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기초 재고자산 + 중 매입 재고자산 - (매출액 ×100% - 매출총이익률) =100,000원+650,000원-(800,000원×0.75)-130,000원 [해설작성자 : ㅎㅎ]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0s]
2.
다음 중 부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채는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만기상환(결제)일이 도래하는지에 따라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2.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이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으면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3.
미지급금은 일반적으로 상거래에서 발생한 지급기일이 도래한 확정채무를 말한다.
4.
부채의 채무액이 현재 시점에서 반드시 확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이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결제디지 않아도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3. 미지급금은 일반적인 상거래 외에 발생한 지급기일이 도래한 확정채무를 말한다. 4. 충당금같은 경우에는 채무액이 확정되어있지 않더라도 부채로 인식한다. [해설작성자 : 안뇽]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244s]
3.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유동부채에 포함될 금액을 구하시오.
1.
105,000,000원
2.
125,000,000원
3.
325,000,000원
4.
625,00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단기차입금(100,000,000)+미지급비용(5,000,000) 나머지는 비유동부채 [해설작성자 : ....]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332s]
4.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상 유형자산 교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종자산과의 교환으로 취득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교환을 위하여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한다.
2.
이종자산의 교환을 위하여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교환으로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할 수 있다.
3.
자산의 교환에 현금수수액이 있는 경우에는 현금수수액을 반영하여 취득원가를 결정한다.
4.
유형자산의 공정가치는 감정평가가격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공정가치 상승분과 하락분(즉, 변동분)을 인식하는 것으로 즉, 시장가격으로 한다. 추가로, 유형자산의 교환 시, 상업적 실질이 있는 거래에서 제공한 자산, 취득한 자산 중 하나가 측정가능여부가 명확할 때는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기록한다. 제공한 자산과 취득한 자산이 측정불가능 할 때는, 제공한 자산의 장부금액으로 인식하여 거래 기록을 한다. [해설작성자 : 현자롱]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365s]
5.
다음 중 재무제표의 기본가정이 아닌 것은?
1.
기업실체의 가정:기업은 그 자체가 인격을 가진 하나의 실체로서 존재하며 기업실체의 경제적 현상을 재무제표에 보고해야 한다는 가정
2.
계속기업의 가정:기업이 계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반증이 없는 한 실체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속하여 존재한다는 가정
3.
발생주의의 가정: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효과를 현금이 수취되거나 지급되는 기간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 거래가 발생한 기간에 기록한다는 가정
4.
기간별 보고의 가정:기업의 지속적인 경제적 활동을 인위적으로 일정 기간 단위로 분할하여 각 기간마다 보고해야 한다는 가정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672s]
8.
다음 중 원가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원가에는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가 있다.
2.
기회비용은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이미 발생한 원가로써 특정 의사결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는 원가이다.
3.
회피불능원가란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절약할 수 없는 원가를 말한다.
4.
변동비의 총액은 조업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② 기회비용이란 현재 용도 이외에 다른 용도를 사용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최대금액을 말한다. 위의 문장은 매몰원가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123]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814s]
9.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에 표시될 수 없는 것은?
1.
기말 원재료 재고액
2.
기말 제품 재고액
3.
제조공정의 노무비 발생액
4.
기말 재공품 재고액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제조원가명세서 = 원재료, 재공품 계정 [해설작성자 : 최푸딩]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874s]
10.
다음은 원가배부에 관한 내용이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상호배분법
2.
직접배분법
3.
비례조정법
4.
단계배분법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단계배분법(Step Method) : 보조부문 간에 원가배분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보조 부문원가로부터 하위의 보조부문 및 제조부문에 배분하고 다음의 보조부분에서 그 다음 하위의 보 조부분 및 제조부분에 단계적으로 배분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940s]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업종별 사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는 개인은 그 부동산의 등기부상의 소재지를 사업장으로 한다.
2.
제조업을 영위하는 개인은 최종 제품을 완성하는 장소를 사업장으로 한다(다만, 따로 제품의 포장만을 하는 장소는 제외).
3.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은 각 건설 현장 사무소를 사업장으로 한다.
4.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은 법인의 등기부상 소재지를 사업장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의 사업장은 그 법인의 등기부상의 소재지인 것이며, 사업자가 재화를 단순히 보관, 관리하기 위해 시설을 갖춘 장소는 하치장에 해당하여 사업장으로 보지 아니하는 것임 [해설작성자 : 최푸딩]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4jTw9H7RzE&t=981s]
12.
부가가치세법상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이과세자도 예정부과기간에 예정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2.
일반과세자는 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를 부담하지만,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 관련 가산세가 적용되는 경우가 없다.
3.
일반과세자는 법정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면세 농산물 등에 대한 의제매입세액공제특례가 적용될 수 있으나, 간이과세자는 의제매입세액공제특례를 받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