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 Q E = Q * (Q / 2 * 8.85 * 10^-12 * S) 평행판 사이의 전계 세기는 E = Q / 2 * 8.85 *10^-12 * S [해설작성자 : 전기직 공무원]
평행판 사이 작용하는 힘 F=1/2 * 입실론 * E^2 * 면적 E = Q / 입실론*면적 1/2 * 8.855*10^-12 * (1.0*10^-6 / 8.855*10^-12*0.02)^2 * 0.02 = 2.82326369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 1/2 * εE^2 = 1/2 * ED = 1/2 * D^2/ε [N/m^2] 이다. 이 문제에서 단위가 N/M 가 아닌 N을 물어봤기에 양변에 면적인 S를 곱해줘야 한다. D = (Q/S)^2 를 대입하면 다음의 식이 나온다. F = 1/2ε * (Q/S)^2 * S => F = 1/2εS * Q^2 =(1*10^-6)^2 / 2 * 8.85 * 10^-12 * 0.02 = 2.83[N] [해설작성자 : 다들 합격하시길]
평행판사이에 작용하는 힘 = 정전에너지/거리 = 단위면적당에너지*면적 = QE [ E = Q/(8.855*10^-12*S) ] [해설작성자 : 오고있는빛]
F = QE = Q* (Q/ (Sε)) 전계정의랑 그냥 E= Q/(Sε) 로는 결과가 다름 평판 E= σ/ (2ε) = Q/ (2Sε) 넣어야 비슷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전부 다 오류입니다. 단위 면적당 힘 f = 1/2 * e * E^2 = 1/2 * D^2 * e (앱실론) 입니다. D = Q / S 이므로 식에 대입하면 f = 1/2 * (1.0 X 10^(-6) / 0.02 )^2 / (8.855 x 10^(-12) ) 이 단위 면적당 힘이 되고 여기에 S = 0.02를 곱해주면 정답이 됩니다. F = f * s = 1/2 * (1.0 X 10^(-6) / 0.02 )^2 / (8.855 x 10^(-12) ) * 0.02 = 2.83 N
[오류신고 반론] 단위 면적당 힘 f = 1/2 * D^2 / e(앱실론) 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
[오류신고 반론] F*d=W=1/2*C*V^2 = Q^2/2C 가됩니다.
즉 C만구하면 되는데,
C는 입실론제로*면적/거리 이므로 쉽게구할수있고 d 넘겨주면 F 구할수있습니다 일단 아는식 적고 주어진거 이용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간의돛단배]
2.
자극의 세기가 7.4×10-5Wb, 길이가 10cm인 막대자석이 100AT/m의 평등자계 내에 자계의 방향과 30°로 놓여 있을 때 이 자석에 작용하는 회전력(N·m)은?
1.
2.5×10-3
2.
3.7×10-4
3.
5.3×10-5
4.
6.2×10-6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T = m * ℓ * H * sinθ ▶ 7.4 * 10^-5 * 10 * 10^-2 * 100 * sin30˚ = 3.7 * 10^-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
유전율이 ε = 2ε0이고 투자율이 μ0인 비도전성 유전체에서 전자파의 전계의 세기가 V/m 일 때, 자계의 세기 H(A/m)는? (단, 는 단위벡터이다.)
e=2e0 --> es=2 이라는 뜻, 투자율이 ㅆ0 --> ㅆs=1 이라는 뜻 (e0,ㅆ0은 상수이기 때문) Z=E/H=root(ㅆ/e)=377*root(ㅆs/es)
E/H=377*root(ㅆs/es) H=1/377*root(es/ㅆs)*120*pi [1/377 과 120*pi 상쇄] H=root(es/ㅆs)= root2
전자파 진행방향 E X H 는 z방향이 되어야 함. 근데 전계가 y방향이네? z방향으로 가게 하려면 자계는 ?? -x방향이 되어야겠구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계와 자계의 비 Z = E / H = 루트( 투자율 / 유전율) = √(μ/ε)
식 변환하면 H = E / Z = E / 루트(투자율 / 유전율) = E / √(μ/ε) 문제에서 μ= μ0, ε = 2ε0, E = 120π(COS10^9t+βz)y 라 했으므로 μs = 1 εs = 2 와 같다 대입을하면 ( ∴ √(μ0 / ε0) = 377, 120π = 377 ) H = E / √(μ/ε) = 120π/ √(μ0 / 2ε0) = 120π/ √(μ0 / ε0) X √(μs / εs)
= 120π/ 377 X √( 1 / 2 ) = 1 / √( 1 / 2 ) = √2
전자파 진행방향 은 z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식의 전계방향이 y방향이므로 z방향으로 가게 하려면 그 반대 방향인 x방향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그래서 부호는 " - "를 붙여주셔야합니다 *위 분들이 적으신걸 다시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왜 전자기파의 진행방향이 Z축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면, 원래 문제에 H(z,t)[A/m]로 H역시 Z축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표기되어있어야 하는데 오류같네요. [해설작성자 : 홀홀홀]
[오류신고 반론] 위에 분 말도 맞지만 애초에 문제에서 E = 120π(COS10^9t-βz)y 되어있는데 여기서 -βz가 전파 진행방향입니다. Z방향 참고하세요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임하]
[오류신고 반론] 검색해보셔도 나오겠지만 대전제로 그니까 이미 기사난이도 문제이고 z방향이라고 주어진겁니다. cos wt +- βz 꼴에서 시간항과 공간항으로 표현한거고 ex) wt +βz 이면 -z 방향 , wt -βz 라면 z방향인것임 문제 오류가 아니라 이미 z방향이라고 수식에서 표현해준것 [해설작성자 : 문제오류가 아니라 개념을 모르는것입니다.]
4.
자기회로에서 전기회로의 도전율 σ(℧/m)에 대응되는 것은?
1.
자속
2.
기자력
3.
투자율
4.
자기저항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저항: ρ*l/S=l/(k*S), 자기저항 R_m=l/(μ*s) 도전율과 투자율이 서로 대응 되는 관계 [해설작성자 : 한솔짱올레]
5.
단면적이 균일한 환상철심에 권수 1000회인 A코일과 권수 NB회인 B 코일이 감겨져 있다. A코일의 자기 인덕턴스가 100mH이고, 두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가 20mH이고, 결합계수가 1일 때, B코일의 권수(NB)는 몇 회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m = k√(L_A*L_B)-> L_B=4mH, NA/NB=root(LA/LB) [해설작성자 : 한솔짱올레]
N_b = (M X N_a)/L_a = (20 X 1000) / 100 = 200mH M와 L_a 의 관계 M = (N_b / N_a) X L_a에 B코일 권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은 알아 보기 쉽게]
1) 거리가 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공기측 유전율은, 처음의 두 배가 됩니다. 따라서, C(공기) = 0.6 2) 비유전율이 5이고, 거리는 처음의 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10배 즉, C(유전체) = 3 이 됩니다. 3) 두 유전체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 유전률은 = (C(공기)*C(유전체)) / (C(공기)+C(유전체)) 4) 따라서, 이를 계산하면, (1.8) / (3.6) = 0.5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기원합니다..]
2번째 해설 추가 설명 1) C = (εS) / d 기존의 커패시터 C = 0.3 거리 1/2 된 커패시터를 C' 이라 한다면 1)의 식에 의해 C` = 2C = 0.6 거리 1/2 되고 비유전율 5 들어간 C'' 은 1)의 식에 의해 C`` = 10C = 3 C`과 C``이 직렬로 연결된 모습으로 계산 => 0.5 [해설작성자 : 꾸러기탐험대]
절반 두께 만큼 넣었을 때 말이 들어가면은 ▶ 정전용량[μF] = (2 * C) / (1 + 1/ε) ▶ (2 * 0.3) / (1 + 1/5) = 1/2 = 0.5[μF]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8.
반지름이 a(m)인 접지된 구도체와 구도체의 중심에서 거리 d(m) 떨어진 곳에 점전하게 존재할 때, 점전하에 의한 접지된 구도체에서의 영상전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전하는 구도체 내부에 존재한다.
2.
영상전하는 점전하와 구도체 중심을 이은 직선상에 존재한다.
3.
영상전하의 전하량과 점전하의 전하량은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
4.
영상전하의 위치는 구도체의 중심과 점전하 사이 거리(d(m))와 구도체의 반지름(a(m))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영상전하 크기: Q'=-a*Q/d [해설작성자 : 한솔짱올레]
영상전하의 크기는 부호가 반대이고 크기도 다릅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19.
평등 전계 중에 유전체 구에 의한 전계 분포가 그림과 같이 되었을 때 ε1과 ε2의 크기 관계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ε1 > ε2
2.
ε1 < ε2
3.
ε1 = ε2
4.
무관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전속은 유전율이 큰 부분으로 집중 전계는 반대 [해설작성자 : ㅇㅇ]
20.
어떤 도체에 교류 전류가 흐를 때 도체에서 나타나는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체 중심부보다 도체 표면부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표피 효과라 한다.
2.
전류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표피 효과는 작아진다.
3.
도체의 도전율이 클수록 표피 효과는 커진다.
4.
도체의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 효과는 커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침투 깊이가 크면 표피 효과 작아지고 깊이가 얕으면 효과 커짐 반비례함. [해설작성자 : 한솔짱올레]
침투깊이)δ = 1 / √( π * f * μ * σ) ※f(주파수), μ(투자율), σ(도전율) ※침투깊이는 표피효과와 반비례 관계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과목 : 전력공학
21.
소호리액터를 송전계통에 사용하면 리액터의 인덕턴스와 선로의 정전용량이 어떤 상태로 되어 지락전류를 소멸시키는가?
1.
병렬공진
2.
직렬공진
3.
고임피던스
4.
저임피던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병렬 공진시 전류는 최소로 직렬 공진시 전류는 최대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22.
어느 발전소에서 40000kW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5000㎉/㎏의 석탄을 20톤 사용하였다. 이 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중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가 A = 1.0, B = j190, D = 1.0 일 때 C의 값은 얼마인가?
1.
0
2.
-j120
3.
j
4.
j190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AD-BC=1 -BC=0 C=0 [해설작성자 : 쓰레빠]
AD - BC = 1 ▶ AD - 1 = BC ▶ C = AD - 1 / B ▶ ( 1 * 1 ) - 1 / j190 ▶ C = 0 / j190 = 0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6.
배전전압을 √2배로 하였을 때 같은 손실률로 보낼 수 있는 전력은 몇 배가 되는가?
1.
√2
2.
√3
3.
2
4.
3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P손실= P^2/(V^2*cos^2) * R 전력손실이 같을때 P^2 ∝ V^2 같이 제곱이므로 P ∝ V
k(전력손실률) = P손실/P = P/(V^2)cos^2 * R 전력손실률이 같을때 P ∝ V^2
문제는 손실률이 같을때 이므로 P ∝ V^2 [해설작성자 : 오남역]
27.
다음 중 재점호가 가장 일어나기 쉬운 차단전류는?
1.
동상전류
2.
지상전류
3.
진상전류
4.
단락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차단기 차단시 트립코일이 여자되면서 아크가 소호되면 차단이 완료하는데 재점호는 아크가 다시 발생하는 걸 말하고 이는 C 때문에 발생하는 진상전류 때문(이름부터가 진상임) 이를 제거 하기위해 방전코일 설치하고,무부하충전전류를 차단시 가장 큼 [해설작성자 : 마지막]
재점호 = 군대에서 점호를 다시하다. 말안듣는 진상이 있기 때문에 [해설작성자 : 응기이이이ㅣㅇㅅ]
28.
현수애자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애자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클레비스(Clevis)형과 볼 소켓형이 있다.
2.
애자를 표시하는 기호는 P이며 구조는 2~5층의 갓 모양의 자기편을 시멘트로 접착하고 그 자기를 주철재 base로 지지한다.
3.
애자의 연결개수를 가감함으로써 임의의 송전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4.
큰 하중에 대하여는 2련 또는 3련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번은 핀 애자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ㅓㅡㅛ]
29.
교류발전기의 전압조정 장치로 속응 여자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때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킨다.
2.
송전계통의 안정도를 높인다.
3.
여자기의 전압 상승률을 크게 한다.
4.
전압조정용 탭의 수동변환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자동임 [해설작성자 : 마지막]
30.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장 발생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2.
트립코일 여자로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3.
가동 접촉자의 개극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4.
가동 접촉자의 동작 시간부터 소호까지의 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트립코일이 여자된 순간부터 차단기 접점의 아크가 완전히 소호되는 시간을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시설매니아]
31.
3상 1회선 송전선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한 3상 선로의 자기인덕턴스를 구하는 식은? (단, D는 전선의 선간거리(m), r은 전선의 반지름(m)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74%
32.
불평형 부하에서 역률(%)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불편형 부하에서 역률은 각 상의 피상전력의 벡터합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로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화니네]
33.
다음 중 동작속도가 가장 느린 계전 방식은?
1.
전류 차동 보호 계전 방식
2.
거리 보호 계전 방식
3.
전류 위상 비교 보호 계전 방식
4.
방향 비교 보호 계전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거리보호 계전방식 : 거리계전요소, 동작시간 지연요소를 이용 -> 동작시간 가장 느림. [해설작성자 : 원트합격]
34.
부하회로에서 공진 현상으로 발생하는 고조파 장해가 있을 경우 공진 현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문제 해설> 2. 간선 및 분기선이 많으면 많을수록 전력 손실입니다 3. 어느 간선이 고장났는지 쉽게 파악하기 어려워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4. 환상방식은 고장감지가 용이 즉, 공급선 전환이나 고장부 추적등이 방사상보다 수월합니다. 방사상은 멀티탭에 꽂듯이 간편한 사용이 주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없네]
38.
초호각(Arcing horn)의 역할은?
1.
풍압을 조절한다.
2.
송전 효율을 높인다.
3.
선로의 섬락 시 애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4.
고주파수의 섬락전압을 높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아킹혼 = 아킹링 = 소호환 = 소호각 : 전선 주위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 역섬락으로부터 손상을 받는 경우 아크의 진행 또는 발생을 애자련에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하는 설비. 애자련 보호, 전선 보호 목적으로 사용함. [해설작성자 : 동카츄]
39.
유효낙차 90m, 출력 104500㎾, 비속도(특유속도) 210m·㎾인 수차의 회전속도는 약 몇 rpm인가?
<문제 해설> 비율차동 계전기는 변압기, 발전기, 모터 등의 내부 고장 보호에 주로 사용되는 보호 계전기입니다. 이 계전기는 보호 구역 내의 전류 차이를 비교하여 고장을 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히 내부 고장을 빠르게 감지하고 정확하게 차단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비율차동 계전기의 작동 원리 비율차동 계전기는 보호 구역(발전기, 변압기 등)의 입력 측 전류와 출력 측 전류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장을 탐지합니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가 거의 동일하므로, 계전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부 고장이 발생하면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계전기가 감지하여 고장으로 판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정답]
3과목 : 전기기기
41.
SCR을 이용한 단상 전파 위상제어 정류회로에서 전원전압은 실효값이 220V, 60㎐인 정현파이며, 부하는 순 저항으로 10Ω이다. SCR의 점호각 a를 60°라 할 때 출력전류의 평균값(A)은?
직류 직권 전동기 I=Ia=If 이므로 I 증가시 Ia, If 증가. If 는 Φ에 비례 T=kΦIa 이므로 Ia^2에 비례 [해설작성자 : 을지 장원]
55.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중 유도기전력의 위상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무효전력이 생긴다.
2.
동기화전류가 흐른다.
3.
고조파 무효순환전류가 흐른다.
4.
출력이 요동하고 권선이 가열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조건 불만족시 기전력 크기가 같을것 무효 순환 전류 발생 1번 위상이 같을 것 동기화 전류 발생 2번 주파수가 같을 것 무효 순환 전류 발생 및 난조 탈조의 원인 4번 파형이 같을 것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발생 3번 상회전이 같을 것 단락 발생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해설 추가하겠습니다. 상회전이 같을 것 >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주파수가 다르다면 유효순환전류 발생 및 난조 탈조의 원인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으앗]
56.
3상 유도기의 기계적 출력(Po)에 대한 변환식으로 옳은 것은? (단, 2차 입력은 P2, 2차 동손은 P2c, 동기속도는 Ns, 회전자속도는 N, 슬립은 s이다.)
정상 상태 오차 (e_ss) = 1 / 1 + K_p = 0.01 = 1 / 100 1+ K_p = 100 따라서 K_p = 99 전달함수 K_p = lim_s->0 G(s) = lim_s->0 19.8 / s + a = 19.8 / a = 99 a = 19.8 / 99 = 0.2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임하]
65.
그림과 같은 보드선도의 이득선도를 갖는 제어시스템의 전달함수는?(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먼저 그래프 꺾이는걸 보면 0.1과 1에서 꺾입니다. 이에 따라 w=0.1, 1이 되므로, jw=s 에 따라서 0.1, 그리고 1인 보기를 고르면 2, 4번중하나가 됩니다. 또한 그래프에서 제일 높은 이득이 20이 되는데, 20logx 가 20이 되려면 X가 10이 되어야합니다. s에 0을 대입하였을떄 이를 만족하는 보기는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렇게 찍었어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그림에서 Gain 부분에 40 20 0 -40 -20 이런식으로 되어있는데 순서대로 40 20 0 -20 -40 으로 수정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타]
[관리자 입니다. 그래프 수치가 잘못 출제되어서 모두 정답 처리된건가요?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AB' + A'B + AB AB' + (A'+A)B AB' + B AB' + B(1+A) AB' + B + AB A(B' + B) + B A + B [해설작성자 : 디스플러스]
비교적 간단한 회로라서 진리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도 풀 수 있습니다 A | 0 1 B | 0 | 0 1 1 | 1 1 AND게이트의 번호를 위에서부터 1번 2번 3번으로 지칭하면 1번 AND게이트: A=1, B=0일 때만 1 2번 AND 게이트 A=0, B=1 일 때만 1 3번 AND 게이트 A=B=1일 때만 1
OR게이트는 입력 중 1이 하나라도 있을 시 출력이 1이므로 3개의 AND게이트 출력을 생각하면 A=B=0 일 때만 0 따라서 A+B
다만 입력신호가 A B C나 A B C D와 같이 3종류 이상인 경우는 진리표를 작성하는 방향이 훨씬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매번 고맙습니다]
쉽게 이해하는방법은 f0 = 0이 들어간다 그럼 서로 곱해서 다시 되돌아온다(곱해서 다시 1이 되는것), fe = 무조건 마이너스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2.
3상 평형회로에서 Y결선의 부하가 연결되어 있고, 부하에서의 선간전압이 Vab = 100√3 ∠0°(V)일 때 선전류가 Ia = 20∠-60°(A)이었다. 이 부하의 한 상의 임피던스(Ω)는? (단, 3상 전압의 상순은 a-b-c이다.)
1.
5∠30°
2.
5√3∠30°
3.
5∠60°
4.
5√3∠60°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선간전압에서 상전압으로 바꿀 때 root3으로 나누는 것과 동시에 -30˚ 를 같이 해줘야합니다 Va = 100∠-30˚ ∠ Z = Va/Ia = 100∠-30˚/ 20∠-60˚ = 5∠-30˚-(-60˚) = 5∠30˚ [해설작성자 : 나도 깜빡해서 틀림/하기시러ㅓㅓㅓ]
73.
그림의 회로에서 120V와 30V의 전압원(능동소자)에서의 전력은 각각 몇 W인가? (단, 전압원(능동소자)에서 공급 또는 발생하는 전력은 양수(+)이고, 소비 또는 흡수하는 전력은 음수(-)이다.)
그림의 회로가 정저항 회로가 되기 위한 L(mH)은? (단, R=10Ω, C=1000㎌이다.)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정저항 회로 : R만이 영향을 미치는 회로 조건 : R = root L/C 양변 제곱하면, R^2 = L/C L = C * R^2 L = 1000 * 10^-6 * 100 = 0.1[H] L 을 mH 로 바꿔주기 위해서 0.1 * 10^3 = 100[mH] 따라서 답 3번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80.
분포정수 회로에 있어서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이 100Ω/m, 인덕턴스가 200mH/m, 누설컨덕턴스가 0.5℧/m일 때 일그러짐이 없는 조건(무왜형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단위 길이당 커패시턴스는 몇 ㎌/m인가?
1.
0.001
2.
0.1
3.
1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무왜형 조건 : RC=LG, C = LG/R 200*10^-3*0.5/100 = 0.001 [F/m] 0.001*10^6 = 1000[uF/m] [해설작성자 : 단위 잘 보자]
81.
저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될 때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전선이 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이 아닌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