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공업합성


1. 중과린산석회의 제법으로 가장 옳은 설명은?
     1. 인산을 암모니아로 처리한다.
     2. 과린산석회를 암모니아로 처리한다.
     3. 칠레 초석을 황산으로 처리한다.
     4. 인광석을 인산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인산암모늄의 제법
2. 칼슘암모늄화합물이 만들어짐
3. 질산 생성
[해설작성자 : 비누]

무거울중 과할중, 처리할과, 인산, 석회=칼슘, 인광석을 의미.
즉 인광석을 인산으로 과하게 처리해서 만든 쌉고농도 인산칼슘 비료

인산광석을 인산으로 처리해서 중과린산석회를 만들게 되고,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의 인산을 공급하게된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2. 공업적인 HCl 제조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부생염산법
     2. Petersen Tower법
     3. OPL법
     4. Meyer법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 칠레 초석과 황산을 사용하여 질산 생산
3. Oxygen Pressure Leaching Process 고압에서 산소를 이용하여 금속과정을 처리하는 방법
4. 칠레 초석과 황산을 반응 시켜 질산 생산
[해설작성자 : 비누]

3. 석회질소 비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토양의 살균효과가 있다.
     2. 과린산석회, 암모늄염 등과의 배합비료로 적당하다.
     3. 저장 중 이산화탄소,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한다.
     4. 분해 시 생성되는 디시안디아미드는 식물에 유해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배합비료에는 부적합
[해설작성자 : 조로미]

석회질소비료 Lime Nitrogen: CaCN2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 질소공급과 pH조절이 목표
인산계 비료와 배합시 부반응을 일으킨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4. 석유정제에 사용되는 용제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선택성이 높아야 한다.
     2. 추출할 성분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야 한다.
     3. 용제의 비점과 추출성분의 비점의 차이가 적어야 한다.
     4. 독성이나 장치에 대한 부식성이 적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추출성분의 끓는점과 용제의 끓는점 차이가 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5. 말레산 무수물을 벤젠의 공기산화법으로 제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촉매는?
     1. V2O5
     2. PdCl2
     3. LiH2PO4
     4. Si-Al2O3 담체로 한 Nickel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V2O5 탈수(산화) 작용에 사용되는 촉매
2. Suzuki, Heck, songashira 등에 쓰이지만 화공기사에서는 수소화 반응 및 산화 반응에서 쓰는 촉매로 생각하면 된다.
     수소화 반응에서는 불포화(2,3중 결합) 결합을 포화 결합(단일 결합)으로 전환시킬 때.
     산화 반응에는 알콜의 산화나 아민의 산화.
3. 리튬 화합물로서 전지에 주요 재료(고체 전해질)이자, 산화-환원 촉매로 사용되나 공업화학 계열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4. 수소화 반응, 탈수화 반응, 하이드로 크래킹, 탈질화 반응으로 쓰인다.
     수소화반응:알켄(C_nH_2n)을 알케인(C_nH_2n+2)으로 바꿈
     하이드로 크래킹: 석유화학 공정에서 중질유를 경질유로 바꿈.
[해설작성자 : 비누]

6. 전류효율이 90%인 전해조에서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산화나트륨과 염소, 수소가 만들어진다. 매일 17.75ton 의 염소가 부산물로 나온다면 수산화나트륨의 생산량(ton/day)은?
     1. 16
     2. 18
     3. 20
     4. 2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소금물: NaCl + H2O
반응식: 2NaCl + 2H2O → 2NaOH + H2 + Cl2
양론식: NaOH : Cl2 = 2 : 1
/day는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계산
n(Cl2) = 17.75 x 106 g / (35.5 x 2 g/mol) = 2.5 x 105 mol
n(NaOH) = 2 x n(Cl2) = 5 x 105 mol
m(NaOH) = 5 x 106 mol x 40 g/mol = 2.0 x 107 g = 20 ton
[해설작성자 : #기사가보자고]

7. 초산과 에탄올을 산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에스테르와 물을 생성할 때, 물 분자의 산소원자의 출처는?
     1. 초산의 C=O
     2. 초산의 OH
     3. 에탄올의 OH
     4. 촉매에서 산소 도입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H3COOH의 OH
C2H5OH의 H
[해설작성자 : 조로미]

초산 CH3COOH
에탄올 CH3CH2OH

1. 산촉매가 초산에 H+ 붙여서 positive
2. 에탄올의 O가 nucleopihlic, 초산의 C를 공격
3. 초산의 OH그룹 탈락
4. 에탄올의 -OH가 초산의 C와 결합하면서, H+탈락
5. 떨어져나간 OH그룹이 에탄올의 H+와 결함, 물생성
[해설작성자 : 페랄타]

8. 암모니아 산화에 의한 질산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촉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촉매로는 Pt에 Rh이나 Pd를 첨가하여 만든 백금계 촉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 촉매는 단위 중량에 대한 표면적이 큰 것이 유리하다.
     3. 촉매형상은 직경 0.2cm 이상의 선으로 망을 떠서 사용한다.
     4. Rh은 가격이 비싸지만 강도, 촉매활성, 촉매손실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직경 0.066mm의 선을 구멍수 3600개/cm2 정도의 망을 짜서 평틀 모양이나 바스켓 모양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9. 다음 중 옥탄가가 가장 낮은 가솔린은?
     1. 접촉개질 가솔린
     2. 알킬화 가솔린
     3. 접촉분해 가솔린
     4. 직류 가솔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접촉분해법, 수소화분해법, 접촉개질, 알킬화법. 이성화법
[해설작성자 : 조로미]

10.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해당하는 것은?
     1. ABS수지
     2. 규소수지
     3. 에폭시수지
     4. 알키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플라스틱은 열경화성 플라스틱과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나뉘어지고,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론 규소수지, 에폭시수지, 알키드수지 등이 있고 ABS 수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1트로 합격기원]

11. 황산제조에 사용되는 원료가 아닌 것은?
     1. 황화철광
     2. 자류철광
     3. 염화암모늄
     4. 금속제련 폐가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염화암모늄은 NH4Cl
[해설작성자 : 조로미]

자류철광
자석의 자
유황의 류
철광

자성을 띄고있는 황화 철광성분의 광석을 의미
[해설작성자 : 페랄타]

12. 650℃에서 작동하며 수소 또는 일산화탄소를 음극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1. 인산형 연료전지(PAFC)
     2.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3.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4.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150~200도
2. 상온~100도
3. 700~1000도
4. 600~700도
[해설작성자 : 비누]

13. 반도체 제조과정 중에서 식각공정 후 행해지는 세정공정에 사용되는 piranha 용액의 주원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질산, 암모니아
     2. 불산, 염화나트륨
     3. 에탄올, 벤젠
     4. 황산, 과산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반도체 세정 과정에서 쓰이는 용액은 4가지로, SC-1, SC-2,    piranha, HF가 존재한다.
SC-1은 암모니아와 과산화수소, 물의 혼합액
SC-2는 염산, 과산화수소, 물의 혼합액
Piranha는 황산, 과산화수소 혼합액
HF는 불화수소산.
[해설작성자 : 비누]

14. 폐수 내에 녹아있는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열분해
     2.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제거
     3. pH를 조절하여 수산화물 형태로 침전제거
     4.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전해 회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방법
1. 화학점 침전(불용성 화합물로 전환시켜 침전)
2. 이혼교환 수지(이혼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중금속 이온을 다른 이온으로 교환)
3. 흡착(활성탄 및 흡착제 사용)
4. 전기화학적 방법(전기 분해)
[해설작성자 : 비누]

15. LeBlanc법으로 100% HCl 3000kg을 제조하기 위한 85% 소금의 이론량(kg)은? (단, 각 원자의 원자량은 Na는 23 amu, Cl은 35.5 amu 이다.)
     1. 3636
     2. 4646
     3. 5657
     4. 6667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르블랑 공정:2NaCl+H2SO4->Na2SO4+2HCl...1), Na2SO4+CaCO3+2C->Na2CO3+CaS+2CO2...2)
1번식 이용하여 이론량 계산,3000/HCl 분자량(=36.5)*NaCl 분자량(=58.5)/0.85(=소금 순도)*2NaCl/2HCl(=반응비)=5647
[해설작성자 : 23년 1회 기사]

16. 레페(Reppe) 합성반응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알킬화 반응
     2. 비닐화 반응
     3. 고리화 반응
     4. 카르보닐화 반응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닐화, 에티닐화, 카르보닐화, 고리화
[해설작성자 : 조로미]

레페반응은 아세틸렌 C≡CH 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거기서 때려맞추면 된다.
알킬화만 단일결합이고, 나머지는 이중결합이라서 고름
[해설작성자 : 페랄타]

17. 환경친화적인 생분해성 고분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분
     2. 폴리이소프렌
     3. 폴리카프로락톤
     4. 지방족폴리에스테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폴리이소프렌은 천연 고무의 주성분으로 자연 분해되기 어려운 구조.
[해설작성자 : 비누]

18. 염화수소 가스 42.3kg을 물 83kg에 흡수시켜 염산을 제조할 때 염산의 농도(wt%)는? (단, 염화수소 가스는 전량 물에 흡수된 것으로 한다.)
     1. 13.76
     2. 23.76
     3. 33.76
     4. 43.76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2.3/(42.3+83)
[해설작성자 : 카지]

19. 일반적인 공정에서 에텔렌으로부터 얻는 제품이 아닌 것은?
     1. 에틸벤젠
     2. 아세트알데히드
     3. 에탄올
     4. 염화알릴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염화 알릴은 프로필렌으로 만든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20.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발열반응이다.
     2. 압력을 높이면 반응이 정방향으로 진행한다.
     3. 온도을 높이면 반응이 정방향으로 진행한다.
     4. 가역반응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발열반응이므로 온도를 올리면 역반응으로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2과목 : 반응운전


21. 평형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dGt)T.P = 1 이 성립한다.
     2. (dGt)T.P > 0 가 성립한다.
     3. (dGt)T.P = 0 이 성립한다.
     4. (dGt)T.P < 0 가 성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dG<0: 자발적 과정 (에너지 방출, 외부 도움 없이 진행).
dG=0: 평형 상태 (순 변화 없음).
dG>0: 비자발적 과정 (에너지 공급 필요).
[해설작성자 : 비누]

22. 질소가 200atm, 250K로 채워져 있는 10L 기체저장탱크에 5L 진공용기를 두 탱크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연결하였을 때, 기체저장탱크(T1f)와 진공용기(T2f)의 온도(K)는? (단, 질소는 이상기체이고, 탱크 밖으로 질소 또는 열의 손실을 완전히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질소의 정압열용량은 7 cal/mol·K 이다.)
     1. T1f = 222.8, T2f = 330.6
     2. T1f = 222.8, T2f = 133.3
     3. T1f = 133.3, T2f = 330.6
     4. T1f = 133.3, T2f = 222.8

     정답 : []
     정답률 : 32%

23. 3개의 기체 화학종(N2, H2, NH3)으로 구성된 계에서 아래의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계의 자유도는?

    

     1. 0
     2. 1
     3. 2
     4. 3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F=2-P+C-r-s=2-1+3-1=3
[해설작성자 : 조로미]

P : 상의개수
C : 물질의개수
r : 화학평형반응식 개수
s : 특변조건(특별조건이면=1, 대부분 s=0)
[해설작성자 : 합격내꾸>_<]

24. 기체의 평균 열용량(<CP>)과 온도에 대한 2차 함수로 주어지는 열용량(CP)과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열용량은 α + βT + γT2로 주어지며, T0는 초기온도, T는 최종온도, α, β, γ는 물질의 고유상수를 의미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25. 에탄올과 톨루엔의 65℃에서의 Px 선도는 선형성으로부터 충분히 큰 양(+)의 편차를 나타낸다. 이렇게 상당한 양의 편차를 지닐 때 분자간의 인력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같은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 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2. 같은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 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3. 같은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 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4. 같은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 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 = 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Px 선도가 선형성으로부터 양의 편차를 나타낸다는 것은 라울의 법칙으로 나타낸 값보다 더 큰 값을 같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용액이 합쳐져 예상값보다 더 높은 증기압을 가지게 된다는 의미로 봐도 됩니다.
이 경우,'증기압이 높아진다=휘발성이 높아진다=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이 작아진다'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이 다른 종류의 분자간의 인력보다 크다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비누]

26. 공기표준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a는 압축비, γ는 비열비(CP/Cv)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27. 열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수한 물질의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상의 계면이 없어지며 한 개의 상을 이루게 된다.
     2. 동일한 이심인자를 갖는 모든 유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거의 동일한 Z값을 가진다.
     3. 비리얼(Virial) 상태방정식의 순수한 물질에 대한 비리얼 계수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4. 반데르 발스(Van der Waals) 상태방정식은 기/액 평형상태에서 3개의 부피 해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일한 이심인자는 같은 환산온도, 환산압력에서 동일한 Z 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접수]

28. 아세톤의 부피팽창계수(β)는 1.487×10-3-1, 등온압축계수(κ)는 62×10-6 atm-1 일 때, 아세톤을 정적하에서 20℃, 1atm부터 30℃까지 가열하였을 때 압력(atm)은? (단, β와 κ의 값은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12.1
     2. 24.1
     3. 121
     4. 241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dV/V = (a)dT - (b)dP
0 = 부피팽창계수*(30-20) - 등온업축계수*(P-1)
P=240.83
[해설작성자 : 공부시작]

29. i성분의 부분 몰 성질(partial molar property; )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M은 열역학적 용량변수의 단위 몰 당 값, ni은 i성분 이외의 모든 몰 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30. 푸개시티(Fugacit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종의 세기(intensive properties) 성질이다.
     2. 이상기체 압력에 대응하는 실제기체의 상태량이다.
     3. 순수기체의 경우 이상기체 압력에 퓨개시티 계수를 곱하면 퓨개시티가 된다.
     4. 퓨개시티는 압력만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푸개시티는    화학 퍼텐셜과 온도의 비의 지수 함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퓨가시티는 압력과 조성의 함수이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31. 반응물 A가 아래와 같이 반응하고, 이 반응이 회분식 반응기에서 진행될 때, R 물질의 최대 농도(mol/L)는? (단, 반응기에 A 물질만 1.0 mol/L로 공급하였다.)

    

     1. 0.111
     2. 0.222
     3. 0.333
     4. 0.444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tmax= ln(k1/(k2+k3))/(k1-(k2+k3))=0.2h
CRmax=(k1Ca0/(k2+k3-k1))(e^-k1tmax - e^-(k2+k3)tmax)=0.444
[해설작성자 : 조로미]

32. A → P 비가역 1차 반응에서 A의 전화율 관련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1-(NA/NA0)=XA
2. 1-(CA/CA0)=XA
4. dXA=-dCA/CA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A → R → S인 균일계 액상반응에서 1단계는 2차 반응, 2단계는 1차 반응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의 목적 생성물이 R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A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좋다.
     2. 반응온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좋다.
     3. A의 농도는 R의 수율과 직접 관계가 없다.
     4. 혼합흐름 반응기가 플러그흐름 반응기보다 더 좋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 커지면 감소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된다.
[A]가 감소하는 방향=목적 생성물 S가 많아지는 방향
[해설작성자 : 합격내꾸>_<]

34. 이상기체인 A와 B가 일정한 부피 및 온도의 반응기에서 반응이 일어날 때 반응물 A의 반응속도식(-rA)으로 옳은 것은? (단, PA는 A의 분압을 의미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PV=nRT
P=(n/V)RT=CA*RT
d(CA)=dP/RT
-rA=-d(CA)/dt=-(dP/RT)/dt
=(-1/RT)*(dP/dt)
[해설작성자 : 비누]

35. 반응물 A의 전화율(XA)과 온도(T)에 대한 데이터가 아래와 같을 때 이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반응은 단열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HR은 반응의 엔탈피를 의미한다.)

    

     1. 흡열반응, △HR < 0
     2. 발열반응, △HR < 0
     3. 흡열반응, △HR > 0
     4. 발열반응, △HR > 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르 샤틀리에 원리에 따르면 발열반응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K는 작아짐 그러므로 위의 그래프처럼 온도가 증가하며 전화율이 감소하는 그래프가 나오므로 정답은 2번임
[해설작성자 : 메롱이]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확정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화학공학과 재학생입니다.
원리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르 샤틀리에 원리 검색하면 온도가 증가할때 발열반응이 역반응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고 나옵니다.
즉 전화율 X는 작아지게 되는거죠.
따라서 발열반응이 맞고, 이에 대해 엔탈피 변화가 음수인 것은 자명합니다.
따라서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용]

[오류신고 반론]
열의 이동이 없는 단열반응이므로
흡열반응에서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전화율이 증가해서 반응을 더 많이 해서 열을 더 흡수하는 경우이고
반대로 발열반응에서는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전화율이 작아져서 반응을 덜 해서 열을 덜 방출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하는데 전화율이 감소하는 문제의 그래프는 (흡열)반응을 덜 해서 온도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흡열반응입니다.
[해설작성자 : 정답3번맞아요]

[오류신고 반론]
반응을 덜 하는지 더하는지로 흡열인지 발열인지 결정하는게 아닙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전화율은 감소하고 있으니 발열반응으로 해석하는게 당연한걸지도ㅜ모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등온선을 제시해주지 않았어요. 단열조작선은 등온과정을 전제로 등온상태인 T1을 기준으로 반응의 경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T라고 표시된 그래프가 끝나는 지점이 등온상태 T1이 돼야합니다.
단열이라 열의 출입이 없고, 등온조건이라 온도의 변화 또한 없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의미하는 전화율의 감소는 오로지 계의 열에 영향 받습니다. 즉 엔탈피가 열을 방출하는지 흡수하는지에 따라 전화율이 달라집니다.
문제의 그래프와 같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율이 감소하는 것은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여 흡열할 열이 없기때문입니다. 즉 등온과정, 단열과정이라 계의 열은 한정되어있지만, 흡열반응은 반응과정에서 흡수할 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화율이 서서히 감소한다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문제가 애매하네]

[오류신고 반론]
그래프만 봐도 흡열반응입니다. 발열반응은 약간 곡선이고 정반대 경향을 나타냅니다
dHr >0 이니까 흡열반응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로미]

[오류신고 반론]
32번에 전화율 관련식에 관한 문제 있죠? 그거랑 관련해서 전환율을 식변환 해서 그래프를 해석해보세요.

X= (CA0-CA)/CA0 에서 CA0는 초기 A농도니까 일정하죠 그러면 CA(나중농도)가 증가를 해야 X가 감소를 하죠?
그러면 온도가 높아졌을때 나중농도, 즉 생성물이 증가를 한다 = 흡열반응이 맞죠 dH>0
[해설작성자 : 일주일의기적]

36. 다음 비가역 기초반응에 의하여 연간 2억 kg 에틸렌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플러그흐름 반응기의 부피(m3)는? (단, 공장은 24시간 가동하며, 압력은 8 atm, 온도는 1200K로 등온이며 압력강하는 무시하고, 전화율 90%로 반응한다.)

    

     1. 2.84
     2. 28.4
     3. 42.8
     4. 82.2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30kg:28kg = x:2*10^8kg/year
즉, x=2.14*10^8kg/year=0.226kmol/s

FAO=0.226/0.9=0.25kmol/s
CA0=PA0/RT=8atm/(0.082*1200)=0.0813kmol/m^3

CA0*V/FA0=(1/4.07)*[(1+1)ln(1/(1-0.9)-1*0.9]=0.91s=r(시상수)
즉, V=(0.91s*0.25kmol/s)/0.0813kmol/m^3=2.8m^3
[해설작성자 : 구씨]

37. 반응물 A의 경쟁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생성물 R의 순간 수율(øR)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반응한 A의 몰수 -dCA= 만들어진 R의 몰수 dCR+만들어진 S의 몰수 dCS
dCS+dCR=-dCA, dCR/-dCA=dCR/(dCS+dCR)
[해설작성자 : 비누]

38. 플러그흐름 반응기에서 비가역 2차반응에 의해 액체에 원료 A를 95%의 전화율로 반응시키고 있을 때, 동일한 반응기 1개를 추가로 직렬 연결하여 동일한 전화율을 얻기 위한 원료의 공급속도(FA0′)와 직렬 연결 전 공급속도(FA0)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FA0′ = 0.5FA0
     2. FA0′ = FA0
     3. FA0′ = ln2FA0
     4. FA0′ = 2FA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직렬 연결된 N개의 PFR은 모든 부피가 합해진 1개의 PFR과 같다
전화율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부피가 2배가 들어나야 공급이 2배가 늘어나야 같은 전화율을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비누]

39. A와 B의 병렬반응에서 목적생성물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단, 반응은 등온에서 일어나며, 각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E1 < E2 이다.)

    

     1. 높은 압력
     2. 높은 온도
     3. 관형반응기
     4. 반응물의 고농도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활성화 에너지가 큰 반응은 온도에 더 큰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
(경험식으로 10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가 2배 늘어나다는 반트호프 규칙을 생각하면 편하다.)
목적물의 선택도를 본다면 (k1/k2)*CA*CA^2입니다.

온도 상승시, k1/k2의 값은 감소합니다.(E1<E2)

(k1/k2)= e^-[(E1-E2)/RT]
(k1/k2)= e^[(E2-E1)/RT]
T가 증가하면 (k1/k2)감소하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비누]

40. 혼합흐름 반응기의 다중 정상상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반응은 1차 반응이며, R(T)와 G(T)는 각각 온도에 따른 제거된 열과 생성된 열을 의미한다.)
     1. R(T)의 그래프는 직선으로 나타낸다.
     2. 점화-소화곡선에서 도약이 일어나는 온도를 점화온도라 한다.
     3. 유입온도가 점화온도 이상일 경우 상부 정상상태에서 운전이 가능하다.
     4. 아주 높은 온도에서는 공식을 로 축소해서 생성된 열을 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4번은 아주낮은온도
아주높은온도는 G(T)=-dHRx
[해설작성자 : 조로미]

3과목 : 단위공정관리


41. 2개의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관 부속품이 아닌 것은?
     1. 유니온(union)
     2. 니플(nipple)
     3. 소켓(socket)
     4. 플러그(plug)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두개 관 연결시 : 유니온, 니플, 소켓, 플랜지, 커플링
유로를 차단 시 : 플러그, 캡, 밸브
유량 조절 시 : 밸브
지선 연결 시 : 티, Y, 십자
관선 방향 바꿀 때 : 티, Y, 십자. 엘보, 리듀서, 부싱
[해설작성자 : 합격내꾸>_<]

42. 절대습도가 0.02인 공기를 매분 50kg씩 건조기에 불어 넣어 젖은 목재를 건조시키려 한다. 건조기를 나오는 공기의 절대습도가 0.05일 때 목재에서 60kg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시간(min)은?
     1. 20.0
     2. 20.4
     3. 40.0
     4. 40.8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절대 습도가 0.02, 50kg/min 에 있는 수분량=> 0.02 = a/(50-a), a=0.98kg/min
절대 습도 변화= 출구-입구= 0.05-0.02=0.03
0.03=(수분량/건조공기)=수분량/(50-0.98)kg/min
수분량=1.47kg/min
60kg 수분 제거를 위한 건조시간, 60kg/(1.47kg/min)=40.8min
[해설작성자 : 비누]

43. 8% NaOH 용액을 18%로 농축하기 위해서 21℃ 원액을 내부압이 417 mmHg인 증발기로 4540kg/h 질량 유속으로 보낼 때, 증발기의 총괄열전달계수(kcal/m2·h·℃)는? (단, 증발기의 유효 전열 면적은 37.2m2, 8% NaOH 용액의 417 mmHg에서 비점은 88℃, 88℃에서의 물의 증발잠열은 547 kcal/kg, 가열증기온도는 110℃이며, 액체의 비열은 0.92 kcal/kg·℃로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비점상승은 무시한다.)
     1. 860
     2. 1120
     3. 1560
     4. 2027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q=C*m*dt=U*A*T=F*C*(dt)+r*ㅅ
NaOH질량=0.08*4540=363.2kg/h
농축액의 질량 유속 W=363.2/0.18=2017.78
r=4540-2017.78=2522.22

F*C*(dt)+r*ㅅ=4540*0.92*(88-21)+2522*547
=U*A*T = U*37.2*(110-88)
U=2027.8

F*C*(dt)+r*ㅅ=
원액을 21도에서 88도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질량 유속*액체비열*온도차)+
증발의 필요한 열량(증발량*증발잠열).
[해설작성자 : 비누]

44. 건조장치의 선정에서 고려할 사항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1. 습윤상태
     2. 화학포텐셜
     3. 엔탈피
     4. 반응속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건조 공정이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므로 수분함량(습윤 상태)가 건조 장치의 설계와 운영에 가장 중요한 요소.
2. 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지만, 건조 공정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중요도가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습윤 상태에 비해 중요도가 떨어짐.
4. 관련 없음.
[해설작성자 : 비누]

45. 분자량이 296.5인 어떤 유체 A의 20℃에서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Ostwald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A 유체의 점도(P)는?

    

     1. 0.13
     2. 0.17
     3. 0.25
     4. 2.17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Ostwald 점도계법에서는 두 유체의 점도비가 밀도x통과시간 비와 동일.
상온 증류수의 점도가 1cP임을 알고 있으므로,
0.8790*(2.5*60) : 0.9982*10 = x cP : 1cP
=> x = 13.2cP = 0.132P

46. HET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Height Equivalent to a Theoretical Plate를 말한다.
     2. HETP의 값이 1m보다 클 때 단의 효율이 좋다.
     3. (충전탑의 높이 : Z)/(이론 단위수 : N)이다.
     4. 탑의 한 이상단과 똑같은 작용을 하는 충전탑의 높이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HETP는 값이 작을 수록 효율이 좋습니다.
HETP가 작다는 것은 더 적은 높이로 동일한 분리 성능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
즉, 크기가 작을 수록 단의 효율이 높아진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비누]

47. 1atm에서 물이 끓을 때 온도 구배(△T)와 열 전달계수(h)와의 관계를 표시한 아래의 그래프에서 핵비등(Nucleate boiling)에 해당하는 구간은?

    

     1. A-B
     2. A-C
     3. B-C
     4. D-E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자연대류 핵비등 전이비등 막비등 순서
[해설작성자 : 조로미]

48. 확산에 의한 분리 조작이 아닌 것은?
     1. 증류
     2. 추출
     3. 건조
     4. 여과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등몰확산 증류
일방확산 증발 추출 흡수 건조 조습
[해설작성자 : 조로미]

49. 레이놀즈수가 300인 유체가 흐르고 있는 내경이 2.5cm 관에 마노메타를 설치하고자 할 때, 관 입구로부터 마노메타까지의 최소 적정거리(m)는?
     1. 0.158
     2. 0.375
     3. 1.58
     4. 3.75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완전히 발달된 흐름을 측정하기 위해 전이길이를 구해야 함
층류의 경우 0.05Re*D
난류의 경우 40~50Re
[해설작성자 : 화공필기 3트]

50. 증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q는 공급원료 1몰을 원료 공급단에 넣었을 때 그 중 탈거부로 내려가는 액체의 몰수이다.)
     1. 최소환류비일 경우 이론단수는 무한대로 된다.
     2. 포종(bubble-cap)을 사용하면 기액접촉의 효과가 좋다.
     3. McCabe-Thiele법에서 q값은 증기 원료일 때 0보다 크다.
     4. Ponchon-Savarit법은 엔탈피-농도 도표와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q 값에 대하여 > 1 : 차가운 원액
                                     = 1 : 비등에 있는 원액 (포화액체)
                             0< q < 1 : 부분적으로 기화된 원액
                                    = 0 : 노점에 있는 원액 (포화증기)
                                    < 0 : 과열증기 원액
        정리하면 q의 값이 +로 큰값이면 차가운 원액
                                                         -로 큰값이면 뜨거운 증기 상태 원액
[해설작성자 : 조로미]

51. Methyl acetate가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고압촉매 반응에 의하여 합성될 때 이 반응의 표준 반응열(kcal/mol)은? (단, 표준연소열은 CO(g) - 67.6 kcal/mol, CH3OCH3(g) -348.8 kcal/mol, CH3COOCH3(g) -397.5 kcal/mol 이다.)

    

     1. -18.9
     2. +28.9
     3. -614
     4. +81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표준 연소열=1몰의 물질이 완전 연소될 때 방출되는 열.
=-[생성물의 연소열]+[반응물의 연소열]
-[(-397.5 kcal)]+[(- 67.6 kcal)+(-348.8 kcal)]
=-18.9
[해설작성자 : 비누]

52. 기체 A 30vol%와 기체 B 70vol% 기체 혼합물에서 기체 B의 일부가 흡수탑에서 산에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 흡수탑을 나가는 기체 혼합물 조성에서 기체 A가 80vol%이고 흡수탑을 들어가는 혼합기체가 100mol/h 라 할 때, 기체 B의 흡수량(mol/h)은?
     1. 52.5
     2. 62.5
     3. 72.5
     4. 82.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00mol/h(ya=0.3, yb=0.7)
a양 30mol, b양 70mol

30/(100-x)=0.8, x=흡수되는 b의 양
x=62.5
[해설작성자 : 비누]

53. 각기 반대 방향의 시속 90km로 운전중인 질량이 10ton인 트럭과 2.5ton인 승용차가 정면으로 충돌하여 두 차가 모두 정지하였을 때, 충돌로 인한 운동에너지의 변화량(J)은?
     1. 0
     2. 3.9×106
     3. 4.3×106
     4. 5.1×106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90km/h=25m/s
E=1/2*10^3(10+2.5)*25^2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공부해야징]

운동 에너지 1/2*m*v^2
1/2*(10+2.5)ton*(90km/h)^2
(J=kg*m/s^2)
1ton=10^3kg
1h=3600s 1km=10^3m
1/2*[(10+2.5)*10^3]kg*[90km/h*1000(m/km)/3600(s/1h)]^2=3.9*10^6
[해설작성자 : 비누]

54. 순환(recycle)과 우회(bypas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순환은 공정을 거쳐 나온 흐름의 일부를 원료로 함께 공정에 공급한다.
     2. 우회는 원료의 일부를 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공정에서 나오는 흐름과 합류시킨다.
     3. 순환과 우회 조작은 연속적인 공정에서 행한다.
     4. 우회와 순환 조작에 의한 조성의 변화는 같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순환이 공정을 거친 후 재공급되므로 조성의 변화가 우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조성의 변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우회 또한 마찬가지로 기존의 흐름에 조성의 변화를 준다.
[해설작성자 : 비누]

55. 일산화탄소 분자의 온도에 대한 열용량(CP)이 아래와 같을 때, 500℃와 1000℃ 사이의 평균열용량(cal/mol·℃)은?

    

     1. 0.7518
     2. 7.518
     3. 37.59
     4. 375.9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평균 열용량=[1/(T2-T1)] * 인테그랄(T1~T2)Cpdt
[해설작성자 : 비누]

56. 60℃에서 NaHCO3 포화수용액 10000kg을 20℃로 냉각할 때 석출되는 NaHCO3의 양(kg)은? (단, NaHCO3의 용해도는 60℃에서 16.4g NaHCO3/100gH2O 이고, 20℃에서 9.6g NaHCO3/100gH2O 이다.)
     1. 682
     2. 584
     3. 485
     4. 276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0:16.4=10000-x:x
x=1408.9

100:9.6=10000-y:y
y=824.6

x-y=584.3
[해설작성자 : 비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엣분 계산과정에서 y값이다르게 나오길래 조사해봤는데 위에 x구하는건 그대로한뒤, 물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100:9.6=10000-x:y로 해주시면 정확하게 나옵니다

57. 그림과 같은 공정에서 물질수지도를 작성하려면 측정해야 할 최소한의 변수(자유도)는? (단, A, B, C는 성분을 나타내고 F 흐름은 3성분계, W 흐름은 2성분계, P 흐름은 3성분계이다.)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자유도=총 변수 수- 독립적인 물질 수지식의 수
총변수수 F,P,W=3,2,3으로 총 8개
독립적인 물질수지식=A,B,C 총 3개
F=8-3=5
[해설작성자 : 비누]

58. 질소와 산소의 반응과 반응열이 아래와 같을 때, NO 1mol 의 분해열(kcal)은?

    

     1. -21.5
     2. -43
     3. +43
     4. +21.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정반응, 평행 상태 반응또한 같은 반응열 가짐.
즉, 2NO의 생성열이 -43kcal이므로, NO의 생성열은 -21.5kcal이다.
따라서 분해열은 21.5kcal이다.
[해설작성자 : 비누]

59.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이론상 필요한 공기량을 A0, 실제 공급한 공기량을 A라고 할 때, 과잉공기 %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과잉으로 공급된 공기/이론상 필요한 공기
=(실제 공급된 공기- 이론상 필요한 공기) / 이론상 필요한 공기 *100
[해설작성자 : 비누]

60. 지하 220m 깊이에서부터 지하수를 양수하여 20m 높이에 가설된 물탱크에 15kg/s의 양으로 물을 올릴 때, 위치 에니지의 증가량(J/s)은?
     1. 35280
     2. 3600
     3. 3250
     4. 20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h=(220+20)m,m=15kg/s
위치 에너지 공식 mgh=15*9.8*240=35280 J/S ((kg/s)*(m/s^2)*m)
J=kg*m^2/s
J/s=kg*m^2/s^2
[해설작성자 : 비누]

61. 공정 에 대한 PI제어기를 Ziegler-Nichols법으로 튜닝한 것은?
     1. Kc = 0.5, τI = 2.8
     2. Kc = 1.8, τI = 5.2
     3. Kc = 2.5, τI = 6.8
     4. Kc = 2.5, τI = 2.8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ultimate gain(Ku), ultimate period(Pu) 구하기
P제어 만을 생각할 때, 제어 이득 Kc를 올리다 보면 폐루프 응답이 발산도 수렴도 하지 않고 진동하는 지점이 존재하고, 이때의 제어기 이득과 입력 주기를 Ku, Pu라 합니다.
이는 특성방정식을 통해
1+G_OL(jw)=0
를 만족하는 w, Kc를 구하는 것과 동치입니다. (pole이 순허수축 상에 존재)
문제에서 주어진 공정전달함수로부터 특성방정식을 구한뒤 s=jw를 대입하여 정리,
(w^4-6w^2+Kc+1)+j(-4w^3+4w)=0
=> w_u = 0 , ±1
        P_u = * , ±2pi
        K_u = -1,     4
ultimage gain Ku는 4, ultimate period Pu는 2pi
2) 지글로-니콜스 법의 표에 따라 튜닝
P제어 : Kc=0.5Ku
PI제어 : Kc=0.45Ku / τ_I=Pu/1.2
PID제어 : Kc=0.6Ku / τ_I=0.5Pu / τ_D=0.125Pu
문제는 PI제어를 묻고 있으므로,
Kc = 0.45*Ku = 0.45*4=1.6
τ_I = Pu/1.2 = 2pi/1.2 = 5.2
이거 맞춘다고 튜닝표를 외우는 게 맞나?
[해설작성자 : dd]

62. 로 표현되는 공정 A와 로 표현되는 공정 B에 같은 크기의 계단입력이 가해졌을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정 A가 더 빠르게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2. 공정 B가 더 진동이 심한 응답을 보인다.
     3. 공정 A가 더 진동이 심한 응답을 보인다.
     4. 공정 B가 더 큰 최종 응답 변화 값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공정 A의 시간 상수 r=10,공정이득 Kc=2
공정 b의 시간 상수 r=5, 공정이득 Kc=4
1. 시간상수 r이 더 크면 공정의 정상 상태는 늦게 도달한다.
공정 A의 시간 상수가 더 크므로, 더 느리게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2.1차 시스템에서는 진동이 보이지 않아, 알 수 없는 답이다.
3.1차 시스템에서는 진동이 보이지 않아, 알 수 없는 답이다.
4.최종값 정리에 의하여 공정 lim(s->0)s*F(s)을 통해
a공정의 정상상태 값은 2, b공정의 정상 상태 값은 4이다.
즉, 공정 B가 더 큰 최종 응답 변화 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비누]

63. 연속 입출력 흐름과 내부 가열기가 있는 저장조의 온도제어 방법 중 공정제어 개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유입되는 흐름의 유량을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2.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3. 유출되는 흐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조의 가열량을 조절한다.
     4. 저장조의 크기를 증가시켜 유입되는 흐름의 온도 영향을 줄인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공정제어=입력 변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력 변수를 조절하여 목표값을 유지하는 시스템.

4.공정제어라고 볼 수 없다.
엄밀히 따지면 공정설계에 관련된 개념이다.
[해설작성자 : 비누]

64. 다음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Bode 시스템 안정도 판단에 사용되는 개방회로 전달함수는?

    

     1. C/R
     2. C/U
     3. G1G2U
     4. GCG1G2H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GoL=Gc*Gv*Gp*Gm
[해설작성자 : 광자]

65. Smith predictor는 어떠한 공정문제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가?
     1. 역응답
     2. 공정의 비선형
     3. 지연시간
     4. 공정의 상호간섭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smith predictor
예측-보상-제어로 동작하는 제어기법.
지연 시간 보상, 모델 기반 예측의 개념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비누]

66. 동일한 2개의 1차계가 상호작용 없이(non interacting) 직렬연결 되어 있는 계는 다음 중 어느 경우의 2차계와 같아지는가? (단, ξ는 감쇠계수(damping coefficient) 이다.)
     1. ξ > 1
     2. ξ = 1
     3. ξ < 1
     4. ξ = ∞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두 개의 직렬로 연결된 1차계-> G(s)=[1/(rs+1)]^2=1/[(rs)^2+2rs+1]
감쇄 계수(e)는 1이된다.

2차계 기본식 1/[(rs)^2+2res+1]
[해설작성자 : 비누]

67. 특성방정식의 근 중 하나가 복소평면의 우측반평면에 존재하면 이 계의 안정성은?
     1. 안정하다.
     2. 불안정하다.
     3. 초기는 불안정하다 점진적으로 안정해진다.
     4. 주어진 조건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특성 방정식의 근은 시스템의 극점을 나타냅니다.

좌측 반평면: 모든 극점이 좌측 반평면에 있으면 시스템은 안정합니다.
우측 반평면: 모든 극점이 우측 반평면에 있으면 시스템은 불안정합니다.
허수측:모든 극점이 허수축 위에 있으면 시스템은 임계 안정합니다.

또한, 하나의 근이 좌측 반평면에. 다른 근이 우측 반평면에 있을 경우에도 불안정합니다.
즉, 한 근이라도 우측 반평면에 존재한다면 시스템은 불안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우측 반평면에 있는 근은 시스템의 응답을 발산하게 만듭니다.)
[해설작성자 : 비누]

68. 블록선도에서 servo problem인 경우 proporitional control(Gc = Kc)의 offset은? (단, TR(t) = U(t) 인 단위계단신호이다.)

    

     1. 0
     2.
     3.
     4.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KcA/(rs+1)]/[1+KcA/(rs+1)]=KcA/(rs+1+KcA)
offset=R(무한)-C(무한)=1-KcA/(1+KcA)=1/(1+KcA)
[해설작성자 : 구씨]

69. 운전자의 눈을 가린 후 도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주고 운전을 시킨다면 이는 어느 공정제어 기법이라고 볼 수 있는가?
     1. 앞먹임제어
     2. 비례제어
     3. 되먹임제어
     4. 분산제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도로 주행을 공정 제어형태로 분석한다면,
운전자에게 도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주고 운전을 시킨다는 것은, 외부 교란이 사전에 측정된다는 의미이다.
이에 눈을 가린 후에 지정된 반응으로 운전한다는 것은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앞먹임 제어라고 할 수 있다.

2. 비례 제어가 되기 위해서- 축약된 지도를 보고 운전해야하는 상황이 적합하다.
3. 되먹임제어 운전자가 앞의 상황을 보면서 판단하고 운전하는 상황이 적합하다.
4. 분산제어- 운전자와 자동차에 내장된 자동 사고 방지 시스템이나 운전시스템이 동시에 운전을 하는 상황이라고 하면 억지로 끼워맞출 수는 있겠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비누]

70. 동적계(Dynamic System)를 전달함수로 표현하는 경우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선형계의 동특성을 전달함수로 표현할 수 없다.
     2. 비선형계를 선형화하고 전달함수로 표현하면 비선형 동특성을 근사할 수 있다.
     3. 비선형계를 선형화하고 전달함수로 표현하면 비선형 동특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4. 비선형계의 동특성을 선형화하지 않아도 전달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선형 시스템은 전달함수로 직접 표현이 불가능하기에 전달함수를 통하여 비선형 동특성을 근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비누]

71. 어떤 계의 단위계단 응답이 아래와 같을 때, 이 계의 단위충격응답(impulse resonse)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단위 충격응답의 경우는 단위계단 응답의 미분값과 같다.
위 식을 미분할 경우에는, (t/r^2)*[e^(-t/r)]
[해설작성자 : 비누]

72. 특성방정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어진 계의 특성방정식의 근이 모두 복소평면의 왼쪽 반평면에 놓이면 계는 안정하다.
     2. Routh test에서 주어진 계의 특성방정식이 Routh array의 처음 열의 모든 요소가 0 이 아닌 양의 값이면 주어진 계는 안정하다.
     3. 주어진 계의 특성방정식이 S4 + 3S3 - 4S2 + 7 = 0 일 때 이 계는 안정하다.
     4. 특성방정식이 S3 + 2S2 + 2S + 40 = 0 인 계에는 양의 실수부를 가지는 2개의 근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 특성 방정식의 모든 계수가 양수일 경우에만 계가 안정하다.
[해설작성자 : 비누]

73. 초기상태 공정입출력이 0이고 정상상태일 때, 어떤 선형 공정에 계단 입력 u(t) = 1을 입력했더니, 출력 y(t)는 각각 y(1) = 0.1, y(2) = 0.2, y(3) = 0.4 이었다. 입력 u(t) = 0.5 를 입력할 때 각각의 출력은?
     1. y(1) = 0.1, y(2) = 0.2, y(3) = 0.4
     2. y(1) = 0.05, y(2) = 0.1, y(3) = 0.2
     3. y(1) = 0.1, y(2) = 0.3, y(3) = 0.7
     4. y(1) = 0.2, y(2) = 0.4, y(3) = 0.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선형 공정 계단의 경우, 계단 입력이 1/2로 감소하면 출력이 1/2로 감소하는 선형성을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비누]

74. 일 때, 최종치 정리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최종값 정리->정상상태(t->무한대)->(s->0) :lim(s->0)sF(s)
초기값 정리->초기값(t->0)->(s->무한대. :lim(s->무한대)sF(s)
[해설작성자 : 비누]

75. 다음 중 ATO(Air-To-Open) 제어밸브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는?
     1. 저장 탱크 내 위험물질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열교환기의 냉각수 유량 제어용 제어밸브
     2. 저장 탱크 내 물질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열교환기의 온수 유량 제어용 제어밸브
     3. 반응기에 발열을 일으키는 반응 원료의 유량 제어용 제어밸브
     4. 부반응 방지를 위하여 고온 공정 유체를 신속히 냉각시켜야 하는 열교환기의 냉각수 유량 제어용 제어밸브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ATO: 공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밸브가 열리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발열 반응시에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해설작성자 : 비누]

76. 복사에 의한 열전달 식은 q = σAT4 으로 표현된다. 정상상태에서 T = Ts 일 때 이 식을 선형화하면? (단, σ와 A는 상수이다.)
     1. σA(T – Ts)
     2. σATs4(T – Ts)
     3. 3σATs3(T – Ts)2
     4. 4σATs3(T – 0.75Ts)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Talor 방정식을 이용하여 푼다
q(t)+q'(t)(t-ts)를 사용할 경우,
q = σAT^4+ 4 *σAT^3(t-ts)
=4 qσAT^3(t-0.75ts)
[해설작성자 : 비누]

77. 비례제어기를 사용하는 어떤 제어계의 폐루프 전달함수는 이다. 이 계의 설정치 X에 단위 계단 변화를 주었을 때 offset 은?
     1. 0.4
     2. 0.5
     3. 0.6
     4. 0.8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Y(s) =(1/s)*{0.6/(0.2s+1)}
lim(t->inf) y(t) =lim (s->0) s Y(s)
=0.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나뉘어 운영되고 있던 두 공정을 한 구역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때의 경제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Tmin = 20℃로 하여 최대 열교환을 하고, 추가로 필요한 열량은 수증기나 냉각수로 공급한다고 할 때, 필요한 유틸리티와 그 에너지량은? (단, 필요에 따라 Stream은 spilt 할 수 있으며, Ts와 Tt는 해당 STream의 유입온도와 유출온도를 의미한다.)

    

     1. 냉각수, 10kW
     2. 냉각수, 30kW
     3. 수증기, 10kW
     4. 수증기, 30kW

     정답 : []
     정답률 : 31%

79. 공정유체 10m3를 담고 있는 완전혼합이 일어나는 탱크에 성분 A를 포함한 공정유체가 1m3/h로 유입되며 또한 동일한 유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공정유체와 함께 유입되는 성분 A의 농도가 1시간을 주기로 평균치를 중심으로 진폭 0.3mol/L로 진동하며 변한다고 할 때 배출되는 A의 농도변화 진폭(mol/L)은?
     1. 0.5
     2. 0.05
     3. 0.005
     4. 0.0005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a농도 변화의 진폭은 KA/[(rw)^2+1](1/2)]
주기T=1=2pi/w. w=2pi
r=V/v0=10m^3/1(m^3 h^-1)=10
A=0.3mol/L

(1*0.3)/[(2pi)^2]*(10^2)=0.0047740 근사값 0.0048.
[해설작성자 : 비누]

80. 제어밸브(Control valve)를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일반) 밸브
2. 체크밸브
3. 글로브밸브
4. 제어밸브
[해설작성자 : 합격ㄱㅈㅇ]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화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07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2회(1556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6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1회(1556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5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2회(1556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4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1회(1556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3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2회(1556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2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01회(1556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1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6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700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25일(1556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699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1일(1555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1일(1555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7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6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695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4 설비보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693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1555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 화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1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90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1555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89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1554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688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30일(1554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4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