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도토리 등 함수량이 많은 전분 종자를 추운 겨울 동안 동결하지 않고 부패하지 않도록 저장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천매장법
2.
보호저장법
3.
상온저장법
4.
저온저장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종자 저장 ① 실온저장법: 소나무, 낙엽송, 삼나무, 편백 ② 밀봉저장법=냉건저장법: 결실주기가 긴 수종(낙엽송), 실온저장으로 생명력 쉽게 상실 씨앗, 연구 실험목적 함수율: 5~7%유지 씨앗무게의 10% 해당하는 건조제와 황화칼륨 넣어 냉암실 보관 ③ 노천매장법 ⑴ 일찍 노천매장 해야 할 수종-씨앗크고, 껍질두꺼우며, 수분흡수방해 물질 가진수종 : 은행, 백합, 백송, 호두, 가래, 느티, 들메, 목련, 단풍, 벚나무, 잣나무, 벽오동, 팽나무, 물푸레, 신나무, 피나무, 층층, 옻나무 ⑵ 씨뿌리기 한달전 매장- 작은 씨앗 : 소나무, 해송, 리기다, 낙엽송, 가문비, 전나무, 측백, 삼나무, 편백 ④ 보호저장법=건사저장법: 마른모래와 씨앗을 섞어 지하실, 창고 등에 저장 - 은행, 밤, 도토리, 칠엽수 ⑤ 습적법: 이끼, 톱밥등과 혼합하여 용기에 담아 1~2℃의 냉장실이나 냉장고에 저장(함수율 20~25%) [해설작성자 : 박종국]
보호저장법이 맞음 저온저장법은 낙업송과 같이 결실주기가 긴 수종에 적합 [해설작성자 : 산림기사 따자]
보호저장법은 주로 건조에 약한 종자를 흙·모래·톱밥 속 등에 묻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인데, 이는 대체로 야외 저장(노천매장) 형태라 온도 조절이 어렵습니다. 겨울에는 쉽게 얼어버릴 수 있죠. 저온저장법은 인공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냉장·저온창고에서 보관하는 방법으로, 동결을 방지하면서도 곰팡이 번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밤·도토리 → 저온저장법이 가장 적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작업종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대나무는 제외)
1.
벌채 종류
2.
벌구 크기
3.
벌채 위치
4.
벌구 모양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작업종의 분류기준 임분의 기원, 벌채종,벌채 크기의 모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산림 토양에서 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의 입단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2.
임상 내 H층에 해당되며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토양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으로 사용 가능하다.
4.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염기를 흡착하는 능력인 염기치환용량이 작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식은 토양 유기물로서 부식의 기능으로는 보수력 증대, 토양구조 개선, 토양온도 상승, 인산 고정 억제, 식물의 무기양분 공급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오하-빈]
부석 - 염기치환용량 큼 [해설작성자 : 산림킹]
7.
묘목의 굴취를 용이하게 하고 묘목의 생장을 조절하기 위해 실시하는 작업은?
1.
심경
2.
관수
3.
단근
4.
철선감기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단근은 묘목의 뿌리를 자르는 작업으로 묘목의 뿌리 발달이 촉진되어 활착률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음수 갱신에 가장 불리한 작업 방법은?
1.
산벌작업
2.
택벌작업
3.
이단림작업
4.
모수림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모수작업은 양수에 적용되는 것에 유리하며 바람에 날려 전파가 용이한 수종에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황쟉]
- 음수 갱신이 유리 : 산벌작업, 택벌작업, 이단림작업 - 양수 갱신이 유리 : 모수림작업, 개벌작업 [해설작성자 : 도오트]
9.
비료의 당도가 너무 높아 묘목이 말라죽는 경우에 토양과 묘목의 수분포텐셜( )의 관계로 옳은 것은?
<문제 해설> 어린나무가꾸기는 풀베기가 끝난 후, 어린나무들이 임관을 형성하게 되는시기에 목적 외 수정의 침입이나 목적 수정이라도 생장이 불량하거나 과도한 주변 조림목을 피압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 불필요한 나무를 제거하여 조림목의 경쟁을 완화시키는 간벌을 하는 것이다. 작업시기는 제거 대상목의 맹아가 약한 6~8월 중에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피고지고]
Populus nigra : 사시나무속_ 흑양(2024년 국가생물종목록_v1.2 참고) [해설작성자 : 각시멧노랑]
20.
수목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받은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호르몬은?
1.
옥신
2.
지베렐린
3.
사이토키닌
4.
에브시스산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옥신 : 세포신장에 관여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호르몬 2. 지베렐린 : 식물체 내에서 생합성되어 모든 기관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미숙종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음 3. 사이토키닌(시토키닌) : 세포분열 촉진, 식물체 내에서 충분히 생성 4. ABA(에브시스산) : 대표적인 생장억제물질로 건조, 무기양분의 부족 등 식물체가 스트레스 받는 상태에서 발생이 증가 [해설작성자 : 산생보 학생회]
2과목 : 산림보호학
21.
액상의 농약을 제조할 때 주제를 녹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질은?
1.
유제
2.
용제
3.
유화제
4.
증량제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용제 : 주제를 녹이는 용매, 자일렌, 벤젠, 에탄올, 물 등 유제 : 섞이지 않는 두 가지 액체를 혼합하여 만든 특수한 유형의 혼합물 유화제 : 유제를 섞이게 하고,안정을 유지하게 하는 물질, 계면활성제 증량제 : 성질에는 변함이 없이 양만 늘게 하는 물질 [해설작성자 : 단단]
<문제 해설> 2. 함정트랩, 낙하트랩: 곤충이 지면에 설치된 트랩안으로 떨어지면 나오지 못하게 된것 1. 유아등: 나방 따위의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논밭에 켜는 등불 3. 수반, 수봉트랩: 관 트랩, 드럼 트랩, 벨 트랩 등 배수에서 수봉 형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트랩을 통틀어 이르는 말 4. 말레이즈트랩: 곤충이 높은 곳으로 기어가는 습성을 이용한 트랩 [해설작성자 : 생명대 부회장]
24.
여름포자가 없는 녹병은?
1.
향나무 녹병
2.
잣나무 털녹병
3.
소나무 잎녹병
4.
전나무 잎녹병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여름포자: 담자균아문의 녹균류에서 볼 수 있는 녹균의 포자형의 하나. 구형 내지 난형이며, 표면에도 다양한 무늬 돌기가 존재한다 [해설작성자 : 무운기]
2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해충은?
1.
대벌레
2.
박쥐나방
3.
미국흰불나방
4.
조록나무흑진딧물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추가내용 : 번데기 형태로 나무껍질이나 지피물 아래에서 월동하며, 유충은 잎을 갉아 먹고 피해 수종의 범위가 넓음 [해설작성자 : 2025년 3회차 필기 준비생]
26.
다음 중 2차 대기오염 물질에 해당되는 것은?
1.
HF
2.
SO2
3.
분진
4.
PAN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질산과산화 아세틸(PAN)은 햇빛이 있는 조건에서 피해가 나타난다.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다. 식물의 세포막이나 소기관을 파괴하여 기능을 상실시키며 광합성을 저하시킨다. [해설작성자 : 황쟉]
27.
밤나무 줄기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병성 품종을 식재한다.
2.
동해 및 볕데기를 막고 상처가 나지 않게 한다.
3.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어 수목을 건강하게 한다.
4.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수목 줄기의 이상 생장때문에 건전목이 되기 어렵다. [해설작성자 : 정병철]
28.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2.
피해를 받은 나무가 고사하는 경우는 없다.
3.
충영은 성충 탈출 후에도 녹색을 유지한다.
4.
밤나무 잎에 기생하여 직경 1mm 내외의 충영을 만든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밤나무혹벌 눈에 산란 및 유충 활동, 1년1회 발생, 수컷이 없고 암컷만 있는 단성생식 방제법 : 봄에 벌레혹 채취소각, 성충 최성기 6~7월 약제 살포, 내충성품종 천적-노란꼬리좀벌, 남색긴꼬리좀벌, 중국긴꼬리좀벌 [해설작성자 : 앤디]
29.
수목의 그을음병을 방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2.
방풍 시설을 설치한다.
3.
해가림 시설을 설치한다.
4.
흡즙성 곤충을 방제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수목의 그을음병 방제 1. 질소비료 사용 X 2. 습기 유지 3. 흡즙성 곤충 (진딧물/깍지벌레) 방제 [해설작성자 : 무지성랄뚜기]
<문제 해설> 초기에는 연년생장량이 크고 평균 생장량과 연년생장량이 만나면 평균생장량의 최대점이며 그이후에는 연년생장량이 작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자본장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2.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효율은 커진다.
3.
자본액 중에서 유동자본을 포함한 고정자본을 종사자로 나눈 것이다.
4.
다른 요소에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자본이 많아지면 자본장비도는 작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자본장비도 = 자본(k)/종사자수(N) 1인당 국민소득 = 소득(Y)/종사자수(N) 자본의 효율 = 소득(Y)/자본(K) 1인당 소득(노동생산성)은 자본장비도와 자본효율에 의해 정해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유동자본으로만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임도, 임업기계
2.
묘목, 임업기계
3.
임도, 미처분 임산물
4.
묘목, 미처분 임산물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유동자본 : 노동력이나 원료처럼 생산과성에서 소진되어 반복적으로 투입되는 자본, 종자,비료 농약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과, 유류,전기,비닐 포장재등 재료로 사용되는 자본재가 있다. 고정자본은 1회전 할 때 유동자본은 여러번 회전하며, 일시에 소비된다 [해설작성자 : 농업경영학 참조]
벌기령이 높아지면 임지기망가는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어느 시기에 최대에 도달하고, 그 후부터는 점차 감소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그 임지에 일정의 시업을 영구히 했을 때 그 임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순수익의 현재가(전가)합계로서 정한 것인데 임지순수확가 또는 임지수익가라고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돈달산인]
이율이 [낮을수록] 임지기망가는 커지므로 1번은 옳지 않다.
임지지망가: 일제림에서 정해진 시업을 영구히 실시한다고 가정할 때 그 임지에서 기대되는 순수익의 현재가격 (총수입의 현재가격 - 총비용의 현재가격) / (무한수확의 전가합계 - 무한경비의 전가합계) > 순수익의 현재가격: 주벌수입, 간벌수입 등의 현재가에서 조림비와 관리비 등 비용을 공제
임지기망가의 각 계산인자 1) 주벌수익과 간벌수익: 항상 양수이므로 이 값이 클수록 임지기망가는 커진다 2) 조림비와 관리비: 음수이므로 이값이 클수록 임지기망가가 작아진다. * 특히 조림비는 한 벌기 동안 복리로 계산되므로 적은 차이라도 영향이 크다 3) 이율: 이율이 낮을수록 임지기망가가 커진다. (이율이 크면 임지기망가의 최대값에 도달하는 시기가 빠르다.) 4) 벌기: 일반적으로 벌기가 높아지면 임지기망가의 값이 증가하다가, 어느 시기에 최대에 도달하고 그 후부터는 점차 감소한다. * 임지기망가가 최대가 되는 시기를 벌기령으로 정하는 것을 토지순수입최대의 벌기령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이무무]
<문제 해설> 면적 평분법 : 각 분기의 벌채면적이 균등하게 되도록 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황쟉]
- 복벌(재벌) : 한번의 벌기 기간 중에 2회 이상 주벌 하는 것 - 개벌(모두베기) : 구별없이 임목 전부를 벌채하는 것 - 택벌 : 큰나무를 골라서 베어내고 어린나무를 자라게 하여 숲을 유지하는 것 [해설작성자 : 도오트]
5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평가 방법은?
1.
회수기간법
2.
순현재가치법
3.
수익비용률법
4.
투자이익률법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미래 발샹할 모든 현금흐름을 족절한 할안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나타내며 장가투자에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김포]
53.
산림경영의 지도원칙 중에서 수익성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지의 생산력을 최대로 추구하는 원칙
2.
최대의 경제성을 올리도록 경영하는 원칙
3.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원칙
4.
최대의 이익 또는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경영하는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수익성의 원칙:최대의이익 또는 이윤을 얻을수 있도록 경영하여야한다. 2)경제성의 원칙:최소의비용으로 최대의효과를 발휘하는 원칙 3)생산성의 원칙:단위면적당 평균적으로 가장많은 목재를 생산하지는 원칙. 4)공공성의 원칙:산림 또는 산림생산의 사회적 의의를 더욱 발휘하고 인류생활의 복리를 더욱 증진할수 있도록 산림을 경영하자. 5)보속성의 원칙:매년 수확을 균등하고 영구히 존속할수 있도록 경영하는 원칙. 6)합자연성의 원칙:자연법칙을 존중하여 산림을 경영하자는 원칙. 7)환경보전의 원칙:국토보안,수원함양,자연보호등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 할수 있도록운영하여야 한다는 원측. [해설작성자 : 여름아침]
54.
산림경영계획에서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이 의미하는 것은?
1.
임반-보조임반-소반-보조소반
2.
임반-소반-보조임반-보조소반
3.
경영계획구-임반-소반-보조소반
4.
경영계획구-임반-보조임반-소반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은 임반, 보조임반, 소반, 보조소반을 의미한다. 이것은 산림경영의 단위 구획을 나타내는 것으로,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경영하기 위한 목적이다. 임반은 가장 큰 단위로, 보조임반은 임반 안에 있는 더 작은 단위이다. 소반은 보조임반 안에 있는 더욱 세부적인 구획이며, 보조소반은 소반 내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이러한 구획은 산림의 특성과 경영 목적에 따라 조정되고 관리된다. 따라서 1-2-3-4로 표시된 산림구획은 임반-보조임반-소반-보조소반의 순서로 진행되는 산림 경영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앙드레서방]
55.
형수를 사용해서 입목의 재적을 구하는 방법을 형수법이라고 하는데, 비교 원주의 직경 위치를 최하단부에 정해서 구한 형수는?
1. S 39° 15′ 25″ W 는 방위법인 도분초로 나타낸 것이다. (우리가 쓰는 각도 단위인 도(°)보다 좀더 자세하게 분, 초도 적어뒀다고 생각하면 됨)
2. 방위 S 39° 15′ 25″ W 에서 s는 남쪽을 w는 서쪽을 의미한다. > 1,2를 토대로 임도 양 끝점을 각각 A, B라 하고 그래프에 A, B를 점찍었을 때 점 A를 원점(기준점)으로 보고 남쪽에서 서쪽방향으로 39°위치에 점 B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점 B의 위치는 x축(가로) 값이 음수(서쪽으로 갔으니까) y축(세로) 값도 음수(남쪽으로 갔으니까)이므로 위도(세로값) : - (음수) / 경도(가로값) : - (음수) 이다. ( 그래프에 제 3사분면에 B가 위치했다고 생각하면 됨 )
* 위거 : AB측선 거리의 남북방향 성분(y축값, 위도) 경거 : AB측선 거리의 동서방향 성분(X축값, 경도) [해설작성자 : 도오트]
이 문제는 위거.경거값이 어느 사분면에 위치하는 가를 묻는 문제다. 지문의 숫자값이 같고 부호만 다르기 때문이다. 방위가 S39° 15′ 25″ W 이니까 남쪽에서 서쪽으로 39도 15분 45초의 각을 이루고 있다고 되어 있으니 사사분면의 좌표체계에서 3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으니 당연히 윗분의 설명대로 위.경거 모두 음수값을 갖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거와 경거의 값을 묻는 문제인데 보기 문항에는 위도로 잘 못 표기되어 있음 1번에서 4번까지 모두 위거로 수정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벤]
69.
머캐덤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머캐덤도 : 쇄석을 시멘트로 결합시킨 도로
2.
역청 머캐덤도 : 쇄석을 타르나 아스팔트로 결합시킨 도로
3.
교통체 머캐덤도 : 쇄석이 교통과 강우로 인하여 다져진 도로
4.
수체 머캐덤도 : 쇄석의 틈 사이에 모래 및 마사를 침투시켜 롤러로 다져진 도로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체 머케덤도 : 쇄석 사이에 물과 석분을 침투시킨 도로 [해설작성자 : 황쟉]
70.
임도의 횡단기울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면 배수를 위해 적용한다.
2.
차량의 원심력을 크게 하기 위해 적용한다.
3.
포장이 된 노면에서는 1.5~2%를 기준으로 한다.
4.
포장이 안 된 노면에서는 3~5%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횡단기울기 : 차도의 중앙부를 높게 하고 양쪽을 낮게한다 [해설작성자 : 황쟉]
2. 차량의 원심력을 크게 하기 위해 적용한다.- 외쪽기울기 [해설작성자 : 도오트]
임도는 차선이 하나이므로 원심력을 줄이기 위해 외쪽물매를 줘 차도 바깥쪽을 살짝 높여준다. [해설작성자 : 나다]
임도는 차선이 하나이며 원심력이 높을 수록 이동차량의 운행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차도 바깥쪽을 살짝 높이게 된다. [해설작성자 : 거북왕고릴라]
71.
적정임도밀도가 10m/ha이고 집재방향이 양방향일 때 평균집재거리는? (단, 우회계수는 고려하지 않음)
등고선의 간격은 서로 옆에 있는 등고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평면도의 축척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등고선 1.계곡선 : 고도 '0'm에서 시작하여 매 다섯번째 등고선마다 굵은 실선으로 그려져 있으며 선의 중간 중간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록되어 있어 쉽게 고도를 알 수 있다. 2.주곡선 : 계곡선과 계곡선 사이에 5등분한 4개의 등고선으로 가는 실선을 말함 3.간곡선 : 경사가 완만하여 주곡선 간격으로는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나타낼 수 없는 상세한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단절된 파선 4.조곡선 : 부채꼴의 선상지 등과 같이 지형이 완만한 곳이나 평탄지에서는 그 지역마아 작은 기봉의 변화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은 파선을 말함(간곡선의 1/2 거리) [해설작성자 : 참나]
간곡선은 완만한 경사지에서 주곡선만으로 지형의 세부형태 표시 불가능한 경우, 두 주곡선 사이에 그리는 1/2선으로 파선이다. [해설작성자 : 산림킹]
직각 삼각형 중 한변이 45도, 한변이 90도 이면 다른한변도 45도이게 되고, 직각을 마주하는 변의 길이는 같습니다. 삼각형 두변의 길이는 1.2m이게 됩니다. 두 직각 삼각형을 포개면 가로 5m와 세로 1.2m의 직사각형이 됩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가로x세로 이므로 5m X 1.2m 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모두들합격합시다]
91.
유역면적이 10ha이고 최대시우량이 150mm/hr 일 때 임상이 좋은 산림지역의 최대홍수유량은? (단, 유거계수는 0.35)
<문제 해설> 중력식 콘크르트 사방댐은 토석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경우에 설치하며 토석과 물을 모두 막는 비투과형 사방댐이다 (밑막이 불필요) [해설작성자 : 김포]
93.
산지사방에서 비탈다듬기 공사를 하기 전에 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공사는?
1.
단끊기
2.
떼단쌓기
3.
땅속흙막이
4.
퇴사울세우기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땅속흙막이 : 비탈다듬기나 단끊기 등의 흙깍기 과정에 발생되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땅속에 설치하는 흙막이의 일종으로 지표면에는 드러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황쟉]
94.
골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사퇴적 기능은 없다.
2.
사방댐보다 규모가 작다.
3.
계류의 상류부에 설치한다.
4.
반수면은 토사를 채우고 대수면은 떼를 입힌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골막이는 반수면만 축조하여 중앙부를 낮게 하여 물이 빠지도록 한다. *사방댐은 반수면과 대수면 모두 축조. [해설작성자 : 황쟉]
9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산붕
2.
붕락
3.
포락
4.
산사태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붕괴형 침식 ①산사태 -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빗물의 침투에 의해 산복부의 사면이 균형을 잃고 일시에 계곡 하부로 붕괴 ②산붕 - 산사태와 유사하지만 발생 규모가 작고 산록부에서 발생 - 붕락 또는 포락의 형태와 연결 - 산붕과 붕락을 합하여 산지붕괴 ③붕락 - 집중호우나 융설수에 의해 토층이 포화되어 비탈면이 무너져 떨어지는 형태 - 무너지는 토층이 비탈면 하부나 산각부에 쌓여 있음 ④포락 - 비탈면 하단부를 흐르는 계천의 가로침식에 의해 무너지는 침식 현상 - 발생 부위가 반드시 흐르는 물과 관계 - 붕괴물질은 대부분 흐르는 물과 같이 유실 ⑤암설붕락 - 토석이 산지 비탈면에서 붕력의 작용에 의해 토석더미가 붕괴 되는 침식현상 [해설작성자 : 참나]
96.
산사태와 비교한 땅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동 속도가 빠르다.
2.
지하수의 영향이 크다.
3.
완경사면에서 주로 발생한다.
4.
주로 점성토가 미끄럼면으로 활동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하수 등의 영향으로 깊은 토층이 서서히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황쟉]
97.
사방댐 설치에 있어 홍수기울기와 평형기울기 사이의 퇴사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토사퇴적량
2.
토사안정량
3.
토사침식량
4.
토사조절량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홍수기울기 : 홍수로 다량의 토사가 퇴적되면 사방댐 바닥의 기울기가 급해지는데 이를 홍수 기울기라 하며 평형기울기는 흐르는 물이 토사를 함유하지 않았을때 사방댐 바닥의 기울기를 평형기울기를 말하며 이 두 기울기의 차이를 토사조절량 이라함. 즉 사방댐이 홍수 시 토사를 가두어서 조절할 수 있는 양 이라는 뜻, [해설작성자 : 그냥 나]
유수가 사력을 포함하지않는 가장 완만한 계상기울기를 평형기울기 홍수시 다량의 사력을 포함하여 가장 급한 계상기울기를 홍수기울기라한다 홍수 기울기와 평형기울기 사이의 토사량을 토사조절량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김포]
98.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기에 강도를 내기 위하여 염화칼슘을 쓰기도 한다.
2.
시멘트를 제조할 때 석고를 넣으면 급결성이 된다.
3.
시멘트는 분말도가 너무 높으면 내구성이 약해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포틀랜드시멘트는 수경성이고 강도가 크며 비중은 대체로 30.5~3.15 정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시멘트를 제조할 때 석고를 넣으면 급결성이 아니라 완결성이 된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99.
돌골막이 공법에서 돌쌓기의 표준 기울기로 옳은 것은?
1.
1 : 0.1
2.
1 : 0.2
3.
1 : 0.3
4.
1 : 0.4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돌골막이 기울기 1:03 길이4~5미터 높이2미터 [해설작성자 : 샵가이]
100.
강우에 의한 산지침식의 발달과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구곡침식→면상침식→누구침식
2.
구곡침식→누구침식→면상침식
3.
면상침식→구곡침식→누구침식
4.
면상침식→누구침식→구곡침식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우수침식은 빗물에 의해 우격침식, 면상침식, 누구침식, 구곡침식 순으로 단계적으로 발생된다. [해설작성자 : 황쟉]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②
②
③
④
③
④
③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②
①
③
①
②
①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②
①
③
④
③
①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②
①
①
②
③
①
③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②
①
④
③
①
④
③
③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②
④
①
④
②
③
②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③
①
②
④
③
④
④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①
④
②
②
③
②
①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④
②
①
②
①
①
③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③
③
④
③
①
④
②
③
④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