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등의 연소장치에서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연소 방법이 아닌 것은?
1.
2단 연소
2.
저산소(저공기비) 연소
3.
배기의 재순환 연소
4.
연소용 공기의 고온 예열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대기오염 방지기술 (질소산화물 : NOx)
- Thermal NOx : 연소용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고온상태에서 반응하여 NOx가 된다. 이 경우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연소온도가 높고, 연소성에서의 O2가 높고, 또한 고온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이 길수록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NOx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연소온도, O2농도, 체류시간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온도에 대한 경향은 현저하게 나타내며 1600℃ 이상이 되면 NO의 생성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 Fuel NOx : 연료중에 함유하는 질소산화물의 일부가 연소할 때 산화되어 NOx 가 된다. 가스연료중의 질소(N)화합물은 거의 없어, Fuel NOx의 발생도 거의 없다
△ NOx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원리를 적용 한다. ①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농도를 낮게 할 것 ② 고온 영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할 것 ③ 연소온도를 낮출 것. 특히 국부 고온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것 ④ 질소 성분이 적게 포함한 연료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나그네]
방법이 아니라 원리를 적어두셔서 방법들 추가 합니다
질소산화물 생성 억제 및 경감 방법 -물분사법, 2단연소법, 배기가스 재순환연소법, 저산소(저공기비)연소법, 저온연소법, 농담연소법 -건식법 환원제(암모니아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사용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양호하게 하여 연소온도를 낮춘다 -저온 배출가스 일부를 연소용 공기에 혼입해서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농도 저하 -질소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연료 사용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
다음 중 연료 연소 시 최대탄산가스농도(CO2 max) 가 가장 높은 것은?
1.
탄소
2.
연료유
3.
역청탄
4.
코크스로가스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최대 탄산가스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탄소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탄소량이아니고 함량이기때문에 탄소가 정답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3.
체적비로 메탄이 15%, 수소가 30%, 일산화탄소가 55%인 혼합기체가 있다. 각각의 폭발 상한계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기체의 공기 중에서 폭발 상한계는 약 몇 vol% 인가?
1.
46.7
2.
45.1
3.
44.3
4.
42.5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00/(15/15+30/75+55/74) [해설작성자 : 김딱딱]
연소 상한계(UFL : Upper Flammability Limit) 공식을 사용한다. 100/UFL = ∑(V/L) 따라서 100/UFL = (15/15)+(30/75)+(55/74)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4.
어떤 고체연료를 분석하니 중량비로 수소 10%, 탄소 80%, 회분 10% 이었다. 이 연료 100kg을 완전연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약 몇 Nm3 인가?
이론공기량(Ao)을 구하기 Ao : 이론공기량, m : 질량, C : 탄소(%), O : 산소(%), S : 황(%), H : 수소(%) Ao = m*(22.4/0.21)*{(C/12)+((H-O/8)/4)+(S/32)} = 100*(22.4/0.21)*{(0.8/12)+(0.1)/4} = 977.778 [Nm^3] = 약 978 [Nm^3]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문제 해설> 1. 고체연료는 일반적으로 회분을 많이 함유하므로 발열량이 적어진다 2. 완전연소가 어려우므로, 연소효율이 낮고 고온을 얻을 수 없다. 3. 점화 및 소화가 곤란하고 온도조절이 어렵다. 4. 고체연료는 연료의 품질이 불균일하므로 완전연소가 어렵고 공기비가 크다. [해설작성자 : 기수리]
7.
등유, 경유 등의 휘발성이 큰 연료를 접시모양의 용기에 넣어 증발 연소시키는 방식은?
1.
분해 연소
2.
확산 연소
3.
분무 연소
4.
포트식 연소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커피 포트처럼 둥근 모양의 통을 생각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미스터차]
분해연소 : 석탄 목재와 같은 여료가 연소 초기에 화염을 내면서 연소하는 과정 확산연소 : 일정한 양의 가연성 기체에 산소를 접촉시켜 점화원을 주면 산소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기체연료의 연소방식 분무연소 : 액체연료를 미립화하여 연소시키는 연소방식으로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액체연료의 연소방식이며 무화연소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CmHn 1 Nm3를 공기비 1.2로 연소시킬 때 필요한 실제 공기량은 약 몇 Nm3 인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mHn + (m+(n/4))O2 -> mCO2 + (n/2)H2O 이론산소량 Oo = (m+(n/4))nm3 ====> n/2 가 n/4가된건 물은 O하나이지만 산소분자는 O2이기 때문에 2로나눠줘야함 이론공기량 Ao = (1/0.21)(m+(n/4)) nm3 실제공기량 A = 공기비 X Ao = (1.2/0.21)(m+(n/4))nm3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10.
메탄올(CH3OH) 1kg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약 몇 Nm3인가?
1.
4.0
2.
4.5
3.
5.0
4.
5.5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메탄올을 간단히 정리하면 CH4O이고 연소가스가 물과 이산화탄소가 나오므로 CH4O+x O2 = y CO2 + z H2O 인데 우선 y는 좌변단소비교하면 1 z는 좌변 수소 비교하면 2가 나오고 산소를 구하면 1+2x= 1곱2 +2곱 1이므로 X는 1.5가 나옵니다
중량 -부피 문제이므로 이론산소량 =22.4/12 C + 22.4/2 곱 1/2 (H-O/8)+22.4/32 S 식을 쓰고 분자량이 12 +4 +16이므로 32 즉 중량이 탄소는 12/32 수소는 4/32 산소는 16/32 인데 저걸넣으면 1.05가 나오고 거기서 0.21을 나누면 5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CH3OH + 1.5O2 -> CO2 + H20 32 : 1.5X22.4 1KG : X Nm3 X = 1.05 X=Oo Ao(이론공기량) = 0o/0.21 = 1.05/0.21 = 5 Nm3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이론 공기량(Nm^3) = 이론 산소량(Nm^3)/0.21 이론 산소량(Nm^3) = 메탄올의 몰수 X 이론 산소량 X 0.0224 메탄올의 분자량 = 12+4+16 = 32g/mol 메탄올의 1kg 몰수 = 1000g/32g = 31.25mol 이론 산소량 = CH3OH + 1.5O2 -> CO2 + 2H20 이론 산소량(Nm^3) = 31.25 X 1.5 X 0.0224 = 1.05 이론 공기량(Nm^3) = 1.05/0.21 = 5 [해설작성자 : 우주]
11.
중량비가 C:87%, H:11%, S:2%인 중유를 공기비 1.3으로 연소할 때 건조배출가스 중 CO2의 부피비는 약 몇 % 인가?
다음 중 고속운전에 적합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풍량이 많아 배기 및 환기용으로 적합한 송풍기는?
1.
다익형 송풍기
2.
플레이트형 송풍기
3.
터보형 송풍기
4.
축류형 송풍기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측류형 송풍기 특징 - 고속운전에 적합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배기 및 환기용으로 적합 - 풍량이 증가하면 동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집진기에 설치 가능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다익형 송풍기(시로코 송풍기):대표적인 전향 날개 형태를 지닌 원심 송풍기이다. 회전차의 지름이 작은 소형, 경량의 소풍기로 풀량이 많은 편이지만, 고온-고압-고속에는 부적합하다. *플레이트형 송풍기: 6~12개의 날개를 지니며 풍량이 많아 배기가스 흡출용으로 이용되는 방사형 배치의 송풍기이다. 구조가 간단하며 대용량에 적합하지만, 대형이며 무겁고 설비비가 고가이다. 보일러의 흡인통품방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송풍기 형식이다. *터보형 송풍기:후향 날개 형태를 지니며 효율이 60~70% 정도로 좋은편이고 작은 동력으로도 운전이 가능한 원심 송풍기로, 고온-고압-대용량에 적합하지만 소음이 크고 가격이 고가이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대충 탄소랑 수소가 있는 연료의 발열량나오면 수소질량/분자량 = 수소함량 을 계산해보면 수소함량이 높은게 발열량이 높게나오니까 그런식으로 고위발열량이 큰것을 골라도 답이나옵니다 계산해보면 프로판은 18% 에탄은 20% 메탄은 25% 수소는 100% 의 수소함량을 가지고 있고 고위발열량의 수치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과목 : 열역학
21.
순수물질로 된 밀폐계가 가역단열 과정 동안 수행한 일의 양과 같은 것은? (단,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Q는 열량이다.)
1.
-△H
2.
-△U
3.
0
4.
Q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순수물질 밀폐계가 가역 단열과정을 거치면 일의 양은 내부에너지의 감소량과 같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2.
물체의 온도 변화 없이 상(phase, 相) 변화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열량은?
1.
비열
2.
점화열
3.
잠열
4.
반응열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잠열 : 물체의 온도 변화 없이 상변화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열량 증발열-융해열-승화열이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23.
다음 중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액의 비엔트로피는 감소하고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는 증가한다.
2.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액의 비엔트로피는 증가하고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는 감소한다.
3.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는 감소한다.
4.
온도가 올라가면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포화액의 비엔트로피
Ts S = So + C.ln---------- 온도 올라가면 비엔트로피 증가 273.16
* 포화증기의 비엔트로피
г ΔS = ---------- 온도 올라가면 비엔트로피 감소 Ts [해설작성자 : 아~몰라~~]
24.
다음 중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의 상태가 아닌 것은?
1.
주어진 압력에서 포화증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
2.
주어진 비체적에서 포화증기 압력보다 높은 압력
3.
주어진 온도에서 포화증기 비체적보다 낮은 비체적
4.
주어진 온도에서 포화증기 엔탈피보다 높은 엔탈피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과열증기 발생 포화수→습포화증기→건포화증기→(온도상승),(압력일정)→과열증기(포화증기보다 엔탈피가 크다.)
포화증기,과열증기는 주어진 동일 온도에서는 비체적이 동일하다. [해설작성자 : 강도P]
25.
400K, 1MPa 의 이상기체 1 kmol이 700K, 1MPa으로 정압팽창할 때 엔트로피 변화는 약 몇 kJ/K 인가? (단, 정압비열은 28 kJ/kmol·K 이다.)
1.
15.7
2.
19.4
3.
24.3
4.
39.4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엔트로피 S=Cp x ln T2/T1 (절대온도) [해설작성자 : Kim]
* 정압팽창시 엔트로피 변화
T2 700 ΔS = G.C.ln------- = 1 X 28 X ln---- = 15.669(KJ/K) T1 400 [해설작성자 : 아~몰라~~]
26.
체적이 일정한 용기에 400kPa 의 공기 1kg이 들어있다. 용기에 달린 밸브를 열고 압력이 300kPa이 될 때까지 대기 속으로 공기를 방출하였다. 용기 내의 공기가 가역단열 변화라면 용기에 남아있는 공기의 질량은 약 몇 kg 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 이다.)
P2T1 300 X T1 G2 = G1 X ----- = 1 X ------------- = 0.814 Kg P1T2 400 X 0.921T1 [해설작성자 : 아~몰라~~]
27.
다음 중 이상기체에 대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각 기호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기체상수 Cp - Cv = R 또는 (dh/dT) - (du/dT)=R 2. 비엔탈피(h) = u + Pv 또는 u + P / ρ 3. 정적비열(Cv) = R / k-1 4. 정압비열(Cp) = kcv 또는 (k / k-1)*R
28.
밀폐된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들어 있는 기체가 팽창을 하면서 일을 한다. 압력 P[MPa]와 부피 V[L]의 관계가 아래와 같을 때, 내부에 있는 기체의 부피가 5L에서 두배로 팽창하는 경우 이 장치가 외부에 한 일은 약 몇 kJ 인가? (단, a = 3 MPa/L2,b = 2 MPa/L, c = 1 MPa)
-> B상태의 사이클이 0.2 만큼 더 높은 것이 확인 된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35.
가솔린 기관의 이상 표준사이클인 오토 사이클(Otto cycl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ㄱ, ㄴ, ㄷ 전부 정답이다. #오토사이클에 대한 설명 - 압축비가 증가할수록 열효율이 증가한다. - 가열 과정은 일정한 체적 하에서 이루어진다. - 팽창 과정은 단열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36.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냉매의 특징은?
1.
R-12
2.
R-22
3.
R-134a
4.
NH3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암모니아(R-717) : 냉매의 증발열이 매우 커서 표준사이클에서 동일 냉동능력에 대한 냉매순환량이 가장 적고, 냉동효과가 가장 좋은 냉매이다. R-12(CCl2F2) : 프레온 냉매 중 제일 먼저 개발되어 왕복식 압축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R-22(CHClF2) : 비열비가 작아 토출가스 온도가 낮고 성질이 암모니아와 흡사한 냉매이다. R-134a(CH2FCF3) : R-12의 대체냉매로 개발되어 가정용 냉장고 및 자동차 에어컨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37.
압축기에서 냉매의 단위 질량당 압축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가 200 kJ/kg 일 때, 냉동기에서 냉동능력 1kW당 냉매의 순환량은 약 몇 kg/h 인가? (단, 냉동기의 성능계수는 5.0 이다.)
이론 열효율이 높아진다 응축기의 포화온도가 낮아진다 응축기 내의 절대압력이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3과목 : 계측방법
41.
다음 가스 분석법 중 흡수식인 것은?
1.
오르자트법
2.
밀도법
3.
자기법
4.
음향법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오자르트법은 화학적 가스분석법으로 용액흡수제를 사용하는 흡수식 가스분석법이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42.
상온, 1기압에서 공기유속을 피토관으로 측정할 때 동압이 100mmAq 이면 유속은 약 몇 m/s 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1.3 kg/m3 이다.)
1.
3.2
2.
12.3
3.
38.8
4.
50.5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v:유속, g:중력가속도, p:동압, ρ:밀도, sqrt() : 제곱근 v = sqrt(2*p*g/ρ) = sqrt(2*100*9.81/1.3) = 38.8 m/s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43.
유량 측정에 쓰이는 탭(tap)방식이 아닌 것은?
1.
베나 탭
2.
코너 탭
3.
압력 탭
4.
플랜지 탭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유량측정에 사용하는 탭 방식 베나탭 코너탭 플랜지탭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44.
보일러의 자동제어에서 제어장치의 명칭과 제어량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자동연소 제어장치 - 증기압력
2.
자동급수 제어장치 - 보일러수위
3.
과열증기온도 제어장치 - 증기온도
4.
캐스케이드 제어장치 – 노내압력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캐스케이드 제어장치 - 상위 제어루프(제어량을 목표값으로 설정) 및 하위 제어루프(그 목표값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을 조작) [해설작성자 : 응낮터낮]
45.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과 독립적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준량과 비교하여 측정, 계측하는 방법은?
1.
보상법
2.
편위법
3.
치환법
4.
영위법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보상법 : 측정량의 크기가 거의 같은 미리 알고 있는 양의 분동을 준비하여 분동과 측정량의 차이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 편위법 : 스프링 저울 등 측정량이 원인이 되어 그 직접적인 결과로 생기는 지시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밀도는 낮으나 조작이 간단 치환법 :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치환법에 해당하며 정확한 기준과 비교 측정하여 측정기 자신의 부정확한 원인이 되는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46.
다음 비례-적분동작에 대한 설명에서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오프셋
2.
빠른 응답
3.
지연
4.
외란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례 제어에 생기는 약간의 오차를 오프셋이라고 하고, 이 오프셋을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적분 제어이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47.
안지름 1000mm의 원통형 물탱크에서 안지름 150mm인 파이프로 물을 수송할 때 파이프의 평균 유속이 3m/s 이었다. 이 때 유량(Q)과 물탱크 속의 수면이 내려가는 속도(V)는 약 얼마인가?
1.
Q = 0.053 m3/s, V = 6.75 cm/s
2.
Q = 0.831 m3/s, V = 6.75 cm/s
3.
Q = 0.053 m3/s, V = 8.31 cm/s
4.
Q = 0.831 m3/s, V = 8.31 cm/s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탱크에서 나가는 유량과 파이프에서 물을 수송하는 유량은 동일 - 평균 유속이라는 단어에 속지 말 것 - Q:유량,A:면적,v:속도
-> v에 대해 식을 정리 v = 0.053/{(π/4) * 1^2} = 0.0675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48.
램 실린더, 기름탱크, 가압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식 압력계의 일반교정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압력계는?
1.
분동식 압력계
2.
격막식 압력계
3.
침종식 압력계
4.
벨로스식 압력계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격막식 압력계(다이어프램 압력계) : 박막으로 격실을 만들고 압력 변화에 따른 격막의 변위를 링크, 섹터, 피니언, 등에 의해 지침에 전달하여 지시계로 나타내는 탄성식 압력계 침종식 압력계 : 수은이나 기름 위에 종 모양의 플로트를 액 속에 넣고 압력에 따라 떠오르는 플로트의 변위량으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벨로스식 압력계 : 벨로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압력을 가하여 중심축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을 일으키는 양으로 압력을 구하는 탄성식 압력계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49.
다음 측정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량 : 측정하고자 하는 양
2.
값 : 양의 크기를 함께 표현하는 수와 기준
3.
제어편차 : 목표치에 제어량을 더한 값
4.
양 : 수와 기준으로 표시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현상이나 물체 또는 물질의 성질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제어편차 : 자동 제어계에서 목표량과 제어량과의 차이. 서보 기구에서는 (목표값-제어량)을 의미하며, 프로세스 제어인 경우에는 (제어량-목표값)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e79]
50.
부자식(float) 면적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손실이 적다.
2.
정밀측정에는 부적합하다.
3.
대유량의 측정에 적합하다.
4.
수직배관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소유량 측정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51.
액주식 압력계에 필요한 액체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점성이 클 것
2.
열팽창계수가 작을 것
3.
성분이 일정할 것
4.
모세관현상이 작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액체 구비조건 ↑안정성 ↓점성 열팽창계수 변화 모세관현상 표면장력 휘발서 흡수성 항상 액면은 수평을 만들고 높이를 정확히 읽을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박진호]
52.
서미스터의 재질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Ni
2.
Co
3.
Mn
4.
Pb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서미스터 재질로 적합한 것 Ni(니켈), Co(코발트), Mn(망간), Fe(철), Cu(구리)
->Pb(납)은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서미스터는 주로 금속 산화물과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 재질로는 니켈,코발트,철,망간,구리 * 외울 때 "니코철망~구" [해설작성자 : 램실분동]
53.
저항식 습도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저온도의 측정이 가능하다.
2.
응답이 늦고 정밀도가 좋지 않다.
3.
연속기록, 원격측정, 자동제어에 이용된다.
4.
교류전압에 의하여 저항치를 측정하여 상대습도를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응답이 빠르고 정밀도(감도)가 크다 [해설작성자 : 홍길동]
54.
가스미터의 표준기로도 이용되는 가스미터의 형식은?
1.
오벌형
2.
드럼형
3.
다이어프램형
4.
로터리 피스톤형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드럼형 가스미터는 변위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습식 가스미터의 한 종류입니다. 이 미터는 내부 드럼이 액체(보통 물 또는 오일)에 잠겨 있어 가스가 들어가면 드럼을 밀어올려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유량을 계측합니다.
드럼형 가스미터는 유량 측정의 표준기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서미스터NCFMC]
55.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사고온계에서 이용하는 원리는?
1.
제백 효과
2.
필터 효과
3.
원-프랑크의 법칙
4.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정답 : [
4
] 정답률 : 77%
56.
자동제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2.
작업에 따른 위험 부담이 감소된다.
3.
인건비는 증가하나 시간이 절약된다.
4.
원료나 연료를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자동 제어는 인간의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거나 혹은 적게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감소합니다.
57.
1000℃ 이상인 고온의 노 내 온도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온도계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제겔콘(seger cone) 온도계
2.
백금저항온도계
3.
방사온도계
4.
광고온계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백금저항온도계 측정범위 : -50도 ~ +50도 C
58.
내열성이 우수하고 산화분위기 중에서도 강하며, 가장 높은 온도까지 측정이 가능한 열전대의 종류는?
1.
구리-콘스탄탄
2.
철-콘스탄탄
3.
크로멜-알루멜
4.
백금-백금·로듐
정답 : [
4
] 정답률 : 78%
59.
열전대 온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호관 선택 및 유지관리에 주의한다.
2.
단자의 (+)와 보상도선의 (-)를 결선해야 한다.
3.
주위의 고온체로부터 복사열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열전대는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정확히 삽입하여 삽입한 구멍을 통하여 냉기가 들어가지 않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열전대 온도계는 단자의 + - 를 보상도선의 + - 와 일치하도록 연결하여 감온부의 열팽창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60.
압력센서인 스트레인게이지의 응용원리로 옳은 것은?
1.
온도의 변화
2.
전압의 변화
3.
저항의 변화
4.
금속선의 굵기 변화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스트레인게이지는 재료의 변형을 따라 저항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4과목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다음 중 중성내화물에 속하는 것은?
1.
납석질 내화물
2.
고알루미나질 내화물
3.
반규석질 내화물
4.
샤모트질 내화물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중성질 내화물 종류 탄소질, 탄화규소질, 크롬질, 고알루미나질 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고알루미나질(Al2O3) 1) 내화도가 높다 2) 기계적 강도가 큼 3) 각종 Slag에 대해 내식성이 큼 4) 고비중 5) 열전도율이 비교적 큼 6) 용도 . 열풍로 . 균열로 천정 . 가열로 . 시멘트 킬른 . 알루미늄 용해로 . 화학 공업로 . 보일러 . Glass 탱크로 [해설작성자 : 중성고알]
<문제 해설> 윤요(고리가마) = 고리주위에 소성실을 12~18개정도 설치하며 건축재료를 소성하는데 사용 종이 칸막이가 있다 제품이 정지되어있는 고정화상식 소성실 형태가 원형과 타원형으로되어있으며 소성실은 14개정도가 이상적 배기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제품예열 제품의 현열을 이용하여 연소용공기를 예열 폐가스의 수증기나 아황산가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우려가있다 가지연도의 끝부분의 개폐밸브로 연소가스흐름의 방향전환 가능 단가마보다 65%정도의 연료절감 [해설작성자 : 박진호]
71.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사업이 아닌 것은?
1.
에너지사용시설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관리·용역사업
2.
에너지절약형 시설투자에 관한 사업
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원의 개발 및 보급사업
4.
에너지절약 활동 및 성과에 대한 금융상·세제상의 지원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에너지절약 활동 및 성과에 대한 금융상`세제상의 지원은 정부가한다. [해설작성자 : 에너지관리기사 아자]
1. 에너지사용시설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관리-용역사업 2. 에너지절약형 시설투자에 관한 사업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절약을 위한 사업 1)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원의 개발 및 보급사업 2)에너지절약형 시설 및 기자재의 연구개발사업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7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검사대상기기의 계속사용검사 유효기간 만료일이 9월 1일 이후인 경우 계속사용검사를 연기할 수 있는 기간 기준은 몇 개월 이내인가?
1.
2개월
2.
4개월
3.
6개월
4.
10개월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9월 1일 이전 연기 : 연말까지 9월 1일 이후 연기 : 4개월 이내 [해설작성자 : 에너지관리기사 아자]
73.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관한 기본계획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에너지절약형 경제구조로의 전환
2.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한 기술개발
3.
열사용기자재의 안전관리
4.
국가에너지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국가에너지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국가에너지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관한 기본계획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74.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시공업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공업자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시공업자단체를 설립할 수 있다.
2.
시공업자단체는 개인으로 한다.
3.
시공업자는 시공업자단체에 가입할 수 있다.
4.
시공업자단체는 시공업에 관한 사업을 정부에 건의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개인->법인
75.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검사대상기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2종 관류보일러
2.
정격용량이 1.2MW인 철금속가열로
3.
도시가스 사용량이 300kW인 소형온수보일러
4.
최고사용압력이 0.3MPa, 내부 부피가 0.04m3인 2종 압력용기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검사대상기기에서 2종 관류 보일러는 제외입니다. 소형 온수 보일러는 가스사용량이 17kg/h(도시가스는 232.6kW)를 초과하는 것은 검사대상기기에 해당합니다. 답 1번 [해설작성자 : 악미]
76.
두께 230mm의 내화벽돌이 있다. 내면의 온도가 320℃이고 외면의 온도가 150℃일 때 이 벽면 10m2에서 손실되는 열량(W)은? (단, 내화벽돌의 열전도율은 0.96 W/m·℃ 이다.)
1.
710
2.
1632
3.
7096
4.
14391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열전도식 Q=kAdT/L k A 면적 m2 10 dT 온도차 C° 320-150 L 두께 m 0.23 (230mm) 0.96×10x(320-150)/0.23 [해설작성자 : 쩍다리]
77.
에너지법령상 에너지원별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으로 총발열량이 가장 낮은 연료는? (단, 1L 기준이다.)
<문제 해설> 보온재의 구비조건 - 내구성이 있고 변질되지 않을 것 [해설작성자 : 차연준]
79.
에너지이용 합리화법령상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20만 티오이 이상인 에너지다소비사업자의 사업장이 받아야 하는 에너지진단주기는 몇 년인가? (단, 에너지진단은 전체진단이다.)
1.
3
2.
4
3.
5
4.
6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간에너지사용량이 20만toe미만인 업체는 전체진단을 실시하여야 하며, 진단주기는 5년입니다. · 전체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진단주기는 5년이고, · 10만toe 이상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구역별로 나누어 부분진단을 실시하는 경우 진단주기는 3년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에너지다소비사업자는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2,000 티오이 이상일 경우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32조(에너지진단 등)에 따라 5년마다 에너지진단을 받아야한다 [해설작성자 : 박건호]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20만으로 되어 있으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문제 해설> #epm(equivalents per million) :당량농도 - 물 1L 중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을 mg 당량수로 나타낸 것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epm은 물 1L 중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의 동등량을 1백만으로 나눈 값,mg 당량수는 물질의 몰수를 1000으로 곱한 값이므로, epm과 같은 개념이지만 단위가 다름, 정답은 맞지만 굳이 따지자면 오류가 있는 문제.
1번과 2번은 ppm(parts per million)에 대한 설명이고, 4번은 gpg(grains per gallon)설명임 [해설작성자 : 모닝본드]
82.
증기트랩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증기관의 도중이나 상단에 설치하여 압력의 급상승 또는 급히 물이 들어가는 경우 다른 곳으로 빼내는 장치이다.
2.
증기관의 도중이나 말단에 설치하여 증기의 일부가 응축되어 고여 있을 때 자동적으로 빼내는 장치이다.
3.
보일러 동에 설치하여 드레인을 빼내는 장치이다.
4.
증기관의 도중이나 말단에 설치하여 증기를 함유한 침전물을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증기트랩장치는 관의 도중이나 말단에 설치하여 증기가 응축되어 고여있는 것을 자동적으로 빼내어 방지하는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GS칼텍스]
83.
저온부식의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과잉공기를 적게 하여 연소한다.
2.
발열량이 높은 황분을 사용한다.
3.
연료첨가제(수산화마그네슘)를 이용하여 노점온도를 낮춘다.
4.
연소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낮지 않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발열량이 높다고 해서 저온부식 방지에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황분에 의해 저온부식이 유발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황 - 저온부식 바다듐 - 고온부식 [해설작성자 : .]
84.
급수처리에서 양질의 급수를 얻을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어 보급수의 양이 적은 보일러 또는 선박보일러에서 해수로부터 정수(pure water)를 얻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급수처리 방법은?
1.
증류법
2.
여과법
3.
석회소다법
4.
이온교환법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증류법은 해수를 담수화하는 가장 오래된 방법 중 하나로 바닷물을 끓여 수증기를 만들고, 이 수증기를 냉각시켜 담수를 얻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차연준]
85.
보일러 설치·시공기준상 대형보일러를 옥내에 설치할 때 보일러 동체 최상부에서 보일러실 상부에 있는 구조물까지의 거리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주철제보일러는 제외한다.)
1.
60cm
2.
1m
3.
1.2m
4.
1.5m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주철제 보일러를 제외한 대형 보일러를 옥내에 설치할 때는 보일러 동체 최상부에서 보일러실 상부에 있는 구조물까지의 거리는 1.2m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86.
보일러에 설치된 과열기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포화증기의 압력증가
2.
마찰저항 감소 및 관내부식 방지
3.
엔탈피 증가로 증기소비량 감소 효과
4.
과열증기를 만들어 터빈의 효율 증대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과열기는 압력변화 없이 온도만 상승시켜 과열증기로 만드는 장치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87.
지름이 d(cm), 두께가 t(cm)인 얇은 두께의 밀폐된 원통 안에 압력 P(MPa)가 작용할 때 원통에 발생하는 원주방향의 인장응력(MPa)을 구하는 식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번이 원주방향 4번이 축방향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88.
일반적으로 리벳이음과 비교할 때 용접이음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이음효율이 좋다.
2.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3.
진동에 대한 감쇠력이 높다.
4.
응력집중에 대하여 민감하지 않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용접이음의 단점 - 잔류응력이 발생된다. - 진동에 대한 감쇠력이 낮다. - 응력집중에 대하여 민감하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89.
보일러 설치검사기준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5t/h 이하의 유류 보일러의 배기가스 온도는 정격 부하에서 상온과의 차가 300℃ 이하이어야 한다.
2.
저수위안전장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연료를 차단한 후 경보를 울리게 해야 한다.
3.
수입 보일러의 설치검사의 경우 수압시험은 필요하다.
4.
수압시험 시 공기를 빼고 물을 채운 후 천천히 압력을 가하여 규정된 시험 수압에 도달된 후 30분이 경과된 뒤에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가 끝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저수위안전장치는 사고 방지를 위해 연료 차단 전에 경보가 울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90.
열사용기자재의 검사 및 검사면제에 관한 기준상 보일러 동체의 최소 두께로 틀린 것은?
1.
안지름이 900mm 이하의 것 : 6mm(단, 스테이를 부착할 경우)
2.
안지름이 900mm 초과 1350mm 이하의 것 : 8mm
3.
안지름이 1350mm 초과 1850mm 이하의 것 : 10mm
4.
안지름이 1850mm 초과하는 것 : 12mm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4mm [해설작성자 : 모닝본드]
1. 단, 스테이를 부착할 경우 8mm [해설작성자 : 김태봉]
91.
노통보일러 중 원통형의 노통이 2개 설치된 보일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라몬트보일러
2.
바브콕보일러
3.
다우섬보일러
4.
랭커셔보일러
정답 : [
4
] 정답률 : 77%
92.
급수온도 20℃인 보일러에서 증기압력이 1MPa 이며 이 때 온도 300℃의 증기가 1 t/h씩 발생될 때 상당증발량은 약 몇 kg/h 인가? (단, 증기압력 1MPa에 대한 300℃의 증기엔탈피는 3052 kJ/kg, 20℃에 대한 급수엔탈피는 83kJ/kg 이다.)
1.
1315
2.
1565
3.
1895
4.
2325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Ga : 증기발생량, Ge : 상당증발량, h1 : 급수 엔탈피, h2 :증기 엔탈피 Ge = Ga*(h2-h1) / 2257 = 1315.46 kg/h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93.
전열면에 비등 기포가 생겨 열유속이 급격하게 증대하며, 가열면상에 서로 다른 기포의 발생이 나타나는 비등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단상액체 자연대류
2.
핵비등
3.
천이비등
4.
포밍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핵비등 : 전열면에 비등 기포가 생겨 열유속이 급격하게 증대하며, 가열면상에 서로 다른 기포의 발생이 나타나는 비등과정 [해설작성자 : 소고기다시다]
94.
고압 증기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가열하는 보일러의 부속장치는?
1.
재열기
2.
과열기
3.
절탄기
4.
공기예열기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재열기 :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가열하는 장치 과열기 : 고온의 과열증기를 만드는 장치 절탄기 : 보일러 본체나 과열기를 가열하고 연도에 남아 흐르는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급수예열기) 공기예열기 : 보일러 본체나 과열기를 가열하고 연도에 남아 흐르는 연소가스의 열(폐열)을 이용하여 연소실에 들어가는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95.
보일러 슬러지 중에 염화마그네슘이 용존되어 있을 경우 180℃ 이상에서 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적정 pH는?
1.
5.2±0.7
2.
7.2±0.7
3.
9.2±0.7
4.
11.2±0.7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염화마그네슘 용존 180℃ 이상 - 강의 부식 방지 적정 pH 11.2±0.7 [해설작성자 : 차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