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 호텔(Resort hotel)은 각종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숙박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그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해변호텔(Beach hotel)
2.
산장호텔(Mountain hotel)
3.
철도역호텔(Station hotel)
4.
클럽하우스(Club hotel)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해변호텔은 호텔이 입지한 해변의 관광객이 주로 숙박하는 곳이다. 2. 산장호텔은 호텔이 입지한 산의 관광객이 주로 숙박하는 곳이다. 4. 클럽하우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클럽을 구성해 모이는 곳으로서 골프클럽처럼 골프 등 특수 관광 목적을 즐기는 관광객이 주로 숙박하는 곳이다. 3. 철도역호텔은 관광지보다는 철도역 교통요지에 위치하여 주로 다른 관광지를 가거나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숙박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크눌프]
<문제 해설> 초등학교 저학년은 종합교실형(A형)이 적합하며, 그 이유는 학생들의 이동이 없어 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수있다. [해설작성자 : 호떡이아빠]
7.
쌓기 전 시멘트벽돌을 물축이기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벽돌의 파손 방지
2.
모르타르의 수분흡수 방지
3.
화재방지
4.
백화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시멘트 벽돌은 모르타르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접촉면에 물축임 없이 시공을 하면 모르타르의 강도가 저하될수 있다. [해설작성자 : 윤녀당]
8.
사무소 건축에서 코어플랜(core plan)의 이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코어의 외곽이 내진벽 역할을 할 수 있다.
2.
부지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무실의 독립성이 보장된다.
3.
사무소의 임대면적 비율(rentable ratio)을 높일 수 있다.
4.
각 층에서 설비계통의 거리가 비교적 균등하게 되므로 최대부하를 줄일 수 있고 순환도 용이하게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코어(core): 건물의 설비부분이나 특수한 부분을 핵 모양으로 집중시킨 부분. 설비를 집중배치하기 때문에 배관배선이 절약되고, 설비를 중심으로 사람의 움직임이 집약되므로 동선이 절약되고 면적 효율이 높은 평면구성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세포나 과실의 핵과 같이 건물의 중심부에 설비를 집중시키고 코어 외곽을 내진벽으로 둘러싸여 건물 전체를 견고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윤녀당]
9.
도서관의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2.
자유개가식은 서가의 정리가 잘 안되면 혼란스럽게 된다.
3.
안전개가식은 열람자가 목록 카드에 의해 책을 선택하여 관원에게 수속을 마친 후 열람하는 방식이다.
4.
반개가식에서 열람자는 직접 서가에 면하여 책의 체제나 표지 정도는 볼 수 있으나 내용을 보려면 관원에게 요구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안전개가식 출납 시스템은 이용자가 도서관에 있는 책을 직접 꺼낼 수는 있지만, 도서관원의 검토를 받아야 하며 기록을 한 후 책을 열람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번은 폐가식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상점의 파사드 구성에서 중요시되는 5가지 광고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ttention
2.
Desire
3.
Media
4.
Interest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상점 정면(facade,파사드) 구성을 위한 광고요소 (AIDMA법칙) 1. A (Attention : 주의) - 주목시키려는 배려 2. I (Interest : 흥미) - 공감을 주는 호소력 3. D (Desire : 욕망) - 욕구를 일으키는 연상 4. M (Memory : 기억) - 인상적인 변화 5. A (Action : 행동) - 들어가기 쉬운 구성 [해설작성자 : AKI]
11.
침실계획 시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적 생활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2.
침실의 면적은 실내의 자연환기횟수를 고려하여 산출한다.
3.
노인침실은 일조가 충분한 곳에 면하게 한다.
4.
현관과 가깝게 배치해야 동선 상 유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침실은 현관에서 멀리
12.
상점의 매장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이 고객 쪽에서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2.
고객의 동선은 짧게, 점원의 동선은 길게 한다.
3.
고객과 직원의 시선이 바로 마주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4.
고객을 감시하기 쉬워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물건 사게 하려면 고객의 동선은 길게, 효율을 위해 점원의 동선은 짧게
13.
학교 교실의 음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3번 학교 교실의(소)음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음에 소가 빠짐
14.
주방의 작업삼각형(Work Triang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장고, 싱크대, 조리대를 연결하는 삼각형을 말한다.
2.
삼각형의 총 길이는 3.6~6.6m 정도가 적당하다.
3.
냉장고와 싱크대, 싱크대와 조리대 사이는 동선이 짧아야 한다.
4.
삼각형의 한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작업의 효율이 높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삼각형 한변의 길이가 길어지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죠
15.
1인당 필요한 신선공기량이 30m3/h일 때 정원이 500명, 실용적이 5000m3의 강당의 1시간당 환기 횟수는 얼마인가?
1.
2회
2.
3회
3.
4회
4.
5회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인당 필요한 공기 x 정원 = 필요한 공기 총량 필요 공기 / 면적 = 환기횟수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16.
천장의 채광 효과를 얻기 위하여 천장의 위치에 설치하고, 비막이에 좋은 측창의 구조적 장점을 살리기 위하여 연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한 창에 의한 채광법으로 주광률 분포의 균일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는 것은?
1.
측광
2.
정광
3.
정측광
4.
산란광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광식은 일반 건물의 창처럼 벽 중간에 창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는 형식이고, 정측창은 벽의 높은 위치에 창을 설치하고 실내쪽으로 밀어넣은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푸른마을 안전관리자]
17.
기초의 계획 및 설치에 관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실은 가급적 건물 전체에 균등히 설치하여 침하를 줄이는데 유의한다.
2.
지반의 상태가 고르지 못하거나 편심 하중이 작용하는 건축물의 기초는 서로 다른 형태의 기초나 말뚝을 혼용하는 것이 좋다.
3.
기초를 땅속 경사가 심한 굳은 지반에 올려놓을 경우 슬라이딩의 위험성을 고려해야 한다.
4.
지중보를 충분히 설치하면 기초의 강성이 높아지므로 부동침하 방지에 도움이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같은 형태의 서로 다른 강도의 기초 나 말뚝을 혼용한다. [해설작성자 : 벼락]
18.
병원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진료부의 운영방식에서 오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각종 과를 필요로 한다.
2.
간호사 대기소는 엘리베이터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시킨다.
3.
병원의 조직은 시설계획상 병동부, 중앙진료부, 외래부, 공급부, 관리부 등으로 구분되며, 각부는 동선이 교차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입원환자의 병상수에 따라 외래, 수술, 급식 등 모든 병원의 시설규모가 결정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오픈 시스템 : 일반 개업의사가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자신의 환자를 종합병원 진찰실에서 예약된 장소와 시간에 진찰, 입원할 수 있는 시스템 (해외 외래진료방식) _ 따라서 대규모의 각종과가 필요하지 않다. 클로즈드 시스템 : 대규모의 각종과가 있고, 환자가 매일 병원에 출입하는 방식 (우리나라 외래진료방식) _ 환자가 병원출입을 해야 진료가 가능한방식으로 대규모 각종과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AKI]
19.
목구조의 맞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로 잘라 맞댄 것을 안장맞춤이라 한다.
2.
큰 부재에 구멍을 파고 그 속에 작은 부재를 그대로 끼워 넣는 맞춤을 통맞춤이라 한다.
3.
부재의 마구리에서 필요한 일부를 남기고 나머지를 따내어 다른 부재의 구멍 속에 밀어 넣어 맞추는 것을 장부맞춤이라 한다.
4.
위쪽 부재와 아래쪽 부재가 직각으로 교차할 때 접합면을 서로 따서 물리게 하는 것을 걸침턱맞춤이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도로 잘라 맞춘 것은 연귀맞춤이고, 안장맞춤은 빚잘라 중간을 따서 두 갈래로 된 것을 양 옆을 경사지게 끼워서 맟춤 [해설작성자 : 응시자]
20.
기온, 기류 및 주벽면온도의 3요소의 조합과 체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열환경 지표는?
1.
유효온도
2.
불쾌지수
3.
등온지수
4.
작용온도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체감에 대한 기온과 주변의 복사열 및 기류의 영향을 조합시킨 지표가 작용온도이다. [해설작성자 : 응시자]
유효온도는 기온, 습도, 풍속 [해설작성자 : 이왕짱]
2과목 : 위생설비
21.
온도 20℃, 길이 100m인 동관에 탕이 흘러 60℃가 되었을 때, 이 동관의 팽창된 길이는? (단, 동관의 선팽창계수는 0.171×10-4/℃이다.)
1.
34.2mm
2.
68.4mm
3.
136.8mm
4.
171mm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L=L*α*△t(m) 100*0.171*10¯4*(60-20) [해설작성자 : 무거운 눈꺼풀]
22.
수도본관에서 수직높이 1m인 곳에 대변기의 세정밸브를 설치하였다. 이 세정밸브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수도본관의 최저 압력은? (단, 수도직결방식이며, 본관에서 세정밸브까지의 마찰손실은 0.02MPa, 세정밸브의 최저필요압력은 0.07MPa이다.)
1.
0.07MPa
2.
0.09MPa
3.
0.1MPa
4.
0.19MPa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0.07+0.02+1/100=0.1 [해설작성자 : 설비나라건축곤듀]
Po >= P + Pf + (H/100) P : 수전 또는 기구의 필요압력 [MPa] Pf : 본관에서 기구에 이르는 사이의 저항 [kg/cm^2] H : 기구높이 [m] Po >= 0.07+0.02+(1/100) = 0.1MPa
물 속에 녹아있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염류의 양을 탄산칼슘의 농도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경도(= 전경도, 총경도)에 따른 물의 분류 > 0∼75 ppm: 단물(연수) > 75∼150 ppm: 비교적 약한 센물 > 150∼300 ppm: 센물(경수) > 300 ppm 이상: 아주 강한 센물 > 현행 음용수 수질 기준: 300 ppm 이하 [해설작성자 : AKI]
25.
플라스틱 위생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공성이 좋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다.
3.
경량이나 경년변화로 변색의 우려가 있다.
4.
표면경도와 내마모성이 커서 흠이 생기지 않고, 열에 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라스틱 위생기구는 열에 약합니다.
26.
500L/h의 급탕을 하는 건물에서 전기순간 온수기를 사용했을 때 전기소비량은? (단, 물의 비열 4.2kJ/kgㆍK), 급탕온도 60℃, 급수온도 15℃, 효율 80%)
<문제 해설> 파이프에 물이 흐를 때, 잉크를 넣어 물의 흐름의 상태를 관측하면 유속에 따라 잉크의 흐름이 직선으로 나타나요 물의 각 부분이 평행으로 움직이며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런 흐름이 층류에요 담배를 피우면 연기가 처음에는 일자로 올라가다가 어느 정도를 지나면 흐트러지는데요. 처음 상태를 층류라고 하고 흐트러지는 상태를 난류라고 해요 [출처] 공기역학 층류와 난류 그리고 레이놀즈(무차원 수)|작성자 우진에어텍콤프레샤 [해설작성자 : 남엄마]
30.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관의 종류는?
1.
습통기관
2.
각개통기관
3.
결합통기관
4.
루프통기관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습통기관=습윤(습식)통기관:최상류 기구의 환상통기에 연결하여 통기와 배수의 기능. 각개통기관:각 위생기구마다 하나씩 통기관을 설치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식. 결합통기관: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을 접속하는 통기관, 각도는 45도, 5개층마다 설치하여 배수 수직주관의 통기를 촉진. 루프통기관=환상,회로통기관:2~8개 기구트랩에 하나의 통기관을 설치, 통기관의 연장길이는 7.5m이내로한다. [해설작성자 : 윤녀당]
31.
급수배관에서 유속을 제한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캐비테이션 발생 방지
2.
크로스 커넥션 발생 방지
3.
유수(流水)에 의한 소음 발생 방지
4.
워터해머로 인한 관 및 관이음쇠의 손상 발생 방지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크로스 커넥션]은 급수와 배수가 만나 오염이 발생되는 현상을 뜻한다. [해설작성자 : poochai]
2. 활성오니법 (접촉폭기) 호기성 조건하에서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기질(基質)로 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호흡 및 합성과정을 통해 오·폐수 내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으로서 활성오니법이 있으며, 활성오니공법의 원리를 이용한 변법으로서 계단식포기(Step Aeration), 접촉안정법(Contact Stabilization), 개량폭기법(Modified Aeration), 장기폭기법(Extended Aeration), 순수산소 활성슬러지법(Pure Oxygen Activated Sludge)이 있다.
3. 회전원판법 폐수의 흐름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중의 플라스틱 원판은 축이 회전함에 따라 원판 위에 부착된 미생물은 폐수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미생물은 유기물을 흡수하고 과잉의 미생물은 탈리하게된다. 또한 미생물이 대기에 노출될 때 산소를 흡수하여 호기성상태가 되도록 하여 미생물이 대사에 의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며, 단단회전원판접촉조(Single-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과 다단회전원판접촉조(Multi-stage Rotary Biological Contactor)이있다.
- HBC 공법 Lace or Loop의 HBC-Ring에 부착성장한 미생물막과 수중의 유기물과의 번복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즉, 폭기조의 측면에서 공기를 공급하면 수중에 산소가 용해되며 기포의 부상력에 의하여 오염된 물고 의교반이 이루어진다. 이때 HBC-Ring에 부착된 미생물군과 수중의 오염물질이 반복 접촉하여 유기성 오염물의 산화, 분해가 이루어지며 링 내부에 증식하는 혐기성균에 의해 잉여오니는 분해되므로 오니발생량이 저감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출처] (설비) HBC공법 폐수처리장 [해설작성자 : AKI]
33.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기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세면기
2.
제빙기
3.
세탁기
4.
식기세척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위생도기(세면대, 변기)는 악취 및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접배수(배수구멍이 배수관과 바로 연결)를 함. [해설작성자 : 억울한민트]
34.
내경 40mm, 길이 20m인 급수관에 유속 2m/s로 물을 보내는 경우 마찰손실수두는? (단, 관마찰계수는 0.02이다.)
각 분기부분에 있어서의 풍속의 감소에 의한 정압재취득을 다음 구간의 덕트저항손실에 이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 정압 재취득법 전압이 일정할 경우 동압(유체의 운동에너지)이 커지면 정압(유체의 흐름과 평행인 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줄어들고, 동압이 작아지면 정압이 커지는 것을 이용하여 덕트의 치수를 설계하는 법으로, 전압법이나 등마찰법에 비해 설계방법이 더욱 더 복잡함. [해설작성자 : AKI]
<문제 해설> 직교류형 냉각탑 1. 설치면적이 크고 물의 비산하는량은 대향류형과 비슷하다. 2. 소요면적당 열효율은 대향류셩 보다 낮다 3 팬동력은 적고 물분배방식은 저압 자연분배 방식이다 4. 통로나 작업공간이 충분하여 점검 보수가 용이하다 (기타 : 냉각수와 유입공기의 접촉이 충진재면을 서로 교차하는 열교환 방식의 냉각탑이다. 높이는 대향류형에 비해 2/3정도이다 길이는 대향류형과 비슷하나 폭은 대향류형에 비해 약 2배나 크다) [해설작성자 : AKI]
49.
다음의 송풍기 풍량제어법 중 축동력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것은?
1.
회전수 제어
2.
흡입베인 제어
3.
흡입댐퍼 제어
4.
토출댐퍼 제어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회전수제어<흡인베인제어<흡입댐퍼제어<토출댐퍼제어 [해설작성자 : 잇슈라진]
50.
냉방부하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벽구조에 따라 상당온도차는 다르게 나타난다.
2.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는 현열과 잠열 모두 고려한다.
3.
틈새바람량 계산법으로는 틈새법, 면적법, 환기 횟수법 등이 있다.
4.
유리를 통한 열부하는 일사에 의한 직접 열취득만을 고려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냉방부하 냉방하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는 현열 또는 잠열의 부하로 공기 조화기에서 냉각기 용량을 결정하여 공기 조화 설계의 기초가 된다. 실내 부하에는 벽체나 유리·사잇바람·인체·기구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냉동 장치 속에 있는 송풍기나 덕트의 영향이나 재열 부하와 외기 부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단위로 [kcal/h]를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냉방 부하 [cooling load, 冷房負荷, れいぼうふか] (공조냉동건축설비 용어사전, 2011. 1. 15., 공조설비용어사전 편찬회)
#. 틈새바람량 (극간풍량) 계산법 1. 틈새법 : 창문이나 문의 틈새의 길이를 측정해 구하는방법 (Q = B 골) 2. 면적법 : 창문이나 문의 면적을 기준으로 값을 구하는 방법
Q = A × i Q : 풍량 (m3/h) A : 창문의 면적 (m2) i : 창틀의 종류에 따른 단위면적당 통기량 (m3/hm2) 창틀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값에 창의 면적을 곱해주면 된다.
3. 환기 횟수법 : 실의 용적에 의해 정해지는 값을 곱해준다 Q = n × V Q : 풍량 (m3/h) V : 실의 용적 (m3/h) n : 환기횟수 실의 용적에따라 환기횟수도 정해진다. [해설작성자 : AKI]
유리를 통한 열부하 : 일사에 의한 직접 열취득과 전열부하(복층유리)를 고려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강비무]
51.
실내 설계온도가 20℃인 어떤 실의 난방부하를 계산한 결과 현열부하 qs=15000W, 잠열부하 qL=3000W이었다. 실내 송풍량이 10000kg/h라 하면 이 때 필요한 취출공기의 온도는? (단, 공기의 비열은 1.01kJ/kgㆍK이다.)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인터폰설비의 통화 방식에 따른 구분에 속하지 않은 것은? << 문제 변경 해야될거 같아요. 모자, 상호, 전화스피커는 통화방식에 의한 분류이고 프레스토크 방식은 엘리베이터용 인터폰으로써 작동원리에 따른 분류 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산보안관]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프레스 토크방식은 상대편의 통신을 받고 있는 동안은 누름단추를 놓아두고 상대편에게 통신을 보낼때에는 그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것과 같이 버튼으로 송수신을 전환시켜 교대로 통화하는 방식을 말하는것으로 인터폰 통화방식과는 전혀 관계가없어 보입니다 질문이 잘못된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통화방식에 따른 종류는 동시통화방식(전화방식) 및 교호통화방식(프레스토크 방식)이 있으며, 건축전기설비에서는 동시통화방식을 사용한다. 4번 답이 맞습니다. 오류 아닙니다.
[오류신고 반론] 인터폰설비의 통화 방식 중 접속방식에 의한 분류 다른 하나는? 답: 프레스 토크 나머지는 접속방식 [해설작성자 : 김선달]
63.
소화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희석소화는 가연물질 주변의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낮추는 소화방법이다.
2.
냉각소화는 가연물질의 온도를 낮추어 연소의 진행을 억제하는 소화방법이다.
3.
제거소화는 가연물질은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연소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제거하는 소화방법이다.
4.
부촉매소화는 연소반응에서 화학적 작용을 통해 연쇄적 반응으로 화재진행을 억제하는 소화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질식소화 [해설작성자 : 고니강]
희석소화는 가연물을 희석하여 연소범위를 벗어나게 하여 소화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metalmind]
64.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단위와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상전력의 단위는?
1.
[W]
2.
[Ah]
3.
[VA]
4.
[VAR]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피상전력 : VA 유효전력 : W 무효전력 : Var [해설작성자 : G90]
65.
조도계산 방식 중 광원에서 나온 전광속이 작업면에서 비춰지는 비율(조명률)에 의해 평균조도를 구하는 것으로 실내전반 조명설계에 사용되는 것은?
1.
광속법
2.
광도법
3.
배광법
4.
축점법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광속법: 광속법은 광원에서 나온 전광속이 작업면에 비춰지는 비율(조명률)에 의해 평균 조도를 구하는 것으로 실내전반 조명설계에 사용한다. 2.광도법: 물리학에서 전자 스펙트럼에 대한 정량적 연구 방법이다. 분광법보다 적용 범위가 좁으며, 가시광선과 근자외선, 근적외선을 대상으로 한다. 3.배광법: 배광은 조명 기구 또는 광원에서 빛이 방출되고 확산되는 패턴 [해설작성자 : 초심맨]
4. 축점법 조명계산법에는 광속법과 축점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내 전체를 어떠한 일정 조도로 하는 전반조명은 광속법, 국부조명은 축점법을 사용함. [해설작성자 : 붕붕카]
66.
단상 변압기의 2차 무부하 전압이 220[V]이고, 정격부하에서의 2차 단자전압이 200[V]일 경우 전압 변동률은?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층수가 11층 미만인 경우)
1.
의료시설
2.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3.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4.
업무시설 중 주민자치센터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 설치해야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근린생활시설 중 체력단련장, 숙박시설,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2.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수영장 제외)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정신의료기관(입원실 없는 곳 제외), 노유자시설 및 숙박가능한 수련시설 4.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5. 1~4번에 해당되지 않지만 11층 이상인 곳 (아파트 제외) 6.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해설작성자 : 임다다]
90.
각 층의 거실면적이 각각 2000m2이며 층수가 8층인 백화점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15인승 승강기의 경우)
1.
2대
2.
3대
3.
4대
4.
5대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6층이상의 연면적 합계 2,000m2*3개층=6,000m2 ((6,000m2-3,000m2)/2,000m2)+2대=3.5대 4대 설치. [해설작성자 : 함해볼까]
<문제 해설> *개축- 건축물 전체를 철거하거나 그에 준하는 정도로 철거하는 수선, 가장 큰 범위의 수선 *대수선-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변경하지만 건축물을 철거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개축보다 수선의 범위가 작다. *리모델링- 대수선 혹은 일부 증축하는 행위 [해설작성자 : 초심맨]
92.
건축물에 설치하는 복도의 유효너비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단, 연면적 200m2를 초과하는 건축물이며, 양옆에 거실이 있는 복도의 경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문제는 답이 2개 같습니다. 1번과 4번인데요. 건축법상 건축물의 용도변경 시 허가대상과 신고대상을 구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가대상: 시설군에 속하는 건축물의 용도를 상위군의 해당 용도로 변경하는 경우 신고대상: 시설군에 속하는 건축물의 용도를 하위군의 해당 용도로 변경하는 경우 이때, 각 시설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자동차 관련 시설군 2.산업 등 시설군 3.전기통신 시설군 4.문화 및 집회 시설군 5.영업 시설군 6.교육 및 복지 시설군 7.근린생활 시설군 8.주거업무 시설군 9.그 밖의 시설군 이므로 11번은 하위장례시설(7번 근린생활 시설군)이므로 상위발전시설(2번 산업시설군)으로 상위군으로 가므로 1번도 정답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장례시설은 2번 산업 등 시설군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보기 1번) 장례시설은 두번째 산업등 시설군 이고 발전시설은 세번째 전기통신 시설군이므로 신고 대상임ㅁ [해설작성자 : 다시 확인해 보시길]
96.
건축물의 경사지붕 아래에 설치하는 대피공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별피난계단 또는 피난계단과 연결되도록 할 것
2.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최소 1.2m 이상으로 할 것
3.
관리사무소 등과 긴급 연락이 가능한 통신 시설을 설치할 것
4.
대피공간의 면적은 지붕 수평투영면적의 10분의 1 이상 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출입구 유효너비 0.9M이상 [해설작성자 : 건축설비 쭈워니]
97.
다음의 공동주택의 환기설비기준에 관한 내용 중 ()안에 알맞은 것은?
1.
0.5회
2.
1.0회
3.
1.2회
4.
1.5회
정답 : [
1
] 정답률 : 57%
9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건축부문의 권장사항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한다.
2.
문화 및 집회시설 등의 대공간의 최상부에는 자연배기 또는 강제배기가 가능한 구조 또는 장치를 채택한다.
3.
수영장에는 자연채광을 위한 개구부를 설치하되, 그 면적의 합계는 수영장 바닥면적의 10분의 1 이상으로 한다.
4.
학교의 교실, 문화 및 집회시설의 공용부분(복도, 화장실, 휴게실, 로비 등)은 1면 이상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수영장의 경우 수영장 바닥면적의 1/5이상으로 개구부를 설치 [해설작성자 : 만득이]
99.
공사감리자가 공사시공자에게 상세시공도면의 작성을 요청할 수 있는 건축공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공사
2.
연면적의 합계가 2000m2 이상인 건축공사
3.
연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건축공사
4.
연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연면적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공사의 공사감리자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공사시공자에게 상세시공도면을 작성하도록 요청할 숭 있다. [해설작성자 : 윤녀당]
100.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m2 인 경우)
1.
아파트등
2.
종교시설
3.
판매시설
4.
교육연구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지상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m2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단, 아파트 등,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구 또는 지하가 중 터널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윤녀당]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①
④
③
①
③
②
②
③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②
①
④
②
③
②
①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②
②
④
③
①
①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④
①
④
③
①
③
③
②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①
④
②
③
②
③
②
①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④
②
①
①
②
②
④
③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④
①
③
①
③
①
①
④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①
③
①
①
①
③
④
①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③
①
②
③
②
②
②
④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①
③
②
④
②
①
③
④
①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