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의 전자-기계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는 카가 정격속도로 정격하중의 몇 %를 싣고 하강방향으로 운행될 때 구동기를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
1.
110
2.
115
3.
125
4.
130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정격하중의 125 % 를 싣고 하강방향으로 운행될 때 구동기를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결혼은할수있을런지]
2.
권상 도르래·풀리 또는 드럼의 피치직경과 로프(벨트)의 공칭 직경 사이의 비율은 로프(벨트)의 가닥수와 관계없이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주택용 엘리베이터는 제외한다.)
1.
36
2.
40
3.
46
4.
50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권상기는 40배 조속기 30배 [해설작성자 : 살려줘]
3.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기계실의 배치가 자유롭다.
2.
건물 꼭대기부분에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3.
승강로 꼭대기 틈새가 작아도 좋다.
4.
전동기의 소요동력이 작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번: 전동기의 소요동력이 작아진다입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전동기를 사용하여 펌프를 구동하고, 이 펌프가 유압 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여 카를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동기의 소요 동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전기식 엘리베이터는 전동기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카를 구동하므로 전동기의 소요 동력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장점으로 '전동기의 소요동력이 작아진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4.
엘리베이터의 카에서 비상시 작동하는 비상등은 몇 lx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
2.
5
3.
10
4.
20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법 개정전에는 2lx 이상이었지만 법 개정 이후 5lx 로 바뀌었음 [해설작성자 : 노홍철]
[2019년 04월 04일 개정된 규정]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제4조제1호 관련) 8.10.4 카에는 자동으로 재충전되는 비상전원공급장치에 의해 5 ㏓ 이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등이 있어야 한다. 이 비상등은 다음과 같은 장소에 조명되어야 하고, 정상 조명전원이 차단되면 즉시 자동으로 점등되어야 한다.
5.
엘리베이터 조작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먼저 눌러져 있는 호출에 응답하고, 그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는 다른 호출에 일체 응답하지 않은 것을 단식 자동식이라 한다.
2.
승강장의 누름버튼은 두 개가 있고, 동시에 기억시킬 수 있으며, 카는 그 진행방향의 카버튼과 승강장버턴에 응답하면서 승강하는 것을 군 관리방식이라 한다.
3.
먼저 눌러져 있는 호출에 응답하고, 그 운전이 완료되기 전에도 다른 호출에 응답하는 것을 카 스위치 방식이라 한다.
4.
승강장 누름버턴은 두 개인데 동시에 기억시킬 수 없으며, 카는 그 진행방향의 카버튼과 승강장버튼에 응답하는 것을 승합 전자동식이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조작방식에 의한 분류 1) 엘리베이터 1대의 조작방식 (1) 운전자가 있는 수동식의 경우는 다음 두 가지이다. 1 카스위치 : 카의 모든 기동정지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카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직접 이루어 진다. 2 신호방식 : 카의 문 개폐만이 운전자의 레버나 누름버튼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진행방식의 결정이나 정지층의 결정은 미리 눌러져 있는 카내 행선층 버튼 또는 승강장 버튼에 의해 이루어진다. (2) 자동식인 것은 다음 세 종류이다. 1 단식자동방식(Single Automatic) 먼저 누른 버튼호출에만 응답하고 그 운전이 완료될 때까지는 다른 호출에 응하지 않는다. 자동차용, 화물용에 사용된다. 2 하강승합 전자동방식(내리는 승합 전자동식, Down Collective) 2층 또는 그 위층에서는 승강장에서 내리는 방향 버튼만 있고, 중간층에서 위층으로 가기 위해 일단 1층으로 내려온 후 다시 올라간다. 3 승합전자동방식 승강장의 누름버튼은 두 개가 있고(최상층과 최하층은 1개), 동시에 기억할 수 있다. 카는 그 진행 방향의 카버튼과 승강장버튼에 응답하면서 승강한다. 한 대의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대부분 이용된다. 2) 복수 엘리베이터 조작방식 (1) 군 승합 자동방식 중소규모의 건물에 있어 2~3대가 병렬 설치 되었을 때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1대의 승강장 호출에 1대의 카만 응 답한다. (2) 군 관리방식 엘리베이터가 3~8대 병렬로 설치되었을 때 각 카를 합리적으로 운행 관리한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6.
소선의 강도에 의해서 E종으로 분류된 와이어로프의 소선의 공칭 인장강도는 몇 N/mm2인가?
1.
1320
2.
1470
3.
1620
4.
1770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E종 와이어로프는 소선의 인장강도에 따라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나뉩니다:
병원의 경우는 일반 사무실과는 다르게 환자의 왕진 및 치료와 수술이 행해지는 오전시간에 교통량이 집중되거나, 또는 환자방문시간이나 교대근무가 발생하는 오후의 특정시간에 교통량이 집중될 수도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22.
엘리베이터의 적재중량(W)이 3500kg이고, 카 및 관련 부품들의 중량(Wp)이 2000kg일 때 하부체대에 발생하는 최대굽힘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하부체대의 길이(L)은 3m, 하부체대의 총 단면계수는 498000mm3이며, 하부체대에 작용하는 최대 굽힘모멘트(M)는 다음과 같은 식(g는 중력가속도)을 적용한다.)
1.
48.8
2.
38.7
3.
25.4
4.
18.5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응력=최대굽힘모멘트/단면계수 이므로 주어진 식에 모든 숫자를 대입한 값이 최대모멘트. 이식을 단면계수 498(단위환산)로 나누면 됩니다. 12632.8125 / 498 = 25.367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4x(2000+3500)*9.81*3 = 12645.7 12645.7/498 = 25.39 약 25.4
2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 기계류 공간 및 풀리실에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기설비의 보호를 위해 케이스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는 얼마 이상의 보호등급을 제공해야 하는가?
1.
IP 2X
2.
IP 3X
3.
IP 4X
4.
IP 5X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IP 2X 는 고체에 대한 접근 규제등급이다 [해설작성자 : 기사10개]
24.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에서 총 제동토크는 180 N·m이고,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은 260mm, 접촉부 마찰계수는 0.35일 때 드럼과 브레이크 슈가 만나는 곳에서의 드럼의 반력은 약 몇 N 인가? (단, 브레이크 슈는 2개가 설치되어 있고, 양쪽 슈에서 작용하는 반력은 동일하며, 한쪽의 반력만 구한다.)
1.
495
2.
989
3.
1483
4.
1978
정답 : [
4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T = F * r = P * u * r P = T / u * r = 180 / 0.35*130*10^-3*2 = 1978.02197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보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전 시 60초 이내에 엘리베이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되 수동으로 전원을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주 전원공급과 보조 전원공급의 전선은 방화구획이 되어야 하고 서로 구분되어야 하며, 다른 전원공급장치와도 구분되어야 한다.
3.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방화구획 된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4.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를 위한 보조 전원공급장치에는 충분한 전력 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자가발전기를 예외 없이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무조건 자가발전기만 설치해야되는건 아님 축전지(배터리) 방식으로도 보조 전원 공급할 수 있게 법규에 허용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26.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의해 하중을 분류하였을 때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하중
2.
인장하중
3.
압축하중
4.
전단하중
정답 : [
1
] 정답률 : 69%
27.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에 관계가 있다.
2.
대형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경우 하중을 적재할 때 발생되는 카의 회전 모멘트는 무시한다.
3.
추락방지안전장치가 작동한 후에도 가이드 레일에는 좌굴이 없어야 한다.
4.
레일 브래킷의 간격을 작게 하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응력과 휨은 작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28.
적재중량1200kg, 카 자중 2600kg, 로프 한가닥의 파단하중 60kN, 로프 가닥수 5, 로프 자중 250kg, 균형도르래 중량 500kg인 엘리베이터의 로핑방식이 2:1 싱글 랩 로핑일 때, 이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안전율은 약 얼마인가? (단, 안전율의 산정 시 균형 도르래의 중량은 1/2을 적용한다.)
위에 해설에서 60x10^3에서 단위 때문에 9.8로 나눠서 kg으로 변환해줘야 합니다. 60000/9.8=약6122.45kg (1N=1 kg•m/s^2 이므로 m/s^2 제거작업 해준 kg으로 변환!) 나머지 계산과정은 위와 동일 (굳이 정리해서 적자면 ( K•N•Pc(피단하중 kg) ) / Plope(로프에 걸리는 하중) [해설작성자 : 슬러시맨]
전기적 비상운전 스위치의 작동 후, 이 스위치에 의한 움직임을 제외한 모든 카 움직임은 방지되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비상운전 스위치를 한번만 눌러도 작동하게 되면 의도치 않은 움직임으로 인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짐.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31.
엘리베이터용 도어 인터로크에서 잠금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잠금장치 위치는 승강장 도어가 닫힐 때 승강장 측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2.
안전 접점이 작동하기 전 잠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잠김 상태가 무효화되어서는 안 된다.
3.
중력, 스프링, 영구자석에 의해 작동하며, 영구 자석에 의해 잠기는 방식에서는 열이나 충격에 의해 기능을 상실해서는 안 된다.
4.
여러 짝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도어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도어(도어짝)에 잠금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승강로 내부에 설치 되어야 함. 승강장 측(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면 남들이 임의로 조작할 수도 있음.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32.
그림과 같이 아랫부분이 고정되고 위가 자유단으로 된 기둥의 상단에 하중 P가 작용한다. 이 때 좌굴이 발생하는 좌굴 하중은 기둥의 높이와 어떤 관계가 되는가? (단, 기둥의 굽힘강성(EI)는 일정하다.)
1.
기둥의 높이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기둥의 높이에 반비례한다.
3.
기둥의 높이에 비례한다.
4.
기둥의 높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좌굴하중 P = nπ^2(EI/ℓ^2) n: 단말계수, E: 탄성계수, I: 단면2차모멘트, ℓ: 길이 따라서 좌굴하중은 기둥의 높이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33.
에너지 분산형 완충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80m/min이다. 규정된 시험조건으로 완충기에 충돌할 때 완충기의 행정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202
2.
188
3.
172
4.
158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34.
완충기에 사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설계하고자 한다.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은 18kN, 스프링 소선의 지름은 26mm, 코일의 평균지름은 122mm일 때 이 스프링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응력수정계수는 1.33으로 한다.)
용접부의 시험을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으로 분류할 때, 인장시험은 파괴시험에 해당합니다. 인장시험은 시편을 파괴하여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시편이 파괴되므로 파괴시험에 포함됩니다.
반면, 음향시험, 누설시험, 형광시험은 모두 비파괴시험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시험들은 시편을 파괴하지 않고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으로 용접부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 인장시험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48.
모듈 5, 잇수 52인 표준 스퍼기어의 외경(mm)은?
1.
250
2.
260
3.
270
4.
28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피치원의 지름이 잇수x모듈이고 외경은 (잇수+2)x모듈로 알고 있습니다. 결론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타고내릴줄만 알았다]
2m+mz 10+260=270 [해설작성자 : 식두]
모듈(M)이 5이고, 잇수(Z)가 52인 표준 스퍼기어의 외경(D)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외경(D) = 모듈(M) × (잇수(Z) + 2) 따라서, D = 5 × (52 + 2) = 5 × 54 = 270 mm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49.
체결용 기계요소인 코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터의 자립조건에서 마찰각을 ρ, 기울기를 α라 할 때에 한쪽 기울기의 경우는 α≦2ρ 이어야 한다.
2.
코터의 기울기는 한쪽 기울기와 양쪽 기울기가 있다.
3.
코터이음에서 코터는 주로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다.
4.
코터는 로드와 소켓을 연결하는 기계요소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코터는 축방향으로 인장 혹은 압축이 작용하는 두 축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코토의 자립조건 : 코터가 사용 중 자동적으로 풀어지지 않도록 되어있는 상태 1. 한쪽 기울기의 코터 α < 2p 2. 양쪽 기울기의 코터 α =< p 여기서 α = 경사각, p = 마찰각 코터 이음의 구성으론 로드, 소켓, 코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김미]
50.
냉간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밀한 형상의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2.
가공경화로 강도가 증가한다.
3.
가공면이 아름답다.
4.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냉간가공 :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작업하는 가공으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가공면이 아름답다. 2.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3. 제품의 치수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4. 가공 경화로 강도가 증가하고 연실율은 갑소한다. [해설작성자 : 김미]
51.
Ti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전도율이 높다.
2.
내식성이 우수하다.
3.
비중은 약 4.5 정도이다.
4.
Fe 보다 가벼운 경금속에 속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티타늄은 열전도율이 비교적 낮습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높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52.
주철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2.
강에 비해 일반적으로 인장강도와 충격값이 우수하다.
3.
탄소함유량이 약 2~6.7% 정도인 것을 주철이라 한다.
4.
주조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주철은 일반적으로 강에 비해 인장강도와 충격값이 낮습니다. 강철은 높은 인장강도와 충격값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강도가 중요한 경우에 더 적합합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문제 해설> 118° 선단각은 일반적인 드릴 작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각도로, 대부분의 금속 가공에 적합합니다. 연강을 포함한 많은 재료에서 잘 작동하며, 절삭 효율성과 드릴의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천년의 기다림]
55.
그림과 같이 동일한 재료의 중실축과 중공축에 각각 TA, TB의 토크가 작용할 때 전달할 수 있는 토크 TB는 TA의 몇 배인가?
1.
6.0
2.
6.5
3.
7.0
4.
7.5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Za=파이d^3/32, Zb=( 파이(2d)^3(1-x^4) ) /32(단, x=d/2d,즉,도넛 밖 큰원과 도넛안 작은원의 지름비(?)라보면된다) 시그마 부호가 없어서 한글로 쓸게요. 시그마(응력)a=Ma/Za, 시그마(응력)b=Mb/Zb .여기서 시그마(응력)a와 시그마(응력)b는 허용굽힙응력으로 초기설정에 같다고 생각한다. 즉, 각 식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Ma=( 파이d^3(시그마(응력)) )/32,Mb=( (7.5)(파이)d^3(시그마(응력)) )/32. 굽힙모멘트는 정적회전력 토크는 동적회전력으로 엄연히 다르지만 문제풀이를 위해 같다고 생각하고 풀자. [해설작성자 : 슬러시맨]
56.
0.01mm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에서 나사의 피치와 딤블의 눈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치는 0.25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2.
피치는 0.5mm 이고, 딤블은 100등분이 되어 있다.
3.
피치는 0.5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4.
피치는 1mm 이고, 딤블은 50등분이 되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57.
회전수 1350rpm으로 회전하는 용적형 펌프의 송출량 32ℓ/min, 송출압력이 40 kgf/cm2이다. 이 때 소비 동력이 3kW 라면 이 펌프의 전 효율은?
1.
60.1%
2.
69.7%
3.
75.3%
4.
81.7%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 = pQ/η -> η = pQ / P = [{32 x 10^(-3)/60 x {(40 x 10^4)*9.8}}]/(3000) = 약 0.6968 ∵ 1kgf = 9.8N, 1L = 0.001m3 [해설작성자 : 테오]
KW=P(kg/cm^2) X Q(l/min)/612x효율 3=40 x 32 / 612 x 효율(%) 효율=69.7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제동장치에서 단식 블록 브레이크에 제동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동 토크에 반비례한다.
2.
마찰 계수에 반비례한다.
3.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에 비례한다.
4.
브레이크 드럼과 블록사이의 수직력에 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제동장치에서 단식 블록 브레이크에 제동력은 브레이크 드럼과 블록사이의 수직력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김미]
59.
크거나 두꺼운 재료를 담금질했을 때 외부는 냉각속도가 빠르고 내부는 냉각속도가 느려서 재료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경도가 저하되는 현상은?
1.
노치효과
2.
질량효과
3.
파커라이징
4.
치수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크거나 두꺼운 재료를 담금질 했을 때 외부는 냉각속도가 빠르고 내부는 냉각속도가 느려서 재료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경도가 저하되는 형상은 질량효과 [해설작성자 : 김미]
60.
유압 및 공기압 용어(KS B 0120)와 관련하여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크래킹 압력
2.
리시트 압력
3.
오버라이드 압력
4.
서지 압력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리시트 압력-체크 밸브 또는 릴리프 밸브 등에서 밸브의 입구 압력이 떨어져 밸브가 닫히기 시작하고, 밸브의 누설량이 규정된 양까지 감소하였을 때의 압력을 말한다 오버라이드 압력-크래킹 압력(Cracking pressure)(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개시압력) 이상에서 통과유량(릴리프 유량이라고도 한다)이 많아 지게 되면, 압력이 서서히 높아지게 된다. 이 관계를 나타낸 것을 압력 오버라이드 특성이라고 한다. 이 특성은 설정압력보다 약간 낮은 압력에서부터 밸브가 열려 탱크로 기름이 흐르게 된다 서지 압력-급격한 압력상승이 있을 때 밸브가 빨리 열리지 않으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서지압력이 생긴다 출처-네이버 [해설작성자 : 슬러시맨]
61.
유량, 압력, 액위, 농도, 효율 등의 플랜트나 생산공정 중의 상태를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는?
1.
프로그램제어
2.
프로세스제어
3.
비율제어
4.
자동조정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량, 압력, 액위, 농도, 효율등의 플랜트나 생산공정 중의 상태를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는 프로세스 제어 [해설작성자 : 김미]
62.
5kVA, 3000/20V의 변압기가 단락시험을 통한 임피던스 전압이 100V, 동손이 100W라 할 때 퍼센트 저항강하는 몇 %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