위기!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35. 형태구성 부분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 반복, 점이, 강조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생명감과 존재감을 나타내는 디자인 원리는?
     1. 조화
     2. 균형
     3. 비례
     4. 리듬

     정답 : []
     정답률 : 81%

36. 색채관리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배색 → 검사
     2. 배색 →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판매
     3. 색의 설정 → 발색 및 착색 → 검사 → 판매
     4. 색의 설정 → 검사 → 발색 및 착색 → 판매

     정답 : []
     정답률 : 74%

37. 디자인 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몬드리안을 중심으로 한 데스틸은 빨강, 초록, 노랑으로 근대적인 추상 이미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2. 피카소를 중심으로 한 큐비스트들은 인상파와 야수파의 영향을 받아 색의 대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3. 구성주의는 기계 예찬으로 시작하여 미술의 민주화를 주장, 기능적인 것, 실생활에 유용한 것을 요구했다.
     4. 팝아트는 미국적 물질주의 문화의 반영이며, 근본적 태도에 있어서 당시의 물질문명에 대한 분위기와 연결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 빨강 노랑 파랑 검정 원색 사용
[해설작성자 : 갯펄슨]

1. 데스틸(De Stijl) → 몬드리안, 삼원색(빨강, 파랑, 노랑) + 흑백, 기하학적 추상미술
2. 큐비즘(Cubism) → 피카소, 브라크, 기하학적 형태 + 색채 대비 활용
3. 구성주의(Constructivism) → 기계 예찬, 기능성과 실용성 강조, 사회적 역할 중요
4. 팝아트(Pop Art) → 미국 대중문화 반영, 소비주의 & 광고 요소 활용 (앤디 워홀, 리히텐슈타인)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38.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의 복합기능(Function Complex) 중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연과 사회의 변천작용에 대한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실용화를 의미하는 것은?
     1. 텔레시스(telesis)
     2. 미학(aesthetics)
     3. 용도(use)
     4. 연상(associatio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텔레시스(Telesis) = 사회적, 기술적, 경제적 발전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계획적으로 실용화하는 개념.
미학(Aesthetics) =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다룸 ( 실용화와 관련 없음).
용도(Use) = 디자인의 기능적 사용성 ( 사회적 변천과 직접적 연관 없음).
연상(Association) = 디자인이 불러일으키는 감성적 이미지 ( 실용화와 관련 없음).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39. 르 꼬르뷔제의 이론과 그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시한 것은?
     1. 미의 추구와 이론의 바탕을 치수에 관한 모듈(module)에 두었다.
     2. 근대 기술의 긍정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개성적인 공예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새로운 건축술의 확립과 교육에 전념하여 근대적인 건축 공간의 원리를 세웠다.
     4. 사진을 이용한 방법으로 새로운 조형의 표현 수단을 제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 이론과 그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개념을 묻는 문제이다.
그는 현대 건축의 핵심 개념을 정립한 인물로, 기능주의, 합리주의,비례와 조화의 중요성, 모듈러시스템등을 강조했다.

모듈러(Modulor) → 인체 비례를 기반으로 한 건축 설계 시스템
근대 건축 5원칙 →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수평 창, 자유로운 입면
기계 시대의 건축 → 공예보다 대량 생산과 현대 기술 수용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0. 신문 매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량의 도달 범위
     2. 높은 CPM
     3. 즉시성
     4. 지역성

     정답 : []
     정답률 : 52%

3과목 : 색채관리


41. 색채를 발색할 때는 기본이 되는 주색(primary color)에 의해서 색역(color gamut)이 정해진다. 혼색방법에 따른 색역의 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명광 등의 혼색에서 주색은 좁은 파장 영역의 빛만을 발생하는 색채가 가법혼색의 주색이 된다.
     2. 가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으면 좁을수록 색역이 오히려 확장되는 특징이 있다.
     3. 백색원단이나 바탕소재에 염료나 안료를 배합할수록 전체적인 밝기가 점점 감소하면서 혼색이 된다.
     4. 감법혼색에서 시안은 파란색 영역의 반사율을, 마젠타는 빨간색 영역의 반사율을 노랑은 녹색 영역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가법혼색은 빛의 혼합 방식으로 , 각 주색 (RGB)느 특정한 좁은 파장대에서 빛을 방출하며, 이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을 생성한다.

2. 가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 영역이 좁으면 좁을 수록 , 혼합시에 색역이 더 넓어지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순수한 빨강(R), 녹색(G), 파랑(B) 빛을 혼합하면 가장 넓은 색역을 가질 수 있지만,
파장이 너무 넓어지면 서로 간섭하여 색이 흐려지고 색역이 줄어든다.

3. 감법혼색은    물감, 염료, 안료 등의 혼합에서 발생하는 방식으로, CMY(시안, 마젠타, 노랑)가 주색(Primary Colors)으로,
시안(C) + 마젠타(M) + 노랑(Y)을 모두 섞으면 검은색(Black)에 가까워진다

4. 시안(C) → 빨간색(R) 영역의 반사율을 감소
마젠타(M) → 녹색(G) 영역의 반사율을 감소
노랑(Y) → 파란색(B) 영역의 반사율을 감소
즉, 선택지에서 제시된 흡수 영역이 잘못되었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2. 감법 혼색의 경우 가장 넓은 색채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기본색은?
     1. 녹색, 빨강, 파랑
     2. 마젠타, 시안, 노랑
     3. 녹색, 시안, 노랑
     4. 마젠타, 파랑, 녹색

     정답 : []
     정답률 : 79%

43. 디지털 컬러 사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미지 센서의 원본 컬러는 RAW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2. RAW 이미지는 ISP 처리를 거쳐 저장된다.
     3. RAW 이미지의 컬러는 10~14비트 수준의 고비트로 저장 된다.
     4. RAW 이미지의 색역은 가시영역의 크기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RAW 파일은 이미지 센서가 수집한 원본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비압축 이미지 포맷으로,
일반적인 JPEG보다 더 넓은 색역과 고비트(bit-depth)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

1. RAW 파일은 이미지 센서가 포착한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는 파일 포맷
2. RAW 파일은 ISP(Image Signal Processor) 처리를 거치지 않고 저장
3. RAW 파일은 8비트 JPEG보다 훨씬 높은 비트(10~14비트)로 저장되어, 색상과 명암의 표현 범위가 훨씬 넓다.
4. RAW 이미지의 색역(Color Gamut)은 카메라 센서와 설정된 색공간(SRGB, AdobeRGB 등)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색역은 가시광선 전체 영역보다 좁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4. 천연 진주 또는 진주층과 닮은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 하는 진주광택 색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주광택 색료는 투명한 얇은 판의 위와 아래 표면에서의 광선의 간섭에 의하여 색을 드러낸다.
     2. 물고기의 비늘은 진주광택 색료와 유사한 유기 화합물 간섭 안료의 예이다.
     3. 진주광택 색료는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야 그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4. 진주광택 색료는 조명의 기하조건에 따라 색이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진주광택 효과는 얇은 투명판의 표면에서 광 간섭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색조 변화로 인해 생성된다.
1. 진주광택 색료의 핵심 원리는 얇은 판(lamella, 박막) 구조에서 빛의 간섭(Interference)과 반사가 발생하여 색이 형성되는 것
2. 물고기의 비늘은 구아닌(Guanine)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광 간섭을 통해 진주광택 효과를 생성
3. 진주광택 색료는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사용할수록 더 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진주광택 색료는 광 간섭과 반사에 의해 색이 생성되므로, 빛이 입사하는 각도와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5. 육안조색과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의 관계에 대한 설명 으로 옳은 것은?
     1. 육안조색은 CCM을 이용한 조색보다 더 정확하다.
     2.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3. 육안조색으로도 무조건등색을 실현할 수 있다.
     4. CCM 장비는 가법 혼합 방식에 기반한 조색에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C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조색을 자동화하고, 보다 정밀한 색 배합을 계산하는 시스템

1. 육안 조색은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므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조명 조건, 피로도, 개인의 색 인식 차이에 영향을 받음.
2. CCM 시스템은 색료(colorant)의 데이터베이스(DB)가 정확해야 조색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3. CCM 시스템에서는 조명 조건을 변경하며 색차를 분석하여 무조건등색을 고려할 수 있지만, 육안 조색으로는 이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4. CCM 장비는 감법혼색(Subtractive Mixing) 방식을 기반으로 조색을 수행한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6. KS A 0064(색에 관한 용어)에 따른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광원색 :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색, 광원색은 보통 색자극값으로 표시한다.
     2. 색역 :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색되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도 좌표도 또는 색공간 내의 영역
     3. 연색성 : 색필터 또는 기타 흡수 매질의 중첩에 따라 다른 색이 생기는 것
     4. 색온도 : 완전복사체의 색도와 일치하는 시료복사의 색도표시로, 그 완전복사체의 절대온도로 표시한 것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명이 물체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연색성(X)-> 감법혼색 정의다.
연색성 : 광원에 고유한 연색에 대한 특성
[해설작성자 : 이론마스타]

1. 광원색(Light Source Color)은 광원 자체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
2. 색역(Color Gamut)은 특정한 디스플레이, 인쇄, 광원 등이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
3    색성(Color Rendering)은 광원이 사물을 비출 때, 그 사물이 본래의 색을 얼마나 정확하게 보이게 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
4. 색온도(Color Temperature)는 완전복사체(Blackbody)의 색도와 일치하는 광원의 색을 나타내는 기준 온도(K, 켈빈 단위)이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7. 채널당 10비트 RGB 모니터의 경우 구현할 수 있는 최대 색은?
     1. 256×256×256
     2. 128×128×128
     3. 1024×1024×1024
     4. 512×512×512

     정답 : []
     정답률 : 76%

48. 광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한 물체색이 광원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메타메리즘 이라고 한다.
     2. 광원의 연색성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색채연출이 가능하다.
     3. 어떤 색채가 매체, 주변 색, 광원, 조도 등이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컬러 어피어런스라고 한다.
     4. 광원은 각각 고유의 분광특성을 가지고 있어 복사하는 광선이 물체에 닿게 되면 광원에 따라 파장별 분광곡선이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메타메리즘(조건등색) - 색채의 분광 반사율 스펙트럼이 서로 다른 두 시료가 특정한 광원 아래에서 같은 색으로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배뚠뚠]

1. 메타메리즘(Metamerism, 조건등색) → 서로 다른 색이 특정 조명에서 동일하게 보이는 현상
2. 연색성(Color Rendering) → 광원이 물체의 색을 얼마나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는지 (CRI로 측정됨)
3. 컬러 어피어런스(Color Appearance) → 조명, 주변 환경, 매체 등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
4. 광원의 분광특성(Spectral Characteristics of Light Source) → 각각의 광원은 고유한 분광곡선을 가짐

메타메리즘 = 서로 다른 색이 특정 조명에서 같아 보이는 것!"
"같은 물체가 조명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건 연색성과 관련 있음!"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9. 표면색의 시감 비교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색 비교를 위해 자연주광 또는 인광주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2. 관찰자는 무채색 계열의 의복을 착용해야 한다.
     3. 관찰자의 시야 내에는 시험할 시료의 색 외에 진한 표면 색이 있어서는 안된다.
     4. 인공주광 D65를 이용한 비교 시 특수 연색평가수는 9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50. 디지털 색채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GB : 빛을 더할수록 밝아지는 감법혼색 체계이다.
     2. HSB : 색상은 0º에서 360° 단계의 각도값에 의해 표현된다.
     3. CMYK : 각 색상은 0에서 255까지 256단계로 표현된다.
     4. Indexed Color : 일반적인 컬러 색상을 픽셀 밝기 정보만 가지고 이미지를 구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RGB(Red, Green, Blue)는 빛을 더할수록 밝아지는 ‘가법혼색(Additive Mixing) 체계’

2. HSB(Hue, Saturation, Brightness) 모델에서 "색상(Hue)"은 0º~360º 사이의 각도로 표현된다.

3.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는 인쇄용 색상 모델이며, 각 색상은 0~100% 범위로 표현된다.

4. Indexed Color(인덱스 색상)는 특정한 색상 팔레트(Color Palette)를 사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Indexed Color 모드는 픽셀당 색 정보를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팔레트에서 미리 정해진 색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저장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픽셀 밝기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은 흑백(Grayscale) 방식에 가깝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1. 연색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연색성이란 인공의 빛에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2. 연색지수 90 이하인 광원은 연색성이 좋다.
     3. A 광원의 경우 연색성 지수가 높아도 색역이 좁다.
     4. 형광등인 B 광원은 연색성은 낮아도 색역을 넓게 표현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연색성이란 자연의 빛과 얼마나 같은가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
2. 연색 지수가 90 이상일 때
4. 연색성이 높은 편이고 색역은 작은 편
[해설작성자 : 갯펄슨]

1. 연색성(Color Rendering)은 자연광(태양광)과 비교하여 특정 광원이 물체의 색을 얼마나 자연스럽게 재현하는지를 측정하는 개념 자연광(태양광, CRI 100)을 기준으로, 인공광원의 연색성을 평가하지만, 연색성 자체가 인공광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2. 연색지수(CRI, Color Rendering Index)는 0~100 범위로 표현되며, 값이 클수록 연색성이 우수하다.

3. A 광원(2856K, 텅스텐 백열등)은 연색지수(CRI)가 높지만, 색역(Color Gamut)이 좁은 특징이 있음.

4. B 광원(중간색온도 4874K, 평균 태양광)과 형광등은 다름! 형광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색성이 낮고 색역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2. 'R(λ)=S(λ)×B(λ)×W(λ)'는 절대분광반사율의 계산식이다. 각각의 의미가 틀린 것은?
     1. R(λ)=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
     2. S(λ)=시료의 측정 시그널
     3. B(λ)=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4. W(λ)=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3. 흑색표준 -> 표준광원
[해설작성자 : 갯펄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ㄴㄴ.
흑체의 분광 방사 휘도 <<가 맞는 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절대분광반사율이란은 특정 파장에서 시료가 반사하는 빛의 비율을 나타낸 값으로
보통 백색 표준과 흑색 표준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1. R(λ)=시료의 절대분광반사율

2. S(λ)=시료의 측정 시그널
즉, 측정 장비(분광광도계 등)로 시료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얻은 데이터 값이다.

3. B(λ)는 흑색표준(Black Standard)이 아니라, 백색표준(White Standard)과 시료 측정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일반적으로 B(λ)는 기기의 기준 신호(Background Signal) 또는 다크 시그널을 보정하는 값으로 사용된다.
흑색표준(Black Standard)의 반사율은 거의 0에 가까우므로, 분광반사율 측정 공식에서 직접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B(λ)가 흑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라는 설명은 틀림!
4 - W(λ)=백색표준의 절대분광반사율 값 - 맞음
W(λ)는 백색표준(White Standard)의 절대분광반사율 값이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3. ICC 프로파일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 태그로 틀린 것은?
     1. copyrightTag
     2. MatrixColumnTag
     3. profileDesciptionTag
     4. mediaWhitePointTag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CopyrightTag - 저작권 태그
2. MatrixColumnTag - ICC 프로파일에서 "MatrixColumnTag"라는 태그는 존재하지 않는다.색 공간 변환을 위한 행렬(Matrix) 기반의 태그는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이름의 태그는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음.
3. profileDescriptionTag (프로파일 설명 태그)
4. mediaWhitePointTag (미디어 백색점 태그)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4. ICC 기반 색상관리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틀린 것은?
     1. Profile Connection Space
     2. Color Gamut
     3. Color Management Module
     4. Rendering Intent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ICC란 색상관리 시스템의 국제 표준을 개발하는 단체이다.
ICC는 디지털 장치 간 색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 색상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ICC 기반 색상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 환경에서 각 장치(모니터,프린터,스캐너 등)은서로 다른 색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이미지더라도 다른 장치에서 색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1. Profile connection space : 프로파일 연결 공간 , PCS는 ICC 색상 관리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
2. Color Gamut : 색역 , 색공간으로 핵심요소는 아님
3. Cololr Management Moudul : CMM은 ICC 색상 관리에서 필수적인 색 변환 엔진
4. Rendering Intent : 렌더링 의도는 서로 다른 색공간 간의 변환 방식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색공간이 서로 다를 때 어떤 방식으로 색을 조정할지를 결정하므로 필수적인 개념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5. Isomeris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어떤 특정 조건의 광원이나 관측자의 시감에 따라 색이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2. 특정한 광원 아래에서는 동일한 색으로 보이나 광원의 분광 분포가 달라지면 다르게 보인다.
     3. 표준광원 A, 표준광원 D 등으로 분광분포가 서로 다른 광원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4. 이론적으로 분광 반사율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완전한 물리적 등색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Isomerism이 아니라, Metamerism아닌가요 ?..

아이소머리즘 (Isomerism) : 모든 광원 아래에서 항상 동일한 색으로 보이는 현상.
즉, 완전한 등색(Perfect Color Matching)**을 의미하며, 광원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음.

메타머리즘 (Metamerism) : 특정 광원 아래에서는 동일한 색으로 보이지만, 광원이 바뀌면 다르게 보이는 현상.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6. 일반적인 안료와 염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료는 물이나 유지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이 있는데 비하여 염료는 물에 용해된다.
     2.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의 분류기준은 발색성분에 따른다.
     3.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서 내광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4. 염료는 물 및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녹아 섬유에 침투하여 착색되는 유색물질을 일컫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안료(Pigment)는 물, 기름 등에 녹지 않고 분산된 상태에서 착색되며, 염료(Dye)는 물이나 유기용제에 녹아 섬유 등에 흡착하여 착색된다.
2. 무기안료(Inorganic Pigment)와 유기안료(Organic Pigment)는 발색 성분에 따라 분류된다.
3. 무기안료는 유기안료보다 내광성(빛 견딤)과 내열성이 우수하다. 유기안료는 색이 선명하고 투명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무기안료보다 내광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염료(Dye)는 물 또는 유기용제에 녹아 섬유 등에 흡착하여 착색되는 유색 화합물이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7. 모니터에서 삼원색의 가법혼색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공간 내의 재현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입체(color solid)
     2. 스펙트럼 궤적(spectrum locus)
     3. 완전 복사체 궤적(planckian locus)
     4. 색영역(color gamut)

     정답 : []
     정답률 : 83%

58. 국제조명위원회(CIE) 및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서 채택 하였으며, 밝은 시감에 대한 함수를 V(λ)로 표시하는 것은?
     1. 분광 시감 효율
     2. 표준 분광 시감 효율 함수
     3. 시감 반사율
     4. 시감 투과율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V(λ)는 밝은 환경에서 인간의 눈이 색을 감지하는 방식(휘도 시감, Photopic Vision)에 대한 함수이다.

1. 분광 시감 효율은 시감 효율을 넓은 개념으로 나타낸 용어이며, 특정한 공식 함수(V(λ))를 직접 의미하지는 않는다.
2. V(λ) 함수는 "표준 분광 시감 효율 함수(Standard Spectral Luminous Efficiency Function)"를 의미한다.
3. 시감 반사율은 물체가 반사하는 빛의 양을 인간이 감지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지만, V(λ) 함수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4. 시감 투과율은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인간이 감지하는 밝기를 나타내는 개념이지만, V(λ) 함수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59.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장의 함수로 측정 하는 계측기는?
     1. 분광 복사계
     2. 시감 색채계
     3. 광전 색채계
     4. 분광 광도계

     정답 : []
     정답률 : 76%

60. 색채 영역과 혼색방법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모니터 화면의 형광체들은 가법혼색의 주색 특징에 따라 선별된 형광체를 사용한다.
     2. 감법혼색은 각 주색의 파장영역이 좁을수록 색역이 확장 된다.
     3. 컬러프린터의 발색은 병치혼색과 감법혼색을 같이 활용한 것이다.
     4. 감법혼색에서 시안(Cyan)은 600nm 이후의 빨간색 영역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모니터, TV, 프로젝터 등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가법혼색(RGB) 방식을 사용한다.
가법혼색에서는 빨강(R), 녹색(G), 파랑(B) 3가지 주색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함.

2. 감법혼색(Subtractive Mixing, CMY)은 인쇄, 염료, 페인트 등에서 사용되는 혼색 방식으로, 색을 섞을수록 빛을 더 많이 흡수하여 어두워진다.각 주색(C, M, Y)의 파장 영역이 좁을수록 색역(Color Gamut)은 오히려 축소된다!

3. 컬러프린터는 감법혼색(CMYK)을 기본으로 하지만, 실제 인쇄에서는 병치혼색(Dithering, Halftoning) 기법도 사용된다.

4. 시안(Cyan, C)의 역할은 빨간색(R) 파장을 흡수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4과목 : 색채지각론


61. 카메라에 쓰는 UV 필터와 관련이 있는 파장은?
     1. 적외선
     2. X-선
     3. 자외선
     4. 감마선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외선
자외선(UV, Ultraviolet)은 100~4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며,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아.
카메라 렌즈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않으면, 푸른빛이 강해지거나 뿌옇게 나오는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그래서 자외선을 걸러주는 UV 필터를 사용하면 더 깨끗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해! ?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62. 색필터를 통한 혼색실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랑과 마젠타의 이중필터를 통과한 빛은 빨간색으로 보인다.
     2. 감법혼색과 가법혼색의 연관된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3. 필터의 색이 진해지거나 필터의 수가 증가할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4. 노랑 필터는 장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시안 필터는 단파 장의 빛을 흡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노랑(Y) 필터는 청색(B, 단파장)을 흡수하고, 빨강(R)과 초록(G)을 통과시킴.
시안(C) 필터는 빨강(R, 장파장)을 흡수하고, 초록(G)과 청색(B)을 통과시킴.
즉, 문제에서 노랑 필터는 장파장을 흡수한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단파장(청색)을 흡수하므로 틀린 설명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63. 가법혼합의 결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랑과 녹색의 혼합 결과는 시안(C)이다.
     2. 녹색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노랑(Y)이다.
     3. 파랑과 빨강의 혼합 결과는 마젠타(M)이다.
     4. 파랑과 녹색과 노랑의 혼합 결과는 백색(W)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64. 다음 ( )에 들어갈 색의 속성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명도, 색상
     2. 색상, 채도
     3. 채도, 색상
     4. 명도, 채도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작은 면적 → 명도 차이를 강조! (예: 텍스트 가독성)
✔ 큰 면적 → 색상 차이를 고려! (예: 인테리어 디자인)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65. 동일지점에서 두 가지 이상의 색광 또는 반사광이 1초 동안에 40~50회 이상의 속도로 번갈아 발생되면 그 색자극들은 혼색된 상태로 보이게 되는 혼색방법은?
     1. 동시혼색
     2. 계시혼색
     3. 병치혼색
     4. 감법혼색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동시혼색-같은 공간에서 색이 동시에 섞임,빛의 RGB 혼합, 페인트 혼합
계시혼색-빠르게 번갈아 보이면 혼색됨,뉴턴의 색채 원반, 영화 필름
병치혼색-작은 점들이 가까이 있으면 혼색됨,점묘법, 인쇄 픽셀
감법혼색-색을 섞을수록 어두워짐 CMY 혼색 (프린터 잉크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66. 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는 것은 홍채이다.
     2. 수정체는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망막에 선명한 상이 맺도록 한다.
     3. 망막의 중심부에는 간상체만 있다.
     4. 빛에 대한 감각은 광수용기 세포의 반응에서 시작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67. 색채의 운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출색은 수축색이 되고,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
     2. 차가운 색이 따뜻한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3.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4. 채도가 높은 색이 무채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정답 : []
     정답률 : 83%

68. 색광의 가법혼색이 적용되는 그라스만(H. Grassmann)의 법칙이 아닌 것은?
     1. 빨강과 초록을 똑같은 색광으로 혼합하면 양쪽의 빛을 함유한 노란색광이 된다.
     2. 백색광이나 동일한 색의 빛이 증가하면 명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3.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다.
     4. 색광의 가법혼색 즉, 동시·계시·병치혼색의 어느 경우이든 같은 법칙이 적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그라스만 법칙은 채도의 변화에 대한 수학적 공식이 아님.
색광의 가법혼색과 관련된 법칙이지만, 채도의 증가를 공식으로 정의하지 않음.
즉, 그라스만 법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선택지 3번 정답!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69. 무거운 작업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심리적으로 가볍게 느끼도록 하는 색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고명도, 고채도인 한색계열의 색
     2. 저명도, 고채도인 난색계열의 색
     3. 저명도, 저채도인 한색계열의 색
     4. 고명도, 저채도인 난색계열의 색

     정답 : []
     정답률 : 54%

70. 색을 지각하는 요소들의 변화에 의해 지각되는 색도 변하게 된다. 다음 중 변화요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광원의 종류
     2. 물체의 분광 반사율
     3. 사람의 시감도
     4. 물체의 물성

     정답 : []
     정답률 : 75%

71. 백화점에서 각각 다른 브랜드의 윗옷과 바지를 골랐다. 매장의 조명 아래에서는 두 색이 일치하여 구매를 하였으나, 백화점 밖에서는 두 색이 매우 틀려 보이는 현상은?
     1. 조건등색
     2. 항색성
     3. 무조건등색
     4. 색일치

     정답 : []
     정답률 : 88%

72. 색의 느낌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연과 연결되어 색을 느낀다.
     2. 색은 그 밝기와 선명도에 따라 느낌이 달라진다.
     3. 명도와 채도를 조화시켰을 때 아름답고 편안하다.
     4. 색은 언제나 아름답고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자연과 연결된 색 →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 (초록, 파랑 등)
2. 명도(밝기), 채도(선명도) → 색의 느낌을 크게 좌우함
3. 명도와 채도의 균형 → 시각적으로 편안한 조화를 만듦
4. 색이 항상 긍정적이지 않음! (어두운 색 → 우울감, 강렬한 색 → 자극적)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73. 색의 잔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앞서 주어진 자극의 색이나 밝기, 공간적 배치에 의해 자극을 제거한 후에도 시각적인 상이 보이는 현상이다.
     2. 양성 잔상은 원래의 자극과 색이나 밝기가 같은 잔상을 말한다.
     3. 잔상은 원래 자극의 세기, 관찰시간, 크기에 의존하는데 음성 잔상보다 양성 잔상을 흔하게 경험하게 된다.
     4. 보색 잔상은 색이 선명하지 않고 질감도 달라 하늘색과 같은 면색처럼 지각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74. 색의 지각과 감정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멀리 보이는 경치는 가까운 경치보다 푸르게 느껴진다.
     2. 크기와 형태가 같은 물체가 물체색에 따라 진출 또는 후퇴되어 보이는 것에는 채도의 영향이 가장 크다.
     3. 주황색 원피스가 청록색 원피스보다 더 날씬해 보인다.
     4. 색의 삼속성 중 감정효과는 주로 명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55%

75. 색채의 지각적 특성이 다른 하나는?
     1. 빨간 망에 들어 있는 귤은 원래보다 빨갛게 보인다.
     2. 회색 블라우스에 검정 줄무늬가 있으면 블라우스 색이 어둡게 보인다.
     3. 파란 원피스에 보라색 리본이 달려 있으면 리본은 원래 보다 붉게 보인다.
     4. 붉은 벽돌을 쌓은 벽은 회색의 시멘트에 의해 탁하게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0%

76. 병치 혼색과 관련이 있는 색채 지각 특성은?
     1. 보색대비
     2. 연변대비
     3. 동화현상
     4. 음의잔상

     정답 : []
     정답률 : 62%

77. 색채 대비 및 감정 효과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인접한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미쳐서,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높아지고 채도가 낮은 색은 더욱 낮아 보이는 현상을 채도대비라 한다.
     2. 면적대비에서 면적이 작아질수록 색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한다.
     3. 색채의 온도감은 장파장의 색에서 따뜻함을, 단파장의 색에서 차가움을 느끼게 한다.
     4. 명도대비는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이 나타나며, 무채색과 유채색에서 모두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9%

78. 애브니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장의 같아도 색의 명도가 변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2. 빛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색상이 같아 보이는 위치가 다르다.
     3. 애브니 효과 현상이 적용되지 않는 577nm의 불변색상도 있다.
     4. 주변색의 보색이 중심에 있는 색에 겹쳐져 보이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애브니효과는 색의 명도가 변할 떄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
같은 파장의 빛이라도 명도를 높이거나 낮추면 색이 다르게 보일 수 있음.
예) 빨간색의 명도를 낮추면 → 주황빛이 도는 빨간색으로 변화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79. 동시대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차가 클수록 대비현상은 강해진다.
     2.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대비현상은 약해 진다.
     3. 자극을 부여하는 크기가 작을수록 대비의 효과가 커진다.
     4. 시점을 한 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지각과정에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동시대비란 서로 다른 색이 인접할 때, 서로의 색을 더 강하게 또는 다르게 보이게 만드는 현상

실제로 자극(색상)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동시대비 효과는 더 강하게 나타남!
색들이 서로 밀접하게 배치될수록 대비 효과가 더 강해지고, 멀리 떨어질수록 약해짐.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80. 다음 중 색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순색은 무채색의 포함량이 가장 적은 색이다.
     2. 유채색은 빨강, 노랑과 같은 색으로 명도가 없는 색이다.
     3. 회색, 검은색은 무채색으로 채도가 없다.
     4. 색채는 포화도에 따라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구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81. 먼셀 색입체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색지각의 3속성으로 구별하였다.
     2. 색상은 둥근 모양의 색상환으로 배치하였다.
     3. 세로축에는 채도를 둔다.
     4. 색입체가 되도록 3차원으로 만들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82. NCS 색삼각형에서 S-C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이 의미하는 것은?

    

     1. 동일 하양색도(same whiteness)
     2. 동일 검정색도(same blackness)
     3. 동일 명도(same lightness)
     4. 동일 뉘앙스(same nuance)

     정답 : []
     정답률 : 59%

83. 1916년에 발표된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바탕이 된 색지각설은?
     1. 하트리지(H. Hartridge)의 다색설
     2. 영·헬름흘츠(Young·Helmholtz)의 3원색설
     3. 헤링(E. Hering)의 반대색설
     4. 돈더스(F. Donders)의 단계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하트리지(H. Hartridge)의 다색설 : 색각 이상(색맹)에 대한 이론으로, 오스트발트 색체계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2. 영 헬름헬츠의 3원색설: 빨강(R), 초록(G), 파랑(B)의 원추세포가 색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
3. 헤링의 반대색 : 색 지각이 빨강-초록, 파랑-노랑, 밝기(명암) 세 쌍의 반대색으로 작용한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의 반대 개념(보색 관계)을 중요하게 다뤘으며, 이 점에서 반대색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4. 돈더스의 단계설 : 단계설(Stepwise Theory)은 색 지각 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쳐 완성된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

오스트발트 색체계 → 반대색설 기반 (빨강-초록, 파랑-노랑)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84. 파버 비렌(Faber Birren)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총 9개의 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각 기준이 되는 톤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조화롭다.
     3. 색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4. 실질적인 업무보다는 이론과 설문조사를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9개 톤(X) → 특정 개수의 톤을 제한하지 않음
2. 직선 연결(X) → 조화를 보장하지 않음 (다양한 조화 방식이 존재)
3. 색상 변화 무시(X) → 오히려 색상의 변화를 연구함
4. 이론 연구 중심(O) → 실무보다는 색채 심리 연구 및 설문조사 중심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85. 색상을 기준으로 등거리 2색, 3색, 4색, 5색, 6색 등으로 분할하여 배색하는 기법을 설명한 색채학자는?
     1. 문·스펜서
     2. 오그덴 루드
     3. 요하네스 이텐
     4. 저드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문스펜서 : 먼셀(Munsell) 색체계는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라는 3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색을 체계화
2. 오그덴 루드 → 색채 혼합과 광학적 연구 중심
3. 요하네스 이텐 색채 조화 이론 핵심 개념    12색상환을 활용한 배색 조화 기법 연구
색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배색하는 기법을 제안 (2색, 3색, 4색, 5색, 6색 배색법 등)
삼각형, 사각형 배색법 등 색상환을 활용한 조화 기법을 체계화
4. 저드 : 색채 조명의 영향과 색채감각을 연구한 학자

왜 오그덴 루드(Ogden Rood)가 아니라 요하네스 이텐인가?
오그덴 루드는 색채 이론을 연구했지만, 배색 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은 아님!
그는 색채 혼합과 광학적 원리를 연구했지만, 배색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것은 요하네스 이텐!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86.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서 사용하는 '색이름 수식형-기준색 이름'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빨간 - 자주, 주황, 보라
     2. 초록빛 - 연두, 갈색, 파랑
     3. 파란 - 연두, 초록, 청록
     4. 보랏빛 - 하양, 회색, 검정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빨간 - 자주, 주황, 갈색, 회색, 검정
2. 초록빛 - 연두, 갈색, 하양, 회색, 검정
3. 파란 - 하양, 회색, 검정
[해설작성자 : 갯펄슨]

87. 혼색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표적으로 먼셀 색체계가 있다.
     2. 현색계는 색을 혼색계는 색채를 표시하는 색체계이다.
     3.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합을 실험하는 것에 기초를 둔 것으로 CIE 표준 색체계가 있다.
     4. 색표에 의해서 물체색의 표준을 정하고 표준색표에 번호나 기호를 붙여서 표시한 체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먼셀은 현색계
2. 색채를 표시하는 것은 현색계
4. 현색계의 특징
[해설작성자 : 갯펄슨]

혼색계 (Color Mixing System)
색을 혼합하는 원리에 기초한 체계
대표적 예: CIE 표준 색체계, RGB 가법혼색, CMY 감법혼색

현색계 (Color Appearance System)
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체계
대표적 예: 먼셀 색체계, 오스트발트 색체계

표준색체계 (Standard Color System)
색의 기준을 정하고 기호나 번호를 붙여 관리하는 체계
대표적 예: PANTONE, NCS (Natural Color System)

혼색과 관련된 CIE 색체계가 들어 있는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88. CIE L*a*b* 색좌표계에 색을 표기할 때 가장 밝은 노란색에 해당되는 것은?
     1. L*=0, a*=0, b*=0
     2. L*=+80, a*=0, b*=-40
     3. L*=+80, a*=+40, b*=0
     4. L*=+80, a*=0, b*=+40

     정답 : []
     정답률 : 68%

89. CIE XYZ 삼자극치의 개념의 기반이 된 색지각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Red
     2. Green
     3. Blue
     4. Yellow

     정답 : []
     정답률 : 86%

90.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 의한 물체색의 색이름 중 기본 색명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빨강, 파랑, 밤색, 남색, 갈색, 분홍
     2. 노랑, 연두, 갈색, 초록, 검정, 하양
     3. 회색, 청록, 초록, 감색, 빨강, 노랑
     4. 빨강, 파랑, 노랑, 주황, 녹색, 연지

     정답 : []
     정답률 : 70%

91. Yxy 색체계에서 사람의 시감 차이가 실제 색표계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색상은?
     1. Red
     2. Yellow
     3. Green
     4. Blue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색도도의 크기가 가장 큰 3번
[해설작성자 : 갯펄슨]

92. 문·스펜서(P. Moon & D. E. Spencer)의 색채 조화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형 있게 선택된 무채색의 배색은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2. 작은 면적의 강한 색과 큰 면적의 약한 색은 조화롭다.
     3. 조화에는 동일조화, 유사조화, 면적조화가 있다.
     4. 색상, 채도를 일정하게 하고 명도만 변화시키는 경우 많은 색상 사용 시 보다 미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문 스펜서의 색채 조화론
균형 있게 선택된 무채색의 배색은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색채 조화의 구분 : 동일, 유사, 대비 조화
색상, 채도를 일정하게 하고 명도만 변화시키는 경우 많은 색상 사용 시 보다 미도가 높다.
[해설작성자 : 해설없어 답답한 갈대]

93. DIN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4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채도는 0~15까지로 0은 무채색이다.
     3. 16:6:4와 같이 표기하고, 순서대로 Hue, Darkness, Saturation을 의미한다.
     4. 등색상면은 흑색점을 정점으로 하는 부채형으로서 한 변은 백색에 가까운 무채색이고, 다른 끝은 순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Hue(색상), Saturation(포화도), Darkness(암도) 순서이다.
[해설작성자 : 유콩]

DIN 색체계란?

독일에서 만든 색체계로, 24가지 색상(Hue), Brightness(명도), Saturation(채도)으로 색을 정리.
채도(Saturation)는 0~15, 0은 무채색!
표기법: H : B : S (Hue, Brightness, Saturation)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94. 먼셀 기호 5YR 8.5/13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명도는 8.5이다.
     2. 색상은 붉은 기미의 보라이다.
     3. 채도는 5/13이다.
     4. 색상은 YR 8.5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95. 저드(D. B. Judd)가 요약한 색채조화론의 일반적 공통원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질서의 원리
     2. 독창성의 원리
     3. 유사성의 원리
     4. 명료성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저드의 조화론 공통원리
1. 질서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친근성의 원리
4. 명료성의 원리
[해설작성자 : 정우야 ]

96. NCS 색체계의 색표기 중 동일한 채도선의 m(Constant Saturation) 값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S6010-R90B
     2. S2040-R90B
     3. S4030-R90B
     4. S6020-R90B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m=c/(w+c)
1. 10/(30+10)=0.25
2,3,4는 0.5
[해설작성자 : 갯펄슨]

NCS 색체계의 표기법:    SxxYY-HH (예: S6010-R90B)

S: 표준 색(Standard color)
xx: 명도(Value, 밝기)
YY: 채도(Saturation, 색의 강도)
HH: 색상(Hue, 색의 종류, 예: R90B → 빨강(R)과 파랑(B)의 혼합 비율)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97. P.C.C.S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최고 채도치가 색상마다 각각 다르다.
     2. 각 색상 최고 채도치의 명도는 다르다.
     3. 색상은 영·헬름홀츠의 지각원리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4. 유채색은 7개의 톤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PCCS 색체계
일본색채연구소가 1964년에 일본색연배색체계의 명칭으로 발표한 것으로, 색채조화를 주목적으로 한 컬러 시스템
색상환은 NCS의 4원색을 기준으로 삼고 색상은 색의 3원색 C, M, Y와 색광의 3원색 R, G, B
심리의 4원색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을 기본색으로 놓고, 서로 반대쪽에 위치시켜 2등분하여 8색을 만든다.
8색에 간격이 느껴지도록 4색추가하여 12색 만든 후 다시 중간색을 넣어 24색을 만든다.
명도: 17단계의 명도 단계로 구분
PCSS 톤: 색상을 톤이 같은 색끼리 12종류로나누어 정리해 놓은 것이다.
명도의 차리가 있으며, 선명함이 공통되는 그룹이 있다.
저채도는 라이트그레이시(ltg), 다크 그레이시(dkg)의 톤에서는 제각기의 톤 그룹에서 색상에 의한 명도차가 거의 없지만,
고채도 비비드(v)톤의 그룹에서는 명도의 차이가 크다.
[해설작성자 : 해설없어 답답한 갈대]

98. 먼셀의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칭인 마름모 모양이다.
     2. 보색관계의 색상면을 볼 수 있다.
     3. 명도가 높은 어두운 색이 상부에 위치한다.
     4. 한 개 색상의 명도와 채도 관계를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99. 다음 중 청록색 계열의 전통색은?
     1. 훈색(熏色)
     2. 치자색(梔子色)
     3. 양람색(洋藍色)
     4. 육색(肉色)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보라 2. 노랑 3. 청록 4. 빨강
[해설작성자 : 갯펄슨]

100. 세계 각국의 색채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시된 색체계와 그 특성을 연결한 것은?
     1. 혼색계 : CIE의 XYZ 색체계 - 색자극의 표시
     2. 현색계 : 오스트발트 색체계 - 관용색명 표시
     3. 혼색계 : 먼셀 색체계 - 색채교육
     4. 현색계 : NCS 색체계 - 조화색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혼색계 (Color Mixing System) → 색을 혼합하는 원리에 기초한 체계
CIE XYZ 색체계 → 빛의 혼합 원리에 따른 색자극 값 표시
RGB 가법혼색, CMY 감법혼색 등이 포함됨.

현색계 (Color Appearance System) → 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체계
먼셀 색체계 → 색채 교육 및 색을 체계적으로 정리
오스트발트 색체계 → 색을 백색·흑색·유채색 비율로 정리
NCS 색체계 → 인간의 색지각을 기반으로 색을 체계적으로 정리
[해설작성자 : 말하는감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78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07일(1511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7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1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6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1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5 원자력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1511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1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3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1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2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1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271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0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7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0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9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0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8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1510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7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0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6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1510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1510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4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1510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3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1510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2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10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261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09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60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09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259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1509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783 Next
/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