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Mt0gQuLgBg&t=325s]
4.
다음 중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유형자산은 모두 감가상각을 해야 한다.
2.
무형자산은 화폐성자산이다.
3.
무형자산은 미래 경제적 효익이 없다.
4.
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가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말그대로 무형(無形)은 형태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고로, 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가 없는 자산입니다. [해설작성자 : 묵상이]
1.유형자산 중 토지, 건설중인 자산은 감가상각을 하지않는다. 2.무형자산은 비화폐성자산이다. 3.무형자산은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다 (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가 없지만 식별 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 자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Mt0gQuLgBg&t=371s]
5.
다음 거래를 모두 반영하였을 경우 나타날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이 10,000원이 발생한다.
2.
단기매매증권을 취득할 때 발생한 수수료는 자산처리 하지 않고, 비용처리 한다.
3.
당기순이익이 10,000원 증가한다.
4.
당기순이익이 10,000원 감소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단기매매증권은 수수료를 당기비용 처리 # 2월 1일 <취득> 단기매매증권 420,000 / 현금 440,000 수수료 20,000 # 7월 1일 <처분> 현금 430,000 / 단기매매증권 4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