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데크플레이트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합판 거푸집을 대체하여 공법을 변경한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안전사고 예방에 탁월한 신개념 건축공법 데크플레이트 시공 전단력에 저항하며 철골부재에 융착시켜 시공한다 스터드볼트시공 스터드모재에 가압하여 시공 대전류를 살생시켜 강한 아크와 함께 삽입시공 전단력이란 물체 안의 어떤 면(面)에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면을 따라 평행되게 작용하는 힘 [해설작성자 : 이준형]
4.
잔향시간이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정지했을 때 음압레벨이 몇 dB 감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가?
1.
40 dB
2.
55 dB
3.
60 dB
4.
70 dB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실내에서 발생한 음 에너지가 백만분의 일(10-6)로 감쇠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건축물의 실내 음향 효과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 음악이나 강연을 들을 때 잔향 시간이 너무 길면 똑똑히 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략 0.5~2초 정도가 좋다. 이는 실내에 소음이 없어도 잔향 시간이 너무 길면 마치 소음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음의 세기가 백분의 1, 음압에서는 천분의 1이 될 때까지, 즉 음압 레벨이 60㏈ 감퇴하는데 필요한 시간(초)으로 나타낸다. 실내의 흡음력, 용적, 음원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최적 잔향 시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해설작성자 : 이준형]
5.
주택의 식사실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D : 부엌의 일부분에 식사실을 두는 형태이다.
2.
DK : 거실의 한 부분에 식탁을 설치하는 형태이다.
3.
LD : 거실과 부엌사이에 식사실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로 동선이 길어져 작업능률의 저하가 우려된다.
4.
LDK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 거실내애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L(Living room), D(Dining room : 식당), K(Kitchen : 주방) DK : 다이닝키친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하는 형태로 공간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식당을 부엌 공간 내에 함께 만든 부엌 형태로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고, 가사노동력도 절감할 수 있다. LD : 리빙다이닝 - 거실의 한 부분에 식탁을 설치한 것. LDK : 리빙키친 - 소규모 주택에서 많이 사용하고, 거실 내에 부엌과 식사실을 설치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사무소건물에 아트리움(atrium)을 도입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에너지 절약에 유리하다.
2.
사무공간에 빛과 식물을 도입하여 자연을 체험하게 한다.
3.
근로자들의 상호교류 및 정보교환의 장소를 제공한다.
4.
보다 넓은 사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아트리움-고대 에너지 절약, 사무 공간의 자연 체험, 근로자의 상호 교류 및 정보 교환의 장소 제공. 그러나 사무 공간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측면판매 - 1 판매원과 고객이 같은 측면에서 판매 2 충동적 구매와 선택이 용이 3 양복, 침구, 전기기구, 서적, 운동용구 판매점 [해설작성자 : 다부 ENG]
10.
반자의 세부 구조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달대받이 → 달대 → 반자틀받이 → 반자틀
2.
달대받이 → 달대 → 반자틀 → 반자틀받이
3.
달대 → 달대받이 → 반자틀받이 → 반자틀
4.
달대 → 달대받이 → 반자틀 → 반자틀받이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반자널 : 천장의 밑면에 댄 넓은 판 반자대 : 천장의 면재를 받는 수평재 반자대받이 : 반자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건너대는 재 달대 : 반자틀을 대들보나 층보에 달아매는 세로부재 달대받이 : 대들보나 층보에 건너대어 달다를 박는 부재 [해설작성자 : 동우]
11.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코어형태는?
1.
편코어형
2.
독립코어형
3.
중심코어형
4.
양측코어형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코어가 중심에 오게 되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SRC(철골철근콘크리트)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구조보다 내진성이 우수하다.
2.
철골구조에 비해 거주성이 좋으며, 내화적이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보다 건물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4.
철골부분은 H형강이 많이 쓰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구조보다 건물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내가보려고적음]
13.
리조트 호텔 배치계획의 부지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광지의 성격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일 것
2.
수량이 풍부하고, 수질이 좋은 수원이 있을 것
3.
조망 및 주변경관의 조건이 좋을 것
4.
도심지에 위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리조트 호텔 배치계획의 부지조건으로 도심지에 위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리조트 호텔은 휴식과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므로 도심지보다는 교통이 편리하고 자연환경이 좋은 지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리조트 호텔 배치계획의 부지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광지의 성격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위치일 것 수량이 풍부하고, 수질이 좋은 수원이 있을 것 조망 및 주변경관의 조건이 좋을 것 교통이 편리할 것 자연환경이 좋을 것 부지면적이 넓을 것 토지가격이 저렴할 것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14.
종합병원의 병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실의 출입문의 폭은 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이어야 한다.
2.
병실의 창문 높이는 환자가 병상에서 외부를 전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병실의 천장은 조도가 높은 마감재료를 사용한다.
4.
환자마다 손이 다는 위치에 간호사 호출용 벨을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병원의 병실은 환자의 회복을 위해 조도가 낮은 마감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도가 높은 마감재는 환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고,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15.
학교건축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부분의 배치는 학생들의 동선을 피하고 중앙에 가까운 위치가 좋다.
2.
주차장은 되도록 학교 깊숙이 끌어들이지 않고 한족 귀퉁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배치형식 중 집합형은 일종의 핑거플랜으로 일조 및 통풍 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하며 구조계획이 간단하다.
4.
운영방식 중 달톤형은 학급과 학생 구분을 없애고 학생들은 각자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며 일정한 교과가 끝나면 졸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집합형은 교실이 일렬로 배치된 형태로, 일조 및 통풍 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하지 않습니다. 또한 구조계획이 복잡합니다. 배치형식 중 핑거플랜은 일련의 긴 건물이 'V'자형으로 배치된 형태로, 일조 및 통풍 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하며 구조계획이 간단하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집합형=폐쇄형, 교사가 L, ㅁ자형 분산병령형=핑거 플랜, 교사를 병렬로 배치한 형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건축물 계획 시 사용하는 모듈(module)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계 작업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2.
건축구성재의 소량생산이 용이해진다.
3.
현장작업이 단순해진다.
4.
건축구성재의 생산비가 높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건축물 계획 시 사용하는 모듈(module)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현장작업이 단순해진다."입니다. 모듈은 건축물의 구성재의 크기를 정하는 단위로, 건축물의 계획, 생산, 사용에 편리한 치수입니다. 모듈을 사용하면 건축물의 구성재를 표준화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시공도 용이합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17.
경사지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각 호마다 전용의 정원 확보가 가능한 주택형식은?
1.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
2.
타운 하우스(Town house)
3.
중정형 하우스(Patio house)
4.
로 하우스(Row house)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테라스 하우스는 경사지에서 아래집의 옥상을 윗집의 정원으로 활용할수 있어 각 호마다 전용정원 확보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metalmind]
18.
도서관 출납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가식은 자유개가식, 안전개가식, 반개가식 등이 있다.
2.
폐가식은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자료를 꺼내서 관원의 확인을 받아 대출기록을 제출하는 방식이다.
3.
자유개가식에서는 반납할 때 서가의 배열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납대를 두는 경우도 있다.
4.
폐가식은 방재, 방습 등을 위해 서고자체의 실내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번은 반개가식 설명. [해설작성자 : 함해볼까]
2번 안전개가식 :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자료를 꺼내서 관원의 확인을 받아 대출기록을 제출하는 방식 - 반개가식: 열람자는 직접 서가에 면하여 책의 체제나 표지정도는 볼 수 있으나, 내용을 보려면 관원에게 요구하여 대출기록을 남긴 후 열람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건축인]
19.
백화점에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는 에스컬레이터에 비하여 소요면적이 크나 승강이 병행되어 경제적이다.
2.
에스컬레이터는 상하수송기관으로서 백화점 등에 주로 사용된다.
3.
엘리베이터는 에스컬레이터에 비해서 수송이 계속적이지 못하고 수송량도 적은 편이다.
4.
에스컬레이터는 설비비가 높아지나 윗층 매장의 활용도 증가로 판매액이 증가되어 설비비를 보충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엘리베이터는 에스컬레이터에 비하여 승강 시간이 길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에 비하여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는 각각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승강 시간이 길지만, 많은 사람을 한 번에 수송할 수 있습니다. 에스컬레이터: 승강 시간이 짧지만, 한 번에 수송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반대로 설명한거같아요,, 에스컬레이터는 많은 수송할수있지만 엘레베이터는 한번에 수송할수있는 사람수가 적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사무소건축의 사무실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부 기둥간격 결정 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골구조에 비해 기둥간격을 길게 가져갈 수 있다.
2.
기준층 계획 시 방화구획과 배연계획은 고려하지 않는다.
3.
개방형 사무실은 개실형에 비해 불경기 때에도 임대자를 구하기 쉽다.
4.
공조설비의 덕트는 기준층 높이를 결정하는 조건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조설비의 덕트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덕트의 높이를 고려하여 기준층 높이를 결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2과목 : 위생설비
21.
급탕배관 방식 중 헤더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리브 공법 채용 시 배관의 교환이 용이하다.
2.
헤더로부터의 지관 도중에는 관이음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3.
선분기 방식에 비해 관의 표면적이 커서 손실열량이 많다.
4.
지관을 소구경으로 배관하면 유속이 빠르게 되어 일반적으로 공기 정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선분기방식에 비해 헤더로부터 연결된 각 배관의 관경이 작아 관의 표면적이 작다 따라서 손실열량은 적다. [해설작성자 : metalmind]
22.
통기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기관과 우수수직관은 겸용하는 것이 좋다.
2.
각개통기방식에서는 반드시 통기수직관을 설치한다.
3.
배수수직관의 상부는 연장하여 신정통기관으로 사용하며, 대기 중에 개구한다.
4.
간접배수계통의 통기관은 다른 통기계통에 접속하지 말고 단독으로 대기 중에 개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통기관은 배수관의 공기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우수수직관은 우수관의 공기를 배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통기관과 우수수직관을 겸용하면 배수관의 냄새가 우수관으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23.
물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은 비압축성 유체로 분류한다.
2.
물은 1기압 4℃에서 비체적이 가장 작다.
3.
4℃ 물을 가열하여 100℃ 물이 되면 그 부피가 팽창한다.
4.
4℃ 물을 냉각하여 0℃ 얼음이 되면 그 부피가 수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물의 성질 액체>고체(부피팽창) 액체>기체(부피팽창) [해설작성자 : 함해볼까]
24.
가스계량기는 전기점멸기와 최소 얼마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30cm
2.
45cm
3.
60cm
4.
90cm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가스계량기와 이격거리 1)전기계량기 및 전기계폐기와의 거리가 60cm 이상 2)굴뚝(단열조치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만 말한다), 전기점멸기 및 전기접속기와의 거리가 30cm 이상 3)절연조치를 하지 아니한 전선과의 거리는 15cm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배관의 수리가 필요한 부분에 유니온이나 플랜지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스카이]
32.
다음 중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기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세탁기
2.
대변기
3.
제빙기
4.
식기세척기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간접배수는 주방, 욕실 등의 바닥에 배수하고 구배에 따라 배수구로 흘러들어가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압보일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직접가열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다.
3.
가열 보일러는 난방용 보일러와 겸용할 수 있다.
4.
직접가열식에 비해 보일러 내면에 스케일이 부착하기 쉽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간접가열식 급탕방식 1. 보일러에서 나오는 증기로 저탕조 안의 물을 가열하는 방식 2. 저탕조 안에 가열코일을 설치 3. 대규모 사용에 적합 4. 증기 가열식으로 난방용 증기보일러가 있으면 겸용 사용하여 관리가 편리하고 설비비가 감소함 5. 저압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호키]
34.
다음 중 배수트랩이 구비해야 할 조건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가능한 한 구조가 간단할 것
2.
배수 시에 자기세정이 가능할 것
3.
가동부분이 있으며 가동부분에 봉수를 형성할 것
4.
유효 봉수 깊이(50mm 이상 100mm 이하)를 가질 것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배수트랩은 가동부분이 없어야 합니다. 배수트랩은 배수관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로, 가동부분이 있으면 배수관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35.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급탕사용량을 기준으로 급탕순환펌프의 유량을 산정한다.
2.
급탕부하단위수는 일반적으로 급수부하단위수의 3/4을 기준으로 한다.
3.
급수압력과 급탕압력이 동일하도록 배관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급탕 배관시 수평주관은 상향 배관법에서는 급탕관은 앞올림구배로 하고 환탕관은 앞내림 구배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급탕순환펌프의 유량은 배관 열손실량으로 산정함 [해설작성자 : 호키]
36.
펌프의 양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면에서 펌프축 중심까지의 수직거리를 토출 실양정이라고 한다.
2.
물이 흐를 때는 유속에 상당하는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 에너지를 속도수두라 한다.
3.
흡수면으로부터 토출수면까지의 거리만큼 물이 올라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전양정이라고 한다.
4.
물을 높은 곳으로 보내는 경우, 흡수면으로부터 토출수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실양정이라고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흡수면에서 펌프축 중심까지의 수직거리는 흡입양정이다. 토출양정은 펌프가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유체의 높이다. [해설작성자 : 킹재]
37.
급수방식 중 수도직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력 차단 시 급수가 불가능하다.
2.
3층 이상의 고층으로의 급수가 용이하다.
3.
저수조가 있으므로 단수 시에도 급수가 가능하다.
4.
수도 본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 수압변화가 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38.
다음 중 펌프의 분류상 터보형 펌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마찰 펌프
2.
사류 펌프
3.
볼류트 펌프
4.
디퓨져 펌프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터보형 펌프는 깃을가진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엑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펌프이다. 터보형은 용적형에 비해 진동이 적고, 연속승수가 가능하며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나 토출량은 압력에 따라 변한다. 터보형 펌프중 원심식 펌프로는 볼류트, 터빈펌프등이 있고 터빈펌프는 임펠러와 스파이럴케이싱사이에 안내깃이 있는 펌프로서 디퓨저펌프라고도 하며 양정 20m 이상의 고양정에 사용된다. 축류식 펌프로는 축류, 경사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마찰펌프는 와류를 이용하여 난류마찰로 펌핑하는 특수펌프 [해설작성자 : metalmind]
39.
다음 중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이 아닌 것은?
1.
수격작용
2.
증발현상
3.
모세관현상
4.
자기사이폰작용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수격작용은 배수관 내의 압력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지는 않습니다.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발현상: 위생기구의 사용빈도가 적을 때 증발에 의하여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 모세관현상: 트랩의 출구 쪽에 걸레조각이나 모발 등이 걸렸을 경우 모세관현상에 의해 봉수가 없어지는 현상 자기사이폰작용: 배수관 내 다량의 공기가 배수 중 혼입되어 사이펀관을 형성하여 만수상태로 흐르면 사이펀작용으로 트랩 내의 봉수가 배수관 쪽으로 흡입 배출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bard 실험버전]
<문제 해설> 바이패스형은 1. 송풍덕트 내의 정압제어가 필요 없다. 2. 유닛의 소음발생이 적다. 3. 송풍동력을 절감시킬 수 없다. 4. 부하변동에 따른 동력용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없다. 5. 천장 네의 조명열을 제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가습장치로 G(kg/h)의 공기를 가습할 때 가습량 L(kg/h)은? (단, 가습장치 입출구 공기의 절대습도는 X1, X2(kg/kg′)이고 가습효율은 100% 이다.)
1.
L = G(X2 - X1)
2.
L = 1.2G(X2 - X1)
3.
L = 717G(X2 - X1)
4.
L = 597.5G(X2 - X1)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물질평형식에 의해 유입되는 총물질의 양과 유출되는 총물질의 양은 동일하다. 가습량 = 가습장치의 공기량 * (출구의 절대습도 - 입구의 절대습도) [해설작성자 : 강비무]
56.
배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관부의 마찰저항은 관경에 비례한다.
2.
글로브 밸브는 슬루스 밸브에 비해 마찰저항이 적어 지름이 큰 배관에 많이 사용한다.
3.
배관 내의 유속이 낮으면 공사비는 절감되나 마찰저항이 커져서 펌프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4.
수배관의 관경은 마찰손실선도에서 유량, 단위 길이당 마찰손실, 유속 중 2개가 정해지면 결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57.
다음 중 상당외기온도 산정 시 고려하지 않는 것은?
1.
외기온도
2.
일사의 세기
3.
구조체의 열관류율
4.
표면재료의 일사흡수율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상당 외기 온도 기계공학용어사전 일사(曰射)가 가지는 효과를 외기 온도로 환산하고 평가하여 그것을 외기 온도에 가산한 값을 말한다. 일사량(日射量)을 I [kal/m2h), 수열면의 흡수율을 ɑ, 외기 온도를 t0[℃], 열전달률을 ɑ0 [kcal/m2 deg] 라고 할 때 상당 외기 온도 ts=t0+(a/a0)I로 주어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당 외기 온도 [solar air temperature, solair temperature, 相當外氣溫度] (기계공학용어사전, 1995. 3. 1., 기계공학사전편찬위원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상당외기온도는 벽면, 지붕면에 일사가 있을 때, 그 효과를 기온의 상승에 환산하여 실제의 기온과 합한 온도로서 산정 요인에는 외기온도, 일사의 세기, 표면재료의 일사흡수율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58.
고속덕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과 진동 발생이 크다.
2.
송풍기의 동력이 적게 든다.
3.
덕트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4.
덕트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고속덕트 : 공기 조화용 덕트 내의 풍속이 15m/s를 넘는 덕트. 천장 내부가 좁은 경우 덕트의 지름을 작게 만들더라도 동일한 양의 공기를 보내기 위해 풍속을 높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열펌프(heat pum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조화에서 냉방 또는 난방기능을 수행한다.
2.
냉동사이클에서 응축기의 방열량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3.
EHP(Electric Heat Pump)는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를 이용한 열펌프이다.
4.
냉동기를 냉각목적으로 할 경우의 성적계수보다 열펌프로 사용될 경우의 성적계수가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EHP(Electric Heat Pump)는 압축식 냉동기의 원리를 이용한 열펌프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습공기 선도의 표시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엔탈피
2.
현열비
3.
상대습도
4.
엔트로피
정답 : [
4
] 정답률 : 63%
4과목 : 소방 및 전기설비
61.
4[H]의 코일에 5[A]의 직류전류가 흐를 때 코일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1.
10[J]
2.
20[J]
3.
50[J]
4.
100[J]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L:코일, I:전류 W=1/2*( L * I ^2) [ 1/2*(4*5^2)=50 [J] [해설작성자 : 달라홀스]
62.
소방시설 관련 설비의 설치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2.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 제외)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에 비치한다.
3.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4.
연결송수관설비의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는 지면으로 부터 0.5m이상 1.0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피뢰침에 근접한 뇌격을 흡인하여 전극으로 확실하게 방류하기 위한 요구조건으로 옳은 것은?
1.
도체저항이 커야 한다.
2.
접촉저항이 커야 한다.
3.
접지저항이 작아야 한다.
4.
돌침의 보호각이 작아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접지가 잘 되어야 하는데 접지 저항이 크면 되겠습니까? [해설작성자 : 킹재]
64.
특정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에 옥내소화전이 2개가 설치되어 2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과 방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소리를 차단하는데 장애가 되는 부분이 없도록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숙박시설의 객실 간 경계벽
2.
의료시설의 병실 간 경계벽
3.
업무시설의 사무실 간 경계벽
4.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 간 경계벽
정답 : [
3
] 정답률 : 77%
89.
다음의 용도변경 중 허가 대상에 속하는 것은?
1.
문화 및 집회시설에서 업무시설로의 용도변경
2.
판매시설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의 용도변경
3.
방송통신시설에서 교육연구시설로의 용도변경
4.
자동차관련시설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의 용도변경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용도변경의 시설군에는 1.자동차 관련 시설군, 2.산업 등의 시설군, 3.전기통신시설군, 4.문화 및 집회시설군, 5.영업시설군, 6.교육 및 복지시설군, 7.근린생활시설군, 8.주거업무시설군, 9.기타의 시설군이 있는데 신고 대상은 1에서9순이고, 허가 대상은 9에서 1순이다. 여기서, 판매시설은 영업시설군에 속한다. 즉 영업시설군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의 용도변경이므로 역순이므로 허가 대상이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90.
장례식장의 용도로 쓰이는 건축물의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m2인 경우 반자의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2.1m
2.
2.4m
3.
2.7m
4.
4.0m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제16조(거실의 반자높이) ① 영 제50조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하는 거실의 반자(반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 또는 바로 윗층의 바닥판의 밑면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 이하같다)는 그 높이를 2.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ㆍ식물원은 제외한다),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 중 유흥주점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관람실 또는 집회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의 반자의 높이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4미터(노대의 아랫부분의 높이는 2.7미터)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기계환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개정 2010.4.7, 2019.8.6> [해설작성자 : 린짱]
배연구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연 경우에는 배연의 의한 기류로인하여 닫히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②특별피난계단 및 영 제9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설비의 구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1996. 2. 9., 1999. 5. 11.>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2. 배연구에 설치하는 수동개방장치 또는 자동개방장치(열감지기 또는 연기감지기에 의한 것을 말한다)는 손으로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것 3. 배연구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연 경우에는 배연에 의한 기류로 인하여 닫히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배연기를 설치할 것 5. 배연기는 배연구의 열림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고, 충분한 공기배출 또는 가압능력이 있을 것 6. 배연기에는 예비전원을 설치할 것 7. 공기유입방식을 급기가압방식 또는 급ㆍ배기방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호 내지 제6호의 규정에 불구하고 소방관계법령의 규정에 적합하게 할 것 따라서 배연구는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연 경우에는 배연의 의한 기류로인하여 닫히지 않도록 할 것으로 고쳐져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
93.
특정소방대상물이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인 경우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수용인원 기준은?
1.
수용인원이 50명 이상인 것
2.
수용인원이 100명 이상인 것
3.
수용인원이 150명 이상인 것
4.
수용인원이 200명 이상인 것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화 및 집회시설중 공연장의 경우는 수용인원이 100명 이상, 영화관 용도가 지하층 또는 무창층인 경우는 500m2 이상, 그밖의 층은 1,000m2 이상 무대부가 지하층 무창층 또는 4층 이상일 경우 무대부의 면적이 300m2 이상인것 그외에는 500m2 이상인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세대수가 5세대인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음용수 급수관의 지름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건축물 지하층에 설치하는 비상탈출구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주택이 아닌 경우)
1.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2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2.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m 이상으로 할 것
3.
비상탈출구의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라 할 것
4.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m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건축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주택의 종류는?
1.
연립주택
2.
단독주택
3.
다가구주택
4.
다세대주택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다가구 -660m2 이하 3층 이하(단독주택) 다세대 -660m2 이하 4층 이하(공동주택) 연립주택 -660m2 초과 4층 이하(공동주택) 아파트 - 5층 이상(공동주택) [해설작성자 : 다부ENG]
97.
건축물에 건축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관계전문기술자의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연면적 기준은? (단, 창고시설 제외)
1.
1000m2 이상
2.
2000m2 이상
3.
5000m2 이상
4.
10000m2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문기술자 협력을 받아야 하는 대상 1. 건축물 연면적 10,000M^2 이상 2. 아파트 및 연립주택 3. 숙박/의료시설 바닥면적 합계 2,000M^2 이상 4. 판매/업무시설, 연구소 바닥면적의 합계 3,000M^2 이상 5. 공조시설은 제외 [해설작성자 : 다부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