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폐업하는 경우에는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1월 1일 또는 7월 1일)부터 폐업일까지의 공급에 대해 폐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25일 안에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에게 부가가치세를 확정 신고하여 납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휴업, 폐업할 때도 세금이 따라다닌다 (합법적으로 세금 안 내는 110가지 방법 : 기업편, 2014. 1. 5., 신방수) [해설작성자 : 아갓메]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시기로 옳은 것은?
1.
공급단위를 구획할 수 없는 재화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2.
장기할부판매의 경우: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3.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의 경우: 재화의 가공이 완료되는 때
4.
상품권을 현금으로 판매하고 그 후 그 상품권이 현물과 교환되는 경우: 상품권을 현금으로 판매한 때
정답 : [
1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폐업 하는 경우는 폐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25일 이내 장기 할부 판매: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의 경우: 가공된 재화를 인도 상품권: 제홰가 실제로 인도되는 때 [해설작성자 : 레몬한조각]
13.
다음 자료를 토대로 부가가치세법상 과세거래 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지 않는 금액이다.)
1.
21,000,000원
2.
22,000,000원
3.
26,000,000원
4.
27,00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않는 경우: *재화를 담보로 제공하는 것 *사업을 양도하는 것 *조세를 물납하는 것 따라서 공급으로 보지 않는 것 제외한 나머지를 합하면 과세거래 금액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우기]
14.
다음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일반과세자 (주)한공의 2021년 제2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자료이다. 예정신고 시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필요한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