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ㆍ폐금속광산 일대에서 철 수산화물의 침전으로 강 바닥이나 주변 암석이 적갈색을 띄는 현상은?
1.
블루베이비 현상
2.
옐로우보이 현상
3.
백화현상
4.
글레이화 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옐로보이 침전현상 : 폐광산 주변 하천에서 철의 산화에 의해 적갈색 침전이 발생 [해설작성자 : 마빈박사]
2.
토양의 입단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며 만들어내는 균류의 균사에 의해 입단이 형성된다.
2.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면 뿌리 주위의 토양수분이 줄어 토양수축이 일어나고, 입단 형성이 억제된다.
3.
양으로 하전된 점토와 음으로 하전된 점토가 서로 끌리는 현상에 의해 입단이 형성된다.
4.
수화도가 큰 이온은 입단화작용이 약하고, 수화도가 작은 이온은 입단화작용이 강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면 뿌리 주위의 토양 수분이 줄어 토양수축을 일으켜 뿌리가 죽음으로써 미생물의 분해작용으로 입단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꼭따자]
3.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비산출률
2.
비저류계수
3.
수리전도도
4.
비보유율
정답 : [
1
] 정답률 : 75%
4.
나트륨토양의 개량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석회 자재를 투입하여 치환성 Ca포화도를 높인다.
2.
토양 중의 공기를 빼내 토양을 음(-)압으로 만들어준다.
3.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배수에 의하여 수위를 낮춘다.
4.
내알칼리, 내침수성 식물을 재배하여 유기질 잔사를 포장하여 환원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토양 중의 공기를 빼내 토양을 양압(+)으로 만들어준다. [해설작성자 : 아이]
5.
A지역에서 기름이 유출되어 500m 떨어진 B지역의 토양으로 흘러 들어갔다. A지역의 수위가 65m, B지역의 수위가 50m, 오염물질이 이동한 토양의 공극률이 40% 수리전도도가 0.01cm/s일 때, 오염물질이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실제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d)은?
1.
178
2.
232
3.
772
4.
1930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Vdarcy/ Vreal = 공극률 ( Vdarcy= K*(dH/dL) ) 0.01 * ((65-50)/500) = V darcy =a cm/s a/V real =0.4 a/0.4 = b cm/s => 단위환산 m/day 500m/ (V real) = c day c=약 771.6 day =772day
6.
토양 중의 유기물분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그린은 당류에 비해 분해가 빠르게 일어난다.
2.
유기물의 분해는 혐기성조건보다 호기성조건에서 빠르게 일어난다.
3.
탄질률이 큰 유기물은 탄질률이 작은 유기물에 비해 분해가 느리게 일어난다.
4.
토양 공극의 약 60%가 물로 채워져 있을 때 산소의 유통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활성에 필요한 수분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토양 내 유기물 분해 유기물 분해는 호기성 조건에서 더 빨리 일어남 탄질률이 큰 유기물은 탄질률이 작은 유기물보다 분해속도가 느림 토양 공극의 60%가 물로 채워져 있을 때 산소의 유통이 원할하고 미생물의 활성에도 적절한 수분 공급 가능 당류나 단순 단백질은 분해가 빨리 이루어지고 리그린,왁스, 유지등은 분해되기 어려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양이온교환용량이 제일작은 점토광물 : 카올리나이트 양이온교환용량이 가장 큰 점토광물 : 몬모닐로나이트 [해설작성자 : 최씨~!~!]
15.
MTBE가 포화토양층에 평형상태로 용해 또는 흡착되어 있다. 지하수와 토양에서의 MTBE의 농도가 각각 200mg/L, 100mg/kg이며, 포화토양층의 부피가 500m3이다. 토양의 공극률이 20%, 입자밀도가 2.75g/cm3일 때, 토양에 흡착된 MTBE양(kg)과 지하수에 용해된 MTBE양(kg)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110,10
2.
110,20
3.
220,10
4.
220,20
정답 : [
2
] 정답률 : 58%
16.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은 지하수의 흐름특성과 저류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류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극률
2.
비산출률
3.
비저류계수
4.
투수량계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흐름특성 -수리전도도,투수량계수 저류특성-공극률,비저류계수 및 저류계수,비산출율,비보유율 [해설작성자 : 토양]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CEC
2.
RSC
3.
TDS
4.
SAR
정답 : [
4
] 정답률 : 87%
18.
토양오염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해발현의 긴급성
2.
오염경로의 다양성
3.
오염영향의 국지성
4.
지속성 및 잔류성
정답 : [
1
] 정답률 : 88%
19.
토양이 산성화될 때 양이온교환용량과 염기포화도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양이온교환용량과 염기포화도가 모두 증가한다.
2.
양이온교환용량과 염기포화도가 모두 감소한다.
3.
양이온교환용량은 감소하나 염기포화도는 변화가 없다.
4.
양이온교환용량은 변화가 없으나 염기포화도는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20.
유류오염물질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휘발유는 윤활유보다 생분해성이 높다.
2.
윤활유에는 단환고리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3.
디젤유가 지하대수층에 도달하면 DNAPL층을 형성한다.
4.
지하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유류오염은 누출이나 쏟아짐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디젤유는 LNAPL [해설작성자 : 토양]
2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토양 분석을 위하여 진한 염산(12N)으로 0.1N의 염산 250mL을 만들고자 한다. 필요한 진한 염산(12N)의 양(mL)은?
1.
1.5
2.
2.1
3.
3.4
4.
5.2
정답 : [
2
] 정답률 : 66%
22.
유리전극법에 따라 토양의 pH를 측정할 때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5
2.
10
3.
15
4.
20
정답 : [
1
] 정답률 : 76%
23.
광산활동 지역에 대해 상세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30개의 지점에서 표토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지역의 최대 오염토양면적(m2)은?
1.
30000
2.
45000
3.
67500
4.
135000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각 지점의 표본이 대표하는 면적: 4,500 m2 (일반적인 환경 조사 기준) 최대 오염토양면적=지점 수×각 지점당 면적 =30×4500=135,000 [해설작성자 : 참혹한 루피]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4.
수소화물생성-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비소를 분석할 때, 토양 내에 고농도(4000mg/L이상)로 존재하여 화학적 간섭을 일으키는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니켈
2.
아연
3.
수은
4.
코발트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고농도(4000mg/L이상) 존재하여 비소를 분석할 때 화학적 간섭을 일으키는 물질: 니켈, 수은, 코발트, 철, 구리 아연은 해당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아이씨]
25.
토양오염 위해성평가 단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노출평가
2.
독성평가
3.
유해성 결정
4.
오염범위 및 노출농도 결정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유해성 결정이 아닌 위해도 결정임!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26.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검사기기 및 기구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밸브 : 0.7kgf/cm2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2.
가압장치 : 불활성가스 용기 및 압력조정장치를 말한다.
3.
온도계 : 시험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최소눈금 1℃이하를 읽고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압력계(압력자기기록계) :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30%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5 %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한 압력계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27.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 중 유기질수 화합물 및 유기인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것은?
1.
열전도도검출기(TCD)
2.
질소인검출기(NPD)
3.
불꽃광도검출기(FPD)
4.
전자포착검출기(ECD)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기인화합물 및 유기질소화합물의 선택적 검출에 사용하는 검출기 - NPD, FPD, FTD, ECD [해설작성자 : 최양]
28.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중금속을 분석할 때, 광학간섭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파장의 스펙트럼선이 넓어질 경우
2.
원소가 동일 파장에서 발광할 경우
3.
이온과 원자의 재결합으로 연속발광할 경우
4.
원자가 산화 또는 환원하여 이온화합물을 형성할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원자가 산화 또는 환원하여 이온화합물을 형성하는 경우는 화학적 간섭이 발생 [해설작성자 : 127]
29.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따라 토양 중의 불소를 측정할 때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적색
2.
청색
3.
황갈색
4.
무색
정답 : [
4
] 정답률 : 80%
30.
정도관리요소인 검정곡선을 작성하는 방법 중 상대검정곡선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유사하며 시료에는 없는
2.
유사하며 시료에 함유된
3.
다르며 시료에 함유된
4.
다르며 시료에는 없는
정답 : [
1
] 정답률 : 79%
31.
원자흡수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염화제일주석용액에 의해 원자상태로 환원시켜 정량하는 시료는?
1.
납
2.
구리
3.
아연
4.
수은
정답 : [
4
] 정답률 : 69%
32.
수소화물생성-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따라 토양 중의 비소 함량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요오드화칼륨과 아스코르빈산의 역할은?
1.
시료 중의 비소를 3가비소로 환원
2.
시료 중의 비소를 6가비소로 산화
3.
시료 중의 비소를 비화수소로 환원
4.
시료 중의 비소를 비화수소로 산화
정답 : [
1
] 정답률 : 70%
33.
누출검사대상시설 중 “부속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누출검사대상시설에 용접 또는 나사조임 방식으로 직접 연결되는 배관을 말한다.
2.
지하매설저장시설에 연결되어 누출여부의 판단이 어려운 배관을 말한다.
3.
지하에 매설되어 누출여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배관을 말한다.
4.
액체의 누출여부를 누출검사대상시설 외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된 배관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34.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의 시료채취 및 보관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오염의 개연성이 판단되지 않을 경우 제일 상부의 토양 20cm를 시료부위로 한다.
2.
시료채취봉을 꺼내어 오염의 개연성이 가장 낮다고 판단되는 부위 ±10cm를 시료부위로 한다.
3.
토양을 시추할 때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관계자의 의견을 들어 지하매설시설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토양시료는 직경 5cm이하의 시료채취봉이 들어있는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의 토양시추장비로 채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35.
자외선/가시선 분공법에 따라 토양 중의 시안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인산이수소칼륨 34g과 무수인산일수소나트륨 35.5g을 정제수에 녹여 1L로 한 용액의 이름은?
1.
인산탄산염 완충액
2.
인산염 완충액(pH:6.8)
3.
무수인산나트륨 완충액
4.
인산이수소칼륨 완충액(pH:9.0)
정답 : [
2
] 정답률 : 74%
36.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입시험법에 따라 시험을 수행할 때 판정기준은?
1.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한다.
2.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한다.
3.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한다.
4.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37.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이하를 말한다.
2.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대(0℃, 1기압, 상대습도 0%)로 환산하여 표시한다.
3.
제반 시험 조작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실온에서 실시하고 조작 직후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
4.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실온이 아니라 상온입니다.
38.
퍼기-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토양 중의 BTEX를 분석할 때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섭물질이 발견되면 증류하거나 정제컬럼에 의해 제거한다.
2.
원심분리기는 4℃이하에서 원심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3.
시료 중의 BTEX를 헥산 또는 사염화탄소로 추출하여 검액을 얻는다.
4.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0~4℃의 냉암소에서 보존하고 14일이내에 분석에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BTEX-메틸알코올로 추출 [해설작성자 : 룰루]
39.
몇 년마다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개선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가?
1.
1
2.
2
3.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44%
40.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경우 흡광도의 눈금 보정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 2시간 ㉡ N/20 ㉢ 0.0303
2.
㉠ 3시간 ㉡ N/20 ㉢ 0.0303
3.
㉠ 3시간 ㉡ N/10 ㉢ 0.0303
4.
㉠ 3시간 ㉡ N/20 ㉢ 0.1303
정답 : [
2
] 정답률 : 68%
3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일반적으로 유기화학물질의 생분해능은 화합물의 분자구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다음 중 생분해기능이 가장 높은 화합물은?
1.
할로겐화된 화합물
2.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3.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4.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유기화학물질의 난분해성 조건 1. 할로겐화된 화합물 2. 분자 내에 수많은 할로겐 원소를 함유한 화합물 3.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4. 원자의 전하차가 큰 화합물 5.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해설작성자 : 정토양]
42.
생물학적 복원기법에서는 호기성 조건을 형성하기 위하여 산소를 주입하여야 한다. 적정한 산소주입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압축산소 주입
2.
대기 중의 공기 주입
3.
과산화질소(N2O2) 주입
4.
과산화수소(H2O2) 주입
정답 : [
3
] 정답률 : 80%
43.
바이오스파징(Biosparging)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하수의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 없다.
2.
오염물질이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
3.
지상의 영업이나 활동에 방해받지 않고 정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생분해가 주요 제거 메커니즘이므로 배출가스의 처리가 필요없을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정의 : 포화대수층에 공기유입정을 설치 폭기하여 지하수내 호기성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 분해능을 높이고 아울러 오염물질을 불포화대로 확산시켜 토양 내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를 이용한 정화기법 단점 1. 수리전도도가 너무 크면 오염물질이 확산될 수 있다 2. 적용부지의 지층이 층상구조를 가져도 그렇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44.
열탈착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2.
유기염소와 유기인 살충제를 검출한계 이하까지 제거할 수 있다.
3.
같은 용량의 소각 공정에 비해 발생하는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4.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열탈착 기술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데에도 효과가 뛰어납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열탈착 기술은 중유, 윤활유, VOC, 유기성 오염물질의 거의 모두 처리가 가능하지만, 중금속은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수분함량 조절을 위해 탈수과정의 전처리가 필요하므로 수분함량이 높은 물질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정답 4번 [해설작성자 : 제발알고작성하세요]
[오류신고 반론] 열탈착 기술이 중금속 처리 가능하다고 토양환경센터 홈페이지 열탈착법 설명에 명시돼있어요 [해설작성자 : 오리]
[오류신고 반론] 열탈착기술은 토양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열을 가해 수분과 유기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단순히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즉 처리해야할 토양의 부피를 줄이고 다른 공법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함이 가장 큽니다. 아래 내용은 토양환경센터 홈페이지에 명시된 내용입니다. 할로겐, 비할로겐 휘발성물질 및 준 휘발성물질, PCBs, 농약, 살충제 등 유기성 오염물질은 모두 처리가능하나 카드뮴이나 수은을 제외한 중금속은 일정온도에서 처리가 되지 않으며 온도를 높이면 유리화 된다. 따라서 이 공정은 중금속으로부터 유기물질을 분리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고형화/안정화, 혹은 탈염소화 공정과 조합되어 운영되며, 오염물질의 최종 농도를 5mg/kg 이하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합시다]
45.
오염된 토양을 세척기법으로 정화 처리할 때, 작업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토사굴착-토사입자분리-토사전처리-조립자처리-세립자처리-오염수처리-잔류물처리
2.
토사굴착-토사전처리-토사입자분리-조립자처리-세립자처리-오염수처리-잔류물처리
3.
토사굴착-토사전처리-조립자처리-세립자처리-토사입자처리-오염수처리-잔류물처리
4.
토사굴착-토사전처리-오염수처리-토사입자분리-조립자처리-세립자처리-잔류물처리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일단 토양세척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외부환경의 영향이 적고,자체적인 조건 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임을 전제로 1. 전처리 : 오염토양을 세척장치에 투입 전 선별,분리,혼합 등 가공하는 과정 2. 분리 : 토양입자를 63~74마이크로 미터 기준으로 세밀하게 분리 하는 공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열처리기법의 일종으로 4000℃ 고온에서 이온화된 가스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마그마와 같이 용융시켜 유리화시키는 기법은?
1.
전기저항가열기법
2.
무선주파수기법
3.
플라즈마기법
4.
전기스팀기법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플라즈마 기법: 4000도씨 고온에서 이온화된 기체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용융화시켜 원소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문제 해설> 결합체의 수화반응으로 휘발성 물질의 제어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54.
오염토양 20000mg/kg을 열탈착반응조에 투입하여 처리하고자 한다. 오염물질이 0차반응에 의해 분해될 경우, 오염물질을 모두 제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min)은? (단, 속도상수는 4mol/kgㆍh, 오염물질의 분자량은 10g/mol)
1.
20
2.
30
3.
120
4.
180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일단 0차 반응식은 c0(초기농도)-ct(나중농도)=k*t다 그런데 k는 속도상수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숫자/시간 단위로 표현되는데 문제에서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주어진 속도상수와 오염물질 분자량을 곱한다
4mol/kg.hr*10g/mol*1kg/1000g=0.04/hr 0차 반응식 대입하면
20000mg/kg-0(모두 제거)=0.04/hr*t 그런데 처음 주어진 속도상수가 kg으로 표시되어 있었으므로 20000mg/kg을 kg으로 모두 통일하면 0.02kg/kg=0.04/hr*t로 계산t=0.5hr이 나온다
min으로 물어봤으로 단위환산 하면 30분이 최종 나온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5.
화학적 산화ㆍ환원법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물질을 원위치에서 정화할 수 있다.
2.
자연정화법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산화제로 오존, 과망간산이온, 철/과산화수소 등이 사용된다.
4.
부지 내에 존재하는 NAPL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부지 내 NAPL 존재시 이를 회수하거나 처리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하이팅]
56.
운영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도양증기추출법에 의한 누적 오염물질의 저감량(kg)은?
1.
28800
2.
23500
3.
18200
4.
15500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Xkg(누적오염물질저감량) 일단 추출된 오염물질의 양을 의미하고 보기 3가지 요인에 모두 비례한다. 즉 운영기간이 길수록, 유출속도가 빠를수록, 오염증기 농도가 진할수록 많아지므로 세 인자를 모두 곱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단위환산한다 1.2kg/m3*10m3/hr*100day(100*24hr)=28800kg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7.
동전기정화기술을 적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이동
2.
전기영동
3.
전기삼투
4.
전기역전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동전기 정화 기법의 원리 3가지 1. 전기삼투: 전기 경사에 의한 공극수의 이동 2. 전기영동: 전기 경사에 의한 전하를 띤 입자, 토양 콜로이드의 이동 3. 전기이동: 전기 경사에 의한 전하를 띤 화학물질의 이동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8.
토양증기추출기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금속, PCB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는 부적합하다.
2.
헨리상수가 0.01이상인 휘발성오염물질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유기물함량이 높은 토양은 VOC의 흡착능력이 낮아 제거효율이 높다.
4.
미세토양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토양은 공기의 투과성이 낮으므로 증기압을 높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토양증기추출법의 적용상 제한점 1. 불투수성 또는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증기압을 높이기 위해 진공장치의 동력비를 크게해야 한다 2. 추출된 토양가스의 독성을 저감하기 위한 별도의 대기정화설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3. 고농도의 휴믹질이 토양에 존재하거나 건조 토양의 경우 voc 흡착능이 높아 정화효율이 떨어진다 4. 투수성 토양층 내 불투성인 렌즈 모양의 지층 구조가 존재할 경우 오염가스의 추출이 어려워진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9.
Bioventing 공정에 주입되는 공기 유량이 200m3/d, 초기산소농도가 20.9%,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가 5.9%, 토양 체적이 5000m3 토양의 공극률이 15%일 때, 평균 산소 소모율(%O2/d)은?
<문제 해설> 토양경작법과 바이오파일의 공통 메커니즘 1. 오염토양을 굴착한 뒤 별도의 부지에 옮긴다 2. 토양 내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활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므로 미생물 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공기(산소), 수분, 영양분을 공급한다->기본적으로 정화부지를 호기성 환경으로 조성한다
차이점은 토양경작법이 토양을 얇게 편 후 정기적으로 뒤집어 줌으로써 외부 공기와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비이오파일은 상대적으로 높게 더미를 쌓고 내부에 공기를 강제통풍시켜 인위적으로 순환시키는 점이 다른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61.
토양환경보전법령상 대책지역에 대한 토양보전대책에 관한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양오염도 조사
2.
오염토양 개선사업
3.
토지 등의 이용 방안
4.
주민건강 피해조사 및 대책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토양보전대책 계획 수립 시 포함사항) - 오염토양 개선사업 - 토지 등의 이용방안 - 주민건강 피해조사 및 대책 - 피해주민에 대한 피해조사 및 대책 - 그 밖에 해당 대책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sandy]
62.
토양환경보전법령상의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처리업 : 토양을 적절한 방법으로 정화 처리하는 업을 말한다.
2.
토양오염물질 :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토양오염 : 사업활동이나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건강ㆍ재산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을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토양처리업이 아닌 토양정화업임 [해설작성자 : 127]
63.
지하수의 수질기준 항목 중 특정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소
2.
톨루엔
3.
염소이온
4.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하수의 일반 오염물질 : 수소이온농도, 총대장균군, 질산성 질소, 염소 이온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
64.
토양환경보전법령상 위해성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위해성평가 대상 중금속류 물질은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6가크롬, 아연, 니켈이다.
2.
위해성평가서의 요약본을 해당 기관의 인터넷홈페이지 등에 20일이상 공고하고 위해성 평가대상 오염토양으로 영향을 받게되는 지역의 주민이 위해성평가서를 공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환경부장관이 위해성평가서를 검증하는 경우 기술적 사항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립환경과 학원 또는 한국환경공단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
4.
위해성평가의 결과를 토영정화의 시기에 반영하려는 경우 위해성평가의 최초검증 후 2년마다 위해성평가기관으로 하여금 대상지역에 대한 오염토양 모니터링을 실시하도록 해야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위해성평가의 결과를 토영정화의 시기에 반영하려는 경우 위해성평가의 최초검증 후 매년마다 위해성평가기관으로 하여금 대상지역에 대한 오염토양 모니터링을 실시하도록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영치]
65.
다음 중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토양오염도 검사수수료가 가장 비싼 검사항목은?
1.
불소
2.
비소
3.
수은
4.
유기인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불소: 71,100원 비소, 수은: 44,200원 유기인:35,100원
제일 비싼 벤조피렌,PCB는 114,000원 제일 저렴한 시안은 17,700원 [해설작성자 : 민서쿠]
66.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토양정화업자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인력은 해당분야에 종사하게 해야 한다.
2.
토양정화업자는 매년 12월31일까지 토양정화실적을 시ㆍ도지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3.
정화현장에 오염토양의 정화공정도 및 정화일지를 작성하여 비치하고, 정화일지는 2년간 보관해야 한다.
4.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정화검증을 위한 정화현장 방문, 시료의 채취 등 검증 업무수행을 방해해서는 아니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토양정화업자는 매년 1월31일까지 토양정화실적을 시ㆍ도지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영치]
67.
토양환경보전법령상 보관, 운반 및 정화 등의 과정에서 오염토양을 누출ㆍ유출시킨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백만원 이하의 벌금
2.
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78%
68.
토양환경평가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인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분야 기사 1명이상
2.
해당 분야 산업기사 2명이상
3.
해당 분야 박사 또는 기술사 1명이상
4.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해당 분야 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는 사람 1명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해당 분야 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는 사람 1명이상이 아니라 4명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ㅇ]
[오류신고 반론] 오류아님 토양환경평가기관은 전부다 1명씩임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다 한 명씩이 맞음 오류 아님 [해설작성자 : 최양]
69.
토양환경보전법령상 특정토양오염관리 대상시설의 토양오염도검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년 1회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때에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토양오염도검사를 받아야한다.
2.
토양관련전문기관은 검사신청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시료채취를 해야한다.
3.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적정하게 유지ㆍ관리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사주기를 5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4.
누출검사대상시설을 설치한 후 10년이 경과하였을 때에는 6개월이내에 토양관련 전문기관으로부터 누출검사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