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판은 부벽을 지점으로 하는 연속판으로서 윗부분과 토사중량과 지점반력과의 차이로서 설계하게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뒷부벽식 옹벽=토압을 받는 쪽에 부벽부재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호백]
33.
현장에서 타설하는 피어공법 중 시공 시 케이싱튜브를 인발할 때 철근이 따라 올라오는 공상(供上)현상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는 공법은?
1.
시카고 공법
2.
돗바늘 공법
3.
베노토 공법
4.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정답 : [
3
] 정답률 : 64%
34.
1회 굴착토량이 3.2 m3, 토량 환산계수가 0.77, 불도저의 작업효율이 0.6, 사이클 타임이 2.5분, 1일 작업시간(불도저)이 7시간, 1개월에 22일 작업한다면 이 공사는 몇 개월 소요되겠는가? (단, 성토량은 20000m3 이고, 불도저 1대로 작업하는 경우이다.)
1.
약 3.7개월
2.
약 4.2개월
3.
약 5.6개월
4.
약 6개월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시간 작업토량=1시간60분*1회굴착토량*환산계수*작업효율*/2.5 =60*3.2*0.77*0.6/2.5 =89.7/2.5=35.88 일일작업시간이 7시간이므로 하루 작업토량=35.88*7=251.16 총 작업일수 = 20000/251.16=79.63 한달 작업일수가 22일 이므로 79.63/22=3.6개월 [해설작성자 : 조규대]
=60*3.2*0.77*0.6/2.5 =88.7/2.5=35.48 일일작업시간이 7시간이므로 하루 작업토량=35.48*7=248.36 총 작업일수 = 20000/248.36=79.63 한달 작업일수가 22일 이므로 80.52/22=3.66개월=3.7개월 [해설작성자 : 정종연]
35.
항만의 방파제를 크게 경사제, 직립제, 혼성제, 특수방파제를 나눌 경우 각 방파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제는 주로 수심이 깊은 곳 및 파고가 높은 곳에 적용되며, 공사비와 유지 보수비가 다른 형식의 방파제와 비교하여 가장 저렴하다.
2.
직립제는 연약지반에 가장 적합한 형식으로서 파랑을 전부 반사시킴으로 인해 전면해저의 세굴 염려가 없다.
3.
혼성제는 사석부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직립부의 본체를 설치하는 형식으로 경사제와 직립제의 장점을 고려한 것이다.
4.
특수방파제는 항구 내가 안전하도록 하기 위해 파도가 방파제를 절대 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경사제는 주로 수심이 얕고 파고가 비교적 작은 소규모 2. 직립제는 지반이 견고하여 파에 의하여 세굴될 염려가 거의 없는 경우, 파도를 몸체로 반사 시키는 것을 목적 3. 특수방파제는 방파제의 기존 기능은 물론 항내의 해수 통수 및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에 효과적 대비하기 위함. [해설작성자 : 품질관리자]
36.
토적곡선(Mass curv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선의 저점 및 정점은 각각 성토에서 절토, 절토에서 성토의 변이점이다.
2.
동일 단면 내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토적곡선에서 구한다.
3.
토적곡선을 작상하려면 먼저 토량 계산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절토에서 성토까지의 평균 운반거리는 절토와 성토의 중심 간의 거리로 표시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동일 단면 내에서 횡방향 유용토는 제외 되었으므로 동일 단면 내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품질관리자]
37.
콘키르트 압축강도 시험에 있어서 10개의 공시체를 측정한 결과, 평균치는 18MPa, 표준편차는 1MPa 일 때의 변동계수는?
<문제 해설> 교량 상부구조 : 교량의 주체가 되는 부분. 교통의 하중을 직접 받쳐주는 부분 바닥판(포장,슬래브) / 바닥틀(세로보,가로보) / 주형,주트러스(브레이싱,트러스,PSC상자) 하부구조 : 상부 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해주는 부분 교각교대 / 기초 [해설작성자 : 뉸뉴]
3과목 : 건설재료 및 시험
41.
건설재료용 석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리석은 강도는 매우 크지만 내구성이 약하며, 풍화하기 쉬우므로 실외에 사용하는 경우는 드믈고, 실내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석회암은 석회물질이 침전·응고한 것으로서 용도는 석회, 시멘트, 비료 등의 원료 및 제철시의 용매제 등에 사용된다.
3.
혈암(頁岩)은 점토가 불완전하게 응고된 것으로서, 색조는 흑색, 적갈색 및 녹색이 있으며, 부순 돌, 인공경량골재 및 시멘트 제조시 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4.
화강암은 화성암 중에서도 심성암에 속하며, 화강암의 특징은 조직이 불균일하고 내구성, 강도가 적고, 내화성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화강암은 내구성, 강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력에 재료가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연성이라 한다.
2.
외력에 의한 변형이 크게 일어나는 재료를 강성이 큰 재료라고 한다.
3.
작은 변형에도 쉽게 파괴되는 성질을 취성이라 한다.
4.
재료를 두들길 때 엷게 펴지는 성질을 전성이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강성 : 외력을 받았을 때 변형을 적게 일으키는 재료를 강성이 큰 재료라 함. - 연성 : 인장력을 가했을 때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 취성 : 작은 변형에도 파괴는 성질 - 전성 : 재료를 얇게 두드려 펼 수 있는 성질 [해설작성자 : Yeon S C]
43.
표점거리 L=50mm, 지름 D=14mm의 원형 단면봉을 가지고 인장시험을 하였다. 축 인장하중 P=100kN이 작용하였을 때, 표점거리 L=50.433mm와 지름 D=13.970mm가 측정되었다. 이 재료의 탄성계수는 약 얼마인가?
흙 시료 채취 직후에 비교적 교란 되지 않은 코어(core)는 부(負)의 과잉간극수압이 생긴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교란의 효과는 소성이 높은 흙이 소성이 낮은 흙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호백]
79.
현장 모래지반의 습윤단위중량을 측정한 결과 18kN/m3 으로 얻어졌으며 동일한 모래를 채취하여 실내에서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in = 0.45,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ax = 0.92를 얻었다. 현장상태의 상대밀도는 약 몇 % 인가? (단, 물의 단위중량은 9.81 kN/m3, 모래의 비중은 2.7 이고, 현장상태의 함수비는 10% 이다.)
1.
44%
2.
54%
3.
64%
4.
74%
정답 : [
3
] 정답률 : 44%
80.
Sand drain 공법의 지배 영역에 관한 Barron의 정사각형 배치에서 Sand plie의 중심 간 간격을 d, 유효원의 지름을 de라 할 때 de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de = 1.03d
2.
de = 1.05d
3.
de = 1.13d
4.
de = 1.50d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샌드 드레인 유효지름 가.정삼각형 배치 de = 1.05d 나.정사각형 배치 de = 1.13d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④
①
②
④
③
④
②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③
③
①
①
④
②
④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③
④
②
③
④
①
③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③
①
③
②
②
③
④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②
①
②
①
③
③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③
④
②
③
②
①
④
①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②
①
④
②
②
③
①
③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②
④
③
①
④
②
①
③
③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