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번도 자주 나오는 선택지입니다(필수암기) ●고조선 키워드 1.단군왕검이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했다(개천절:마니산,참성단) 2.8조법금,단군신화, 준왕.부왕과 같은 강력한 왕이 등장하였다 3.왕 아래,상,대부,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4.전국 7웅 중의 하나인 연과 대적할 만큼 강성하였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3. 1책12법→ 부여. 고구려 [해설작성자 : 민0]
3.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당이 안동도호부를 설치하였다.
2.
나당 연합군이 사비성을 함락하였다.
3.
신라가 매소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4.
고구려가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였다.
5.
백제와 왜의 연합군이 백강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당 연합군이 사비성을 함락시켰다. [해설작성자 : 도비는 자유]
대야성 전투 : 백제 의자왕 -> 신라 공격 (642) 신라 장군 김춘추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but 고구려 거절 김춘추 당으로 가 나당연합 결성(648) 나당연합군 -> 백제 공격 (황산벌 전투, 계백) 사비성 함락 -> 백제멸망 (660)-> 백제부흥운동 나당연합군 -> 고구려 공격 평양성 함락 -> 고구려 멸망(668)-> 고구려 부흥운동 (675, 신라지원) 나당전쟁 매소성전투 (675), 기벌포 전투 (676) -> 신라 문무왕 삼국 통일 (676) [해설작성자 : 하엘]
가:백제의 의자왕이 신라 대야성 함락->대야성에서 김춘추는 딸과 사위를 잃고,복수를 도모 나:백제 부흥운동->복신과 도침이 주류성에서 부여풍을 왕으로 삼고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전개과정:백제 의자왕 신라 대야성 함락->김춘추 나.당연합 결성->나.당연합군 백제 공격(황산벌 전투:사비성 함락)->백제 멸망->백제 부흥운동 [해설작성자 : 유튜브 :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나당연합군이 백제 멸망(계백, 황산) -> 당이 웅진도독부 설치(당의 백제 식민지 목적) -> 백제 부흥운동(흑치상지, 복신, 도침, 금강전투(왜 지원)), 당이 계림도독부 설치(신라 문무왕) -> 고구려 멸망 -> 당이 안동도호부 설치(당의 신라 식민지 목적) -> 고구려 부흥운동(검모잠, 안승, 도연무) -> 신라가 안승 보덕국 왕 인정(나당전쟁 준비) -> 나당전쟁(매소성, 기벌포) -> 삼국통일 [해설작성자 : 후룰랄라가는거임]
●빈출 탑이나 불상은 반드시 암기하셔야 합니다. ●2.4번은 빈출이고 3.5번은 가끔 나옵니다. 항상 동일한 사진이 나오니까. 꼭 기억하세요. ●3번은 경주 석굴암 본존불입니다(통일신라) [해설작성자 : 유튜브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서라벌=신라 경주 석굴암 석굴 본존불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경주 석굴암 석굴(慶州石窟庵石窟))]
7.
(가)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1.
국가적인 조직으로 화랑도를 개편하였다.
2.
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3.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4.
인재 등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5.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구층 목탑을 건립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삼국통일 = 문무왕 = 외사정 [해설작성자 : 한능검 재수생]
1.화랑도 개편 - 신라 진흥왕(534~576)때에 화랑도 개편 2.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감찰관) 파견 -신라 문무왕때 반대로 신문왕때 주 아래 군현 지방관 파견 정답 3.이차돈 순교 계기로 불교공인 - 신라 법흥왕(527) 4.인재 등용 독서상품과 - 신라 원성왕(785~798) 국학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반대로 신문왕(681~692) 국학 설치 5.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구층 목탑 건립 - 신라 선덕여왕(643) 황룡사 구층목탑 건립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1.
은병이 화폐로 제작되었다.
2.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3.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4.
덕대가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였다.
5.
울산을 통해 아라비아 상인들이 왕래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청해진,신라방=장보고 이당시 아라비아 상인 울산으로 유리수입 원성왕릉 무인상 [해설작성자 : 한능검 1트 1급 가즈아~~!!]
1. 고려 2. 금관가야 3. 고구려 4. 조선 후기 5. 신라 [해설작성자 : 하엘]
●장보고 -> 청해진 설치 *장보고는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무역을 장악하였다 *장보고는 당나라에 신라 사찰인 법화원을 설립하였다 ■3.4번은 빈출 선택지이고 1.2번도 가끔씩 출제 됩니다 1.고려시대 은화->숙종 때 주조(주전도감):활구라고도 하였다->이것도 자주 나오는 내용입니다 2.삼한(변한) 3.고구려:약탈 창고(부경) 4.조선 후기 5.통일신라:국제 무역항인 울산항을 통해 아라비아 상인이 왕래하기도 하였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9.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9서당과 10정을 설치하였다.
2.
광평성 등의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3.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설립하였다.
4.
욕살, 처려근지 등의 지방관을 두었다.
5.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통일신라 신문왕 2. 후고구려 궁예 3. 발해 4. 고구려 5. 백제 무령왕 [해설작성자 : 한능검 재수생]
10.
(가)~(라)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나) - (가) - (라) - (다)
4.
(나) - (다) - (가) - (라)
5.
(다) - (라) - (나) - (가)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나 - 고려 태조 940 다 - 고려 광종 958 가 - 고려 경종 976 라 - 고려 성종 983 [해설작성자 : 3수]
나 - 역분전:고려 태조(940)의 토지제도,공로에 따라 토지지급,나중에 공훈전으로 바뀜 다 - 쌍기의 과거제 건의:고려의 광종(958)때 지방호족을견제,왕권강화를 위해 인재를뽑기위해 과거제를 건의 가 - 전시과:고려의 경종(976)때 전지와 시지를 모두주는 전시과 이는 관리가 죽어도 유족들에게 수조권을 주었음,관리들의 힘이 점차 강해지는 이유가됨 라 - 고려의 12목 제도:고려의 성종(983)때 지방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서 전국에 교통이 편리한곳에 12목을 설치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11.
다음 대화에 등장하는 왕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천수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관학을 진흥하고자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3.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
4.
호족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5.
국자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고 유학 교육을 장려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 고려 태조 2 - 고려 예종 3 - 고려 숙종 4 - 고려 광종 5 - 고려 충선왕 별무반을 창설한 왕은 숙종입니다 [해설작성자 : 3수]
1. (정답)1135년(인종13) 묘청의 난 2. 1009년(목종12) 강조의 정변 - 목종 폐위, 살해 후 현종 옹립 3. 1176년(명종6) 망이·망소이의 난 - 공주 명학소를 중심으로 일어나 '공주 명학소의 난'이라고도 함. 4. 994년(성종13) 서희 외교 (VS 거란 소손녕) - 강동6주 5. 1196년(명종26) 최충헌 봉사10조 [해설작성자 : 후롤롤로]
(가) - 이자겸+척준경이 나오고 죽였다는 내용으로 보아 이자겸의 난(1126)이다. (나) - 이의방_이고 가 정중부에게 갔다는 내용으로 보아 무신정권 초기인 1170~이다. 1.김부식의 묘청 제거 : 묘청의반란을 일으켜 대위국을 건설하고 1년뒤에 김부식이 묘청의 반란을 제압했다.(1135) - 정답 2.강조가 김치양 제거 : 목종을 폐위 시키고,현종으로 세워졌다.(1009) 3.망이,망소이의 난 : 고려 명종(1176) 무신정권 시기 4.서희의 외교담판,강동6주 획득 : 거란의 1차 침입,(993) 5.최충헌의 봉사 10조 : 무신정권 시기, 고려 명종(1196)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13.
밑줄 그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점]
1.
경기에 한하여 과전법이 실시되었다.
2.
정지가 관음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3.
국정 총괄 기구로 교정도감이 설치되었다.
4.
신돈을 중심으로 전민변정 사업이 추진되었다.
5.
만권당이 설립되어 원과 고려의 학자가 교유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왕: 공민왕 * 1356년(공민왕5) - 정동행성(고려후기 원에 의해 일본 원정을 위한 전방사령부) 폐지
1. 경기도 한정 과전법 - 고려 공양왕, 전현직관료에게 수조권 지급 2. 관음포전투 - 고려 우왕(1383) 3. 교정도감 설치 - 고려 선종 4. (정답) 신돈 - 공민왕 [해설작성자 : 후롤롤로]
3. 무신정권 최충헌 교정도감 설치(교정별감으로서 최고의 권력 장악) 5. 원간섭기 충숙왕때 이제현 등이 원과 교류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충선왕이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원으로 넘어가 지은 서재가 만권당 이므로, 만권당은 충선왕이 지은것 [해설작성자 : cyslog]
14.
(가)에 대한 고려의 대응으로 옳은 것은? [2점]
1.
처인성에서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2.
박위를 파견하여 근거지를 토벌하였다.
3.
개경을 방어하기 위해 나성을 축조하였다.
4.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을 설치하였다.
5.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장기 항전을 준비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현종=초조대장경=거란침입 [해설작성자 : 힘내라]
보기 - 현종 2년,대장경판 완성: 거란의 2차 침입,초조대장경 완성(팔만대장경의 기초) 1.처인성,살리타 사살: 몽골의 2차 침입,고려 고종(1232) 2.박위 파견,근거지 토벌 : 왜나라(1389) 3.개경 방어,나성축조 : 고려 현종(1029) - 정답 4.삼수병,훈련도감 : 임진왜란 이후(1593) 5.강화도로 도읍 옮김 : 몽골(고려 고종)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15.
(가)에 들어갈 사진 자료로 적절한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답: 고려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선덕여왕 4. (정답) 고려시대 중기 5. 조선 [해설작성자 : 후롤롤로]
16.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역사서 편찬과 보관을 주관하였다.
2.
주로 국방과 군사 문제를 논의하였다.
3.
화폐,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담당하였다.
4.
좌사정, 우사정의 이원적인 체제로 운영되었다.
5.
최우에 의해 설치되어 인사 행정을 처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정답: 도병마사 고려시대 군사기밀, 국방의 중요한 일 합의하던 중앙 회의기구. 현종 때 설치하여 충렬왕 5년(1279)에 도평의사사로 고쳐짐.
1. 조선 춘추관 2. (정답) 도병마사 3. 삼사 4. 발해 6부 5. 정방(최우 자기 집에 설치함) [해설작성자 : 후롤롤로]
인각사,승려 일연,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설화 역사서 - 삼국유사 삼국유사 특징 -고조선,삼국,가락,후삼국 이야기 적힘,유문과 인사를 바탕으로 천술 1.편년체 형식 - 조선왕조실록 2.고조선의 건국이야기 -삼국유사 3.남북극 용어 처음 사용 -발해고 4.왕명에 의해 고승들의 전기가 기록 - 해동고승전 5.고구려 시조의 일대기가 서사시로 표현 - 동명왕편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19.
밑줄 그은 '임금'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명의 신종을 제사하는 대보단이 설치되었다.
2.
백과사전류 의서인 의방유취가 편찬되었다.
3.
왕권 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가 실시되었다.
4.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이 반포되었다.
5.
역대 문물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가 간행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신문고 설치, 사간원 독립 > 조선 태종 1. 숙종 2. 세종 시작. 사실상 세조가 완성 및 간행 3. (정답)태종 4. 성종 5. 영조 [해설작성자 : 후롤롤로]
신문고 설치,문화고 없앰,의정부 설치,문하부 낭사 사간원으로 독립 -태종(이방원) 태종(이방원) - 정몽주 죽임,삼군부 개편,조선의 3대왕,왕권강화 6조 직계제,1차 왕자의 난 1.명의 신종 제사하는 대보단이 설치: 조선 숙종 2.백과사전류의 의방유취 편찬:세종 3.왕권 강화 위해 6조 직계제 실시 :태종(이방원),세조(수양대군) - 정답 4.경국대전 반포 : 성조 5.여대 문물제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 간행 : 영조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20.
밑줄 그은 '이 사건'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최영에 의해 이인임 일파가 축출되었다.
2.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3.
정도전 등이 요동 정벌 계획을 추진하였다.
4.
성삼문 등이 상왕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되었다.
5.
이종무가 왜구의 근거지인 쓰시마섬을 정벌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보기 - 수양대군,한명회와 같이 주도한 사건: 계유정난 1.최영에 의해 이인임 일파 축출: 무진피화(고려 우왕) 2.최무선의 건의,화통도감: 고려말(우왕) 3.정도전 요동정벌계획 추진: 조선건국 이후 4.성삼문등이 상왕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계유정난 이후 성상문이 단종의 복위를 꾀하였음 - 정답 5.이종무의 쓰시마섬(대마도)정벌 :조선 세종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문제 해설> 보기 - 발해고 저자: 유득공 1.규장각의 검서관 활동 :유득공 -정답 2.양명학 연구 강화학파 형성 :정제두(양명학이란 사람은 양지를 고나서 이 와 기 가 합일해야 성인이 될수있다는 유교 사상) 3.의산문답에서 중국중심의 세계관 비판: 홍대용(중국 명나라로 유학을 갔다와서 의산문답을 작성) 4.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처음으로 밝혀냄 - 김정희(조선시대 실학자) 5.사상의학(태양인,태음인,소양인,소음인) 확립:이제마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문제 해설> 가. 통일신라 후기(진성여왕) 나. 고려 무신정권 시기 다. 1862년 임술농민봉기 라. 1894 동학농민운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ㄷ.윤원형 일파가 정국을 주도한 시기에 발생한 사건= 을사사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ㄱ.삼정이정청 설치되는 계기=임술농민봉기(진주민란) [해설작성자 : 아이즈원 좋아요]
30.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프랑스,선교사 처형,군대 일의킴 : 병인양요(1866) 병인박해로 인해 병인양요 생김 병인박해 - 제너럴서면호 - 병인양요 - 오페르트 도굴 사건 -신미양요 -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병인박해: 프랑스 선교사들 박해 제너럴서면호 : 조선 대 미국 (평양에서) 병인양요 : 병인박해로 인해 로즈제독 항강탐색후 강화도 공격 정족산선에서 양헌수부대가 막음 외규장각 약탈 오페르트도굴 사건 :독일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 파해침 신미양요 : 제너럴서면호 사건을 빌미로잡아 미국과 조선의 싸움 어재연 장군이 강화도에서 싸움 운요호 사건(1875) :일본 대 조선 조선해앙탐색 강화도 조약(1876):운요호사건을 빌미로 12개조약 체결(치외법권 인정,해량측정 가능,부산울산인천항 개방,무관세) 정답 1번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31.
다음 검색창에 들어갈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다.
2.
통감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3.
천주교 포교 허용의 근거가 되었다.
4.
일본 경비병의 공사관 주둔을 명시하였다.
5.
부산 외 2곳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2. 1905 을사조약 3.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 4. 1882년 임오군란 후 제물포조약 5. 정답(부산, 원산, 인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상황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신식 군대인 별기군이 폐지되었다.
2.
김기수를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하였다.
3.
이항로와 기정진이 척화주전론을 주장하였다.
4.
왕비가 궁궐로 빠져 나와 장호원으로 피신하였다.
5.
개화당 정부가 수립되고 개혁 정강이 발표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우정총국 - > 갑신정변 (14개조 개혁 정강 ex. 신분제 폐지, 호조 일원화 등) [해설작성자 : ㅎㅇ]
1. 임오군란 후 2. 강화도조약 후 1차 수신사 3. 위정척사운동 4. 임오군란 5. 갑신정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밑줄 그은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2.
기기창을 설립하였다.
3.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4.
태양력을 공식 채택하였다.
5.
한성 사범 학교 관제를 반포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차 갑오개혁 내용 키워드 : 김홍집, 박영효, 재판소 독립 서고문, 홍범14조
<문제 해설> 본 자료는 러일전쟁이후 일본의 승리로 1905.9 포츠머스 강화조약을 맺은 것 1. 제1차 한일협약 1904.8 이후 메카타 재정고문은1905.7월 부임 2. 아관파천 1896 3. 대한매일신보 창간 1904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폭로하는 기사를 게재함 4. 헌의6조는 독립협회가 주간한 관민공동회에서 1898년 결의함 5. 을사늑약 이후 이에 반발한 의병들은 1905년 을사의병을 일으키며 의병장인 민종식은 충청도의 홍주성을 점령함 [해설작성자 : 용감한태양]
39.
(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힘썼다.
2.
중광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3.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4.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생활 운동을 추진하였다.
5.
일제의 통제에 맞서 사찰령 폐지 운동을 주도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천도교 2 중광단 - 대종교 3 선교사 아펜젤러 4 원불교 5 불교 [해설작성자 : 3수]
방정환-천도교 천도교 만세보 [해설작성자 : 미미밈]
40.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일본의 침략 과정을 담은 한국통사를 저술하였다.
2.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여 여유당전서를 간행하였다.
3.
백산 상회를 설립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다.
4.
친일 인사 스티븐스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살하였다.
5.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로 취임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가= 안창호 [해설작성자 : 삐약이]
1. 박은식 2.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이다. 4.스티븐스저격사건 전명운 장인환 5.안창호 [해설작성자 : 3수]
3. 1914년 백산 안희재가 부산에 세운 민족기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정인보 : 다산 정약용 등의 여유당전서를 간행하고, 조선학 운동 주도 [해설작성자 : 달프맘]
3.경성 제국 대학:1920년대 문화통치 시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성제국대학 20년대입니다.]
1. 회사령 1910년대 2. 미쓰야 협정 1925년 3. 경성제국대학 1920년대 4. 토지조사사업 1910년대 5.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공포 5.1. 위키백과 참조 5.1.1.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朝鮮思想犯保護觀察令)은 일제 강점기 후기인 1936년에 공포된 법령 5.1.2. 1941년에 공포된 조선사상범예비구금령과 짝을 이루어 조선에서 일본 제국에 반대하는 일체의 사상을 탄압하고 사상범을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해설작성자 : 안되면 다른방법으로 계속한다.]
42.
(가) 지역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저술한 곳을 알아본다.
2.
프랑스군이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한 장소를 살펴본다.
3.
지주 문재철에 맞서 소작 쟁의가 일어난 곳을 찾아본다.
4.
4·3 사건으로 많은 주민이 희생된 주요 장소를 조사한다.
5.
러시아가 저탄소 설치를 위해 조차를 요구한 곳을 검색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장소는 제주도 1-흑산도 2-강화도 3-암태도 4-제주도 5-절영도 [해설작성자 : 삐약이]
<문제 해설> 먼저 이 전쟁은 6.25전쟁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전쟁중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기에 정잡은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능검 79점 빼그]
1. 한국전쟁(1950.6.25.~ 1953.7.27.정전협정체결) 직후 1953.10. 2. 1949.8. - 친일파 청산 좌절 3.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4. 1952.7.(국회에서 공포 분위기, 기립 표결) 5. 1958 [해설작성자 : 달프맘]
45.
밑줄 그은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진보당사건 1958년 7월 조봉암을 비롯 진보당 간부들을 국가변란 간첩죄로 체포 사형 [해설작성자 : 3수]
46.
밑줄 그은 '이 정권'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신민당사에서 YH 무역 노동자들이 농성을 하였다.
2.
민주 회복을 위한 개헌 청원 백만인 서명 운동이 전개되었다.
3.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내세운 6·10 국민 대회가 개최되었다.
4.
야당 총재의 국회의원직 제명을 계기로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5.
긴급 조치 철폐를 요구하는 3·1 민주 구국 선언이 발표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박정희 2. 박정희 3. 6월 민주항쟁 = 전두환 4. 박정희의 김영삼 제명 5. 박정희가 긴급조치 남용함 [해설작성자 : 한능검]
4. Y.H사건을 계기로 김영삼이 제명되자 부마민주항쟁(1979.10.16~20)이 일어났다. 이후 박정희가 암살당한다.(1979.10.26) [해설작성자 : 한능총]
47.
㉠~㉤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 - 해동제국기의 작성 목적을 파악한다.
2.
㉡ - 하멜 표류기의 내용을 분석한다.
3.
㉢ -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의 활동을 알아본다.
4.
㉣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된 과정을 조사한다.
5.
㉤ - 제너럴 셔먼호 사건 관련 자료를 찾아본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조선 태종때. 시기가 아예 다름 [해설작성자 : 한능검 재수생]
48.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1.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피란했어요.
2.
견훤이 후백제의 도읍으로 삼았어요.
3.
김윤후와 함께 관노들이 몽골군에 항전했어요.
4.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농성을 벌였어요.
5.
박재혁이 경찰서에서 폭탄을 터뜨리는 의거를 일으켰어요.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탄금대->충주 김윤후와 관노->충주성 전투 [해설작성자 : ㅇ]
김윤후 처인성 전투 처인성-경기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번 : 공산성(공주) 2번 : 완산주(전주) 3번 : 충주성 전투(충주) 4번 : 평양 을밀대 5번 : 부산 [해설작성자 : ㅋ]
김윤후 처인성 전투는 1232(고종 19) 충주성 전투는 1253(고종 40) [해설작성자 : ㅌ]
49.
다음 뉴스가 보도된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서울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었다.
2.
국가 인권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3.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이 창립되었다.
4.
중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이 체결되었다.
5.
친일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노무현 정부 설명 1. 노태우 2. 김대중 3. 김영삼 4. 박근혜(미국FTA는 노무현) 5. 노무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연설이 있었던 정부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2점]
1.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2.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였다.
3.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였다.
4.
남북한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단 조성에 합의하였다.
5.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의 교환 방문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남북조절 위원회 - 박정희 정권 2.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노태우 정권 3.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개최 - 문재인 4. 개성공단 조성에 합의 -김대중 5.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 교환 방문 최초 실현 -전두환 정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