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공기를 공급하여 어떤 연료를 연소시켜 건연소가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2, O2, N2의 함유율이 각각 16%, 1%, 83% 이었다면 이 연료의 최대 탄산가스율은 몇 % 인가?
1.
15.6
2.
16.8
3.
17.4
4.
18.2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O2max(연소가스에CO가 없는 경우)=(21×CO2)÷(21-O2) ※ (21×16)÷(21-1)=16.8 [해설작성자 : Marine1074]
2.
전기식 집진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집입자의 직경은 30~50μm 정도이다.
2.
집진효율이 90~99.9%로서 높은 편이다.
3.
고전압장치 및 정전설비가 필요하다.
4.
낮은 압력손실로 대량의 가스처리가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전기식 집진장치 특징 ↑효율 양 면적 비용 ↓손실 1. 집진효율이 90~99.9%로서 가장높다 2. 압력손실이 적고 미세한 입자 제거에 용이하다 3. 대량의 가스를 취급할 수 있다 4. 보수비, 운전비가 적다 5. 설치 소요면적이 크다 6. 고전압장치 및 정전설비가 필요하므로 설비비가 많이 소요된다 7. 부하변동에 적응이 어렵다 8. 포집입자의 지름은 0.05~20μm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3.
C2H4 가 10g 연소할 때 표준상태인 공기는 160g 소모되었다. 이 때 과잉공기량은 약 몇 g 인가? (단, 공기 중 산소의 중량비는 23.2% 이다.)
공기를 사용하여 기름을 무화시키는 형식으로, 200~700kPa의 고압공기를 이용하는 고압식과 5~200kPa의 저압공기를 이용하는 저압식이 있으며, 혼합 방식에 의해 외부혼합식과 내부혼합식으로도 구분하는 버너의 종류는?
1.
유압분무식 버너
2.
회전식 버너
3.
기류분무식 버너
4.
건타입 버너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고압기류식(고압공기 분무식)버너 1.증기분무식, 내부혼합식, 외부혼합식, 중간혼합식으로 분류한다 2. 분무각도는 30도 정도 3. 유량 조절범위 1:10이다 4. 고점도 연료도 무화가 가능 5. 연소시 소음발생이 심하다 6. 부하변동이 큰 곳에 심하다 7. 분무용 공기량은 이론공기량의 7~12%정도 소요된다
저압기류식(저압공기 분무식)버너 1.연동형(공기과 연료비 비례조절 1:6)과 비연동형(공기와 연료비 별도조절 1:5)으로 분류한다 2.분무각도는 30~60도 3.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간편 4. 공기압이 높으면 무화공기량이 줄어든다 5. 점도가 낮은 중유도 연소할 수 있다 6. 일반적으로 소형보일러에 사용한다 7. 분무용 공기량은 이론공기량의 30~50%정도 소요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5.
증기운 폭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폭발보다 화재가 많다.
2.
연소에너지의 약 20%만 폭풍파로 변한다.
3.
증기운의 크기가 클수록 점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4.
점화위치가 방출점에서 가까울수록 폭발위력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증기운 폭발의 특징 1. 증기운의 크기가 증가하면 점화 확률이 커진다 2. 폭발보다는 화재가 일반적 3. 연소에너지의 약 20%만 폭풍파로 변한다 4, 방출점으로부터 먼 지점에서의 증기운의 점화는 폭발의 충격을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6.
다음 중 연소 전에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버너에서 연소하는 방식인 예혼합 연소방식 버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포트형 버너
2.
저압버너
3.
고압버너
4.
송풍버너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예혼합 연소방식 버너의 종류 1. 고압버너 : LPG, 부탄가스 등과 공기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버너로 가스압력을 0.2MPa이상으로 한다 2. 저압버너 : 분젠식 버너라 하며 가스를 노즐로부터 분출시켜 주위의 공기를 1차 공기로 흡입하는 방식이다 3. 송풍버너 : 연소용 공기를 가압하여 연소하는 형식의 버너로 고압버너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노즐로 분사함과 동시에 가스를 흡입 혼합하여 연소하는 형식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
프로판 1Nm3를 공기비 1.1로서 완전연소시킬 경우 건연소가스량은 약 몇 Nm3 인가?
1.
20.2
2.
24.2
3.
26.2
4.
33.2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C3H8 + 5O2 = 3CO2 + 4H2O 22.4Nm3 : 5×22.4Nm3= 3×22.4Nm3 + 4×22.4Nm3 1Nm3 : X = Y + Z 따라서 X=5Nm3, Y=3Nm3, Z=4Nm3 문제에서 건연소 가스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H2O 4Nm3는 제외한다. Gd=(1.1-0.21)×(5÷0.21)+3≒24.19 [해설작성자 : 동안의 암살자]
8.
인화점이 50℃ 이상인 원유, 경유 등에 사용되는 인화점 시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태그 밀폐식
2.
아벨펜스키 밀폐식
3.
클리브렌드 개방식
4.
펜스키마텐스 밀폐식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개방식 인화점 시험방법 = 태그법(개방식, 밀폐식 둘다해당), 클리브렌드식
밀폐식 인화점 시험방법 = 태그법, 아벨펜스키식, 펜스키마텐스식
태그개방식은 휘발성 가연물질에 해당된다
인화점 정리 = 클리브렌드식 = 80도 이상 개방식 태그법 = 80도 이하 밀폐식 태그법 = 80도 이하 아벨펜스키식 = 50도이하 펜스키마텐스식 = 50도이상 [해설작성자 : 박진호]
9.
탄소 12kg을 과잉공기계수 1.2의 공기로 완전연소 시킬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량은 약 몇 Nm3 인가?
1.
84
2.
107
3.
128
4.
149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C + O2 = CO2 12㎏ 22.4Nm3 = 22.4Nm3 Gd=(1.2-0.21)×((22.4÷0.21)+22.4=128Nm3 (m - 0.21)*A0 + 나머지 복잡할 이유 없다 [해설작성자 : 아~몰라~~]
10.
아래 표와 같은 질량분율을 갖는 고체 연료의 총 질량이 2.8kg일 때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은 각각 약 몇 MJ인가?
CH4 가스 1Nm3를 30% 과잉공기로 연소시킬 때 완전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실제 연소가스의 총량은 약 몇 Nm3 인가?
1.
2.4
2.
13.4
3.
23.1
4.
82.3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실제 연소가스양(Gw)=(m-0.21)Ao+CO2+H2O CH4+2O2>CO2+2H2O 이론공기량(Ao)=이론산소량(Oo)*1/0.21(Nm^3) Gw=(1.3-0.21)*2/0.21+(1+2)=13.4Nm^3 [해설작성자 : 차연준]
12.
가스 연소 시 강력한 충격파와 함께 폭발의 전파속도가 초음속이 되는 현상은?
1.
폭발연소
2.
충격파연소
3.
폭연(deflagration)
4.
폭굉(detonation)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데토네이션(detonation) = 폭굉이라 하며, 가스중의 음속보다도 화염의 전파속도가 큰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라고 하는 압력파가 생겨 격렬한 파괴작용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가스의 경우 1000~3500m/s로 초음속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3.
다음 연소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높아지면 좁아진다.
2.
압력이 상승하면 좁아진다.
3.
연소상한계 이상의 농도에서는 산소농도가 너무 높다.
4.
연소하한계 이하의 농도에서는 가연성증기의 농도가 너무 낮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연소범위(폭발범위) = 공기중에서 점화원에 의해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혼합가스 중의 가연성가스의 부피범위(%)로 온도가 높아지면 넓어지고, 압력이 상승하면 넓어진다
*연소상한계 이상의 농도에서는 공기(산소)농도가 너무낮은상태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4.
연돌의 설치 목적이 아닌 것은?
1.
배기가스의 배출을 신속히 한다.
2.
가스를 멀리 확산시킨다.
3.
유효 통풍력을 얻는다.
4.
통풍력을 조절해 준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연돌의 설치목적 1. 자연통풍일때 유효한 통풍력을 얻기 위하여 2. 배기가스의 배출을 신속히 하기 위하여 3. 매연, 황산화물 등을 멀리 확산시키기 위하여 [해설작성자 : 박진호]
통풍력 조절은 댐퍼목적 [해설작성자 : 서영철]
15.
고체연료에 비해 액체연료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재, 역화 등의 위험이 적다.
2.
회분이 거의 없다.
3.
연소효율 및 열효율이 좋다.
4.
저장운반이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액체연료의 특징 장점 = 1. 완전 연소가 가능하고 발열량이 높다 2. 연소효율이 높고 고온을 얻기 쉽다 3. 연소조절이 용이하고 회분이 적다 4. 품질이 균일하고 저장 취급이 편리하다 5.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송이 용이하다
단점 = 1. 연소온도가 높아 국부과열의 위험이 크다 2, 화재, 역화의 위험성이 높다 3. 일반적으로 황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잇다 4. 버너의 종류에 따라 연소시 소음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6.
고온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연료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바나듐의 융점을 낮춘다.
2.
연료를 전처리하여 바나듐, 나트륨, 황분을 제거한다.
3.
배기가스온도를 550℃ 이하로 유지한다.
4.
전열면을 내식재료로 피복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고온부식 방지대책 1. 연료를 전처리하여 바나듐 성분을 제거할 것 2. 전열면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설계할 것 3. 전열면의 표면에 보호피막 형성 또는 내식성 재료를 사용한다 4. 연료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바나듐의 융점을 높인다 5. 부착물의 성상을 바꾸어 전열면에 부착하지 못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7.
과잉공기량이 증가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연소실의 온도가 저하된다.
2.
배기가스에 의한 열손실이 많아진다.
3.
연소가스 중의 SO3이 현저히 줄어 저온부식이 촉진된다.
4.
연소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발생이 심하여 대기오염을 초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과잉공기량이 증가할때 나타나는 현상 1. 연소실내의 온도가 낮아진다 2. 배기가스로 인한 손실열이 증가한다 3.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이 많아져 대기오염 및 저온부식을 초래한다 4. 연료소비량이 증가한다 5. 배기가스량이 많아져 배기가스 중 CO2농도(%)가 낮게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문제 해설> 기체연료의 특징 장점 = 1. 연소효율이 높고 연소제어가 용이하다 2. 회분 및 황성분이 없어 전열면 오손이 없다 3. 적은 공기비로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4. 저발열량의 연료로 고온을 얻을 수 있다 5.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공해문제가 없다
단점 = 1. 저장 및 수송이 어렵다 2. 가격이 비싸고 시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3. 누설 시 화재, 폭발의 위험이 크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기체연료는 인화성 위험이 크고 연소장치가 복잡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0.
298.15K, 0.1MPa 상태의 일산화탄소를 같은 온도의 이론공기량으로 정상유동 과정으로 연소시킬 때 생성물의 단열화염 온도를 주어진 표를 이용하여 구하면 약 몇 K 인가? (단, 이 조건에서 CO 및 CO2의 생성엔탈피는 각각 –110529 kJ/kmol, -393522 kJ/kmol 이다.)
일정한 압력 300kPa으로, 체적 0.5m3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160kJ의 열을 받아 그 체적이 0.8m3 로 팽창하였다. 내부에너지의 증가량은 몇 kJ 인가?
1.
30
2.
70
3.
90
4.
160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h = U+Pv 엔탈피 = 내부에너지 + 외부에너지
U = h-PV = 160-300(0.8-0.5)=70kJ [해설작성자 : 박진호]
U = Q - W Q = 160kJ W = p*deltaV = 300*10^3*(0.8-0.5) = 90000J = 90kJ ∴ U = 160 - 90 = 70kJ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냉동기의 냉매로서 갖추어야 할 요구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증기의 비체적이 커야 한다.
2.
불활성이고 안정적이어야 한다.
3.
증발온도에서 높은 잠열을 가져야 한다.
4.
액체의 표면장력이 작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냉매의 구비조건 ↑임계온도 증발압력, 기체비열 ↓응고점 응축압력 비체적, 액체비열, 비용 응축, 액화가 쉬울것 오일과 냉매가 작용하여 냉동장치에 악영향을 미치지않을것 금속에 대한 부식성 및 패킹재료에 악영향이 없을것 인화 및 폭발성이 없을것 인체에 무해할 것 [해설작성자 : 박진호]
3과목 : 계측방법
41.
계측에 있어 측정의 참값을 판단하는 계의 특성 중 동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감도
2.
직선성
3.
히스테리시스 오차
4.
응답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계기의 특성 1. 정특성 = 시간에 관계없는 정적인 특성으로 입력과 출력이 안정되어 있을때의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는 성질로 히스테리시스 오차가 해당된다
2. 동특성 = 측정량이 시간에따라 변동하고 있을때 계기의 지시치는 그 변동에 충실하게 다룰수 없는것이 보통이고 시간지연과 동오차가 생기는데 이 측정량의 변동에 대하여 계측기의 지시가 어떻게 변하는지의 대응관계를 말한다
*응답 = 자동제어계의 요소에 대한 출력을 입력에 응답이라고 하며 압력은 원인, 출력은 결과가 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계측기기 계측에 있어 측정의 참값을 판단하는 계의 동특성은 응답이다. [해설작성자 : 문동은]
42.
광고온계의 측정온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 ~ 300℃
2.
100 ~ 500℃
3.
700 ~ 2000℃
4.
4000 ~ 5000℃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광고온계의 특징 1. 고온에서 방사되는 에너지 중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조작한다 2. 700~3000도의 고온도 측정에 적합( 700도이하는 곤란) 3. 광전관 온도계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편리하다 4. 움직이는 물체의 온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온체의 온도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5. 빛의 흡수 산란 및 반사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다 6. 비접촉식 온도계에서 가장 정확한 온도측정을 할 수 있다 7. 방사온도계에 비하여 방사율에 대한 보정량이 작다 8. 원거리 측정, 경보, 자동기록, 자동제어가 불가능하다 9. 측정에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서 개인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스프링저울 등 측정량이 원인이 되어 그 직접적인 결과로 생기는 지시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밀도느 낮으나 조작이 간단한 방법은?
1.
영위법
2.
치환법
3.
편위법
4.
보상법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정방법 1. 편위법 = 부르동관 압력계와 같이 측정량과 관게있는 다른양으로 변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도는 낮지만 측정간단 2.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평형 시켜 측정하는 것으로 천칭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는것이 해당 3.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있는 다른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것이 해당 4. 보상법 = 측정량과 거의 같은 미리알고있는 양을 준비하여 측정량과 그 미리알고있는 양의 차이로서 측정량을 알아내는방법 [해설작성자 : 박진호]
52.
다음은 피드백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 ) 안에 가장 적절한 것은?
1.
(1)조작량 (2) 동작신호 (3)목표치 (4)기준입력신호 (5)제어편차 (6)제어량
2.
(1)목표치 (2) 기준입력신호 (3)동작신호 (4)조작량 (5)제어량 (6)주피드백 신호
3.
(1)동작신호 (2) 오프셋 (3)조작량 (4)목표치 (5)제어량 (6)설정신호
4.
(1)목표치 (2) 설정신호 (3)동작신호 (4)오프셋 (5)제어량 (6)주피드백 신호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피드백제어(feed back control, 폐회로)는 제어량의 크기와 목표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치하도록 되돌림신호(피드백신호)를 보내어 수정동작을 하는 제어방식이다
피드백제어 블록선도에서 가장 먼저 구성되어야 하는것이 '목표치'이고 기준입력요소와 비교부 사이에 '기준입력신호'가, 비교부와 조절부 사이에 '동작신호'가, 조작부와 제어대상 사이에 '조작량'이, 제어대상 이후에 '제어량'이, 검출부 다음에 '주피드백 신호'가 위치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53.
압력 측정을 위해 지름 1cm의 피스톤을 갖는 사하중계(dead weight)를 이용할 때, 사하중계의 추, 피스톤 그리고 펜(pan)의 전체 무게가 6.14kgf이라면 게이지압력은 약 몇 kPa 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9.81m/s2 이다.)
1.
76.7
2.
86.7
3.
767
4.
867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A * N 환산 6.14/(3.14*1^2/4) * 10000 * 9.81 * 1/1000 = 766.915kpa 10000을 곱해준 이유는 kgf/cm^2 -> kgf/m^2 로 환산하기 위함입니다. 여기서 중력가속도를 곱하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인 N/m^2= Pa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1000을 나눠주는 이유는 1kpa = 1000pa 로 환산하기 위함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공학단위 계산(Kgf/cm2)
W + W‘ 6.14 6.14 P = ------- = ----------- = ---------- = 7.817(Kgf/cm2) A π π --- X D^2 --- X 1^2 4 4
광고온도계 = 측정대상 물체에서 방사되는 빛과 표준전구에서 나오는 필라멘트의 휘도를 같게하여 표준전구의 전류 또는 저항을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는것으로 비접촉식 온도계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4과목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염기성 내화벽돌이 수증기의 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물질이 비중변화에 의하여 체적변화를 일으켜 노벽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은?
1.
스폴링(spalling)
2.
필링(peeling)
3.
슬래킹(slaking)
4.
스웰링(swelling)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스폴링 = 표면 균열이나 개재물(介在物) 등이 있는 곳에 하중이 가해져서 표면이 서서히 박리(剝離)하는 현상 필링 = 기 도금에서 기저 금속(base 동박)층이나 하부(하지) 도금층으로부터 그 위에 도금된 전기 석출 도금물이나 자동 촉매 도금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벗겨져 떨어지는 현상. 스웰링 = 고체 안에 기체가 발생함에 따라 고체가 부푸는 현상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체원소가 모이는 것을 방해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슬래킹 = 수증기를 흡수하여 체적변화를 일으켜 균열이 발생하거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으로 염기성 내화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보유하고 있는 기체의 최고사용압력이 0.1MPa 이고 내부 부피가 0.05m3 인 압력용기
2.
보유하고 있는 기체의 최고사용압력이 0.2MPa 이고 내부 부피가 0.02m3 인 압력용기
3.
보유하고 있는 기체의 최고사용압력이 0.3MPa 이고 동체의 안지름이 350mm이며 그 길이가 1050mm인 증기헤더
4.
보유하고 있는 기체의 최고사용압력이 0.4MPa 이고 동체의 안지름이 150mm이며 그 길이가 1500mm인 압력용기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종 압력용기 = 밀폐된 용기의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또는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시킨 유체가 대기압을 초과하는 포화수(포화 액체), 또는 포화 액체와 포화 증기에 걸쳐 있는 것으로서 소형 압력 용기의 규제값을 초과하는 크기의 것. 최고 사용 압력(㎏/cm2)과 내용적(m3)을 곱한 수치가 0.04를 초과하는 다음의 것. 이 경우 절대압 380mmHg 이하의 압력을 받는 것을 대기압을 넘는 것으로 본다. 제1종 압력 용기는 용기 내에서 발생하여 유동하는 포화 액체나 포화 증기가 발생하는 프로세스 등으로부터 표의 어느 것에 해당하는 것.
2종 압력용기 =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기체만을 내부에 보유하는 용기로서 다음의 어느 것에 해당되는 것. (1) 기체의 압력이 2㎏f/cm2·g 이상이며, 또한 내용적이 0.04m3 이상의 것. (2) 기체의 압력이 2㎏f/cm2·g 이상이며, 또한 드럼의 내경이 200mm 이상(단, 증기 해더는 300mm 초과), 길이 1000mm 이상의 것. 제2종 압력 용기로서는 에어 리시버, 가스 홀더, 증기관 헤더, 건조용 롤러, 취사용 2중 가마(라이스 보일러) 등이 해당된다. 제2종 압력 용기는 내부에 보유하는 유체가 포화 기체만이며,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제1종 압력 용기에 비해 법규제가 대폭 완화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1번이 1종. 3번이 2종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68.
규산칼슘 보온재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규산에 석회 및 석면 섬유를 섞어서 성형하고 다시 수증기로 처리하여 만든 것이다.
2.
플랜트 설비의 탑조류, 가열로, 배관류 등의 보온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3.
가볍고 단열성과 내열성은 뛰어나지만 내산성이 적고 끓는 물에 쉽게 붕괴된다.
4.
무기질 보온재로 다공질이며 최고 안전 사용온도는 약 650℃ 정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온용 보온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규산과 석회를 반응시켜 얻은 규산칼슘을 성형한 것이다. 내열성도 뛰어나므로 3번에 끓는물에 쉽게 붕괴된다는 틀렸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규산칼슘 보온재의 특징 1.규산질, 석회질, 암면 등을 혼합하여 만든 결정체 보온재이다 2. 압축강도가 크며 반영구적이다 3. 내수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편리하다 4. 고온공업용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5. 열전도율은 0.053~0.065[kcal/hm도]정도이다 6. 안전 사용온도는 650도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폴스테라이트의 특징 1. 사문석, 감람석이 주원료이며 주성분은 폴스테라이트이다 2. 내화도가 SK36이상으로 높다 3. 염기성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하중연화점이 높고, 내스폴링성이 있다 5. 고온에서 체적변화가 적고 열전도율이 낮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72.
선철을 강철로 만들기 위하여 고압 공기나 산소를 취입시키고, 산화열에 의해 노 내 온도를 유지하며 용강을 얻는 노(furnace)는?
1.
평로
2.
고로
3.
반사로
4.
전로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평로 = 제강용(製鋼用) 반사로(反射爐). 모양이 편평하게 생긴 데서 붙여진 명칭이며 선철(銑鐵), 스크랩(scrap), 그밖의 소재(素村)를 넣고 가열, 용해하여 강(鋼)을 만든다.
고로(용광로) = 용광로라고도 불린다. 고로는 독일어의 Hoch-ofen에서 번역되었다. 이 이름들은 모두 높은 샤프트로에서 철광석을 용해 제련해서 선철을 만든다는 뜻에서 나온 것들이다. 고로는 이미 600년도 더 이전에 생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지금 현재도 선철 제조를 위한 가장 우수한 설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포스코가 고로에 의해 선철을 제조하고 있다. 고로는 훨씬 이전부터 근본적인 변화를 겪는 일 없이 현재에 이르고는 있지만 여러 가지 개량에 의해 생산성은 현저하게 커졌다. 즉, 초창기에는 광석과 목탄이 장입되고 있었으나 1735년부터 코크스가 사용되고 1828년에는 송풍구로부터의 냉풍이 열풍으로 바뀌어 사용되게 되었다
반사로 = 금속을 용해하여 정련(精鍊)하는 노(爐)이다. 아궁이와 용해실이 분리되어 있고 화염(火焰)은 노의 정상부(頂上部)를 따라 흐르며, 노의 천정과 옆벽으로부터의 반사열로 원료를 용해하는 노로서 연료는 석유 또는 중유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전로 = 용융선철을 장입하고 고압의 공기나 산소를 취입하여 제련하는것으로 산화열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므로 별도의 연료가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73.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에너지사용량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인 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언제까지 시·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문제 해설>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포함사항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4조2항 1.에너지절약형 경제구조로의 전환 2. 에너지이용효율의 증대 3.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한 기술개발 4.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한 홍보 및 교육 5. 에너지원간 대체 6. 열사용기자재의 안전관리 7. 에너지이용합리화를 위한 가격예시제의 시행에 관한사항 8. 에너지의 합리적인 이용을 통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 9. 그밖에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박진호]
75.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가 효율관리시험기관으로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은 날 또는 자체측정을 완료한 날부터 그 측정결과를 며칠 이내에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효율관리 기자재 측정 결과의신고(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제9조) = 효율관리기자재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효율관리시험기관으로부터 측정결과를 통보받은 날 또는 자체측정을 완료한 날부터 각각90일 이내에 그 측정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76.
제강 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 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1.
축열실
2.
환열기
3.
폐열 보일러
4.
판형 열교환기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축열실 = 고온의 연소 폐가스의 현열을 이용해서 연소용 공기 혹은 공기와 연료 가스를 예열하여, 열의 수수(授受) 교환을 하게 하는 장치의 하나
환열기 =넓은 의미로는 축열기 이외의 열교환기를 말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연소 배기 가스에 의한 연소용 공기 예열기를 말하며, 여열 이용의 한 형태이다. 300℃ 이하에서는 보통강, 500℃ 이하에서는 13 크롬강, 700℃ 이하에서는 18-8강, 그 이상에서는 더 고급인 합금을 이용한다. 벽돌제의 것은 고온에는 견디지만 새는 일이 다소 있다. 또 금속제로 지느러미를 붙인 것도 이용된다. 금속제인 경우는 재료의 가열에 의한 부식이 문제이다
폐열 보일러 =폐열을 열원으로 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를 말한다. 발생하는 증기는 연소용 공기의 예열, 난방, 급탕, 자가 발전용 등에 이용된다. 연소 장치나 회로를 갖지 않는 것이 특징이지만 폐가스에 다량의 재가 들어 있어서 부식성, 독성, 폭발성이 있는 것은 전열면을 더럽히고 손상시키며, 위험성이 많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판형 열교환기 =얇은 스테인리스강을 파도 모양으로 하여 좁은 간격을 두고 여러 장을 겹쳐 조립한 열교환기. 열효율이 좋고 설치 면적도 작은 장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산 등의 화학약품을 차단하는데 주로 사용하며 내약품성, 내열성의 고무로 만든 것을 밸브시트에 밀어붙여 기밀용으로 사용하는 밸브는?
1.
다이어프램밸브
2.
슬루스밸브
3.
버터플라이밸브
4.
체크밸브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다이어프램밸브 = 둑(weir)과 고무로 만들어진 다이어프램이 밸브 내부에서 맞닿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밸브이다. 둑과 다이어프램이 밀착하게 되면 유체가 폐쇄되고 두 부분이 떨어지면서 유체가 통과된다. 다이어프램에 의해서 유체가 밸브 기구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므로, 침식성 유체일 경우에도 유체통로 내부만 내식성 재료로 하면 된다. 또한 유체통로에서의 저항도 작으므로 각종 가스류, 침식성의 산·알칼리류·묽은 죽 형상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 또는 압력손실을 줄이려는 배관 등에서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이어프램 밸브 [diaphragm valve] (공조냉동건축설비 용어사전, 2011. 1. 15., 공조설비용어사전 편찬회)
슬루스밸브 = 밸브 본체가 흐름에 직각으로 놓여 있어 밸브 시트에 대해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개폐하는 형식의 밸브.
버터플라이밸브 = 게이트밸브에 비하여 60~70% 정도이고, 볼 밸브나 프러그 밸브에 비해서도 20% 이상 가볍다. 밸브의 무게중심이 볼 밸브와 같이 배관 중심선과 거의 일치한다. 밸브의 구성부품수도 적기 때문에 제작도 용이하다. 밸브 구경 대비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버터플라이 밸브 [butterfly valve] (물백과사전)
체크밸브 =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이다. 급배수관 또는 냉매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윙형과 리프트형이 있으며, 리프트형은 확실히 폐쇄 작용을 하지만 수평관에서만 이용되고 입형관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체크 밸브 [check valve] (공조냉동건축설비 용어사전, 2011. 1. 15., 공조설비용어사전 편찬회)
[해설작성자 : 박진호]
다이어프램밸브 = 기밀을 유지하기위한 패킹이 불필요하고 금속부분이 부식될 염려가 없어 산 등의 화학약품의 유량을 조절, 차단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이 주는 영향이 비교적 적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2]
78.
용광로에 장입하는 코크스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철광석 중의 황분을 제거
2.
가스상태로 선철 중에 흡수
3.
선철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열원을 공급
4.
연소 시 환원성가스를 발생시켜 철의 환원을 도모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코크스의 역할 1. 선철을 제조하는 열원으로 사용 2. 연소 시 환원성 가스 생성에 의해서 광석을 가스환원하는 동시에 직접 그 탄소에 의해서 광석을 환원 -> 흡탄작용 3. 일부탄소는 가스상태로 선철중에 흡수되어 선철성분이 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망간광석이 황분을 제거(탈황)하고, 탈산작용을 돕는다. [해설작성자 : 옐로미닛]
79.
고알루미나질 내화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중성내화물이다.
2.
내식성, 내마모성이 적다.
3.
내화도가 높다.
4.
고온에서 부피변화가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알루미나-실리카계 내화물 중 Al2O3 함유량 50% 이상, 내화도 SK35 이상의 것. KS에서는 제품에 따라 전주품과 소성품으로 대별되어, 소성품은 알루미나 함유량에 따라 5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이어스포어를 주성분으로 하고, Al2O3의 함유량이 50%, 60%, 70±2.5%인 벽돌을 알루미나-다이어스포어내화점토(耐火粘土) 벽돌이라고 한다. 내(耐)알칼리 벽돌은 일반적으로 중성 내화물(中性耐火物)에 속하며, 내화도(耐火度)는 SK(제게르콘) 35이상이고, 기계적 강도 및 각종 슬래그, 석탄재(石炭灰)에 대한 내식성(耐蝕性)이 크다. 그 때문에 회전요초점(回轉窯焦點) 벽돌과, 염기성 전기로(鹽基性電氣爐)의 뚜껑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문제 해설> 증발배수 = 보일러의 증발량과 그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 연료량과의 비
전열면 증발률 =보일러의 증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의 하나로써, 보일러 본체의 단위 전열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발생하는 증기량. 증발률ㆍ전열면 부하율이라고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증발배수의 계산식을보면 실제증발배수나 상당증발배수나 모두 증발량을 연소소비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 연료1kg 연소시 발생하는 증기량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85.
노통연관 보일러의 노통의 바깥면과 이것에 가장 가까운 연관의 면 사이에는 몇 mm 이상의 틈새를 두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50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노통과 연관의 틈새(열사용기자재 검사기준 7.8) = 노통연관 보일러의 노통바깥면과 이것에 가장 가까운 연관의 면과는 50mm이상의 틈새를 두어야한다 다만 토오에 파형 또는 보강링 등의 돌기를 설비할 때에는 이들 돌기물의 바깥면과 이거셍 가장 가까운 연관의 틈새는 30mm이상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86.
열매체보일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압으로 고온의 증기를 얻을 수 있다.
2.
겨울철에도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물이나 스팀보다 전열특성이 좋으며, 열매체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온도한계가 일정하다.
4.
다우섬, 모빌섬, 카네크롤 보일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열매체 보일러(특수유체보일러)의 특징 1. 열매체의 종류에는 다우삼, 모빌섬, 카네크롤 등이 해당한다 2. 저압에서 고온의 증기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일러이다 3. 타 보일러에비해 부식의 정도가된다 4. 겨울철에도 동결의 우려가적다 5. 인화성증기를 발생하는 열매체 보일러에서는 안전밸브를 밀폐식구조로 하든가 또는 안전밸브로부터의 배기를 보일러실 밖의 안전한 장소에 방출시키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87.
파형노통의 최소 두께가 10mm, 노통의 평균지름이 1200mm 일 때, 최고사용압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끝의 평형부 길이가 230mm 미만이며, 정수 C는 985 이다.)
<문제 해설> 용존가스 처리법 1. 기폭법(폭기법) = 헨리의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급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CO2),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등의 기체성분과 철, 망간 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공기중에서 물을 아래로 뿌려 내리는 강수방식과 급수 중에 공기를 흡입하는 방법이 있다 2. 탈기법 = 탈기기를 이용하여 급수중의 산소(O2), 탄산가스(CO2)등의 용존가스를 제거하는방법으로 진공탈기법과 가열탈기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문제 해설> 프라이밍 = 펌프 속 및 펌프의 흡입 배관 속에 물이 없으면 펌프가 회전을 시작해도 양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펌프속이나 흡입 배관 속에 물을 주입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조작을 말한다. 프라이밍의 방법은 펌프 케이싱의 상부에 있는 공기빼기 콕을 열고 프라이밍 물(마중물)을 깔때기로부터 펌프 속으로 주입한다. 대형 펌프에서는 공기빼기 콕에 진공펌프를 연결하고 펌프 내의 공기를 흡출하여 풋 밸브로부터 물을 흡상함으로써 펌프 케이싱 속까지 물을 충만시킨다.
포밍 = 보일러수 속의 유지(油脂)류, 용해 고형물, 부유물 등의 농도가 높아지면 드럼 수면에 안정한 거품이 발생하고, 또한 거품이 증가하여 드럼의 기실(氣室)에 전체로 확대되는 현상으로서, 증기에 수분이 혼입하여 캐리오버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그림과 같이 가로×세로×높이가 3m×1.5m×0.03m인 탄소 강판이 놓여 있다. 강판의 열전도율은 43W/m·K이고, 탄소강판 아래 면에 열유속 700 W/m2을 가한 후, 정상상태가 되었다면 탄소강판의 윗면과 아랫면의 표면온도 차이는 약 몇 ℃ 인가? (단, 열유속은 알에서 위 방향으로만 진행한다.)
연관보일러에서 연관의 최소 피치를 구하는데 사용하는 식은? (단, p는 연관의 최소 피치(mm), t는 관판의 두께(mm), d는 관 구멍의 지름(mm) 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관보일러에서 연관의 최소 피치를 구하는데 사용하는 식 p=(1+4.5/t)d [해설작성자 : 탄소공사파파]
94.
증기보일러에 수질관리를 위한 급수처리 또는 스케일 부착방지 및 제거를 위한 시설을 해야하는 용량 기준은 몇 t/h 이상인가?
1.
0.5
2.
1
3.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처리시설 및 음향처리시설의 인증기준 이온교환처리법 1.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은 이온교환수지 1L당 CaCO3환산 60g이상 2. 이온교환수지량은 시간당 원숱오과 수량1m^3기준으로 최소 20L이상 3. 원수 수질기준 = 경도 250mg CaCO3이상 4.이온교환된 수질기준 = 경도 1mg CaCO3/L이상 5. 용기의 조건 = 내식성 재질 6. 기기의 구성 = 이온교환수지탑, 약품용ㅎ래조, 자동경도측정장치, 자동절환장치 음향처리법 1. 초음파의 주파수 조정가능 = 사용주파수 범위 15~22kHz 2. 발생파형 = 펄스파형으로서 한 파형의 지속시간이 5ms이하일것 3. 최대진폭 = 모든 시험조건에서 peak to peak치가 0.7um(용접후)이상 4. 변환기 권선의 재질 = 내전압 100V이상, 내사용온도 -190~260도의 자재 [해설작성자 : 박진호]
보일러 용량 1톤(600000kcal/h) 이상이면 급수처리 또는 스케일 부착 방지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탄부다벨]
95.
보일러의 열정산시 출열 항목이 아닌 것은?
1.
배기가스에 의한 손실열
2.
발생증기 보유열
3.
불완전연소에 의한 손실열
4.
공기의 현열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열정산 시 입출열 항목 1. 입열항목 = 연료의 발열량(연료의 연소열), 연료의 현열, 공기의 현열, 노내취입 증기 또는 온수에 의한 입열 2. 출열항목 = 배기가스 보유열량, 증기의 보유열량, 불완전연소에 의한 열손실, 미연분에 의한 열손실, 노벽의 흡수열량, 재의현열 [해설작성자 : 박진호]
96.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안전밸브의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추식
2.
탄성식
3.
지렛대식
4.
스프링식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보일러 안전밸브의 종류 = 스프링식, 중추식, 레버(지렛대)식 등 [해설작성자 : 박진호]
97.
내경 200mm, 외경 210mm의 강관에 증기가 이송되고 있다. 증기 강관의 내면온도는 240℃, 외면온도는 25℃이며, 강관의 길이는 5m 일 경우 발열량(kW)은 얼마인가? (단, 강관의 열전도율은 50W/m·℃, 강관의 내외면의 온도는 시간 경과에 관계없이 일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