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인구의 증가 속도가 도시산업의 발달 속도보다 훨씬 커서 직장과 주택이 없는 사람들이 도시 빈민화되고 슬럼지구를 형성하는 등의 도시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젠트리피케이션
2.
역도시화
3.
가도시화
4.
종주도시화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젠트리피케이션 :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 역도시화 : 도시에서 비도시지역으로의 인구 전출이 전입을 초과하여 도시의 상주인구가 감소하는 현상 가도시화 :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도시로 집중된 현상 종주도시화 : 한 국가의 가장 큰 도시가 다른 도시들보다 인구 규모나 기능면에서 월등히 클 때 일컫는 현상 [해설작성자 : ㅎㅇ]
2.
U-C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밀 개발을 통한 직주근접을 실현하는 도시
2.
물, 에너지, 자원 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재활용되는 오염 없는 도시
3.
도시의 통행 수요 및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도시
4.
다양한 정보망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는 미래형 도시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u시티란 첨단 정보통신망을 도시의 기본 인프라로 채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용도지역제인 유클리드 지역제(Euclidean zon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도한 민간개발을 막기 위하여 개발촉진보다는 억제에 더 관심을 두었다.
2.
실제의 토지이용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각종 결과를 기준하여 규제하는 성과규제지역제이다.
3.
토지이용의 규제단위를 각각의 필지로 하여 이를 통해 양호한 시가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4.
상위용도(주거 등)를 하위용도(공장 등)로부터 보호하면 충분하다는 전제 하에 누적식 지역제를 채택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성과규제지역제가 아닌 누적식지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유클리드 지역제 특징 사전확정주의 : 개발 및 토지이용은 사전에 예견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용도를 사전에 확정 누적주의 : 상위용도(주거 등)를 하위용도(공장 등)로부터 보호하면 충분하다는 전제하에 누적식지역제 개발억제주의 : 과도한 민간개발을 막기 위해 개발촉진보다는 억제에 관심을 더 둠 필지주의 : 토지이용의 규제단위를 각각의 필지로 하여 이를 통해 양호한 시가지 형성 도모 용도순화주의 : 주택지에 있어 공장, 아파트 등을 강력히 배제하여 용도순환도모 [해설작성자 : ㅎㅇ]
4.
성장관리란 주 및 자치체가 자신의 행정구역에 대해 장래 개발의 속도, 양, 형태, 위치, 질에 의도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한 학자는?
1.
고트만(J. Gotmann)
2.
힐리(P. Healey)
3.
갇샤크(D. Godshalk)
4.
호이트(H. Hoyt)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godshalk의 성장관리 : 성장이 빠른 곳은 개발 지연하는 등 장래 개발의 속도, 양, 형태, 위치, 질 등에 의도적인 영향을 주어 관리함. [해설작성자 : 비지덕]
5.
도시·군기본계획에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토지의 용도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전용지
2.
시가화용지
3.
보전예정용지
4.
시가화예정용지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도시·군 기본 계획을 위한 토지의 용도 구분 1. 시가화용지 2. 시가화예정용지 3. 보전용지 [해설작성자 : 김지현]
6.
1970년대 중반 이후 넬슨(Arthur C. Nelson)과 듀칸(James B. Ducan)이 강조한 미국 성장관리 정책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넬슨과 듀칸의 도시성장관리 - 어반스프롤 방지 - 농경지의 도시용 토지로의 전환방지 - 공지 감소 방지 - 사회간접자본비용 지출 축소->경제적 효율성 제고, 납세자 보호 - 환경오염 예방 [해설작성자 : 비지덕]
7.
도시에서 보전 가치가 높은 특정 지역에 대해 용도를 규제하는 대신 그에 상응하는 개발권을 토지소유자에게 부여하여 제한되는 권리만큼의 손실을 보상해주는 제도는?
1.
개발권환수 제도
2.
개발권양도 제도
3.
도시재정비 제도
4.
뉴타운개발 제도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개발권환수제도 - 토지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을 환수하여 이를 적정하게 배분하여서 토지에 대한 투기를 방지하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 ● 개발권양도제도 - 토지개발권을 하나의 재산권으로 보아 이를 다른 필지로 이전하여 그 필지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을 인정 ● 도시재정비제도 - 도시의 낙후된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의 확충 및 도시기능의 회복을 광역적으로 계획 ● 뉴타운개발제도 - 기성시가지 재개발 방식으로 공공이 원하는 민간사업으로 적정규모의 생활권역을 대상으로 충분한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종합적인 도시계획사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복합적 요소로 형성된 도시를 전적으로 계획가에게 맡겨두기보다 계획가와 주민들(피계획가) 간의 상호 관계를 중요시함과 동시에 인간주의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계획이론은?
1.
옹호적 계획
2.
교류적 계획
3.
선택적 계획
4.
점진적 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교류적 계획: 계획가와 주민들 간의 교류! [해설작성자 : 홍챔]
9.
A도시는 2005년부터 10년 간 인구가 일정하게 증가하여 2015년 인구가 120만 명이 되었다. 2005년의 인구가 50만 명이었다면, A도시의 인구 증가율은 얼마인가? (단, 등차급수법에 따른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이 잘못됐어요 Pn=Po(1+r*n) (Pn/Po)-1=rn 입니다 그러면 r= {(Pn/Po)-1}/n 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빈]
[오류신고 반론] Pn=Po(1+r*n) 여기서 r을 빼오면 r=n(Pn-Po)/Po 입니다 그대로 대입하면 r=10(120,000-500,000)/500,000 r=7,000,000/500,000 r=14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귝]
10.
세계 최초의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현대적 의미의 지역지구제를 처음으로 실시한 국가는?
1.
일본
2.
미국
3.
독일
4.
프랑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독일은 1875년 「토지구획정리법」을 제정하여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을 처음으로 실시했습니다. 이 법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도시의 기능을 개선하고,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 독일의 토지구획정리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을 도입하였다. * 도시계획과 토지구획정리를 연계하였다. * 도시의 기능과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독일의 토지구획정리법은 이후 일본, 미국, 프랑스 등 세계 각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세계 최초의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현대적 의미의 지역지구제를 처음으로 실시한 국가는 **독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ㅈㅎ]
11.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KOPSS)에 포함된 분석모형이 아닌 것은?
1차적 경관요소는 간접적으로 경관을 조작하여 경관 개선을 유도하는 비물리적 경관계획요소이다.
2.
2차적 경관요소의 주 내용은 경관컨트롤을 위한 규제 및 인센티브요소이다.
3.
3차적 경관요소는 인간의지와 관계없이 형성되는 경관으로서 비물리적, 비조작적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상징적 경관요소이다.
4.
경관계획의 궁극적 목표는 3차적 경관을 바람직하게 형성하는데 둘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물리적이 아닌 물리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간접적 > 직접적 비물리적 > 물리적 [해설작성자 : 지니]
13.
중세도시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도로망은 불규칙적이며 폭이 좁았다.
2.
기능적 성격으로 구분하면 성채도시, 정기시도시, 상업도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상업도시의 경우 경제적 부흥으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인구 10만을 넘는 도시가 다수 발생하기 시작했다.
4.
물리적 요소로 성벽, 시장, 사원 등이 있으며, 특히 성벽과 대사원은 중세도시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세시대에는 5만(베네치아, 제노바, 피렌체, 밀라노)만 넘어도 엄청난 대도시 대부분은 2천명 내외의 시민들이 살고 있음 [해설작성자 : 령령]
14.
토지이용계획의 계획 과정을 상향적 접근과 하향적 접근으로 구분할 때, 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기성 시가지의 유형별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상향적 접근이다.
2.
도시 내 지구수준의 문제점 해결을 우선하는 것은 상향적 접근이다.
3.
도시 차원에서 도시 전체의 기본 구조를 중시하는 것은 하향적 접근이다.
4.
상위계획의 지침을 받아 도시의 기본계획을 설정하는 것은 상향적 접근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지침을 받는 것은 하향적 접근이다. [해설작성자 : yubinn]
15.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지리·공간적 정보 및 자료를 체계적으로 저장, 검색, 변형,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GIS에 의한 분석은 자료의 질과 사용자의 분석 능력에 영향을 적게 받아 결과의 정확도나 가치가 보장된다.
3.
자료의 수집, 예비적 처리, 자료의 관리, 자료의 변환 및 분석, 결과물 제작 등이 주요 기능이다.
4.
GIS를 이용하여 위치, 조건, 추세, 경로, 패턴, 오형 등을 조사·분석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GIS: 자료의 질과 사용자의 분석능력에 큰 영향을 받음 [해설작성자 : 홍챔]
16.
단기교통계획과 비교하여 장기교통계획이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환류 지향적이다.
2.
시설 지향적이다.
3.
다수의 서로 다른 대안을 고려한다.
4.
다양한 교통수단을 동시에 고려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구분 대안의 갯수 교통수요 비용 지향적 단기 다수 고정 낮음 서비스 장기 소수 변화 높음 시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장기의특징 : 시설지향,자본집약,수요고정,소수대안,단일수단 [해설작성자 : 용문]
장기의 교통수요 : 고정 단기의 교통수요 :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인구가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나타내고 있어 단기간에 급속히 팽창하는 신도시의 인구 예측에 유용 하나, 안정적 인구변화추세를 나타내는 도시에 사용할 경우 인구의 과도 예측을 초래할 위험이 있는 인구예측모형은?
1.
선형모형
2.
지수성장모형
3.
로지스틱모형
4.
집단생잔모형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선형모형 : 인구가 미래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지수성장모형 : 단기간에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곰페르츠 모형: S자 성장모형) 로지스틱 모형: 곰페르츠 모형에 상한선을 설정하는 모형 , 정부가 인구성장을 통제하거나 성장의 물리적 한계가 있는 지역 집단생잔 모형 : 출생, 사망 인구를 고려하는 모형 [해설작성자 : 비지덕]
18.
일반적인 도시화의 진행 단계가 옳은 것은?
1.
교외화 → 역도시화 → 도시화 → 재도시화
2.
도시화 → 역도시화 → 재도시화 → 교외화
3.
교외화 → 재도시화 → 도시화 → 역도시화
4.
도시화 → 교외화 → 역도시화 → 재도시화
정답 : [
4
] 정답률 : 82%
19.
뒤르켐(Durkheim)이 지적한 도시의 아노미 현상(Anomi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시 인구의 증가로 인한 도시 기반시설의 부족현상이다.
2.
도시의 기능분화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의 물리적 문제다.
3.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조작해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 일체를 말한다.
4.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병리현상으로 흔히 대도시화로 인한 인간소외 등의 몰가치상황을 의미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뒤르켐(Durkheim)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사회 규범과 가치관이 약화되고, 개인의 소속감과 연대감이 상실되는 아노미(Anomie) 현상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아노미 상태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찾지 못하거나, 기존의 규범과 가치관에 대한 확신을 잃고 혼란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상황은 범죄, 자살, 사회적 갈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urbanism_03]
20.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도시에서 시작되었던 것을 히포다무스(Hippodamus)가 그리스의 도시계획에 적용시킨 것은?
1.
성곽의 축조
2.
격자형 가로망
3.
공중정원의 설치
4.
공공시설의 중앙배치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히포다모스(Hippodamus, 도시계획의 효시) : 격자형 가로망 주장(Gridiron) - 문예부흥 이후 격자형 도시계획의 근원 - 격자형 가로망을 사용하여 매우 정연한 형태로 건립 [해설작성자 : 령령]
2과목 :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와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자연적 접근 통제
2.
교통 편의성
3.
영역성 강화
4.
자연적 감시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범죄예방환경설계는 자연적 감시를 통해 범죄의 발생수준과 공포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목적. 편의성 관련 내용은 관련 없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홍챔]
22.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 위에 20m 간격으로 등고선이 그려져 있고 5줄마다 계곡선이 있다. 어떤 사면의 경사를 알기 위해 측정한 계곡선 간의 수평거리가 1.2cm일 때 이 사면의 경사도는?
1.
약 9%
2.
약 12%
3.
약 17%
4.
약 2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경사도 = 등고선간의 거리 / 표고차(h) = 0.012 X 50,000 / 20m X 5 = 0.17 (17%) [해설작성자 : 지니]
뷰캐넌보고서(Buchanan Report)의 “통과교통으로부터 생활환경 보호”의 개념과 관련하여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슈퍼블록
2.
획지분할
3.
보행자데크
4.
거주환경지역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거주환경지역(居住環境地域, environmental area) 영국의 뷰캐논(Colin Buchanan) 보고서에서 제안된 개념으로서 자동차 교통 위험없이 사람들이 안심하고 거주하며, 도보로 통학과 쇼핑을 할 수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이 지역안에서는 차량통행을 전혀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생활환경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허용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보행자가 완전 우선된다. 이 지역의 바깥을 둘러싸는 도로의 네트워크와 거주환경 지역으로 세포조직과 비슷한 시스템을 조립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령령]
28.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2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는 기간도로와 접하거나 기간도로로부터 당해 단지에 이르는 진입도로의 폭을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를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 생태적 요소로 구분할 때, 생태적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소음
2.
배수
3.
지세
4.
이미지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미지는 사회적요소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이지연]
이미지는 사회적 요소가 맞음 출처: 사회적 소텽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목표 및 전략도출 논문 [해설작성자 : 초막]
35.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지점의 소음도가 최소 얼마 이상인 경우에 방음벽·방음림 등의 방음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45데시벨
2.
55데시벨
3.
65데시벨
4.
75데시벨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제9조(소음방지대책의 수립) ① 사업주체는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지점의 소음도(이하 “실외소음도”라 한다)가 65데시벨 미만이 되도록 하되, 65데시벨 이상인 경우에는 방음벽ㆍ방음림(소음막이숲) 등의 방음시설을 설치하여 해당 공동주택의 건설지점의 소음도가 65데시벨 미만이 되도록 법 제42조제1항에 따른 소음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다만, 공동주택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따른 도시지역(주택단지 면적이 30만제곱미터 미만인 경우로 한정한다) 또는 「소음ㆍ진동관리법」 제27조에 따라 지정된 지역에 건축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 그 공동주택의 6층 이상인 부분에 대하여 본문을 적용하지 않는다. <개정 2007. 7. 24., 2010. 6. 28., 2013. 6. 17., 2016. 8. 11., 2021. 1. 5.> 1. 세대 안에 설치된 모든 창호(窓戶)를 닫은 상태에서 거실에서 측정한 소음도(이하 “실내소음도”라 한다)가 45데시벨 이하일 것 2. 공동주택의 세대 안에 「건축법 시행령」 제87조제2항에 따라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환기설비를 갖출 것 ② 제1항에 따른 실외소음도와 실내소음도의 소음측정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환경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한다. <신설 2007. 7. 24., 2008. 2. 29., 2013. 3. 23.> ③ 삭제 <2013. 6. 17.> ④ 삭제 <2013. 6. 17.> ⑤ 법 제42조제2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건설지역이 도로와 인접한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다만, 주택건설지역이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 별표 3 제1호의 사업구역에 포함된 경우로서 환경영향평가를 통하여 소음저감대책을 수립한 후 해당 도로의 관리청과 협의를 완료하고 개발사업의 실시계획을 수립한 경우는 제외한다. <신설 2013. 6. 17., 2014. 7. 14., 2016. 8. 11.> 1. 「도로법」 제11조에 따른 고속국도로부터 300미터 이내에 주택건설지역이 있는 경우 2. 「도로법」 제12조에 따른 일반국도(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왕복 6차로 이상인 도로만 해당한다)와 같은 법 제14조에 따른 특별시도ㆍ광역시도(자동차 전용도로만 해당한다)로부터 150미터 이내에 주택건설지역이 있는 경우 ⑥ 제5항 각 호의 거리를 계산할 때에는 도로의 경계선(보도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로와 보도와의 경계선을 말한다)부터 가장 가까운 공동주택의 외벽면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신설 2013. 6. 17.> [제목개정 2013. 6. 17.] [해설작성자 : ㅇㅇ]
36.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냇물·연못·동산 등과 같은 자연 경관적 요소들을 제공한다.
2.
기존의 자연환경을 보전·향상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3.
공기정화를 위한 순환통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미기후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4.
오픈스페이스의 적극적 확보를 위하여 평탄한 곳과 차량 접근성이 뛰어난 곳을 우선 확보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오픈스페이스(Open Space): 생태적·사회적·경관적 기능이 어우러진 자연적 공간 4. 평탄하고 차량접근성이 좋은곳(X) → 자연지형을 그대로 살린 형태의 대지(O) [해설작성자 : 홍챔]
37.
도시설계 관련 제도가 도입되었던 당시의 법적 근거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지구단위계획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도시설계 지구지정제도 : 도시계획법
3.
상세계획제도 : 도시계획법
4.
미관지구제도 : 건축법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미관지구제도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은 ‘도시설계제도’ [해설작성자 : JSY]
38.
각종 국지도로 형태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방지함으로써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전성이 모두 확보된다.
2.
격자형은 가로망의 형태가 단순·명료하고, 계획적으로 조성되는 시가지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3.
T자형은 쿨데삭형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택지의 이용효율이 떨어지지만, 보행자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4.
루프(Loop)형은 불필요한 차량 진입이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의 설명은 루프형에 대한 내용 십자형에 비해 교차횟수가 적어서 회전시의 대기시간이 단축되고, 교차로의 우선방향이 명확하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적음, 주택지에서 적극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관리하는 녹지는?
1.
완충녹지
2.
경관녹지
3.
연결녹지
4.
조절녹지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완충녹지: 공해나 각종 사고, 자연재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녹지 경관녹지: 도시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이미 훼손된 지역을 복원 및 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연결녹지: 도시 안의 공원, 하천, 산지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여가·휴식을 제공하는 선형의 녹지 [해설작성자 : 홍챔]
40.
계획 인구 5만명, 주택용지율 75%의 단지계획에서 1인당 택지 점유율이 30m2일 때, 계획대상 단지의 면적은 얼마인가?
1.
11.25ha
2.
66.66ha
3.
150ha
4.
200ha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계획대상 단지 면적= (계획인구 X 1인당 택지 점유율) / 주택용지율 200ha = (5만명 x 30m2)/ 75% [해설작성자 : 구니구니]
3과목 : 도시개발론
4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정비사업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재개발사업
2.
재건축사업
3.
주거환경개선사업
4.
도시재생사업
정답 : [
4
] 정답률 : 74%
42.
도시개발법상 도시개발구역의 전부를 환지 방식으로 시행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시행자로 지정될 수 있는 자는? (단, 기타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한국관광공사
2.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3.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설립된 지방공사
4.
도시개발구역의 토지소유자가 설립한 조합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도시개발구역 전부를 환지방식으로 시행하는 경우의 시행자 다만, 도시개발구역의 전부를 환지 방식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위 5.의 토지 소유자나 6.의 조합을 시행자로 지정합니다(규제「도시개발법」 제11조제1항 단서) [해설작성자 : 령령]
43.
단일 또는 소수의 프로젝트를 신디케이트하는 경우 또는 부동산 사업에 자본을 모집하기 위한 수단인 파트너십의 형태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일반 파트너십(General Partnership)
2.
유한 파트너십(Limited Partnership)
3.
무한 파트너십(Unlimited Partnership)
4.
유한책임 파트너십(Limited Liability Partnership)
정답 : [
4
] 정답률 : 70%
44.
근대도시운동에서 1938년 근대건축국제회의(CIAM)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문제 해설> - 전면재개발 또는 철거 재개발 전면재개발은 밀집시가지, 불량시가지 또는 비위생 주택지를 대상으로 하면서 기존 건축물을 전반적으로 제거해서 새로운 건축물과 공공용지를 확보 할 수 있는 계획적 시가지정비를 하는 도시계획 사업 그러나 지역환경이 악화되어 도시기능과 주거생활이 그 자체로서는 도저히 허용될 수 없는 일정한 대상지에 대해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해서 적정한 건축물과 가로, 주차장, 공원 등 도시시설을 재정비하는 것이 목적
- 수복 재개발 지구수복에 의한 재개발은 도시기능과 생활환경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대상지에서 건축물의 신축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되 나머지 건축물을 수리, 개조함으로써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재개발 방법.
- 보존 재개발 재개발대상지가 현재는 그런대로 바람직스럽지만 앞으로 악화될 염려가 있거나 역사적, 문화적으로 보존해야 될 건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주로 이용. 용도를 규제하고 건축을 제한함으로써 재개발대상지가 이 보다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가치를 보존하려는 수법이 지구보존에 의한 재개발
- 개량재개발 개량재개발은 철거재개발과 반대방식으로 수행하는 재개발, 지구내의 주거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재개발 방식
-순환재개발 재개발구역의 일부 지역 또는 당해 재개발구역 외의 지역에 주택을 건설하거나 건설된 주택(양 주택을 합하여 "순환용주택"이라 함)을 활용하여 재개발구역을 순차적으로 개발하거나 재개발구역 또는 재개발사업시행지구를 수개의 공구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재개발 방식 [해설작성자 : 령령]
농림지역 안에서의 농림어업을 비닐하우스의 설치(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육상어류양식장 제외)
3.
도시지역에서 채취면적이 25m2 이하인 토지에서의 부피 50m3이하의 토석 채취
4.
조성이 완료된 기존 대지에 건축물이나 그 밖의 공작물을 설치하기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절토 및 성토 제외)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50센티미터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아래와 같은 등장배경을 갖는 도시개발 관련 기법(정책)은?
1.
획지분활(Subdivision)
2.
연계정책(linkage policy)
3.
기반도시개발(Infra-city development)
4.
개발권양도(transfer of development rights)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연계정책(Linkage Policy): 도시 내부의 양극화 현성의 심화로 이원도시(Dual City) 형성됨 → 이에 대한 대책으로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도시개발 "연계정책" → 고소득층 주택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주택건설 촉진하려는 개발 형태 [해설작성자 : 홍챔]
교통수단의 선택(modal split)은 통행자, 통행목적, 사용가능한 교통 수단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력모형은 통행분포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형이다. [해설작성자 : 용]
66.
국가발전의 목표를 경제적 효율성보다 사회 내 모든 집단과 개인 생활의 질적 향상에 치중하는 개발전략에 해당하는 이론은?
1.
기초수요이론
2.
성장거점이론
3.
종속이론
4.
불균형개발이론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기초수요이론: 기존 지역발전이론으로 인해 발생한 지역 불균형, 빈곤, 산업 문제 등에 대처하기 위해, 빈곤계층이 품위있는 생활을 하는 데 기본이 되는 최소한의 물품과 서비스를 보장해야한다는 이론 [해설작성자 : 홍챔]
67.
우리나라의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구분한 4대강 유역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한강유역권
2.
금강유역권
3.
섬진강유역권
4.
영산강유역권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대강(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권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4대강 유역의 종합 개발로 농공업 용수를 확보하였다. [해설작성자 : 오아시스]
68.
지역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모형의 가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외부경제와 비경제는 없다.
2.
모든 산업은 하나의 선형적ㆍ동질적 생산함수를 갖는다.
3.
측정 기간 동안 교역계수는 동일하다.
4.
각 산업의 생산물은 결합생산물로 추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4. 각 산업의 생산물은 원초적 생산요소, 중간재, 최종재로 추계한다. [해설작성자 : 0928]
69.
도시지역의 주거입지를 설명하는 상쇄모형(Residential trade-off model)의 주택가격 함수에서 상쇄의 대상이 되는 것은?
1.
소득과 소비
2.
주거비용과 통근비용
3.
주택규모와 주택의 질적 수준
4.
자가용유지비와 대중교통비용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주거지 상쇄모형 : 도시 내 토지이용자들이 교통비(통근비)와 임대료(주거비용)간의 상호교환(Trade-off)를 통해 입지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반영된 주거입지모형 [해설작성자 : 홍챔]
70.
결절지역(nodal 또는 polarized region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역경제 내지 지역정책의 목적 달성을 위해 행정조직에 근거하여 인위적으로 설정한 영역이다.
2.
미국의 표준 대도시 통계지역(SMSA), 일본의 인구집중지구(DID)를 예로 들 수 있다.
3.
결절지역을 분석하는 데 중력모형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4.
기능적 측면에서 공간의 상호 의존성을 고려하여 분류한 지역개념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결절지역 : 경제활동이나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지역 내의 특정 공간 단위 (행정조직에 의해 인위적으로 분류한 것이 아님) [해설작성자 : 홍챔]
71.
다음 중 알론소의 입찰지대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개념은?
1.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2.
단일도심(Monocentric City)
3.
입찰지대(Bid Rent)
4.
필터링(Filtering)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 소비자에게 동일한 만족을 주는 두 재화(X, Y)의 여러 가지 조합점을 이은 곡선 단일도심(Monocentric City) : 접근성이 높은 단일 도심이 형성되어 최고지가지점(PLVI: Peak Land Value Intersection)이 된다. 입찰지대(Bid Rent) : 입찰지대가 높은 곳은 일반적으로 개발밀도가 높게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홍챔]
72.
도시체계에서 한 도시의 규모는 그 도시의 등급에 반비례한다는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은?
1.
순위-규모 법칙(Rank-size Rule)
2.
균형화이론(Equalization Theories)
3.
표준화기법(Standardization Technique)
4.
연쇄체계모형(Recursive System Model)
정답 : [
1
] 정답률 : 79%
73.
수도권정비계획법령에 따른 권역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밀억제권역
2.
성장관리권역
3.
자연보전권역
4.
개발제한권역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과밀억제권역: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하거나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 2.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와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3. 자연보전권역: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74.
선도 또는 추진산업(leading or propulsive industry)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이 낮은 산업이다.
2.
전체 산업의 평균 성장률보다 빠른 성장률을 가진다.
3.
성장을 유도하고 그 성장을 다른 곳으로 확산시킨다.
4.
진보된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 새롭고 역동적인 산업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낮은(X) → 높은(O) [해설작성자 : 홍챔]
75.
인구예측모형을 요소모형과 비요소모형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요소모형에 해당하는 것은?
1.
곰페르츠모형
2.
로지스틱모형
3.
인구이동모형
4.
지수성장모형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요소모형 : 도시인구를 출생, 사망 및 인구이동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합산하여 인구변화 예측 - 연령집단생잔모형, 인구이동모형 비요소모형 : 간접자료에 기반을 둠 - 곰페르츠, 지수, 로지스틱 [해설작성자 : 오아시스]
76.
다음 중 동질적인 집단을 규명하기 위한 분석에서 가장 유용한 통계적 기법은?
1.
로짓모형(Logit Model)
2.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3.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4.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군집분석 : 개체들을 서로 유사한 것끼리 군집화하거나 상관관계가 큰 변수들끼리 집단으로 묶는 통계적 방법 → 권역 설정 시 가장 유용한 방식 [해설작성자 : 홍챔]
77.
도시와 농촌의 구분이 불분명해지고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1932년 도시계획법을 「도시 및 농촌계획법」으로 개정한 나라는?
1.
영국
2.
미국
3.
독일
4.
프랑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영국: 1932년 "도시계획법" → "도시 및 농촌계획법" (도시와 농촌의 통합적 계획) [해설작성자 : 홍챔]
주택법령상 주택건설사업은 시행하려는 자가 사업계획 승인권자에게 사업계획승인을 받아야 하는 주택건설사업의 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단독주택으로서,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한옥을 건설하는 경우)
1.
10호 이상
2.
20호 이상
3.
30호 이상
4.
50호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주택법 시행령 제27조(사업계획의 승인) 1. 단독주택: 30호.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50호로 한다. 가. 법 제2조제24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공사업에 따라 조성된 용지를 개별 필지로 구분하지 아니하고 일단(一團)의 토지로 공급받아 해당 토지에 건설하는 단독주택 나.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제16호에 따른 한옥 -> 한옥을 건설하는 경우 50호이상 [해설작성자 : 재연시]
8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의 정의에 따라 “노후ㆍ불량 건축물”에 해당하는 설명이 아닌 것은?
1.
건축물이 훼손되거나 일부가 멸실되어 붕괴, 그 밖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2.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아니한 건축물 중 중대한 기능적 결함이 있는 건축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
3.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건설하는 경우 건설에 드는 비용과 효용의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축물로서 시ㆍ도 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4.
도시미관을 저해하거나 노후화된 건축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 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효용의 차이가 없는게 아니라 효용의 현저한 증가가 예상된다
85.
수도권정비계획법령상 총량규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수도권에 지나치게 집중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신설 또는 증설을 제한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신설 또는 증설을 제한하는 경우, 신설 또는 증설의 총허용량과 그 산출 근거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다.
3.
공장에 대한 총량규제의 내용과 방법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며, 관할 시ㆍ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4.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신설 또는 증설에 대하여 관련 규정에 따른 총량규제의 내용과 다르게 허가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시도지사 x 국교통부장관 O [해설작성자 : 중앙화이팅]
8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상 하나의 도시지역 안에 있어서의 도시공원의 확보기준은? (단, 개발제한구역 및 녹지지역을 제외한 도시지역 안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3m2 이상
2.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4m2 이상
3.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5m2 이상
4.
해당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6m2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4조(도시공원의 면적기준) [해설작성자 : 모이]
87.
주택법령상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려는 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호수 이상의 주택단지를 공구별로 분할하여 주택을 건설ㆍ공급하고자 할 때, 사업계획승인을 받기 위해 사업계획 승인권자에게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용검사계획서
2.
주택관리계획서
3.
입주자모집계획서
4.
공구별 공사계획서
정답 : [
2
] 정답률 : 51%
88.
건축법상 건축물의 대지는 최소 얼마 이상이 도로에 접하여야 하는가? (단, 자동차만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는 제외한다.)
1.
2m
2.
4m
3.
5m
4.
6m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대지는 2m이상의도로로 (자동차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를 제외)에 접해야함 [해설작성자 : 멍]
8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상 도시공원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조례로 정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근린공원
2.
묘지공원
3.
체육공원
4.
국립공원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도시공원의 세분 및 규모) 1. 국가도시공원 2. 생활권공원 :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3. 주제공원 :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도시농업공원, 방재공원, 그 밖에 조례로 정하는 공원 [해설작성자 : 모이]
90.
주차장법령상 단지조성사업 등으로 설치되는 노외주차장에 경형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과 환경친화적 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을 합한 주차구획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노외주차장 총 주차대수의 1% 이상
2.
노외주차장 총 주차대수의 3% 이상
3.
노외주차장 총 주차대수의 5% 이상
4.
노외주차장 총 주차대수의 10%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경형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 + 환경친화적 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 총주차대수의 10% 이상 환경친화적 자동차를 위한 전용주차구획: 총주차대수의 5% 이상 [해설작성자 : 홍챔]
9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 따라,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 당해 건축물에 대한 규정 용적률의 200% 이하의 범위 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용적률을 따로 정할 수 있는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업지역
2.
개발진흥지구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5조 (용도지역안에서의 용적률) 다음 각호의 지역ㆍ지구 또는 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당해 건축물에 대한 용적률은 제1항 각호의 규정에 의한 해당 용적률의 200퍼센트 이하의 범위안에서 대지면적의 제공비율에 따라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도시ㆍ군계획조례가 정하는 비율로 할 수 있다.
1. 상업지역 2. 삭제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사업 및 재건축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개발진흥지구: 용적률 120% 이내에서 완화적용 [해설작성자 : 홍챔]
92.
국토기본법상 국토정책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이 한다.
2.
위촉위원은 국무조정실장이 임명한다.
3.
당연직위원은 국토계획 및 정책에 관하여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서 국무총리가 위촉한 사람으로 한다.
4.
위촉위원회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사임 등으로 인하여 새로 위촉된 위원회 임기는 전임위원 임기의 남은 기간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위원장 : 국무총리 위촉위원은 국무총리가 임명 당연직위원은 대통령령으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령상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수행 업무가 아닌 것은?
1.
국가지원 사항이 포함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심의
2.
도시재생전략계획의 수립과 관련 사업의 추진 지원
3.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주민의 의견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4.
현장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정답 : [
1
] 정답률 : 60%
9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령상 정비계획의 변경 시 주민에 대한 서면통보, 주민설명회, 주민공람 및 지방의회의 의견청취 절차를 거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 기준이 아닌 것은? (단, 기타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도시개발법상 시행자가 도시개발사업을 원활히 시행하기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 토지 또는 건축물 소유자의 신청을 받아 건축물의 일부와 그 건축물이 있는 토지의 공유지분을 부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류지
2.
체비지
3.
증감환지
4.
입체환지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입체환지]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얻어 환지의 목적인 토지에 갈음하여 시행자가 처분할 권한이 있는 건축물의 일부와 그 건축물이 있는 토지의 공유지분을 부여 -집단체비지 내에 공동주택 또는 상가를 건설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부하예프]
96.
국토교통부장관이 산업단지 외의 지역에서의 공장설립을 위한 입지 지정과 지정 승인된 입지의 개발에 관한 기준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다른 계획과의 조화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주택건설 및 공급에 관한 사항
2.
토지가격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3.
산업시설용지의 적정이용기준에 관한 사항
4.
환경보전 및 문화재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령 ① 법 제4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입지지정 및 개발에 관한 기준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개별공장입지의 선정기준에 관한 사항 2. 산업시설용지의 적정이용기준에 관한 사항 3. 기반시설의 설치 및 정비에 관한 사항 4. 산업의 적정배치와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5. 환경보전 및 문화재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6. 토지가격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7. 기타 다른 계획과의 조화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a]
97.
건축법령상 각 시설군에 속하는 건축물의 용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전기통신시설군 - 발전시설
2.
문화집회시설군 - 운동시설
3.
영업시설군 - 숙박시설
4.
주거업무시설군 – 단독주택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운동시설- 영업시설군 [해설작성자 : 비지덕]
98.
수도권정비계획법령상 과밀부담금의 산정 및 배분 기준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건축비의 100분의 10으로 한다.
2.
지역별 여건을 감안하여 100분의 5까지 정할 수 있다.
3.
건축비는 시장이 고시하는 표준건축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4.
징수된 부담금의 100분의 50은 부담금을 징수한 건축물이 있는 시ㆍ도에 귀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법 제14조(부담금의 산정 기준) ① 부담금은 건축비의 100분의 10으로 하되,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축비의 100분의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건축비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표준건축비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③ 부담금의 산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시장(X) → 국토교통부장관(O) [해설작성자 : 홍챔]
99.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광장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통광장
2.
건축물부설광장
3.
미관광장
4.
지하광장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미관이 아닌 경관 광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관련 시행령 제 2조 (기반시설) 3. 광장 가. 교통광장 나. 일반광장 다. 경관광장 라. 지하광장 마. 건축물부설광장 [해설작성자 : 겅부하는 대학생]
100.
수도권정비계획법령상 대규모 개발사업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택지조성사업은? (단, 면적이 모두 100만m2이상인 경우)
1.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
2.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사업
4.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및 특수지역에서의 주택지 조성사업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제4조(대규모 개발사업의 종류 등)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택지조성사업(이하 “택지조성사업”이라 한다)으로서 그 면적이 100만제곱미터 이상인 것 가.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 나.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 및 대지조성사업 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및 특수지역에서의 주택지 조성사업 [해설작성자 : a]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②
③
③
②
②
②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①
③
④
②
②
②
④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①
④
③
④
④
④
③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④
④
④
③
④
④
③
①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④
②
③
①
①
②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④
②
①
②
④
③
①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①
④
④
③
①
③
④
②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①
④
①
③
②
①
②
③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①
④
③
③
④
②
①
④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④
①
④
④
①
②
③
③
③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