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SYN ( SYNchronous idle ) : 문자의 동기 유지 STX ( Start of TeXt ) : 본문의 시작과 헤더의 종료 ETX ( End of TeXt ) : 본문의 종료 SOH ( Start Of Heading ) : 헤딩의 시작 EOT ( End Of Transmission ) : 전송의 완료 ETB ( End of Transmission Block ) : 전송블록 종료 ENQ ( ENQuiry ) : 상대국에 데이터 링크설정 요구 ACK ( ACKknowledge ) : 수신메시지 긍정응답 NAK ( Negative AcKnowledge ) : 수신메시지 부정응답 [해설작성자 : ppp]
2.
양자화 잡음의 개선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양자화 스텝을 크게 한다.
2.
비선형 양자화 방법을 사용한다.
3.
선형양자화와 압신방식을 같이 사용한다.
4.
양자화 스텝수가 2배로 증가할 때마다 6[dB]씩 개선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번 -> 양자화 스텝(사이즈)를 작게 한다. (O) [해설작성자 : NICE]
간혹 찾아보시다보면 양자화 잡음 개선방법 중 헷갈리는게 있을 수도 있습니다. 양자화 스텝 수를 증가한다. 정리하자면, 양자화 스텝 수는 증가시키되, 양자화 스텝은 작게하는 것이 개선 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3.
다음 중 동기식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속도가 비교적 낮은 저속 통신에 사용한다.
2.
진 블록(또는 프레임)을 하나의 비트열로 전송할 수 있다.
3.
데이터 묶음 앞쪽에는 반드시 동기문자가 온다.
4.
한 묶음으로 구성하는 글자들 사이에는 휴지 간격이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전송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속 통신은 비동기식 전송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4.
다음 중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기법에서 사용하는 오류 정정부호가 아닌 것은?
1.
CRC
2.
LDPC
3.
Turbo Code
4.
Hamming Code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CRC는 오류 검출 부호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5.
다음 중 이동통신이나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무선 다윈 접속(Radio Multiple Access)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DMA
2.
TDMA
3.
CDMA
4.
WDMA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으로 1세대 이동통신에 사용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접속) :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 안에서 시간축을 여러 구간으로 쪼개 사용하는 방식으로 2세대 이동통신에 사용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접속) : 사용자가 고유의 확산 부호(코드)를 할당받아 신호를 부호화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3세대 이동통신에 사용 [해설작성자 : 로또 1등이나 되자]
CDMA, TDMA, FDMA, OFDMA는 "무선" 다원접속이나, WDMA는 무선이 아닌 광섬유 기반의 통신기술. [해설작성자 : 게메즈에낙]
6.
짝수 패리티 비트의 해밍코드로 0011011을 받았을 때(왼쪽에 있는 비트부터 수신됨), 오류가 정정된 정확한 코드는 무엇인가?
1.
0111011
2.
0011000
3.
0101010
4.
0011001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짝수 패리티 해밍코드
0 0 1 1 0 1 1 P P D P D D D (P:패리티 비트, D : 데이터 비트)
이때, 각 패리티별 합의 값이 짝수인 것을 찾는것입니다. 각각의 P를 순서대로 P1, P2, P3라 칭하겠습니다.
P1 = 1, 3, 5, 7 번째 숫자(본인을 기준으로 1개씩 건너뜀) P2 = 2, 3, 6, 7 번째 숫자(본인을 포함하여 2개씩 건너뜀) P3 = 4, 5, 6, 7 번째 숫자(본인을 포함하여 4개씩 건너뜀)
P Band : 0.23 ~ 1 GHz L Band : 1 ~ 2 GHz S Band : 2 ~ 4 GHz C Band : 4 ~ 8 GHz X Band : 8 ~ 12.5 GHz Ku Band : 12.5 ~ 18 GHz K Band : 18 ~ 26.5 GHz Ka Band : 26.5 ~ 40 GHz Millimeter wave : 40 ~ 300 GHz Submillimeter wave : 300 ~ 3000 GHz [해설작성자 : SMC]
20.
다음 문장의 괄호 a-b-c-d-e가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토폴로지-중계기-스위치-교환기-증폭기
2.
링크-집중화기-다중화기-MUX-안테나
3.
네트워크-이더넷-무선통신망-전화선-발진기
4.
전송매체-유도전송매체-비유도전송매체-유선-공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은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만 신호가 전달된다. 이 때 사용하는 통신회선을 ⓐ전송매체라 하는데 여기에는 ⓑ유도전송매체와 ⓒ비유도전송매체가 있다. ⓑ유도전송매체는 물리적 통로를 따라 유도되는 것으로 ⓓ유선 등을 말하고, ⓒ비유도전송매체는 전자파(전파)를 전송하는 매체로 ⓔ공기등이ㅇ 있다. [해설작성자 : 산본김저씨]
2과목 : 정보통신기기
21.
단말기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여 분산처리방식에 적절한 단말장치는?
1.
전용단말장치
2.
지능형단말장치
3.
복합단말장치
4.
범용단말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전용단말장치: 특정한 기능 수행에 최적화된 장치 ~ ex. ATM, POS - 지능형단말장치: 자체 처리 능력이 있어 분산처리에 적합,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 ~ 독립적인 작업 - 복합단말장치: 여러 기능을 통합한 장치, 다기능성 ~ ex. 스마트폰 - 범용단말장치: 범용성, 다용도, 응용 프로그램 실행 가능 ~ ex. 컴퓨터, 태블릿 [해설작성자 : 게메즈에낙]
22.
다음 중 수신기의 성능 측정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도(Sensitivity)
2.
선택도(Selectivity)
3.
안정도(Stability)
4.
신뢰도(Reliability)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수신기의 성능을 측정할 때에는 감도, 선택도, 충성도, 안정도를 측정합니다. 간단하게 "(감)(성)(충)은 (안)돼~" 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23.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보의 공유
2.
정보의 디지털화
3.
양방향성 서비스
4.
인간과 컴퓨터의 독립성
정답 : [
4
] 정답률 : 89%
24.
다음 중 VoIP 기술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미디어 게이트웨이
2.
시그널링 서버
3.
IP 터미널
4.
구내 교환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VOIP = Voice of InternetProtocol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입니다. 구내 교환기는 인터넷망이 아닌 교환망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유역]
25.
무선송신기에서 주파수 체배기가 사용되는 목적은?
1.
수정발진자의 주파수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얻기 위해
2.
수정발진자의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얻기 위해
3.
수정발진자의 주파수 허용편차를 개선하기 위해
4.
수정발진자의 주파수를 정수배 감소시키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체배 : frequency multiplier라는 건데 당연히 더 높은 주파수를 얻을려고 하는 것이겠죠? [해설작성자 : 고치우사]
26.
다음 중에서 멀티미디어 단말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처리장치
2.
저장장치
3.
매체 전송장치
4.
오디오, 비디오 캡쳐 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멀티미디어 단말의 구성요소 - 처리장치 - 저장장치 - 입력장치 - 출력장치 - 미디어 처리장치 - 오디오/비디오 캡처 장치 [해설작성자 : YSJ]
27.
다음 중 시스템의 잡음지수와 등가잡음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음지수는 시스템에 입력되는 잡음대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잡음과의 비이다.
2.
이상적인 장치의 잡음지수는 1[0dB]이다.
3.
등가잡음온도는 잡음지수값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
등가잡음온도계산에 사용되는 시스템의 상온기준온도는 275°[K]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등가잡음온도계산에 사용되는 시스템의 상온기준온도는 290K(상온)이다. [해설작성자 : 알땅콩]
28.
다음 중 ZigBee 통신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전력 구내무선통신기술이다.
2.
근거리 고속통신에 적합하다.
3.
성형, 망형 등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지원한다.
4.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요구하는 RF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근거리 저속통신기술임. [해설작성자 : 구기부기]
29.
송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기에만 타임슬롯(time slot)을 할당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주파수분할 다중화 방식
2.
부호화 방식
3.
변조 방식
4.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비동기식 시분화 다중화 혹 지능형 다중화 방식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전송 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늘리기 때문이다. 통계적이라는 말이 붙은 이유는 전송 과정에서 통계적 추측과 오류의 분포 등을 미리 추측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점은 요청하고 슬롯을 할당해주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동기식 TDM보다 접속에 필요한 시간이 길고, 버퍼 기억 장치와 주소 제어 장치 등 다양한 기능이 필요하여 가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합성곱]
30.
다음 중 고속의 송신 신호를 다수의 직교하는 협대역 반송파로 다중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EBCDIC
2.
CDMA
3.
OTDM
4.
OFDM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해설작성자 : 뿡]
31.
기존의 아날로그 카메라에 설치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을 활용해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신호 전송방식은?
1.
DNR
2.
HD-SDI
3.
HDMI
4.
WDR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DNR : 저조도 환경의 영상 신호에서 디지털 노이즈 제거 / 최소화 CCTV,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등에 사용 - HD-SDI : 기존의 아날로그 동축 케이블로 고해상도의 디지털 영상 전송 가능, 실시간이라 지연 X 방송 스튜디오, CCTV, 전문 비디오 장비 등에 사용 - HDMI : 단일 케이블로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젝터, 블루레이, TV, 컴퓨터 등에 사용 - WDR : 카메라가 명암을 동시에 포착 ~ 역광과 고대비 환경에서 유용 보안 카메라, 자동차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게메즈에낙]
32.
다음 중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널간의 완충 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가 있어 대역폭이 낭비가 된다.
2.
저속의 Data를 각각 다른 주파수에 변조하여 하나의 고속 회선에 신호를 싣는 방식이다.
3.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는 전송하려는 신호에서 필요한 대역폭 보다 전송 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클 경우에 가능하다.
4.
각 채널은 전용 회선처럼 고속의 채널을 독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분배된 시간만 이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실제로 분배된 시간" 즉, 시분할 다중화(TDM)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33.
디지털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QCIF 포맷을 흑백화면으로 25프레임, 8비트로 샘플링을 한다면 데이터 전송률은 약 얼마인가?
1.
5[Mbps]
2.
10[Mbps]
3.
20[Mbps]
4.
40[Mbps]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QCIF(Qua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의 픽셀 크기는 176 * 144 즉, 25,344pixels 입니다. 따라서 25 [Frame] * 8 [bit] * 176 * 144 = 5,068,800 (대략 5 Mbps) 이고, 샘플링시 최대 2배이므로 5 * 2 = 10 , 약 10 [Mbps]입니다.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34.
일반적인 모뎀의 기능에 멀티플렉서(Multiplexer)가 혼합된 형태로서 대체로 4개 이하의 채널을 다중화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모뎀으로 가장 적절한것은?
1.
광대역 모뎀
2.
단거리 모뎀
3.
멀티포트 모뎀
4.
멀티포인트 모뎀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멀티 포인트 모뎀 : 멀티 포인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속 폴링(Polling)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뎀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우리나라 DTV 표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디오표준 : Dolby AC-3
2.
영상표준 : MPEG-2
3.
전송방식 : OFDM
4.
채널당 대역폭 : 6[MHz]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디지털 TV 변조 방식에서는 오디오 : Dolby AC-3 인코더 비디오 : MPEG-2 비디오 인코더(혹은 H.264(MPEG-4)) 전송방식 : 256QAM 변조기 채널당 대역폭 : 6MHz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방송통신기사딴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36.
다음 중 CCTV의 기본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촬상 장치
2.
전송 장치
3.
스펙트럼 분석 장치
4.
표시 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CCTV시스템의 기본구성요소는 촬상계(카메라부), 전송제어계(조작·제어부), 전송선로부, 수상계(기록,재생,화상처리계) 등으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NICE]
37.
다음 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음성 정보의 고압축 알고리즘 기술
2.
영상 정보의 Real Time 전송을 위한 고속 통신망의 구축
3.
분산 환경의 통신 Protocol 및 Group 환경의 통신 Protocol
4.
동적인 정보들 간의 동기화 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술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동영상 정보의 고압축 알고리즘 기술
38.
IPTV 서비스의 구성요소 중 보기의 설명에 대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1.
셋탑박스
2.
인코더
3.
헤드엔드
4.
방송소스
정답 : [
1
] 정답률 : 89%
39.
다음 CATV의 구성 요소 중 가입자 설비로 컨버터, 홈 터미널, TV수상기 등으로 구성된 것은?
1.
전송계
2.
단말계
3.
센터계
4.
분배계
정답 : [
2
] 정답률 : 74%
40.
다음 중 트래픽(Traffi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트래픽양 = 전화의 호수 × 점유시간
2.
가입자가 통화를 위하여 발신한 호의 집합체이다.
3.
1일 중 호가 가장 적게 발생한 1시간을 최번시라 한다.
4.
통화 성공률 = (통화 성공한 호수 / 발생한 총 호수)×100%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최번시 = 트래픽이 가장 많은 시간대 최한시 = 트래픽이 가장 적은 시간대 [해설작성자 : Rio]
3과목 : 정보통신 네트워크
41.
국가 통합 교통체계 효율화법의 내용중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가) 무선 및 유선통신, (나) 과학화, 자동화
2.
(가) 전자ㆍ제어 및 통신, (나) 과학화, 자동화
3.
(가) 전자ㆍ제어 및 통신, (나) 지능화, 자동화
4.
(가) 무선 및 유선통신, (나) 지능화, 자동화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국가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 (정의)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란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대하여 전자·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교통기술과 교통정보를 개발·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를 의미 [해설작성자 : 게메즈에낙]
42.
OSI 7계층에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려고 동기화, 오류제어, 흐름제어 등 역할을 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계층
2.
물리계층
3.
전송계층
4.
네트워크계층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데이터 링크 계층 - 인접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전송오류 제어 - 동기화, 흐름 제어등의 전송 기능 제공 - 오류검출 / 재전송 등 기능 제공
* 물리 계층 : 0과 1의 비트 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 * 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며 데이터 분할과 재조립,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 제어 등을 담당 * 네트워크 계층 : 단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 된 경로 제공 [해설작성자 : liiina]
43.
세션(session) 서비스에서 세션 접속의 설정 및 해제에 필요한 절차의 기본 프로토콜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1.
핵(Kernel) 기능단위
2.
절충 해제(Negotiated Release) 기능단위
3.
반 이중(Half-Duplex) 기능단위
4.
전 이중(Full-Duplex) 기능단위
정답 : [
1
] 정답률 : 72%
44.
다음 중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이 OXC(Optical Cross Connect)에 비하여 갖는 최대 장점은?
일반적으로 통신망의 크기(Network coverage)에 따라 통신망을 분류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LAN
2.
MAN
3.
WAN
4.
CAN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Local Area Network 대학 캠퍼스나 건물과 같은 비교적 좁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2. Metropolitan Area Network 큰 지역 대도시 정도의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3. Wide Area Network 국가 이상의 넓은 지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해설작성자 : 겨울산]
47.
패킷경로를 동적으로 설정하며, 일련의 데이터를 패킷단위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고, 목적지 노드에서는 패킷의 재순서화와 조립과정이 필요한 방식은?
1.
회선교환방식
2.
메시지교환방식
3.
가상회선방식
4.
데이터그램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68%
48.
다음 중 TCP 프레임의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송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
2.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는 응답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만 제공된다.
3.
헤더 길이(HLEN)는 TCP Segment에 있는 헤더의 길이를 4바이트 워드 단위로 나타낸다.
4.
Window Size는 수신부가 응답필드에서 지정한 번호부터 수신할 수 있는 바이트의 수를 표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순차번호는 마지막 바이트가 아니라 첫번째 바이트에 지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캡슐화는 맞지만, “메시지 생성”은 프로토콜 기능이 아님, 메시지 생성은 응용 계층(사용자 프로그램)의 역할이지,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님 [해설작성자 : 사이먼]
51.
다음 중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안유지가 필요한 저비용,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2.
네트워킹을 구성하는 각 장비에 특수한 역할이 부여된다.
3.
대부분의 통신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서 이루어진다.
4.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에 비해 성능, 확장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비용이 더 들고, 주로 중대형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저비용·소규모 네트워크에는 피어투피어(P2P) 방식이 더 적합하죠 [해설작성자 : 사이먼]
52.
다음 중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동작 특성이 아닌 것은?
1.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구한다.
2.
링크 상태 라우팅에 근거를 둔 도메인 내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3.
라우팅 정보의 기준인 서브네트워크의 주소는 클래스 A, B, C의 마스크를 기준으로 하여 라우팅 정보를 구성한다.
4.
자신이 갖고 있는 라우팅 정보를 RIP 메시지로 작성하여 인접해 있는 모든 라우터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터넷 초기에 거리벡터 방식의 알고리즘인 RIP 사용 네트워크 규모가 커짐에 따라 RIP 한계가 나타남 1990년부터 링크상태 방식인 OSPF 라우팅 알고리즘이 표준으로 채택됨 도메인간 라우팅 프로토콜로는 BGP(Border Gatewqy Protocol)가 있음 [해설작성자 : 알땅콩]
53.
캐리어 이더넷은 기존 LAN영역에 쓰이는 이더넷 기술을 전달망 또는 백본영역까지 확장시킨 기술이다. 다음 중 캐리어 이더넷이 기존 이더넷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사항은 무엇인가?
1.
구축거리
2.
QoS
3.
과금
4.
망중립성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Qos(quality of service)-서비스품질 [해설작성자 : 알땅콩]
54.
다음 교환 방식 중 축적 교환 방식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시분할 회선 교환 방식
2.
메시지 교환 방식
3.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4.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축적 교환 방식은 패킷 교환 방식과 메시지 교환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패킷교환 방식에는 정적으로 경로를 지정하는 가상회선방식과 동적으로 경로를 지정하는 데이터그램방식으로 나뉘게 됩니다. 따라서 그에 해당하지 않는 시분할 회선 교환방식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맨]
55.
이동통신 기지국의 섹터간 전파가 겹치는 지역에서 통화전환이 이루어질 때의 핸드오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문제 해설> IEEE 802.1D는 브리징, 신장 트리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이더넷 MAC 브리지 표준이다. IEEE 802.1P는 매체 접근 제어(MAC)에서 QoS를 구현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IEEE 802.1Q는 하나의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가상 랜(VLAN)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표준이다. IEEE 802.1X는 포트 기반 네트워크 접근 제어(PNAC)에 대한 IEEE 표준이다. [해설작성자 : SMC]
59.
수직안테나와 수평안테나의 조합으로 다른 전파를 발사하여 페이딩을 경감하는 다이버시티는?
1.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2.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3.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4.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 품질을 개선하거나 전송 용량을 향상시키는 기술 2.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 수직 안테나와 수평 안테나의 조합으로 편극(polarization)이 다른 전파를 발사하여 페이딩 등을 경감하려는 방식 3.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 주파수가 다른 두 통신 회선의 수신 출력을 합성하여 안정한 양질의 통신을 하는 것 4.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 이동 통신 전송로에서 전송 품질의 열화(劣化)를 줄이기 위하여 송신 측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신호를 여러 번 송신하면 수신 측에서 이들 수신 신호를 다시 합성하여 양호한 전송 품질을 얻도록 하는 기술 [해설작성자 : SMC]
60.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2.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3.
OTN(optical transprt network)
4.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STM-1은 SDH에서 사용하고 속도는 155.52입니다 SONET의 속도는 155.52/3인 51.84로 외워놓으시면 구분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맨]
4과목 : 정보시스템 운용
61.
다음 중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메시지에 디지털 서명과 메시지 암호화하여 전송하려 한다면 어떤 순서로 A, B의 공개키와 A, B의 비밀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여야 하는가?
1.
B의 공개키→A의 공개키
2.
A의 공개키→B의 비밀키
3.
A의 비밀키→B의 공개키
4.
B의 비밀키→A의 비밀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우선은 A의 비밀키로 암호화를 진행하면, A의 공개키로 복호화가 가능하며, A의 공개키는 말그대로 공개키이므로 누구든 복호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를 B의 공개키로 암호화 한다면, B의 비밀키가 있는 사람만 복호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비밀키는 B만 가지고 있기에 B만 복호화가 가능해집니다. 즉, A의 비밀키로 암호화 후, B의 공개키로 암호화를 한다면, B만 복호화가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62.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의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1.
SMTP
2.
SNMP
3.
SIP
4.
SDP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 관련한 프로토콜) 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 SDP =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세션 기술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63.
다음 중 정보통신망 운영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연간, 월간 장기계획
2.
주간, 일간 단기계획
3.
최적 회선망의 설계조건 검토
4.
작업내용, 작업량, 우선순위, 주기, 운전소요시간, 운전형태 및 시스템구성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최적 회선망의 설계조건 검토는 "운영계획"이 아닌 "구축계획"이 더 잘어울릴거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유역]
64.
리피터(Repeater)가 동작하는 OSI 7 Layer의 계층은?
1.
물리 계층
2.
응용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 : [
1
] 정답률 : 78%
65.
서비스의 중단을 야기하는 장애구간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 구간을 질분하여 시험하는 루프백(Loop-Back)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루프백의 제어방법에는 자국(Local)제어방법과 원격국(Romote)제어 방법이 있다.
2.
원격루프백은 자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자국으로 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3.
루프백 시험을 위해서는 패턴을 발생하고 분석하는 계측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4.
루프백이 수행되는 지점은 각 통신시스템에서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자국(local)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자국(local)으로 돌려주는 것은 자국제어방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맨]
66.
정보통신 시스템 기본설계에서 프로그램 설계가 아닌 것은?
1.
톱-다운 설계
2.
복합 설계
3.
데이터 중심형 설계
4.
하드웨어 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75%
67.
정보통신시스템 운용 중 장애 발생 시 대응절차로 적합하게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
2.
(가)-(다)-(나)-(라)
3.
(나)-(다)-(가)-(라)
4.
(나)-(가)-(라)-(다)
정답 : [
1
] 정답률 : 86%
68.
보안 위협의 유형 중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변조
2.
흐름차단
3.
가로채기
4.
계정 탈취
정답 : [
1
] 정답률 : 81%
69.
다음 중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하려는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2.
각각의 관리하려는 자원은 객체로 표현되는데 이들 객체들의 구조적인 모임
3.
MIB에 저장된 객체 값은 읽기 전용
4.
SMI에 의하여 데이터의 형태와 자원들이 어떻게 나타내어지고 이름 붙여지는지를 정의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읽기 전용(read-only), 쓰기 전용(write-only), 읽기 쓰기(read-write), 접근 불가 설정 가능 [해설작성자 : Rio]
70.
시스템의 평균 수리 소요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MTBF
2.
MTTF
3.
MTTR
4.
Availability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MTTR(Mean Time To Repair) :평균 수리 시간(평균 고장 복구 시간)으로서 설비 고장이 발생했을 때부터 다시 동작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 [해설작성자 : NICE]
71.
정보통신보안의 요건 중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무결성
2.
기밀성
3.
가용성
4.
인증
정답 : [
1
] 정답률 : 81%
72.
정보통신시스템에서 신뢰성의 척도로 가동률을 사용하고 있다. MTBF = 22시간, MTTR = 2시간일 때 가동률은 얼마인가? (단,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시스템 또는 각 구성요소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회복을 위한 수리의 간편성, 정기적인 점검자료를 얻는다.
4.
전산화에 따른 효과분석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시스템 또는 각 구성요소의 현 상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해설작성자 : YSJ]
74.
시스템의 총 운용 시간 중 정상적으로 가동된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은?
1.
MTBF
2.
MTTF
3.
MTTR
4.
Avaliabilty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가용성(Availability)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NICE]
단순 가동된 시간은 MTTF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시간의 <<비율>>이라는 말이 나왔기 때문에 가용성이 정답 [해설작성자 : 감자맨]
75.
정보통신망에서 채널용량은 샤논의 정리와 나이퀴스트의 전송률에 의해 정리할 수 있는데 샤논과 나이퀴스트 정리에서 채널용량과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공통점은 무엇인가?
1.
대역폭
2.
주파수
3.
데이터의 비트수
4.
신호대 잡음비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 C = B log2(1 + S/N) [나이퀴스트의 전송률 공식] 무잡음시, R = 2B log2 L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76.
다음 WLAN 규격 중 가장 속도가 빠른 규격은?
1.
IEEE 802.11a
2.
IEEE 802.11b
3.
IEEE 802.11g
4.
IEEE 802.11n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b -> a -> g -> n -> ac ... [해설작성자 : 봉석이네 집주인 동생]
77.
어떤 시스템에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중복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 유니트 1 또는 3이 고장을 일으키면 자동적으로 유니트2 또는 4로 바뀐다. 유니트1, 2, 3, 4의 신뢰도를 각각 [0.8],[0.8],[0.9],[0.9]라 할 때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