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온수난방은 증기난방 대비 낮은 온도로 열을 전달해야하므로 보유수량이 많아야한다. 워밍업시간이 증기난방보다 길다. [해설작성자 : 환]
3.
덕트의 경로 중 단면적이 확대되었을 경우 압력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압이 증가한다.
2.
동압이 감소한다.
3.
정압이 증가한다.
4.
풍속은 감소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압= 정압+동압, 단면적 확대에 따라 동압이 감소하고 정압은 증가하지만 정확한 값은 단면적 크기에 따라 다름으로 전압이 증가할수도 감소할수도 있기 때문에 알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건축의 평면도를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서 이 격자의 구획내에 취출구, 흡입구, 조명, 스프링클러 등 모든 필요한 설비요소를 배치하는 방식은?
1.
모듈방식
2.
셔터방식
3.
평커루버 방식
4.
클래스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모듈방식(Module System)이란 건축물 내부를 일정한 크기의 모듈로 나누어 설비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건축의 구조와 설비를 효율적으로 조화시키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두부]
5.
습공기의 가습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환수를 분무하는 방법
2.
온수를 분무하는 방법
3.
수증기를 분무하는 방법
4.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추가적인 수분 공급 없는 상태에서 공기를 가열하면 가습이 아니라 제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유틸맨]
6.
공기조화설비를 구성하는 열운반장치로서 공조기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하는 펌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수 펌프
2.
냉수 순환펌프
3.
온수 순환펌프
4.
응축수(진공) 펌프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냉각수 펌프는 냉각탑에 연결된 펌프로 공조기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냉동기의 응축기와 직접 연결되어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저압 증기난방 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향공급식의 경우에는 상향공급식의 경우보다 배관경이 커야 한다.
2.
상향공급식의 경우에는 하향공급식의 경우보다 배관경이 커야 한다.
3.
상향공급식이나 하향공급식은 배관경과 무관하다.
4.
하향공급식의 경우 상향공급식보다 워터해머를 일으키기 쉬운 배관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증기난방의 상향공급식은 증기주관을 건물의 하부에 설치하고 수직 입상관에 의해 증기를 방열기에 공급하는 방식이며, 입상관의 관경을 크게 하여 증기의 유속을 느리게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현열만을 가하는 경우로 500m3/h의 건구온도(t1) 5℃, 상대습도( ) 80%인 습공기를 공기 가열기로 가열하여 건구온도(t2) 43℃, 상대습도( ) 8%인 가열공기를 만들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열량(kW)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비열은 1.01 kJ/kg·℃, 공기의 밀도는 1.2 kg/m3 이다.)
1.
3.2
2.
5.8
3.
6.4
4.
8.7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500 [m3/3600s] x 1.2 kg/m3 x 1.01 kJ/kgC x (t2-t1) = 6.40 KJ/sec [=k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실내에 공급되는 외기덕트도 보온,보냉,방로의 목적으로 전체 단열이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정국채]
보온 보냉 방로의 목적으로 덕트 전체를 단열해야 하는 덕트는 급기덕트임. 배연턱트는 소방법상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단열해야 함. 따라서 단열을 해야 하는 덕트는 급기덕트와 배연덕트인데, 보온보냉방로 목적상 덕트 전체 단열대상은 급기덕트임. [해설작성자 : 스카이]
15.
어느 건물 서편의 유리 면적이 40m2 이다. 안쪽에 크림색의 베네시언 블라인드를 설치한 유리면으로부터 침입하는 열량(kW)은 얼마인가? (단, 외기 33℃, 실내공기 27℃, 유리는 1중이며, 유리의 열통과율은 5.9 W/m2·℃, 유리창의 복사량(Igr)은 608 W/m2, 차폐계수는 0.56 이다.)
1.
15.0
2.
13.6
3.
3.6
4.
1.4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전도 : 5.9 W/m2·℃×40 m2 × 6 ℃ = 1416 W = 1.416 kW 복사 : 608 W/m2 × 0.56 × 40 m2 = 13,619.2 W = 13.619 kW 두 개 더하면 15.035 kW [해설작성자 : 기쁨조]
유리를 통한 침입열량은 일사에 의한 열량과 관류에 의한 열량을 합한 값이다. 따라서 일사에 의한 열랑 = IAk, 관류에 의한 열량 = KAdT이므로, 계산하면 15035.2W인데 문제값이 KW이므로 15KW [해설작성자 : 스카이]
16.
T.A.B 수행을 위한 계측기기의 측정위치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온도 측정 위치는 증발기 및 응축기의 입·출구에서 최대한 가까운 곳으로 한다.
2.
유량 측정 위치는 펌프의 출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한다.
3.
압력 측정 위치는 입·출구에 설치된 압력계용 탭에서 한다.
4.
배기가스 온도 측정 위치는 연소기의 온도계 설치 위치 또는 시료 채취 출구를 이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량 측정은 정확도를 위해 펌프의 상하류측에는 일정 길이만큼의 직관부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국또]
펌프 유량측정은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배관의 직관부에서 상류측 및 하류측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지점에서 측정해야 함. 초음파 유량계 사용시에는 엘보등 방향전환이나 오류가 생기는 곳으로부터 최소한 배관직경의 15배 이상의 하류쪽 및 5배 이상의 상류쪽에 부착해야 함. [해설작성자 : 스카이]
17.
난방부하가 7559.5W인 어떤 방에 대해 온수난방을 하고자 한다. 방열기의 상당방열면적(m2)은 얼마인가? (단, 방열량은 표준방열량으로 한다.)
1.
6.7
2.
8.4
3.
10.2
4.
14.4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온수 표준 방열량 : 450 Kcal/m2h 단위를 맞추기 위해 1Kw=860 Kcal/h 난방부하 7559.5W -> 7.5595W*860 =6,501.2 Kcal/m2h 따라서, 난방부하 ÷ 온수 표준방열량 = 상당방열면적 6,501.2 Kcal/m2h ÷ 450 Kcal/m2h = 14.1 m2 [해설작성자 : 합격 하자 아자아자JM]
크기에 비해 전열면적이 크므로 증기발생이 빠르고, 열효율도 좋지만 내부청소가 곤란하므로 양질의 보일러 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보일러는?
1.
입형 보일러
2.
주철제 보일러
3.
노통 보일러
4.
연관 보일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문제의 보일러는 수관식 보일러의 특징입니다. 관 내부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스케일등이 끼기 쉬워 물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연관보일러는 반대로 관속으로 연소된 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수관식과 반대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똥이아부지]
문제의 내용은 원통형 보일러의 특징인데 문제해설에는 수관식 보일러의 특징이라고 나와있습니다 2번 주철제를 제외한 1,3,4모두 원통형 보일러입니다. [해설작성자 : 건호박]
20.
온수난방과 비교하여 증기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예열시간이 짧다.
2.
실내온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3.
방열기 표면의 온도가 낮아 쾌적한 느낌을 준다.
4.
실내에서 상하온도차가 작으며, 방열량의 제어가 다른 난방에 비해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4번 보기는 온수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공조냉동설계
21.
공기압축기에서 입구 공기의 온도와 압력은 각각 27℃, 100kPa 이고, 체적유량은 0.01m3/s 이다. 출구에서 압력이 400kPa이고, 이 압축기의 등엔트로피 효율이 0.8일 때, 압축기의 소요 동력(kW)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기체상수는 각각 1 kJ/(kg·K), 0.287 kJ/(kg·K)이고, 비열비는 1.4 이다.)
소요동력(KW) = 질량(kg) * 일량(kj/kg) 로 구한다. 1. 질량(m)을 구하기 위해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사용 입구측에서 PV=mRT 를 만족하므로 100 Kpa * 0.01 m3/s = m * 0.287 kJ/(kg·K) * (27+ 273)K m = 0.01161 kg/s 2. 일량은 등엔트로피 효율을 주었으므로 등엔트로피시 온도변화에 따른 일량을 사용 T2/T1 = ( P2/P1 )의((r-1)/r)승 => T2/100 = (400/100)^((r-1)/r) T2=445.798 3.압축기가 한일은 해당 공기 0.01161kg 을 145.79 도 올려 준 것 이므로 소요 동력 * 효율 = CmΔT =1*0.01161*145.79 소요 동력 * 0.8 = 1.692 소요 동력 = 2.115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22.
다음은 2단압축 1단팽창 냉동장치의 중간냉각기를 나타낸 것이다. 각 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의 냉매관은 저단압축기에서 중간냉각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이다.
2.
b는 제1(중간냉각기 앞)팽창밸브이다.
3.
d부분의 냉매증기온도는 a부분의 냉매 증기온도보다 낮다.
4.
a와 c의 냉매 순환량은 같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e는 저단측 냉매량, b는 중간냉각 냉매량, c,d는 고단측 냉매량(전체)으로 a와c는 냉매량이 다르다. [해설작성자 : 스카이]
23.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 조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물(냉매) - 프레온(흡수제)
2.
암모니아(냉매) - 물(흡수제)
3.
메틸아민(냉매) - 황산(흡수제)
4.
물(냉매) - 디메틸에테르(흡수제)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냉매 - 흡수제 구성 물 - 염화리튬,황산,리튬브로마이드 암모니아 - 물 [해설작성자 : 스카이]
24.
견고한 밀폐 용기 안에 공기가 압력 100kPa, 체적 1m3, 온도 20℃ 상태로 있다. 이 용기를 가열하여 압력이 150kPa 이 되었다. 최종상태의 온도와 가열량은 각각 얼마인가? (단, 공기는 이상기체이며, 공기의 정적비열은 0.717 kJ/(kg·K), 기체상수는 0.287 kJ/(kg·K) 이다.)
1.
303.2K, 117.8kJ
2.
303.2K, 124.9kJ
3.
439.7K, 117.8kJ
4.
439.7K, 124.9kJ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문제에서 일단 이상기체라고 했으니 PV=mRT를 쓸것이고 , 정적비열을 줬으니 Q=CmT를 쓴다 라는 걸 깔고 시작하자
1. 최종 상태 온도 부터 구해보면 이상 기체 이므로 압력의 변화는 온도의 변화와 같다. P1/P2 = T1/T2 => 100/150 = (273+20)/T2 T2= 439.5 K 2. 가열량이므로 열량이 가해져서 온도와 압력이 변했으므로 이변화량 가열량 = CmT = 0.717*m*(293-439.5) m 을 최초 상태값에서 구해준다. ( 밀폐 용기에서 밖으로 세어나가는 질량은 없으니까...) P1V1= mRT => 100 kPa*1m^3 = m * 0.287 kJ/(kg·K) * (273+20) m=100/(0.287*293)=1.189 kg 가열량= CmT = 0.717 *1.189 * (439.5-293)= 124.89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25.
밀폐계에서 기체의 압력이 500kPa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체적이 0.2m3에서 0.7m3로 팽창하였다. 이 과정 동안에 내부에너지의 증가가 60kJ 이라면 계가 한 일(kJ)은 얼마인가?
1.
450
2.
310
3.
250
4.
150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W=P*dV =500kPa*(0.7-0.2)m^3 =250k*N*m^3/m^2 에서 단위가 정리 면적 단위가 정리 되면서 N*m 로 J로 변환 = 250kJ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모두 합격]
26.
이상기체가 등온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한 일이 W1 이다. 이 이상기체가 같은 초기조건 하에서 폴리트로픽과정(n=2)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W1 대비 한 일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모세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음 플로트식: 증발기 공급 냉매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함 수동식: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냉매를 공급하기 위함 [해설작성자 : 환]
36.
외기온도 –5℃, 실내온도 18℃, 실내습도 70% 일 때, 벽 내면에서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외기 대류와 벽의 전도를 포함하여 전체 벽의 열통과율(W/(m2·K))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단, 실내공기 18℃,70% 일 때 노점온도는 12.5℃이며, 벽의 내면 열전달률은 7 W/(m2·K) 이다.)
1.
1.91
2.
1.83
3.
1.76
4.
1.67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벽의 면적을 F, 전체 벽의 열통과율을 K라 하면 K × F × △(-5-18) = 7 × F × (18-12.5) K = 38.5/23 = 1.67 [해설작성자 : Noojey]
37.
다음 이상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압력이 높아지면 증가한다.
2.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3.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항상 일정하다.
4.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온도와 무관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상기체에서 U=CvdT [해설작성자 : 환]
38.
다음 중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냉동장치는?
1.
열전 냉동장치
2.
흡수식 냉동장치
3.
교축팽창식 냉동장치
4.
증기압축식 냉동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0. 열전현상을 이용한 냉동장치
* 열전현상(Seebeck effect) : 온도차가 있으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초전성이라고도 함 - 일반적인 T형 열전대는 구리선과 콘스탄틴선으로 구성되고 1 ℃의 온도차에 대해서 약 40 ㎶가 생성됨
※ Peltier 효과 : 열전 냉동의 이론을 제공함 - 발상 : 열전 발전기에서 외부적으로 역방향의 전위차를 주어 전자의 흐름을 반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냉동 효과 발생 - 정의 : 두 선의 접점을 통해 미세한 전류가 흐를 때 접점이 냉각되는 현상 - 열전 냉동기의 구조
※ 단점 : 증기압축식 냉동장치에 비해 성능계수가 낮음, 효율이 좆망임. ※ 장점 :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음. 크기가 작음. 단순함. 조용함. 신뢰도가 높음 [해설작성자 : 무심]
39.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이 38.8kW, 소요동력이 10kW 이었다. 이 때 응축기 냉각수의 입·출구 온도차가 6℃, 응축온도와 냉각수 온도와의 평균온도차가 8℃ 일 때, 수냉식 응축기의 냉각수량(L/min)은 얼마인가? (단, 물의 정압비열은 4.2 kJ/(kg·℃)이다.)
한 사이클 과정을 지나 원래 상태로 돌아왔을 때 시스템에 가해진 전체 열량은 시스템이 수행한 전체 일의 양과 같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열과 일은 모두 경로 함수 2. 열과 일의 대표적 단위는 J을 사용함. 3. 방향성을 제시하는것은 열역학 제2법칙임. [해설작성자 : 스카이]
3과목 : 시운전 및 안전관리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냉동·냉장 창고시설 건설공사에 대한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대상시설의 연면적 기준은 얼마인가?
1.
3천제곱미터 이상
2.
4천제곱미터 이상
3.
5천제곱미터 이상
4.
6천제곱미터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56%
42.
기계설비법령에 따른 기계설비의 착공 전 확인과 사용 전 검사의 대상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연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목욕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 합계가 5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3.
기숙사로 사용되는 바닥면적 합계가 1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
판매시설로 사용되는 바닥면적 합계가 3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기계설비법 시행령 별표5 [기계설비의 착공 전 확인과 사용 전 검사의 대상 건축물 또는 시설물 1. 용도별 건축물 중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바닥면적 합계 500제곱미터 이상 건축물 중 다음 건축물 -목욕장, 놀이형시설, 운동장 3. 바닥면적 합계 2000제곱미터 이상 건축물 중 다음 건축물 -기숙사, 의료시설, 유스호스텔, 숙박시설 4. 바닥면적 합계 3000제곱미터 이상 건축물 중 다음 건축물 -판매시설, 연구소, 업무시설 5. 지하역사 및 연면적 2천제곱미터 이상인 지하도상가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43.
고압가스안전관리법령에 따라 “냉매로 사용되는 가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의 고압가스”는 품질기준으로 고시하여야 하는데, 목적 또는 용량에 따라 고압가스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러한 제외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로 모두 고른 것은?
1.
가, 나
2.
가, 다
3.
나, 다
4.
가, 나, 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령 15조의 3 다. 1회 수입되는 양이 40킬로그램 이하인 고압가스 [해설작성자 : paul]
44.
고압가스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일체형 냉동기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냉매설비 및 압축기용 원동기가 하나의 프레임 위에 일체로 조립된 것
2.
냉동설비를 사용할 때 스톱밸브 조작이 필요한 것
3.
응축기 유닛 및 증발유닛이 냉매배관으로 연결된 것으로 하루 냉동능력이 20톤 미만인 공조용 패키지에어콘
4.
사용장소에 분할 반입하는 경우에는 냉매설비에 용접 또는 절단을 수반하는 공사를 하지 않고 재조립하여 냉동제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냉동설비를 사용할 때 스톱벨브 조작이 필요 없는 것 [해설작성자 : 연금술사]
45.
기계설비법령에 따라 기계설비성능점검업자는 기계설비성능점검업의 등록한 사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만약 변경등록을 정해진 기간 내 못한 경우 1차 위반 시 받게 되는 행정처분 기준은?
1.
등록취소
2.
업무정지 2개월
3.
업무정지 1개월
4.
시정명령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기계설비법 시행령 별표8 [기계설비성능점검업자에 대한 행정처분의 기준] 바. 법 제21조 제2항에 따른 변경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1차 : 시정명령, 2차 : 업무정지 1개월, 3차 : 업무정지 2개월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문제 해설> 1. 검전기: 물체의 전류, 전하, 전위, 전압의 "유무"를 검출합 2. 검상기: 3상회로의 상회전이 바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메거: 절연저항계로도 불리우며 10만옴 이상의 높은 저항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4. 회로시험기: 직류전류, 직류전압, 교류전압, 저항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교류전류는 측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환]
57.
자장 안에 놓여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도선이 받는 힘은 F = BIℓsinθ(N)이다. 이것을 설명하는 법칙과 응용기기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발전기
2.
플레밍의 왼손법칙 - 전동기
3.
플레밍의 왼손법칙 - 발전기
4.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전동기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발전기: 오른손법칙, 힘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함 전동기: 왼손법칙, 전기를 이용해 힘을 생성함 [해설작성자 : 환]
58.
다음의 논리식을 간단히 한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BC+A/B/C+A/BC =/B(/AC+A/C+AC) =/B(/AC+A/C+AC+AC) =/B{A(C+/C)+C(A+/A)} =/B(A+C) [해설작성자 : NOT A 를 /A로 표현했습니다..]
<문제 해설> 동그란 점이 보이는 것은 앞으로 나오는 것이고, 없는 것은 뒤로 가는 것임. [해설작성자 : 스카이]
69.
증기보일러 배관에서 환수관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 보일러 수의 유출로 안전수위 이하가 되어 보일러 수가 빈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는 접속법은?
1.
하트포드 접속법
2.
리프트 접속법
3.
스위블 접속법
4.
슬리브 접속법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하트포드접속법: 증기보일러의 환수관을 보일러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보일러 환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2) 리프트 이음법: 진공환수신 증기보일러에서 수직관에 단순한 엘보가 아닌 U자형 엘보를 설치하여 낮은곳에 있는 증기가 상부로 잘 흐를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3) 스위블 접속: 관의 팽창에 대응함 4) 슬리브 접속법: 관의 팽창에 대응함 [해설작성자 : 환]
70.
도시가스 입상배관의 관 지름이 20mm 일 때 움직이지 않도록 몇 m 마다 고정 장치를 부착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