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깊이갈이 - 신라 지증왕 고려시대 우경 일반화 2. 구석기 3. 청동기 4. 신석기 5. 구석기 [해설작성자 : 하동호]
●지문 분석 :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계급발생,채석장 등등 이런거 다 몰라도 고인돌=청동기만 알아도 문제가 풀립니다 ●선택지 분석 : 1.2.3.4.5번 모두 빈출 선택지입니다(모두 암기 하세요) -. 선택지는 대부분 이 문맥 그대로 똑같이 나옵니다 ●청동기 키워드 1.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2.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3.사유재산과 계급이 발생했다 4.비파형동검,청동거울,민무늬토기를 제작하였다 ※청동기시대는 고인돌과 반달 돌칼이 자주 나온다 [해설작성자 : 유튜브 :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신성 구역인 소도를 두었다.
2.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3.
여러 가(加)들이 각각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4.
정사암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5.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만들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쑹화강, 영고라는 단어로 부여임을 알 수 있음 1. 삼한 2. 동예 4. 백제 5. 고조선 [해설작성자 : 박귀동]
<지문해설> 쑹화강 유역,금동 얼굴 모양 장식 이런거 몰라도 영고와 형사취수제=부여만 알면 풀립니다 지문에는 힌트가 2~3개 정도 주어지는데 그 중에서 1개만 알아도 고민하지 말고 그것만 따라가도 됩니다 ●선택지 분석 : 1.2.3.4.5번 역시 모두 빈출 선택지 입니다(반드시 암기 요망) ●귀족회의에서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정사암회의(백제), 제가회의(고구려), 화백회의(신라) ●부여 키워드 1.12월에 영고라는 제천행사를 열엇다 2.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최빈출 선택지임) 3.왕(금와) / 순장풍습이 있었다 4.우제점법 / 1책12법(고구려도 시행) / 형사취수제 [해설작성자 : 유튜브 :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3.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법흥왕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2.
유학 교육 기간으로 주자감을 두었다.
3.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4.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5.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수로왕 - 금관가야(김해) 1. 금관가야 신라 복속 (532) 2. 발해 - 주자감 3. 백제 무령왕 - 22담로 4. 신라 화백회의 5. 동예 특산물 [해설작성자 : 안정민]
4.
다음 상황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승리하였다.
2.
안승이 보덕국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3.
관구검의 공격으로 환도성이 함락되었다.
4.
의자왕이 윤충을 보내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5.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백제 부흥운동에 대한 사료 - 임존성: 흑치상지 / 황산벌 전투(660) 1. 612년 고구려 2. 674년 신라 (문무왕) 3. 고구려 동천왕 - 관구검(위)의 침입 -> 환도성, 국내성 함락 4. 642년 백제 의자왕 5. 660년 황산벌 전투 [해설작성자 : 장원석]
<문제 해설> 태봉(911) -> 후고구려 - 궁예 1. 백제 - 무왕 2. 견훤 3. 태조 왕건 [해설작성자 : 겨울이]
4. 고려-충목왕 [해설작성자 : 끝까지파이팅]
10.
(가)에 들어갈 불상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철불이다 고려 10세기경 제작했으며 보물 제332호이다 ●선택지 해설 1.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고구려 불상 2.정답 / (통일신라 경주 설굴암 본존불도 가끔씩 출제 됩니다) 3.모름(굳이 몰라도 됨) 4.모름(굳이 몰라도 됨) 5.국보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삼국시대 불상(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깊은 생각에 빠져있는 불상, 머리에 삼산관을 쓰고 있다 ※1번과 5번은 자주 나오는 빈출 불상이다(반드시 기억하세요) [해설작성자 : 유튜브 : 어쩌다서울촌놈(한국사 얍쌉하게 합격하기)]
11.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가) - (나)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 - 이자겸의 난(1126) 나 - 최무선 진포 대첩(1380) 다 - 원나라 5차 침입(1253) [해설작성자 : 장원석]
(가) 이자겸=문벌귀족, 왕의 외가친척 -> 문벌귀족집권 ~ 무신정변 전 (나) 최무선 -> 화통도감 설치(우왕) 고려 후기 (다) 몽골군이 쳐들어와, 김윤후 -> 무신정권 ~ 원간섭기(권문세족 집권) 전 [해설작성자 : 장투석]
12.
㉠~㉤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 - 학술 기관으로 경연을 관장하였다.
2.
㉡ - 실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다.
3.
㉢ -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고 풍기를 단속하였다.
4.
㉣ - 수도의 치안과 행정을 주관하였다.
5.
㉤ -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담당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상서성 - 정책 집행 중추원 - 왕명 출납 중서문하성 - 문하시중(국정 총괄), 재신(정책 심의) + 낭사(정치 잘못 비판) 한림원 - 교서, 외교문서 작성 [해설작성자 : 장원석]
ㄹ 조선 한성부 [해설작성자 : 드디어해설을적어보는구나]
1. 경연 : 조선 홍문관 2. 실록 : 조선 춘추관 3. 감찰 : 고려 어사대, 조선 사헌부 4. 수도 치안 : 조선 한성부 5. 회계 : 고려 삼사 [해설작성자 : 달프맘]
원의 간섭 ->고려 후기 1. 모내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조선후기) 2. 초량 왜관을 통해 일본과 무역하였다. (조선 후기) 3. 감자, 고구마 등의 작물이 재배되었다. (조선 후기) 4.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활동하였다. (조선 후기) 5. 경시서의 관리들이 시전의 상행위를 감독하였다. (고려 시대에 개경에 설치된 관청) [해설작성자 : 메갈로돈88]
14.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화통도감이 설치되어 화포가 제작되었다.
2.
신돈이 전민변정도감의 설치를 건의하였다.
3.
거란이 침입하여 왕이 나주까지 피난하였다.
4.
노비안검법의 실시로 국가 재정이 확충되었다.
5.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등으로 구성된 별무반이 조직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려 현종 강조의 정변(1009) -> (가) -> 강감찬 귀주대첩(1019) 거란은 1010년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 거란 성종 40만 대군 침략 -> 개경 함락 -> 현종 나주 피난 [해설작성자 : 장원석]
15.
다음 상황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삼별초가 용장성에서 항전하였다.
2.
정중부 등이 김보당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3.
빈민 구제를 위한 흑창을 처음 설치하였다.
4.
공주 명학소에서 망이·망소이가 봉기하였다.
5.
최충헌이 교정별감이 되어 국정을 총괄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무신정변 최우 (1219 ~ 1249) 2. 김보당의 난(1172) 3. 태조 왕건 흑창 설치 4. 망이·망소이의 난 (1176) 5. 최충헌 (1196~1219) [해설작성자 : 장원석]
(1) 조준등의 건의 - 과전법 (공양왕) (2) 관등과 인품을 기준으로 수조권을 주었다. - 시정전시과(경종) (3) 역분전 - 태조 -고려 (4) 지급대상 토지를 원칙적으로 경기지역에 한정하였다. - 과전법 (공양왕) (5) 수조권 외에 노동력을 징발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 ex) 신라시대 녹읍.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점]
1.
불씨잡변을 지어 불교를 비판함
2.
인재 등용을 위해 현량과 실시를 제안함
3.
시무 28조를 올려 국가 운영 방안을 제시함
4.
지부복궐척화의소를 올려 왜양일체론을 주장함
5.
해주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 교화를 위해 노력함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최승로 - 고려 성종 시무 28조 [해설작성자 : 장원석]
1. 태조 이성계 때 정도전 2. 중종 때 조광조 4. 고종 때 최익현 5. 16세기 이이 [해설작성자 : 민0]
18.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최윤덕이 4군을 개척하였다.
2.
일본 원정을 위해 정동행성이 설치되었다.
3.
몽골 사신 저고여가 귀국길에 피살되었다.
4.
철령위 설치 문제로 요동 정벌이 추진되었다.
5.
서희가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쌍성총관부 설치 (1258) 쌍성총관부 수복 (1356) - 공민왕
1. 4군 6진 - 조선 세종 2. 정동행성 설치 (1280) 3. 저고여 피살 (1225) 4. 명의 철령위 설치 통고(1388) 5. 서희 외교담판 (993) [해설작성자 : 장원석]
경무대(1948) -> 청와대(1961) 경무대를 보고 이승만 시기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장투석]
44.
밑줄 그은 '현행 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내각 책임제를 채택하였다.
2.
대통령의 연임을 3회로 제한하였다.
3.
대통령에게 국회 해산권을 부여하였다.
4.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로 정하였다.
5.
국회를 참의원과 민의원의 양원제로 규정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장준하, 100만인 청원 운동 -> 유신 헌법(7차개헌) 1. 3차 개헌 2. 6차 개헌 4. 8차 개헌 5. 3차 개헌 [해설작성자 : 장원석]
- 내각, 양원제 등은 허정 과도정부의 시기(3차), 이를 통해 장면내각(제2공화국) 수립 - 대통령 연임을 3회로 제한한 것은 3선개헌과 관련된 내용이다.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을 일으킨 제3공화 헌법(5차)에서는 대통령 4년 중임제 였는데 전역후 63년에 출마한 이래로 8년이 지난 71년에 치러질 선거에 재출마하기 위해 69년 개헌을 시도해 성공한다.(6차) - 박정희는 3선개헌을 통해 71년 이후 대선에서도 한번더 정권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으나 대내외적인 정치경제적 압박으로 인하여 위기감을 느끼게 되고, 71년 당선직후 다음해 72년 유신을 선포하고 개헌을 단행하게 된다.(7차개헌) 여기서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6년으로 늘리고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동시에 재임제한을 없애버리게 된다. - 전두환은 5.18 민주화 운동 진압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간접선거로 선출되었으며(11대), 이후 개헌(8차개헌)을 통해 7년단임제로 법을 고치고선 1981년 임기를 이어나가게 된다(12대) [해설작성자 : 장투석]
45.
(가) 정부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점]
1.
한미 자유 무역 협정(FTA)이 체결되었다.
2.
저유가·저금리·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3.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삼백 산업이 발달하였다.
4.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었다.
5.
농촌의 근대화를 표방한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경부 고속 도로(1970), 100억달러 수출(1977) -> 박정희 1. 노무현 2. 전두환 3. 이승만 4. 김영삼 [해설작성자 : 장원석]
46.
(가)~(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가) - 주자소를 설치하여 인쇄하였다.
2.
(나) -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목판으로 찍었다.
3.
(다) -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 활자로 간행하였다.
4.
(라) - 이천, 장영실 등이 제작한 활자로 인쇄하였다.
5.
(마) - 납으로 만든 활자를 사용해 박문국에서 발행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가) - 주자소 -> 태종 때 설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최고(最古) 목판 인쇄물 [해설작성자 : 르세라핌카즈하화이팅]
47.
밑줄 그은 '이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2.
야간 통행 금지가 해제되었다.
3.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이 발생하였다.
4.
프로 야구가 6개 구단으로 출범하였다.
5.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이 최초로 이루어졌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두환 정부에 대한 설명 서울 올림픽 -> 1988 (노태우 정부) [해설작성자 : 르세라핌카즈하화이팅]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 전두환 정부 1. 프로야구 6개 구단 출범 2. 호헌철폐 6월 민주항쟁 3. !최초! 이산가족 상봉 4. 3저 호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다음 뉴스가 보도된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2.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3.
남북 조절 위원회가 설치되어 통일 방안이 논의되었다.
4.
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 수교하였다.
5.
남북한의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업 지구 건설에 합의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남북 기본 합의서 -> 노태우 정부 1. 노무현 정부 2. 김영삼 정부 3. 박정희 정부 5. 김대중 정부 [해설작성자 : 르세라핌카즈하화이팅]
49.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가) - 첨성대와 황룡사 구층 목탑을 세우다
2.
(나) - 가정 생활의 지혜를 담은 규합총서를 저술하다
3.
(다) - 재산을 기부하여 흉년에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다
4.
(라) - 한국 광복군의 기관지 광복을 발행하다
5.
(마) -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을밀대 지붕에서 농성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한국 광복군의 기관지 광복을 발행 -> 최초의 여성 광복군 지복영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르세라핌카즈하화이팅]
남자현 : 조선 총독 암살 기도, 국제 연맹 조사단 혈서 [해설작성자 : 0.0]
50.
밑줄 그은 '이날'에 해당하는 세시풍속으로 옳은 것은? [1점]
1.
단오
2.
칠석
3.
백중
4.
동지
5.
한식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오 - 음력 5월 5일 백중 - 음력 7월 15일 동지 - 양력 12월 22일경 한식 - 양력 4월5일이나 6일경 [해설작성자 : 르세라핌카즈하화이팅]