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조건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오염원의 위치와 형태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고도변화에 따른 풍속의 변화는 무시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좀하자]
바람에 의한 오염물질의 주 이동방향은 X축(풍하방향)이며, 고도변화에 따른 풍속의 변화는 무시한다.
2.
PAN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의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다.
2.
PAN의 지표식물에는 강낭콩, 상추, 시금치 등이 있다.
3.
황산화물의 일종으로 가시광선을 흡수해 가시거리를 단축시킨다.
4.
사람의 눈에 통증을 일으키며 식물의 잎에 흑반병을 발병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PAN은 옥시던트의 일종으로 빛을 분산시켜 가시거리를 단축시킨다. [해설작성자 : 아샷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질산화물의 일종으로 가시광선을 흡수해 가시거리를 단축시킨다. PAN = CH3COOONO2 [해설작성자 : kwon]
[오류신고 반론] PAN은 옥시던트의 일종이 맞습니다. 질소산화물이라는 말이 틀린 것은 아니나 옥시던트의 일종이라 함이 더 타당할 듯 합니다.
옥시던트란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빛에너지에 의해 반응하여 생기는 강산성 물질이다. 대기 속의 아황산가스와 습기가 반응하여 생기는 아황산을 산화시켜 황산을 만들기 때문에 광화학스모그·황산미스트의 원인이 된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하여 대기 속에 함유된 탄화수소·질소산화물이 태양광선, 특히 자외선의 작용에 의해서 반응을 일으켜 생긴 원자상의 산소·오존, 또한 이들을 매개로 하여 생긴 과산화물 등과 같이 산화성이 강한 물질을 뜻한다. 옥시던트의 생성은 광흡수성이 강한 이산화질소 NO2가 420nm 이하의 빛을 흡수하여 일산화질소 NO와 원자상 산소 O로 분해하고, 이어서 이 산소가 대기 속의 산소 O2와 반응하여 오존 O3이 되거나 탄화수소가 빛의 작용에 의해 공기 속의 산소와 반응하여 과산화물로 변화하고, 다시 분해하여 오존이 된다고 한다. 대기오염의 옥시던트로서 탄화수소로부터 알데하이드를 거쳐 생성했다고 생각되는 판(PAN: CH3COOONO)도 중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옥시던트 [oxidan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까만냥]
3.
오존의 반응을 나타낸 다음 도식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 F∙, ㉡ : C∙
2.
㉠ : C∙, ㉡ : F∙
3.
㉠ : Cl∙, ㉡ : Br∙
4.
㉠ : F∙, ㉡ : Br∙
정답 : [
3
] 정답률 : 83%
4.
Stokes 직경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
2.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0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
3.
침강속도가 1㎝/s이고 구형이 아닌 입자와 밀도가 같은 구형입자의 직경
4.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같은 구형입자의 직경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스토크 직경(Stokes diameter)은 본래의 먼지와 같은 밀도 및 침강속도를 갖는 입자상 물질의 직경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Stokes 직경은 구형이 아닌 입자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같은 구형입자의 직경이다. [해설작성자 : kwon]
5.
다음에서 설명하는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모양은?
1.
환상형
2.
원추형
3.
지붕형
4.
부채형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환상형(Looping) - 과단열감율 상태의 대기일 때 발생 - 바람이 강하고 맑은 날 낮 동안 불안정한 대류경계층에서 발생 - 일시적 최대착지농도가 가장 높고 최대착지거리는 가까움 - 굴뚝이 낮은 경우 풍하 쪽 지상에 오염도가 높아짐
2. 원추형(Coning) - 중립조건에서 발생 - 바람이 강하고 흐린 날 오후에 저기압성 Storm, 전선 이동 시 발생 - 오염의 단면분포가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냄 - 연기의 수직이동으로 오염물질이 먼 곳으로 이동가능
3. 지붕형(Lofting) - 상층은 불안정, 하층은 안정일 때 발생 - 바람이 약하고 맑은 초저녁부터 아침에 발생 - 지표역전의 상부와 굴뚝 상단이 거의 일치
4. 부채형(Fanning) - 대기가 매우 안정한 상태일 때 밤 ~ 해 뜨기 전에 발생 - 굴뚝의 높이가 낮을 시 지표 부근에 심각한 오염문제가 발생 - 수직 방향 분산은 최소, 수평의 분산은 아주 적음 - 최대착지농도는 낮지만 최대착지거리는 멀어짐 [해설작성자 : 조금일하고많이벌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환상형 - 바람이 약한 맑은 날 [해설작성자 : 차차빗보이]
[오류신고 반론] 환상형 - 바람이 강한 맑은 날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라따뚜이]
[추가 오류 신고] 환상형 - 맑은날 태영복사열이 강하고 바람이 약한 따뜻한 계절의 낮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대노비]
6.
공장에서 대량의 H2S 가스가 누출되어 발생한 대기오염사건은?
1.
도노라사건
2.
포자리카사건
3.
요코하마사건
4.
보팔시사건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도노라 (1948, SOx, 분진) 포자리카 (1950, H2S 누출) 요코하마 (1946, 천식발생) 보팔 (1984, MIC 누출) [해설작성자 : G11]
7.
20℃, 750mmHg에서 이산화황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0.02ppm 이었다. 이를 ㎎/m3로 환산한 값은?
EBD는 촉매의 존재 하에 NOx와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환원제를 주입하여 NOx를 N2로 환원하는 장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NOx와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환원제를 주입하여 NOx를 N2로 환원하는 장치는 "SCR 장치" 이다. [해설작성자 : 덕계동 피바라기]
TCCS(삼원촉매 전환장치)는 촉매의 존재 하에 NOx와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환원제를 주입하여 NOx를 N2로 환원하는 장치이다. SCR(선택적 촉매 환원법)은 환원법이지 장치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kwon]
SCR은 선택적 촉매 환원법이 맞으나, "SCR 장치"는 존재하며 질소화합물만 선택적 환원이 가능하여 디젤자동차에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선택적 촉매 환원법 : Nox를 촉매의 존재 하에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환원제(암모니아)를 주입하여 NOx를 N2와 H2O로 환원하는기술이다. 삼원촉매장치 : 산화촉매(Pt,Pd)와 환원촉매(Rh)를 이용하여 Co,HC,NOx를 동시에 처리하는 후처리시설. 삼원촉매장치도 틀리지는 않았지만, 정의 설명상 SCR장치가 더 옳은것으로 보인다. [해설작성자 : 덕계동 피바라기]
9.
다음 NOx의 광분해 사이클 중 ( ) 안에 알맞은 빛의 종류는?
1.
가시광선
2.
자외선
3.
적외선
4.
β선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시광선이 아니라 자외선을 흡수
10.
먼지 농도가 40 ㎍/m3, 상대습도가 70%일 때, 가시거리(㎞)는? (단, 계수 A는 1.2)
1.
19
2.
23
3.
30
4.
67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Lw = (1.2*10^3)/40 = 30 [해설작성자 : 4회차화이팅]
Ross식(상대습도가 70%일 때) L = 1000A/G
L = 가시거리(km) A = 계수 G = 먼지 농도(㎍/m^3)
A = 1.2 G = 40㎍/m^3
L = 1000*1.2/40 = 30km [해설작성자 : kwon]
11.
다이옥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50~340㎚의 자외선 영역에서 광분해 될 수 있다.
2.
2개의 벤젠고리와 산소, 2개 이상의 염소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3.
완전 분해되더라도 연소가스 배출 시 저온에서 재생될 수 있다.
4.
증기압이 높고 물에 잘 녹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다이옥신의 물리적 성질 - 증기압이 낮다 -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소수성) [해설작성자 : G11]
물에 잘 안녹아서 제거가 힘들다 [해설작성자 : 배추부추상추고추]
12.
하루 동안 시간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B, C에 해당 하는 물질은?
1돕슨단위는 지구 대기 중의 오존총량을 0℃, 1atm에서 두께로 환산했을 때 0.01mm에 상당하는 양이다.
2.
대기 중의 오존 배경농도는 0.01~0.04ppm 정도이다.
3.
오존의 생성과 소멸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오존층의 오존 농도가 유지된다.
4.
오존층은 성층권에서 오존의 농도가 가장 높은 지상 50~60㎞ 구간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오존층 높이는 약20~25km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부피가 100m3인 복사실에서 분당 0.2mg의 오존을 배출하는 복사기를 연속적으로 사용 하고 있다. 복사기를 사용하기 전 복사실의 오존 농도가 0.1ppm일 때, 복사기를 5시간 사용한 후 복사실의 오존 농도(ppb)는? (단, 0℃, 1기압 기준, 환기를 고려하지 않음)
유동층 연소장치 1) 연료의 층내 체류시간이 길어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2)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커 연소효율이 좋다. 3) 다른 연소법에 비하여 온도가 낮기 때문에 NOx 생성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4. 공기소비량이 "적어" 화격자 연소장치에 비해 배출가스량이 "적은" 편이다. [해설작성자 : kwon]
28.
디젤기관의 노킹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착화지연기간을 증가시킨다.
2.
세탄가가 낮은 연료를 사용한다.
3.
압축비와 압축압력을 높게 한다.
4.
연료 분사개시 때 분사량을 증가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착화지연기간을 감소시킨다. 2. 세탄가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4. 연료 분사개시 때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옥수수수염]
세탄가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분사 개시 떄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급기온도를 높인다. 기관의 압축비를 크게하여 압축압력 및 압축온도를 높인다.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 분사 개시 떄 분사량을 감소시켜 착화지연을 가능한 한 짧게한다. 분사시기를 알맞게 조정한다. 흡입공기에 와류가 일어나도록 한다. 착화지연기간 및 급격연소시간의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29.
기체연료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은 과잉공기로 완전 연소가 가능하다.
2.
연료의 예열이 쉽고 연소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3.
공기와 혼합하여 점화할 때 누설에 의한 역화·폭발 등의 위험이 크다.
4.
운송이나 저장이 편리하고 수송을 위한 부대설비 비용이 액체연료에 비해 적게 소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액체연료가 운송이나 저장이 편리하다 [해설작성자 : 화공]
장점 적은 과잉공기(공기비)로 완전연소가 가능하며 연료의 예열이 쉽다. 연료 속에 회분 및 유황 함유량이 적어 배연가스 중 SO2등 대기오염발생량이 매우 적다. 연소효율이 높고 연소조절 점화 및 소화가 용이 저발열량의 것(저질연료)으로도 고온을 얻을 수 있고 전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연소효율 가연범위(부하변동범위)가 넓다.
단점 다른 연료에 비해 연료밀도가 낮아 수송효율이 낮고, 취급이 곤란하며 위험성이 크다. 공기와 혼합해서 점화하면 폭발 등의 위험이 있다. 저장이 곤란하고 시설비가 많이 든다.
30.
수소 8%, 수분 2%로 구성된 고체연료의 고발열량이 8000kcal/㎏일 때, 이 연료의 저발열량(kcal/㎏)은?
위식처럼 계산해도 문제는 없지만, 8000- 600(9H + W)가 올바른 Dulong식입니다. 연료가 1kg존재 한다고 가정했을 때 H에 0.08, W에 0.02 값을 넣어 계산하는 것이 더 옳습니다. 8000-600*(9*0.08+0.02)) =755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반응물의 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하는데 1000s가 걸렸을 때, 반응물의 농도가 초기의 1/250으로 감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s)은? (단, 1차 반응 기준)
1.
6650
2.
6966
3.
7470
4.
7966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차 반응 반감기는 ln2/k = t 을 외워서 하는 게 쉽고 빨라요!
ln2 / k = 1000 s > k = 6.93 * 10^-4
Ca = Ca0 * e^-kt 1/250 = e^-kt ln(1/250) = - (6.93 * 10^-4) * t [해설작성자 : 금쪽이]
반감기[1/2] -> ln(1/2) = -kt 시간이 주어졌으니 상수 k를 구할 수 있음 k = 0.000693 농도 1/250 -> ln(1/250) = -0.000693t t = 7966 [해설작성자 : 수제자]
32.
일반적인 디젤기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솔린기관에 비해 납 발생량이 적은 편이다.
2.
압축비가 높아 가솔린기관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큰 편이다.
3.
NOx는 가속 시 특히 많이 배출되며 HC는 감속 시 특히 많이 배출된다.
4.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에 흡입, 압축시킨 후 점화플러그에 의해 강제로 연소 폭발시키는 방식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에 흡입, 압축시킨 후 점화플러그에 의해 강제로 연소 폭발시키는 방식은 가솔린기관(스파크 점화방식)의 설명이다. 디젤기관은 공기만 압축시킨뒤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 폭발시키는 방식이다.(압축점화) [해설작성자 : 덕계동 피바라기]
연료를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에 흡입, 압축 시킨 후 --> 공기를 실린더에 흡입, 압축 시킨 후 [해설작성자 : 두껍]
33.
C : 85%, H : 10%, O : 3%, S : 2%의 무게비로 구성된 액체연료를 1.3의 공기비로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실제 습연소가스량(Sm3/㎏)은?
버너 자체가 로 벽과 함께 내화벽돌로 조립되어 로 내부에 개구된 것으로 가스와 공기를 함께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확산형 가스버너 중 포트형 - 버너 자체가 로벽과 함께 내화벽돌로 조립되어 로 내부에 개구된 것이며, 가스와 공기를 함께 가열할 수 있다. - 고발열량 탄화수소를 사용할 경우는 가스압력을 이용하여 노즐로부터 고속으로 분출케 하여 그 힘으로 공기를 흡인하는 방식 사용 - 밀도가 큰 공기는 출구 상부에, 밀도가 작은 가스 출구는 하부에 배치한다. - 포트입구가 작으면 슬래그가 부착해서 막힐 우려가 존재
2. 예혼합연소 : 기체연료와 연소용 공기를 버너내에서 혼합하여 공급하는 방식 - 연소가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변하지 않고 균일하게 연소됨 - 화염온도가 높아 연소부하가 큰 경우 사용 가능 - 연소조절이 쉽고 화염의 길이가 짧다. - 혼합기의 분출속도가 느릴 경우 역화의 위험이 있다. - 기체연료의 압력을 2kg/cm2 이상으로 공급하므로 연소실 내의 압력은 정압이다. - 분젠버너, 저압버너, 송풍버너, 고압버너 등
<문제 해설> 1) 휘발성, 점도, 빙점, 부식성, 독성, 가격이 낮을 것 2) 용해도, 비점이 높을 것 3) 용매의 화학적 성질과 비슷할 것 4)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53.
지름이 20㎝, 유효높이가 3m인 원통형 백필터를 사용하여 배출가스 4m3/s를 처리 하고자 한다. 여과속도를 0.04m/s로 할 때, 필요한 백필터의 개수는?
1.
35
2.
54
3.
70
4.
71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n = Qt/Qi = Qt/(π*D*L*Vf) n : 여과포 소요개수 D : 여과포 직경, L : 여과포 길이, Vf : 여과속도
+) π * D = H 여과포 폭 [해설작성자 : 금쪽이]
4/3.14*0.2*3*0.04=n [해설작성자 : 1]
54.
처리가스량이 106m3/h, 입구 먼지농도가 2g/m3, 출구 먼지농도가 0.4g/m3, 총 압력손실이 72mmH2O일 때, blower의 소요동력(㎾)은?
1.
425
2.
375
3.
245
4.
187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송풍기의 소요동력 P = (△P*Q/102*η)*α = {72*(10^6*1/3600)/(102*0.8)}*1 P : 소요동력[kW] △P, 압력손실 : 72mmH2O Q, 송풍량 : 10^6m3/h * 1h/3600s η, 효율 : (2-0.4)/2 α, 여유율 : 여유율이 문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을 때는 0으로 두어 계산하면 됩니다. 다만, 여유율은 그 기본값에 1을 더하여 계산하여야 하는데, 예를 들어, 여유율이 20%라 한다면, α에는 1.2(=1+0.2)를 넣어 계산하면 됩니다. 따라서, 여유율이 0이라 가정한다면 1을 넣어 계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추가) 여유율 1. 문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을 때는 1로 두고 계산한다. (무시하고 푼다.) 2. %로 나오면 1을 더하여 계산한다. (20% > 1.2) 3. 숫자로 나오면 그대로 계산한다. (1 > 1) [해설작성자 : 금쪽이]
해설에 집진효율이 0.8이 되는 이유는 1-(0.4/2)=0.8 이기 때문입니다! 효율을 구하기
55.
탈취방법 중 수세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해도가 높고 친수성 극성기를 가진 냄새성분의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2.
주로 분뇨처리장, 계란건조장, 주물공장 등의 악취제거에 적용된다.
3.
수온변화에 따라 탈취효과가 크게 달라지는 것이 단점이다.
4.
조작이 간단하며 처리효율이 우수하여 주로 단독으로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조작이 간단하며 처리 효율이 낮아 다른 방법과 병용하여 사용 [해설작성자 : 두껍]
3. 촉매분해법 금속화학물 (V2O5, TiO2 등), 귀금속 (Pt, Pd) 사용 [해설작성자 : 두껍]
57.
다음 중 알칼리용액을 사용한 처리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오염물질은?
1.
HCl
2.
Cl2
3.
HF
4.
CO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 일산화탄소(CO)는 "백금계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 제거한다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요저이거처음써봐요너무짜릿해요]
배출가스 중의 co를 제거하는 방법 중 가장 실질적이고 확실한 방법은 백금계 촉매를 사용하여 무해한 co2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co를 백금계 촉매를 사용하여 co2로 완전 산화시켜서 처리시 촉매독으로 작용하는 물질은 Hg, Pb, Zn, As, S, 할로겐물질(F,Cl,Br) , 먼지 등이므로 사전에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58.
원심력 집진장치에 블로우 다운(blow down)을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효 원심력 감소를 통한 운영비 절감
2.
원심력 집진장치 내의 난류억제
3.
포집된 먼지의 재비산 방지
4.
원심력 집진장치 내의 먼지부착에 의한 장치폐쇄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Blow down : Dust box 또는 멀티 사이클론의 Hopper부에서 처리가스량의 5~10%를 흡인하여 재순환시키는 방법 1) 유효원심력 "증가" 2) 분진의 재비산 방지 3) 집진효율 증대 4) 내통의 분진 폐색방지 [해설작성자 : 금쪽이]
1. 감소 --> 증가, 운영비 절감 --> 효율 증가 [해설작성자 : 두껍]
59.
복합 국소배기장치에 사용되는 댐퍼조절평형법(또는 저항조절평형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물질 배출원이 많아 여러 개의 가지 덕트를 주 덕트에 연결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한다.
저항조절평형법(댐퍼조절평형법, 덕트균형유지법) 정의: 각 덕트에 댐퍼를 부착하여 압력을 조정,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적용: 분지관의 수가 많고, 덕트의 압력손실이 클 때 사용한다.(배출원이 많아서 여러 개의 후드를 주관에 연결한 경우) 특징: 후드를 추가 설치해도 쉽게 정압조절이 가능하다. 사용하지 않는 후드를 막아 다른 곳에 필요한 정압을 보낼 수 있어 현장에서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압력균형방법 총 압력손실 계산은 압력손실이 가장 큰 분지관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60.
후드의 설치 및 흡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생원에 최대한 접근시켜 흡인한다.
2.
주 발생원을 대상으로 국부적인 흡인방식을 취한다.
3.
후드의 개구면적을 넓게 한다.
4.
충분한 포착속도(capture velocity)를 유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개구면적은 "적게" 할 것, 에어커튼을 사용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4과목 : 대기오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따라 10mm 셀을 사용하여 측정한 시료의 흡광도가 0.1이었다. 동일한 시료에 대해 동일한 조건에서 20mm 셀을 사용하여 측정한 흡광도는?
1.
0.05
2.
0.10
3.
0.12
4.
0.20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흡광도(A)=흡광계수(E) x 농도(C) x 빛의 투과거리(L) 0.1 = ExCx10 EC=0.01 ECx20 = 0.01x20 = 0.2 [해설작성자 : 빅스타]
62.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 상의 시험기재 및 용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험조작 중 “즉시”란 30초 이내에 표시된 조작을 하는 것을 뜻한다.
2.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까지 다는 것을 뜻한다.
3.
액체성분의 양을 “정확히 취한다” 함은 메스피펫, 메스실린더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정도를 갖는 용량계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것을 뜻한다.
4.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보통의 건조방법으로 1시간 더 건조 또는 강열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매 g당 0.3㎎ 이하일 때를 뜻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액체 성분의 양을 "정확히 취한다" 함은 "홀피펫, 부피플라스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정도를 갖는 용량계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것을 뜻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D = 2*가로*세로 / (가로+세로) //굴뚝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 [해설작성자 : 금쪽이]
(2×2×1.5)/(2+1.5) [해설작성자 : 1]
73.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전가스 : 중공음극램프에 채우는 가스
2.
선프로파일 : 파장에 대한 스펙트럼선의 폭을 나타내는 곡선
3.
공명선 :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4.
역화 : 불꽃의 연소속도가 크고 혼합기체의 분출속도가 작을 때 연소현상이 내부로 옮겨 지는 것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파장에 대한 스펙트럼선의 강도를 나타내는 곡선 [해설작성자 : 1트]
2. 폭 --> 강도 [해설작성자 : 두껍]
74.
유류 중의 황함유량 분석 방법 중 방사선여기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기법 분석계의 전원 스위치를 넣고 1시간 이상 안정화시킨다.
2.
석유 제품의 시료채취 시 증기의 흡입은 될 수 있는 한 피해야 한다.
3.
시료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여기된 황 원자에서 발생하는 γ선의 강도를 측정한다.
4.
시료를 충분히 교반한 후 준비된 시료셀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액 층의 두께가 5~20mm가 되도록 시료를 넣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 형광 X선 ! [해설작성자 : 금쪽이]
75.
환경대기 중의 금속화합물 분석을 위한 주시험방법은?
1.
원자흡수분광광도법
2.
자외선/가시선분광법
3.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
4.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금속화합물의 분석방법 : 원자흡수분광광도법 [해설작성자 : 대기따자]
76.
굴뚝 배출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자동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자외선흡수분석계의 구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원 : 중수소방전관 또는 중압수은 등을 사용한다.
2.
시료셀 : 시료가스가 연속적으로 흘러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200~500mm이고 셀의 창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3.
광학필터 : 프리즘과 회절격자 분광기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 또는 적외선 영역의 단색광을 얻는 데 사용된다.
4.
합산증폭기 :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과 일산화질소 측정파장에서 아황산가스의 간섭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1) 광원부 (1) 텅스텐램프 광원 : 가시부, 근적외부 (2) 중수소방전관 광원 : 자외부 2) 파장선택부 (1) "단색화장치" : 프리즘, 회절격자 또는 이 두가지를 조합시킨 것을 사용하며 단색광을 내기 위하여 슬릿을 부속 시킴 (2) 필터 : 색유리·젤라틴·간접 필터 등을 사용 3) 시료부 (1) 흡수셀 : 시료액을 넣은 것 (2) 대조셀 : 대조액을 넣은 것 (3) 셀홀더 : 셀을 보호하기 위한 것 4) 측광부 (1) 광전관, 광전자증배관 :자외, 가시 파장 (2) 광전도셀 : 근적외 파장 (3) 광전지 : 가시 파장 [해설작성자 : 금쪽이]
비분선적외선분광광도법 - 광학필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굴뚝에서 배출되는 건조배출가스의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량 측정방법에는 피토관, 열선유속계, 와류유속계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2.
와류유속계를 사용할 때에는 압력계와 온도계를 유량계 상류 측에 설치해야 한다.
3.
건조배출가스 유량은 배출되는 표준상태의 건조배출가스량[Sm3(5분 적산치)]으로 나타낸다.
4.
열선유속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료채취부는 열선과 지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선으로 텅스텐이나 백금선 등이 사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하류에 설치 [해설작성자 : 아 지루해]
78.
굴뚝 단면이 상·하 동일 단면적의 원형인 경우 굴뚝 배출시료 측정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뚝 직경이 1.5m인 경우 측정점수는 8점이다.
2.
굴뚝 직경이 3m인 경우 반경 구분수는 3이다.
3.
굴뚝 직경이 4.5m를 초과할 경우 측정점수는 20점이다.
4.
굴뚝 단면적이 1m2 이하로 소규모일 경우 굴뚝 단면의 중심을 대표점으로 하여 1점만 측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굴뚝 단면적이 0.25 m2 이하로 소규모일 경우 굴뚝 단면의 중심을 대표점으로 하여 1점만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굴뚝 단면적이 1m^2 이하일 경우, 직경은 1.1284 즉, 직경이 1초과 2이하 이므로 반경구분수는 2점, 측정점수는 8점
79.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필터형 : 측정성분이 흡수되는 적외선을 그 흡수파장에서 측정하는 방식
2.
비분산 : 빛을 프리즘이나 회절격자와 같은 분산소자에 의해 분산하지 않는 것
3.
비교가스 : 시료 셀에서 적외선 흡수를 측정하는 경우 대조가스로 사용하는 것으로 적외선을 흡수하지 않는 가스
4.
반복성 : 동일한 방법과 조건에서 동일한 분석계를 사용하여 여러 측정대상을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경우 각각의 측정치가 일치하는 정도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반복성 : 동일 분석계, 동일 방법 및 조건, "동일" 측정대상, 비교적 "단시간", 반복 측정의 경우 각각의 측정치가 일치하는 정도 [해설작성자 : 금쪽이]
4. 장시간에 --> 단기간에 [해설작성자 : 두껍]
80.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고정상 액체가 만족시켜야 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학적 성분이 일정해야 한다.
2.
사용온도에서 점성이 작아야 한다.
3.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높아야 한다.
4.
분석대상 성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담체 : 시료 및 고정상 액체에 대하여 불활성일 것 (규조토, 내화벽돌, 유리, 석영, 합성수지 등) 고정상 액체 1) 분석대상 성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을 것 2)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낮고", 점성이 작을 것 3)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4) 화학적 성분이 일정할 것 [해설작성자 : 금쪽이]
8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종사업장과 5종사업장 중 기준 이상의 특정대기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3종사업장에 해당하는 기술인을 두어야 한다.
2.
1종사업장과 2종사업장 중 1개월 동안 실제 작업한 날만을 계산하여 1일 평균 17시간 이상 작업하는 경우 해당 사업장의 기술인을 각각 2 명 이상 두어야 한다.
3.
대기환경기술인이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른 소음∙진동환경기술인 자격을 갖춘 경우에는 소음∙진동환경기술인을 겸임할 수 있다.
4.
전체배출시설에 대해 방지시설 설치 면제를 받은 사업장과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등을 공동방지시설에서 처리하는 사업장은 5종사업장에 해당하는 기술인을 둘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종 (대기오염물질발생량 연간 80톤 이상) - 대기환경기사 이상 자격소지자 1명 이상 2종 (20톤 이상 80톤 미만) - 대기환경산업기사 이상 자격소지자 1명 이상 3종 (10톤 이상 20톤 미만) - 대기환경산업기사 이상 또는 환경기능사 또는 3년 이상 대기분야 환경관련 업무 종사자 1명 이상 4종(2톤 이상 10톤 미만), 5종(1~4종 제외 사업장) - 배출시설 설치허가 및 신고가 수리된 자 또는 피고용인 중에서 앞서 말한 자격자가 임명하는 자 1명 이상
2 > 이 경우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은 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기술인 또는 환경기능사로 대체 가능 3 > 추가로, 대기환경기술인이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질환경기술인의 자격을 갖춘 경우에는 수질환경기술인을 겸임할 수 있다 4 > 없다(X), 있다(O) [해설작성자 : 금쪽이]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배출부과금 납부의무자가 납부기한 전에 배출부과금을 납부할 수 없다고 인정되어 징수를 유예하거나 그 금액을 분할납부하게 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천재지변으로 사업자의 재산에 중대한 손실이 발생한 경우
2.
사업에 손실을 입어 경영상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된 경우
3.
배출부과금이 납부의무자의 자본금을 1.5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
4.
징수유예나 분할납부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일산화탄소(CO)의 대기환경기준(ppm)은? (단, 1시간 평균치 기준)
1.
0.25 이하
2.
0.5 이하
3.
25 이하
4.
50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산화탄소 - 측정방법: 비분산적외선 분석법 8시간 평균치 9 ppm 이하 1시간 평균치 25 ppm 이하 [해설작성자 : 금쪽이]
85.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에 대한 라돈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은? (단, 단위는 Bq/m3)
1.
100 이하
2.
148 이하
3.
200 이하
4.
248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상 공항시설 중 여객터미널에 대한 라돈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은 148 Bq/m3 이다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8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자가 스스로 방지시설을 설계∙시공하려는 경우 시∙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2.
공정도
3.
배출시설의 위치 및 운영에 관한 규약
4.
원료(연료를 포함)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대기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자기방지시설의 설계·시공 제출 서류 1. 배출시설의 설치명세서 2. 공정도 3. 원료 사용량, 제품생산량 및 대기오염물질 등의 배출량을 예측한 명세서 4. 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와 그 도면 5.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해설작성자 : 금쪽이]
87.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위임업무의 보고 횟수 기준이 '수시'인 업무내용은?
1.
환경오염사고 발생 및 조치사항
2.
자동차 연료 및 첨가제의 제조∙판매 또는 사용에 대한 규제현황
3.
자동차 첨가제의 제조기준 적합여부 검사현황
4.
수입자동차의 배출가스 인증 및 검사현황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위임업무 보고사항 1) 환경오염사고 발생 및 조치사항 - 수시 2) 수입자동차 배출가스 인증 및 검사현황 - 연 4회 3) 자동차 연료 및 첨가제의 제조·판매 또는 사용에 대한 규제현황 - 연 2회 4) 자동차 연료 또는 첨가제의 제조기준 적합 여부 검사현황 - 연료 연 4회 / 첨가제 연 2회 5) 측정기기 관리대행업의 등록, 변경등록 및 행정처분 현황 - 연 1회
위탁업무 보고사항 1) 수시검사, 결함확인 검사, 부품결함 보고서류의 접수 - 수시 2) 결함확인검사 결과 - 수시 3) 자동차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 - 연 2회 4) 자동차 시험검사 현황 - 연 1회 [해설작성자 : 금쪽이]
8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출시설의 설치를 완료한 후 가동개시 신고를 하지 않고 조업한 자
2.
환경상의 위해가 발생하여 제조∙판매 또는 사용을 규제당한 자동차 연료∙첨가제 또는 촉매제를 제조하거나 판매한 자
3.
측정기기 관리대행업의 등록 또는 변경 등록을 하지 않고 측정기기 관리업무를 대행한 자
4.
환경부장관에게 받은 이륜자동차정기검사 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자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 > 300만원 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금쪽이]
8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석탄사용시설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유효굴뚝높이가 440m 미만인 경우)
1.
배출시설의 굴뚝높이는 100m 이상으로 한다.
2.
석탄저장은 옥내저장시설(밀폐형 저장시설 포함) 또는 지하저장시설에 해야 한다.
3.
굴뚝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먼지 등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를 설치해야 한다.
4.
석탄연소재는 덮개가 있는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석탄연소재는 "밀폐통"을 이용하여야 운반해야 한다. 석탄을 제외한 기타 고체연료 사용시설의 경우, 연료와 그 연소재의 수송은 덮개가 있는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0.
실내공기질 관리법령의 적용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하역사
2.
병상 수가 100개인 의료기관
3.
철도역사의 연면적 1천5백제곱미터인 대합실
4.
공항시설 중 연면적 1천5백제곱미터인 여객터미널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실내공기질 관리법령 적용대상 1. 다중이용시설 1 > 모든 지하역사 2 > 연면적 2천제곱미터 이상이거나 병상 수 100개 이상인 의료기관 3 > 철도역사의 연면적 "2천"제곱미터 이상인 대합실 4 > 공항시설 중 연면적 1천5백제곱미터 이상인 여객터미널 [해설작성자 : 금쪽이]
9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자가측정의 대상∙항목 및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설치하여 먼지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자료를 전송하는 배출구의 경우 매연항목에 대해서도 자가측정을 한 것으로 본다.
2.
안전상의 이유로 자가측정이 곤란하다고 인정받은 방지시설설치면제사업장의 경우 대행 기관을 통해 연 1회 이상 자가측정을 해야 한다.
3.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설치한 배출구의 경우 자동측정자료를 전송하는 항목에 한정하여 자동측정자료를 자가측정자료에 우선하여 활용해야 한다.
4.
측정대상시설이 중유 등 연료유만을 사용하는 시설인 경우 황산화물에 대한 자가측정은 연료의 황함유분석표로 갈음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원래는 방지시설설치면제 사업장도 연 1회 측정을 해야 합니다. 다만 안전상의 이유로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통합악취”란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
2.
"악취배출시설”이란 악취를 유발하는 시설, 기계, 기구, 그 밖의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
4.
“지정악취물질”이란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 통합악취 (X) 복합악취(O) [해설작성자 : 금쪽이]
9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특정대기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로필렌 옥사이드
2.
니켈 및 그 화합물
3.
아크를레인
4.
1,3-부타디엔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2] 특정대기유해물질(제4조 관련) [시행 2023. 1. 5.] [환경부령 제1020호, 2023. 1. 5., 타법개정]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시안화수소, 납 및 그 화합물, 폴리염화비페닐,크롬 및 그 화합물, 비소 및 그 화합물,수은 및 그 화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염소 및 염화수소, 불소화물, 석면, "니켈 및 그 화합물", 염화비닐, 다이옥신, 페놀 및 그 화합물, 베릴륨 및 그 화합물, 벤젠,사염화탄소, 이황화메틸, 아닐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지딘, "1,3-부타디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옥사이드, 디클로로메탄, 스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에틸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히드라진
아크를레인 없음 [해설작성자 : 법령 찾는거 재밌네]
100.
악취방지법령상 지정악취물질과 배출허용기준,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범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단, 공업지역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