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4. 화재원인조사에는 소방・방화시설의 조사는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로로이]
*1. 화재원인조사 가. 발화원인 조사 : 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나. 발견, 통보 및 초기소화상황 조사 : 발견경위, 통보 및 초기소화 등 일련의 행동과정 다. 연소상황 조사 : 화재의 연소경로 및 연소확대물, 연소확대사유 등 라. 피난상황 조사 : 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마.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 소방·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2. 화재피해조사 가. 인명피해 1)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2) 화재진압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나. 재산피해 1) 소실피해 :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2) 수손피해 :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수손피해 등 3) 기타피해 : 연기, 물품반출, 화재중 발생한 폭발 등에 의한 피해 등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현장에서 임무를 직접 수행하는 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문서는?
1.
재난대응 활동계획
2.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3.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4.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위기관리 표준메뉴얼: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재난에 대하여 재난관리 체계와 관계 기관의 임무와 역할을 규정한 문서(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이 작성) - 위기대응 실무메뉴얼: 실제 재난대응에 필요한 조치사항 및 절차를 규정한 문서(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장과 관계 기관의 장이 작성) - 현장조치 행동메뉴얼: 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문서(위기대응 실무메뉴얼을 작성한 기관의 장이 지정한 기관의 장이 작성)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3.
그림에서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에너지에 의해 발화하기 시작하는 최저연소온도이다.
2.
물질적 조건과 에너지 조건이 만나는 최저연소온도이다.
3.
화학양론비(stoichiometric ratio)에서의 최저연소온도이다.
4.
가연성 혼합기를 형성하는 최저연소온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A: 인화점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4.
화재가혹도(fire sever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는 개구부의 면적, H 는 개구부의 높이이다.)
*펌프가 수원의 수위보다 높은 곳에 설치에는 (물올림탱크 추가설치, 흡입측배관 별도시공)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0.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관리의 대비단계 관리사항을 있는 대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재난의 예방 ① 재난 사전 방지조치 ② 기능연속성계획의 수립 ③ 국가기반시설의 지정·관라 ④ 특정관리대상지역의 지정·관리 등에 관한 지침 ⑤ 재난발생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장기·단기계획의 수립·시행 ⑥ 국고보조 ⑦ 특정관리대상지역의 안전등급 및 안전점검 ⑧ 시정조치 결과 제출 ⑨ 재난방재시설의 범위 ⑩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을 위한 전문교육기관 ⑪ 긴급안전점검 대상 시설 ⑫ 안전조치명령 ⑬ 안전관리전문기관 *재난의 대비 ①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 ② 재난관리자원공동활용시스템의 활용 ③ 재난현장 긴급통신 수단의 마련 ④ 국가재난관리기준에 포함 사항 ⑤ 기능별 재난대응 활동계획의 작성·활용 ⑥ 위기상황 매뉴철 작성·관리 대상 ⑦ 안전기준의 등록 방법 ⑧ 재난안전통신망의 운영 및 사용 ⑨ 재난대비훈련 기본계획의 수립 ⑩ 재난대비훈련의 평가 *재난의 대응 ① 재난사태의 선포대상 재난 ② 응급조치를 위한 공무원의 파견요청 ③ 위기경보의 발령대상 재난 ④ 주요 전기통신사업자 ⑤ 방송요청사항 ⑥ 재난 예보·경보체계 구축 종합계획의 수립 등에 관한 사항 ⑦ 동원요청 ⑧ 대피명령 ⑨ 강제대피 또는 강제퇴거시 지원요청 ⑩ 재난관리자원의 응원요청 및 조정 ⑪ 중앙통제단의 기능 ⑫ 지역긴급구조통제단의 기능 ⑬ 민간 긴급구조지원기관에 대한 지원 ⑭ 긴급구조 현장지휘체계 ⑮ 긴급대응협력관의 지정·운영 ⑯ 긴급구조대응계획의 수립 ⑰ 긴급구조지휘대 구성·운영 ⑱ 항공기 수색·구조계획에 포함될 사항 *재난의 복구 ①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의 구성·운영 ② 자체복구계획 및 재난복구 계획 ③ 특별재난의 범위 및 선포 ④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지원 ⑤ 치료 및 보상금의 부담 및 지급기준 ⑥ 재난피해자에 대한 상담 활동 지원절차 ⑦ 복구비 등의 선지급 비율 ⑧ 복구비 등의 반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위험물과 물이 반응할 때 발생하는 가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물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가스] 1.칼륨, 나트륨 - 수소 2.(수소화물) 수소화칼륨, 수소화알루미늄리튬 - 수소 3.인화칼슘, 인화알루미늄 - 포스핀(PH3, 인화수소) 4.(탄화물) 탄화칼슘- 아세틸렌가스 탄화알루미늄- 메탄 5.알킬알루미늄 트리메틸알루미늄-메탄 트리에틸알루미늄- 에탄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2.
800 ℃, 1기압에서 황(S) 1 kg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황의 발생량(m3)은? (단, 황(S)의 원자량은 32, 산소(O)의 원자량은 16이며,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문제 해설> 1. 크거나 빠를수록 위험한 것 발열량, 산화력(산소결합력), 비표면적, 활성도, 연소 열, 연소속도, 주위온도, 압력, 건조도 등
2. 작거나 낮을수록 위험한 것 비열, 비점, 증발(잠)열, 표면장력, 인화점, 발화점, 비 중, 융점, 열전도율, 활성화에너지(점화에너지) 등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단어 비열 : 물질 1그램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드는 열량 비점 :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 비중 :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같은 체적의 표준 물질의 질량과의 비율 융점 : 고체가 액체 상태로 바뀌는 온도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6.
기체상 연료노즐에서의 연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을 있는 대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황염: 불꽃 끝이 적황색이 되어 연소하는 현상 -1차 원인으로 공기의 부족으로 발생 -저온의 물체에 접촉하면 불완전연소 -일산화탄소나 그을림의 원인 -탄화수소가 열분해되어 탄소입자가 생기고 미연소인 채로 적열되어 적황색이 됨
화재피해조사 산정기준 중 동일 소방대상물로서 한 건의 화재로 취급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곳에서 발생한 화재
2.
누전점이 다른 2개소 이상에서 발생한 화재
3.
지진, 낙뢰 등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한 여러 화재
4.
동일범에 의한 방화 또는 불장난으로 2개소 이상에서 발생한 화재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 전원 정답처리된 문제
사유: 문제 서두에 [화재피해조사 산정기준]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나 1~4번 보기는 [화재 건수의 기준]이므로 문제와 선택지와의 불일치
*화재 건수의 결정 1건의 화재란 1개의 발화지점에서 확대된 것으로 발화부터 진화까지를 말한다 예외) 1.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한다. 2. 동일 소방대상물의 발화점이 2개소 이상 있는 다음의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한다. 가. 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화재 나. 지진, 낙뢰 등 자연현상에 의한 다발화재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8.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성이 적을수록 좋다.
2.
지구 온난화에 끼치는 영향이 적을수록 좋다.
3.
대기 중에 잔존 시간이 길수록 좋다.
4.
오존층 파괴에 끼치는 영향이 적을수록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소화성능: 기존 할론약제 성능 이상 2. 독성: 설계농도는 NOAEL 이하로 3. 환경영향성: ODP, GWP, ALT(대기권 잔존 기간) 낮을 것 4. 물성: 증기압, 절연성, 냉각특성, 열분해 물질 등 5. 안정성: 저장시 분해여부, 부식여부 등 6. 경제성: 적정 가격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